KR200423921Y1 -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921Y1
KR200423921Y1 KR2020060014472U KR20060014472U KR200423921Y1 KR 200423921 Y1 KR200423921 Y1 KR 200423921Y1 KR 2020060014472 U KR2020060014472 U KR 2020060014472U KR 20060014472 U KR20060014472 U KR 20060014472U KR 200423921 Y1 KR200423921 Y1 KR 200423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base
voice coil
characteristic inspection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계민
Original Assignee
(주)리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캠 filed Critical (주)리캠
Priority to KR202006001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기대와; 기대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자동촛점 카메라 모듈이 고정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X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기대부 및 Y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기대부로 구성된 위치조절장치와;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부와; 레이저 센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이스코일모듈의 특성을 측정하여 불량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 렌즈, 초점, 거리, 레이저, 측정, 이동

Description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 Auto Focusing Camera Module's Voice Coil Module Characteristic Inspection Apparatus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서 위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자동화시스템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를 이용한 측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렌즈의 초점 변화에 따른 측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베이스 4 : 거치대
6 : 레이저 센서 7 : 승강장치
9 : 회전장치 42 : 고정판
44 : 고정장치 51 : 제1기대부
52 : 제2기대부 72 : 가이드봉체
74 : 안내축 76 : 블럭
92 : 회전수단 94 : 회동축
96 : 고정너트 98 : 지지브라켓
100 : 카메라 모듈 200 : 기대
본 고안은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이스코일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촛점이 조절되는 카메라 모듈에서 보이스코일모듈의 특성을 검사하여 제품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메라 자동초점조절용 액튜에이터로서 모터의 회전운동을 기어를 통해 렌즈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계식 액튜에이터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기계식 액튜에이터는 모터와 기어의 작동에 수반되는 마찰, 기 계적 변형, 백래시 등으로 인한 정적-동적 오차를 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미세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정밀한 초점조절이 어려웠고, 또한 모터와 기어의 점유 공간 때문에 카메라 소형화에 적합하지도 아니하였다.
이와 같은 기계식 액튜에이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액튜에이터로서 보이스코일모듈가 개발되었다.
보이스코일모듈(Voice Coil Module : VCM)은 영구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정적인 자기장 내에서 코일의 유도자기력이 생성하는 로렌츠 힘을 직선의 운동으로 이용하는 액튜에이터로서, 비교적 짧은 거리를 정밀하게 직선 이동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적합하다.
보이스코일모듈에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370322호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용 보이스코일모듈의 다양한 특성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정의 기대와; 기대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자동촛점 카메라 모듈이 고정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X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기대부 및 Y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기대부로 구성된 위치조절장치와;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부와; 레이저 센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의 하부에 회전장치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류 대 스트로크 비에서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 즉, 스타트포인트를 측정하고, 정해진 전류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이 포커싱을 할때 최대로 움직이는 거리인 맥스-스트로크와;
또한, 최대 전류치 까지 이동 후 전류를 감소하기 시작한 이후의 최소 운동량 이상으로 하강이 시작되는 전류 감소량을 표시하는 히스테리시스와;
또한, 설정된 일정 전압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커런트리미트와;
또한, 전류 대 스트로크 비에서 증가시와 하강시 전체의 평균치와 편차가 최대인 지점을 측정하여 산출된 업/다운 디퍼런스와;
전류 대 스트로크 비에서 상승과 하강시의 평균편차인 게인의 평탄도와;
상기 게인의 상승과 하강시 마찰계수와 전체적으로 진동하는 폭인 위빙;
으로 구분된다.
업/다운 디퍼런스의 특성 검사에 의해 렌즈의 상승 및 하강시 운동의 일관성을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인의 평탄도 측정에 의해 전류변화에 따른 렌즈 스트로크 변화의 평탄도를 비교 판단할 수 있다.
마찰계수 측정에 의해 렌즈의 상승과 하강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이나 마찰에 의한 운동의 흔들림을 검사할 수 있다.
위빙 측정에 의해 렌즈가 상승하면서 좌우로 흔들리는 동작의 크기를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보이스코일모듈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본 고안의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A)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기대(200)와, 기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2)와, 베이스(2) 상에 설치되며, 카메라 모듈(100)이 고정되는 거치대(4)와, 이 거치대(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X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기대부(51) 및 Y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기대부(52)로 구성된 위치조절장치와, 거치대(4)의 상부에 위치되어 레이저를 조사(照射)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6)와, 레이저 센서(6)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2)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될 위치조절장치 및 승강장치(7)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2)의 하부에는 회전장치(9)가 더 설치되어 베이스(2)를 기울임으로써 경사도(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장치(9)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거치대(4)는 PCB기판(120)과 렌즈 조립체(110)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100)을 고정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00)을 안착시키기 위한 고정판(42)과, 이 고정판(42)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절나사(442)와, 상기 조절나사(442)에 결합되어 PCB기판(120)을 압지하는 리브(446)로 된 고정장치(44)가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복수개의 고정장치(44) 사이에 카메라 모듈(100)의 PCB기판(120)을 안착시킨 후 조절나사(442)를 조임으로써 리브(446)가 PCB기판(120)을 압지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위치조절장치는 거치대(4)의 위치를 조절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레이저 센서(6)가 수직선상으로 정확하게 일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0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기대부(51)와, 카메라 모듈(100)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기대부(52)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기대부(51,52)를 원격조작 및 수동조작에 의해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518,528,518')이 더 구비된다.
제1기대부(51)는, 베이스(2) 상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2개의 브라켓(510)이 설치되고, 이들 2개의 브라켓(510) 사이에 가이드봉체(512)가 연결되며, 또한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안내축(514)이 상기 2개의 브라켓(512) 사이에 나사결합되 며, 상기 가이드봉체(512) 및 안내축(514)에 제1베드(516)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축(514)의 일단은 일측 브라켓(5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조작수단으로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518)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기대부(52)는, 제1기대부(51)의 상부에 교차되게 설치되는데, 제1베드(516) 상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2개의 브라켓(520)이 설치되고, 이들 2개의 브라켓(520) 사이에 가이드봉체(522)가 연결되며, 또한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안내축(524)이 상기 2개의 브라켓(520) 사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체(522) 및 안내축(524)에 제2베드(526)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축(524)의 일단은 일측 브라켓(5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조작수단으로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528)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베드(526)의 상부에 전술한 거치대(4)의 고정판(42)이 설치된다.
첨부된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에서 위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1 및 제2기대부(51,52)의 조작수단으로써,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조작이 가능한 핸들(518,528)을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동장치(518',528')가 조작수단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장치(518',528')의 일예로는 상기 안내축(524)의 일단에 구동모터를 연결하고, 이 구동모터는 도시하지 않은 중앙처리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로는 스텝모터 또는 서보모터가 적당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기대부(51,52)의 조절작동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확하며, 빠른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는 대량생산을 위한 자동화시스템에 적합하다.
첨부된 도 4c는 자동화시스템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파워서플라이(T1)에서 레이저센서 콘트롤러(T2)와 스텝/서보 콘트롤러(T3), 콘스턴트전류/입출력 콘트롤모듈(T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키/디스플레이(T5) 및 입출력-포트(T6)와 USB-액쿼지션모듈(T7)은 양방향 통신을 하고, USB-액쿼지션모듈(T7)과 레이저센서 콘트롤러(T2)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레이저센서 콘트롤러(T2)의 제어에 의해 레이저 센서(T8)의 온/오프(ON/OFF) 작동이 제어된다.
또한, USB-액쿼지션모듈(T7)과 USB 컴퓨터(T9)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모니터(T10)로 표출한다.
USB-액쿼지션모듈(T7)은 콘스턴트전류/입출력 콘트롤모듈(T4)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콘스턴트전류/입출력 콘트롤모듈(T4)은 스텝/서보 콘트롤러(T3)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스텝/서보 콘트롤러(T3)에 의해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X,Y,Z축의 방향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USB-액쿼지션모듈(T7)은 상태디스플레이장치(T11)와 연결되고, 상태디스플레이장치(T11)는 레이져센서 콘트롤러(T2)와 연결되어 있어 레이저센서(T8)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2)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회전장치(9)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하부에 마련된 기대(2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98)과, 지지브라켓(9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축(94)과, 회동축(94)이 관통되되 상기 베이스(2)의 저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7)과, 회동축(94)의 끝단에 설치된 회전수단(9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98)과 베이스(2)는 이격되어 설치되며, 회전수단(92)으로는 전술했듯이 핸들 또는 전동장치가 사용된다.
즉, 회전수단(92)으로서 핸들을 설치할 경우에는 베이스(2)의 회동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동축(94) 상에 고정너트(96)를 더 구비한다(도 3참조).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96)를 조여서 앞쪽의 지지브라켓(98)에 밀착시킴으로써 베이스(2)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를 포함한 본 고안의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A)는 회전장치(300)에 의해 좌우로 180°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베이스(2)의 일단부에 측벽(21)을 일체로 형성하고, 베이스(2)의 하부에 는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400)을 설치하되, 베이스(2)와 프레임(400)은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한 후 베이스(2)의 측벽(21)과 프레임(400)의 측벽(420)을 관통하여 회전축(600)이 결합되고, 회전축(600)에는 회전장치(30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회전장치(300)로는 전동모터가 적당하며, 회전장치(300)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회전함으로써 베이스(2)를 보다 정밀한 각도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장치(300)를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경사도(θ)를 부여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동초점조절(auto focusing)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첨부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를 이용한 측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렌즈의 초점 변화에 따른 측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센서(6)는 거치대(4)의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전술한 렌즈 조립체(110) 내에 탑재되어 렌즈(112)를 고정하고 있는 사출커버(114)의 바깥쪽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게 된다.
즉, 초점 조절시 렌즈(112)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바깥쪽일수록 렌즈(112)의 요동정도가 커서 검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렌즈(112)를 고정하고 있는 사출커버(114)의 바깥쪽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점에 다다른 사출커버(114)의 바깥쪽에 대해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이때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거리(L)를 측정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점에 다다른 사출커버(114)의 바깥쪽에 대해 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이때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거리(ℓ)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한다.
이렇게 획득한 거리 데이터(L,ℓ)를 정상 렌즈 조립체의 데이터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렌즈 조립체의 초점 조절시 렌즈의 움직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전술한 거리 데이터 외에 후술될 전류대 스트로크, 전류대 전압, 전류대 게인, 전류대 임피던스 특성도 함께 측정하게 된다.
레이저 센서(6)는 넓은 표면적의 대상물과 다양한 용도에 대한 고정도 측정이 가능하다. 단거리 뿐만 아니라 장거리에서 위치, 진동, 길이, 깊이, 폭, 두께, 직경, 스트로크, 높이, 경사, 단면, 피치, 편심 등의 측정 및 모니터링에 적합하며, CCD 수광소자를 채용하여 대상물의 표면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고정도의 변위 측정이 가능하다.
렌즈 표면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은 수광 렌즈를 통과하여 CCD 수광 소자 상에 스폿을 형성하고, 스폿 광량 분포의 피크값(peak vaℓue)이 대상물 즉, 렌즈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7)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센서(6)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2)에 수직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봉체(72)와, 이들 가이드봉체(72)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안내축(74)과, 가이드봉체(72)에 끼워져 결합되며 안내축(74)과 나사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블럭(76)과, 상기 안내축(74)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79)로 구성되며, 상 기 블럭(76)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레이저 센서(6)가 고정된 기대(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축(74)은 핸들(79)의 회전에 동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연동하여 안내축(74)에 나사결합된 블럭(76)이 승강됨으로써 레이저 센서(6)가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대(75)의 하단에 지침(62)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4)의 고정판(42) 일측에 높이측정기(64)가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레이저 센서(6)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럭(76)과 기대(75)는 수평으로 된 복수개의 지지바(77)로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승강장치(7)의 안내축(74)에도 핸들(518) 대신 앞서 설명한 전동장치(5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2)의 상면 일측에 제1기대부(51)의 2개의 브라켓(510)을 이격시켜 설치한 후 이들 2개의 브라켓(510) 사이에 2개의 가이드봉체(512)가 설치되며, 이들 가이드봉체(512) 사이에 안내축(514)이 설치된 후 안내축(514) 및 가이드봉체(512)에는 제1베드(516)가 결합된다.
그리고, 안내축(514)의 일단은 일측 브라켓(5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 단부에 핸들(518) 또는 전동장치(518')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제1기대부(51)의 상부에 제2기대부(52)가 직교되게 배치된다.
즉, 제2기대부(52)의 2개의 브라켓(520)은 제1베드(516)의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들 2개의 브라켓(520) 사이에는 2개의 가이드봉체(522)가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봉체(522) 사이에 안내축(524)이 설치되며, 이들 가이드봉체(522) 및 안내축(524)에는 제2베드(52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축(524)의 단부는 일측 브라켓(520)의 외측으로 노출된 후 조작수단인 핸들(528) 또는 전동장치(518')가 설치된다.
이후, 제2베드(526)의 상면에 거치대(4)가 설치되는데, 먼저 고정판(42)이 제2베드(526)의 상부에 설치된 후 그 상부에 고정장치(44)가 일정 거리로 이격된 채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44)의 결합관계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베이스(2)의 타측에는 승강장치(7)가 설치된다.
즉, 승강장치(7)의 안내축(74) 및 2개의 가이드봉체(72)를 수직되게 설치하고, 이들 안내축(74) 및 2개의 가이드봉체(72)의 상단에는 브라켓(7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축(74) 및 2개의 가이드봉체(72)에 블럭(76)을 결합시키고, 안내축(74)의 상단에는 핸들(79)을 설치한다.
상기 블럭(76)의 일측에는 수평으로 복수개의 지지바(77)를 설치하고, 이 지지바(77)의 단부에 레이저 센서(6)가 부착된 기대(75)를 설치한다.
상기 레이저 센서(6)는 거치대(4)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기대부(51,52)의 핸들(518,528)을 대신하여 전동장치(518',528')를 설치하였을때는 전동장치(51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어부를 통해 제1 및 제2기대부(51,52)를 조작하여 카메라 모듈(100)과 레이저 센서(6) 간의 설정공정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량의 카메라 모듈 검사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거치대(4)에 마련된 2개의 고정장치(44)의 조절나사(442)를 풀어 리브(446)를 상승시킨 후 이들 사이에 카메라 모듈(100)의 PCB기판(120)을 끼워넣고, 조절나사(442)를 조임으로써 리브(446)가 PCB기판(120)을 압지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제1 및 제2기대부(51,52)의 핸들(518,528)을 조작하여 거치대(4)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켜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 조립체(110)와 레이저 센서(6)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한다.
즉, 제1기대부(51)의 핸들(518)을 회전시키면 안내축(514)이 회전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제1베드(516)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제2기대부(52)의 핸들(528)을 회전시키면 안내축(524)의 회전에 동반하여 제2베드(526)가 Y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X축 및 Y축 이동을 통해 그 상부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100)의 위치가 레이저 센서(6)와 일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7)의 핸들(79)을 회전시켜 레이저 센서(6)의 높이를 적정하게 조절한다.
상기 승강장치(7)의 작동관계는 전술한 제1 및 제2기대부(51,52)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적정한 높이로 레이저 센서(6)를 설정하고, 카메라 모듈(100)을 정위치시킨 후, 렌즈 조립체(110)의 초점을 조작하여, 렌즈(112)가 최상점에 위치되도록 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거리값(L)을 측정한다.
또한, 렌즈 조립체(110)의 초점을 조작하여 렌즈(112)를 최하점에 위치되도록 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거리값(ℓ)을 측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거리값(L,ℓ)의 측정은 렌즈(112)의 전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照射)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대 스트로크, 전류대 전압, 전류대 게인, 전류대 임피던스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를 첨부하였다.
아래의 [그래프 1]은 자동검사시 전류가 증가/감소함에 따른 렌즈의 스트로크 변화를 Curve Trace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 1]
Figure 112006038152885-utm00001
아래의 [그래프 2]는 자동 검사시 전류가 증가/감소함에 따른 보이스코일모듈에 인가되는 전압을 커브 트레이스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 2]
Figure 112006038152885-utm00002
아래의 [그래프 3]은 자동 검사시 전류가 증가/감소함에 따른 스트로크 게인을 커브 트레이스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 3]
Figure 112006038152885-utm00003
아래의 [그래프 4]는 자동 검사시 전류가 증가/감소함에 따른 VCM의 임피던스를 커브 트레이스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38152885-utm0000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용 보이스코일모듈의 맥스-스트로크, 히스테리시스, 커런트리미트, 업/다운 디퍼런스, 게인의 평탄도, 마찰계수, 위빙) 등의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9)

  1. 소정의 기대와;
    상기 기대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이 고정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X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기대부 및 Y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기대부로 구성된 위치조절장치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부와;
    상기 레이저 센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에 결합된 리브로 구성된 고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대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 사이에 연결된 가이드봉체와, 외주면에 나사가 형 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 사이에 결합된 안내축과, 상기 가이드봉체 및 안내축에 결합된 제1베드와, 상기 안내축의 일단에 설치된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대부는, 상기 제1기대부의 상부에 교차되게 설치된 것이며,
    상기 제1베드 상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 사이에 연결된 가이드봉체와,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 사이에 결합된 안내축과, 상기 가이드봉체 및 안내축에 결합된 제2베드와, 상기 안내축의 일단에 설치된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안내축의 일단에 연결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전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수직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봉체와, 상기 가이드봉체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안내축과, 상기 가이드봉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안내축과 나사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블럭과, 상기 안내축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블럭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레이저 센서가 고정된 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에 측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은 소정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의 측벽과 프레임의 측벽을 관통하여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KR2020060014472U 2006-05-30 2006-05-30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KR200423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472U KR200423921Y1 (ko) 2006-05-30 2006-05-30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472U KR200423921Y1 (ko) 2006-05-30 2006-05-30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921Y1 true KR200423921Y1 (ko) 2006-08-11

Family

ID=4177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472U KR200423921Y1 (ko) 2006-05-30 2006-05-30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92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53B1 (ko) * 2008-04-08 2010-05-12 (주)리캠 Vcm 렌즈의 틸트 측정장치, 그 측정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00106010A (ko) * 2009-03-23 2010-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변위센서를 이용한 휴대폰 카메라의 틸트 및 성능 측정시스템
KR101233993B1 (ko) * 2009-09-01 2013-02-18 (주)나노인사이드 3차원 광학장치
KR101233988B1 (ko) * 2009-09-01 2013-02-18 (주)나노인사이드 Vcm 모듈의 동작 상태 및 틸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01136B1 (ko) * 2015-12-18 2017-02-01 주식회사 케이아이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1801438B1 (ko) * 2014-04-02 2017-11-24 황영수 손 떨림 보정 시험용 가진 발생 장치
CN110737068A (zh) * 2019-10-17 2020-01-31 福建师范大学 一种自动对焦光路的调节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53B1 (ko) * 2008-04-08 2010-05-12 (주)리캠 Vcm 렌즈의 틸트 측정장치, 그 측정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00106010A (ko) * 2009-03-23 2010-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변위센서를 이용한 휴대폰 카메라의 틸트 및 성능 측정시스템
KR101630731B1 (ko) * 2009-03-23 2016-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변위센서를 이용한 휴대폰 카메라의 틸트 및 성능 측정시스템
KR101233993B1 (ko) * 2009-09-01 2013-02-18 (주)나노인사이드 3차원 광학장치
KR101233988B1 (ko) * 2009-09-01 2013-02-18 (주)나노인사이드 Vcm 모듈의 동작 상태 및 틸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01438B1 (ko) * 2014-04-02 2017-11-24 황영수 손 떨림 보정 시험용 가진 발생 장치
KR101701136B1 (ko) * 2015-12-18 2017-02-01 주식회사 케이아이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CN110737068A (zh) * 2019-10-17 2020-01-31 福建师范大学 一种自动对焦光路的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3921Y1 (ko)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JP5138268B2 (ja) 寸法測定装置
CN107345849B (zh) 镜片检测和校准工装及方法
EP3002549A1 (en) Optical measuring machine and method
JP2006224285A (ja) ステージ装置及びガントリ型ステージ装置及びステージ装置の制御方法
JP2010032322A (ja) 表面性状測定機および測定方法
CN204009028U (zh) 磁铁磁力测量装置
CN117824518A (zh) 一种非接触式厚度测量装置
CN111121689A (zh) 一种线位移传感器校准高精度调节装置
CN112098981A (zh) 一种激光位移传感器动态幅值校准装置
CN105136169B (zh) 一种激光陀螺光学元件装配装置
JP2018151187A (ja)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
KR20190125656A (ko) 엑스레이 검사장치
JP2001228212A (ja) 針荷重測定方法、針荷重設定方法及び検査装置
CN113865512A (zh) 一种外形轮廓扫描测量装置及方法
CN103940408A (zh) 五轴影像自动调整测量仪
KR20100032542A (ko) 전자 부품 정보 인식 및 처리 장치
CN206269765U (zh) 一种测试机构
US7336087B2 (en) Circuit board test device comprising contact needles which are driven in diagonally protruding manner
KR100718917B1 (ko) 3점 지지를 이용한 고정밀 틸트 스테이지 장치
CN116149037A (zh) 一种超快大尺寸扫描系统及方法
CN110411382B (zh) 一种光学全检手机前壳平面度装置及检测方法
CN103776494A (zh) 一种测量仪器
CN209246995U (zh) 一种液晶面板翘曲度检具
CN209728074U (zh) 信号接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