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495B1 -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495B1
KR101700495B1 KR1020150026185A KR20150026185A KR101700495B1 KR 101700495 B1 KR101700495 B1 KR 101700495B1 KR 1020150026185 A KR1020150026185 A KR 1020150026185A KR 20150026185 A KR20150026185 A KR 20150026185A KR 101700495 B1 KR101700495 B1 KR 10170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balone
mixed
raw mater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638A (ko
Inventor
양정자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양정자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자, 김동수 filed Critical 양정자
Priority to KR102015002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4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김 및 김 가공시 생성되는 가공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 제조하여 전복에 급이함으로서 김의 색소포 성분인 엽록체 a와 d 및 건조시 생성되는 베타카로틴으로 인해 전복의 패각껍질이 붉게 발현되면서 성장률이 기존의 배합사료를 급이한 것과 대비하여 21%이상의 성장률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Aquaculture method for an abalone having scarlet shell}
본 발명은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조색소(β-carot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 조성물을 배합사료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급이시킴으로서 일정기간 내에 성장률을 증가시키고 전복 패각의 색이 홍색을 띄도록 성육시킬 수 있는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복류는 연체동물(Phylim 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원시조목(Archaeogastroppoda), 전복과(Haliotidae), 전복속(Haliotis)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60~70종(Lindberg 1992)에서 100여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 분포하는 전복류는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INO), 까막전복(H. discus Reeve), 말전복(H. gigantea Gmelin), 시볼트전복(H. siboldii Reeve), 마대오 분자기(H. diversicolor diversicolor), 오분자기(H. diversicolor aquatilis Reeve)등 5종이며 특히, 참전복은 우리나라 양식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세계 전복시장의 총 공급량을 살펴보면, 1970년은 20,370톤, 2002년은 22,667톤, 2008년은 44,510톤으로 조사되었는데, 전복의 어획량 감소에 따라 2008년을 기준으로 6년 동안 양식생산량은 무려 350% 증가하였고, 그중 최대 양식생산국은 중국이며 한국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7년도 전복양식 산업화 이후 최근 수년 동안 단기간 고속 성장을 하여 지난 9년 동안에 양식생산량이 무려 60배 이상 증가하였고, 사육기술 향상 및 양식기자재의 발달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2011년에 우리나라의 생산량은 약 6,779여 톤을 생산하였으며, 전남지역은 6,727여 톤으로 전국대비 99%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전복 양식실태를 살펴보면 어류 가두리 양식면허와 같이 전복 가두리의 허가면적도 20%까지 확대 조정된 후 종묘수요가 늘어나 2009년도 전국 종묘생산 시설은 690,000㎡에서 2010년도에 805,000㎡로 16%증가하였고 이에따라 종묘생산량도 2009년은 450백만미, 2011년도 589백만미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전복양식은 급속한 양적 팽창에 의해 공급량 증가에 비례하여 큰 폭으로 하락하던 전복가격이 2008년을 분기점으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가장 큰 요인으로는 대(大)전복의 양성에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대(大)전복 양성어가가 현저히 감소하여 생산량이 부족하게 되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1987년도 전복양식 산업화 이후 현재까지 장기간 근친교배로 인한 열성화, 최근 동물성 단백질이 주원료인 전복용 배합사료 급이 등 건강한 전복종묘의 안정적인 생산이 곤란하여 이에 따라 전복 양식장의 수익성이 호전될 수 있도록 품종개량, 효율적인 사료 공급등과 같은 시스템 개선과 국제표준 품질에 맞추어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규모화, 조합 형태운영, 합자판매 등의 방안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82253호에는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30-50%),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20-35%), 0.5% 이상의 n-3계 고불포화지방산(highly unsaturated fatty acid)을 포함하는 지질원(0.5-10%), 점착제(3-10%)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복 성장률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7343호에는 백색어분, 레넷-카제인, 대두분중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을 중량비로서 15∼25%, 어류지방산과 식물유중에서 하나 이상의 지질원을 중량비로서 5∼8%, 소맥분과 감자 전분 중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을 중량비로서 10∼15%, 미역과 다시마중 하나 이상의 해조류분말을 중량비로서 15∼25%, 영양강화제를 중량비로서 3∼10%를 혼합하는 사료혼합공정과; 족적점 액상물질과 한천과 황토와 한액재와 알로에 중 하나 이상을 물에 첨가하여서 된 반죽액으로 상기 사료혼합공정의 혼합물을 섞어 반죽한후 일정크기 형태로 가압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성형물을 30∼50℃의 온도에서 20∼60분 동안 가열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전복양식용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82253호에는 양배추와 파래류를 이용한 전복 사료 조성물은,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지질원, 및 해조류가 포함된 전복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탄수화물원으로서 양배추 분말과 해조류로서 파래류 분말이 포함되고, 생산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폐기되는 부산물이 많은 양배추와 연중 채취가 가능한 파래류를 이용함으로써 폐유휴 자원의 활용이 가능하고 다시마나 미역과 같이 고갈되는 천연사료 자원을 대체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양배추에 섭이촉진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전복의 성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양배추와 파래류를 이용한 전복 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52612호에는 잉여자원을 활용하고 전복의 효소원에 의해 원활히 분해 가능한 영양원들을 고루 갖추고 전복 효소에 원활히 분해가능한 미세조류와 다당류를 활용하여 미역과 다시마를 대체할 수 있고, 전복이 원활히 섭취 가능한 영양원을 제공할 수 있는 전복 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선행문헌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홍조식물인 건조된 김 분말을 사료조성물 및 사료첨가제로 이용함으로서, 건조한 김에서 유래된 홍조색소(β-carotene) 및 엽록소 a와 d의 작용으로 전복의 성장률을 증가시키고 전복의 패각을 홍색을 갖도록 한 구성과는 상이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복종묘에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혼합하여 급이함으로서 전복의 소화효율을 증대시키고 성장률을 향상시키며, 김을 건조하여 분말화 함으로서 생성되는 홍조색소(β-carotene)를 포함하는 사료조성물 및 사료첨가제를 급이함으로서 전복 패각의 색이 홍조를 띄는 전복의 생산이 가능한 전복 종묘양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를 전복종묘에 급이하여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로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색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전복종묘용 사료는 마른 김 또는 김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분말화한 사료조성물과 동물성 전복용 배합사료를 혼합하여 혼합분말사료로 제조한 것 또는 마른 김 또는 김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분말화한 사료조성물을 반죽하여 일정크기로 성형하여 코팅한 입자사료 5.0~20.0중량%와 동물성 전복용 입자사료 80.0~95.0중량%를 혼합한 입자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복종묘 부화유생은 채묘부터 30~40일간 사육수조에서 자연발생 번식되는 해산 규조류만을 섭식시키고, 그 후 제2항의 분말 혼합사료를 30일간 1일에 오후 1회 급이시키며, 해산 규조류가 사육수조에서 사라지는 시점부터, 제3항의 입자사료를 2일에 오후 1회 급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색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및 상기 전복종묘 양식방법으로 생산된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을 제공한다.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조성물을 통상의 배합사료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종묘양식방법에 따라 급이시킨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양식방법으로 양식시킨 전복은 5일 경과 후부터 전복종묘 패각에 붉은 띠 모양이 발현되고 채묘 후 200일 경과 기준으로 성장도 면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21%향상되는 효과를 보였다.
도 1은 기존의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를 급이시킨 후 전복종묘 패각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첨가제로 제조된 사료를 급이한 후의 전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에서 사료첨가제 준비단계의 원료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첨가제의 분쇄전과 분쇄 후 외관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첨가제와 관련한 실시예 및 결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를 급이시킨 후 전복종묘 패각의 모양을 나타낸다. 종래의 전복양식을 위한 배합사료 조성물은 어분, 육분, 대두박, 연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과 소백분, 렉스트린, 감자전분, 수크로즈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시킨 후, 지질원과 점착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 동물성 배합사료는 전복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기본영양소만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사료의 소화효율이 낮아 소비되지 못한 사료에 의한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초식성동물인 전복에게 어분이 포함된 동물성단백질을 공급함으로서 전복양식용 수조의 물갈이를 함으로서 바닥에 쌓인 사료 찌꺼기를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에 대하여 최근에는 잉여자원인 미역과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합사료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성분은 듀나리엘라 테르티오렉타 또는 보트리오코쿠스 속 미세조류와 같은 녹조류로 유효성분이 이루어진 해조류이다. 따라서, 녹조류가 포함된 배합사료를 섭이한 전복은 패각색이 양식전복의 일반적인 패각색인 녹색을 띄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 및 사료첨가제를 전복양식용 배합사료와 일정비율로 혼합시켜 제조한 사료를 급이하여 사육한 전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복의 패각의 색은 양식용 전복의 일반적인 패각색인 초록색과는 달리 붉은 빛을 띄는 홍색전복으로 패각색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홍색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홍색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은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사료조성물을 기존의 배합사료와 혼합시켜 혼합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사료를 전복종묘에 급이시키는 사료급이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조색소를 갖는 생김 원료를 공급하고, 전 처리하여 사료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온풍 건조시키는 사료 건조단계; 건조된 원료를 적정크기로 세절하여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하는 사료 분쇄단계; 분쇄된 사료조성물을 분말사료 또는 코팅사료로 제조하는 분말사료 제조단계; 상기 분말사료를 기존의 배합사료와 일정비율로 혼합시켜 혼합사료 및 코팅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의 원료인 생김을 나타낸다. 사료원료 준비단계는 물김(생초) 또는 김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이루어진 원료공급단계로 이루어지며, 김 가공 부산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부산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분리하고, 생초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이 포함된다.
사료원료 건조단계는 상기 준비단계를 거친 원료 내에 분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서 이후에 이루어지는 분쇄단계를 통해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 온풍건조기에서 원료 내의 수분함량이 5.0% 이하로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사료원료를 온풍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홍조류 색소포 성분인 엽록소 a와 d 성분이 고열에 의해 변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료 내에 β-carotene 성분이 생성된다. 표 1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원료로 사용되는 생김과 건조된 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건조된 김과 생김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종류 비타민(mg) 단백질(g) 무기질(mg)
베타카로틴 (㎍) B1 B2 C 칼슘
생김 0.0 0.08 0.38 34.0 3.3 490.0 474.0 4.50
건조김 마른김 22,500 1.2 2.95 93.0 38.6 325.0 762.0 17.60
구운김 24,000 1.1 3.2 95.0 40.9 410.0 610.0 12.70
*단백질은 류신, 라이신, 그루탐산, 타우린의 총합을 나타냄
상기 표 1의 결과는 건조된 김과 생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며, 가식부 100g을 기준으로 단백질 함량은 생김 3.3g, 건조된 김 중 마른 김은 38.6g, 구운김은 40.9g를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상 전복양식용으로 사용되는 배합사료의 주요성분을 구성하는 동물성 단백질인 어분이 100g당 35.1g의 단백질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성분분석 결과를 통해서 건조된 김을 원료로 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성 단백질 성분의 일부로서 대체할 수 있는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김에서는 베타카로틴 성분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건조된 김과 구운김에서는 각각 22,500㎍, 24,000㎍으로 높은 함량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성분의 함량 또한 생김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어 생김과 비교하면 성분상의 활용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 원료의 분쇄전과 분쇄 후를 나타낸다. 원료 분쇄단계는 상기 건조된 사료조성물의 원료를 고속분쇄기에 의해 약 35mesh를 통과하여 분말로 미분화시키거나 또는 목적하고자 하는 사료의 입자 크기에 적합하도록 일정크기로 세절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혼합사료 제조단계는 전복용 분말 배합사료와 본원발명의 김분말 사료조성물을 혼합시키는 혼합분말사료 제조단계와, 전복용 입자 배합사료와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입자형태로 제조된 코팅사료를 혼합시킨 코팅혼합사료 제조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분쇄된 김 분말을 기존의 전복 배합사료와 일정비율로 혼합시켜 혼합분말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는 기존의 전복양식용 동물성 배합사료와 혼합시키기 위해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사료조성물을 생산하는 분말사료 제조단계와 기존의 동물성 전복용 분말사료와 본원발명의 식물성 김분말 사료조성물을 혼합시키는 혼합 분말사료 제조단계로 이루어진다.
혼합분말사료 제조단계는 혼합량을 기준으로, 기존의 시판되는 전복용 분말 배합사료 50.0중량%와 본원발명의 김분말 사료조성물 50.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종묘가 성장함에 따라 동물성 단백질의 함량의 혼합비율은 1:1 에서 4:1까지 늘려갈 수 있다.
상기 코팅혼합사료 제조단계는 시판되는 입자 배합사료와 혼합시키기 위해 상기 사료조성물을 입자 사료와 같은 입자크기로 성형하여 코팅하는 코팅사료 제조단계를 거친다. 사료원료 분쇄단계를 거친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에 중량대비 50중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과 성형기에 투입하여 원하는 형태로 사료의 입자 외형을 완성하는 성형단계, 건조기에서 20~30℃의 온도로 6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입자 외형이 적절한 굳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건조단계, 코팅용액으로 첨가제의 표면을 입히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용액은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천연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혼합사료의 혼합량은 입자형 배합사료 80.0~95.0중량%와 코팅사료 5.0~20.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분말사료 제조단계와 코팅혼합사료 제조단계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분말배합사료 및 입자사료는 일반적으로 전복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카제인, 어분, 대두박, 면실박등의 단백질원과, 소맥분, 덱스트린, 전분, 수크르즈 등의 탄수화물원과 지질원,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성분 등은 공지된 것이므로 따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방법으로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이 첨가된 혼합분말 사료를 급이시킨 전복은 종래의 일반사료만을 급이시켰던 전복과 비교하여 성장률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전복의 패각도 초록색을 띄는 일반적인 전복과는 달리 붉은색을 띄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전복패각이 붉은색을 띄는 특징은 김 분말, 즉 홍조류의 색소포 성분인 엽록소 a와 d가 전복 내에 함량이 높고 김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베타카로틴이 합성된 것에 기인하며, 이와 같은 특징과 함께 초식성생물인 식물성 단백질을 근본으로 하는 영양소의 섭취로 인해 전복의 소화효율이 좋아져 결국 전복의 성장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조성물을 배합사료와 일정한 비로 혼합시켜 제조한 혼합분말사료와 코팅혼합사료를 전복에 급이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한 실험 실시예를 설명한다.
< 실시예 >
1. 시험장소 및 양식시설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을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전복양식 종묘에 급이시킨 효과를 검증한 사육실험은 전남 해남군 화산면 평호리에 위치한 전복종묘 전문생산업체인 서당수산에서 보유한 양식면적(수면적) 1,212m2의 육상수조를 갖춘 유수식 사각 콘크리트 시설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파판 1장당 50미 기준으로 전복 부화 유생 1200만마리를 2013년 4월 29일부터 7개월간 사육하였으며, 그중 6백만 마리를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사료 시험용 전복종묘로 평균 각장 2.8cm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7개월간 사육하였다.
2. 사료 급이
혼합분말사료 제조는 1회 혼합량을 기준으로, 전복용 분말 배합사료 50.0중량%와 본원발명의 사료조성물 50.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시켜 제조하였고 코팅혼합사료는 1회 혼합량을 기준으로, 시판되는 입자형 배합사료 80.0~95.0중량%와 본원발명의 사료조성물로 제조되는 코팅사료 5.0~20.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시켜서 제조하였다.
전복종묘의 사료 급이는 전복 부착유생 초기, 자연에서 발생하는 해산 규조류를 30~40일 정도 섭식하게 한 이후, 본원발명의 사료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사료로 급이시켰다. 전복종묘 부화유생은 채묘부터 30~40일간은 사육수조에서 자연발생 번식되는 해산 규조류만을 섭식시키고, 이후에 본 발명의 혼합분말사료를 30일간 공급 후, 해산 규조류가 사육수조에서 사라지는 시점부터, 본 발명의 코팅혼합사료를 공급하였다. 사료 급이는 혼합분말 사료의 경우 1일에 오후 1회, 코팅혼합사료 급이는 2일에 오후 1회 급이를 실시하였다. 오후에 사료를 급이하는 것은 전복이 야행성 동물로서 오후가 활동을 시작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3. 전복의 패각 색택 및 성장도 향상효과 결과
시험사육 7개월 동안 일반 시판되는 전복 배합사료를 급이시킨 대조구에서 전복의 패각 색택은 초록색을 띄었다.(도 1 참조)
반면에, 본원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용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혼합분말사료 및 입자용 코팅혼합사료를 급이시킨 실험구에서는 최초 급이 후 5일 경과 후부터 패각에 붉은 띠 색을 띄는 모양이 발현되었고(도 2참조), 시험 종료 시까지 패각 표면 대부분은 붉은색이 발현되었다. 상기 결과는 김분말의 색소포 성분인 β-카로틴을 포함하는 엽록소 a와 d가 전복개체 내에서 함량이 높아짐으로서 전복패각을 형성하는 성분으로 패각에 축적되어 패각의 색을 변화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도 향상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용된 전복종묘는 부화유생을 파판 1장당 50미 기준으로 1200만 마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일반 전복 배합사료만을 사용한 대조구와 일반 배합사료에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혼합시켜 급이한 실험구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초기자연에서 발생하는 해산 규조류를 섭식하는 30~40일 정도를 제외하고 6개월 동안 각각의 사료를 급이하여 사육하였다.
사육결과, 대조구는 각장 2.3cm로 성장하였고, 실험구에서는 각장 2.8cm로 성장하여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평균 0.5cm 더 성장하여, 대조구보다 21%정도 성장이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에 급이한 사료의 찌꺼기 발생률이 적었고, 이는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조성물이 전복의 소화율을 증가시켜 성장률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으로 양식시킨 전복은 종래의 사료로 급이 시켰던 전복과 비교하여 성장률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초록색을 띄는 일반적인 전복과는 달리 붉은색을 띄는 특징을 갖도록 성장시킬 수 있어 일반 양식용 전복과는 차별을 갖는 상품으로 생산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홍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종묘 양식용 사료조성물의 원료는 김분말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로서, 전복 양식시에 사료찌꺼기에 의한 오염이 감소되어 친환경적 양식 수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영양소의 완전식품이고 전복이 자연에서 섭식하는 해조류 김을 활용하여 식물성 단백질의 첨가와 패각의 색 변화라는 효과를 가져와 성장을 위한 동물성 배합사료 사용량의 절감효과에 일조하여 고소득 전략 사업으로 육성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물김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김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김원료를 온풍건조기에서 원료 내의 수분함량이 5.0% 이하로 될 때까지 건조시켜, 홍조류 색소포 성분인 엽록소 a와 d 성분이 고열에 의해 변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료 내에 β-carotene 성분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사료조성물의 원료를 고속분쇄기에 의해 약 35mesh를 통과하여 분말로 미분화시키는 원료 분쇄단계;
    상기 원료 분쇄단계를 거친 분쇄물을 분말사료 또는 코팅사료로 제조하여 상기 제조된 분말사료 또는 코팅사료를 동물성 배합사료 또는 입자사료와 혼합하여 혼합분말사료 또는 혼합한 입자사료로 제조하며,
    혼합분말사료는 혼합량을 기준으로, 상기 분말사료 50중량%와 동물성 배합사료 5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시켜 제조하며,
    혼합한 입자사료는 상기 분말사료를 중량대비 50중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과 성형기에 투입하여 입자사료의 입자 외형을 완성하는 성형단계; 건조기에서 20~30℃의 온도로 6시간 이상 건조시켜, 입자 외형이 일정 굳기를 가지면 코팅용액으로 첨가제의 표면을 입히는 코팅사료 제조단계를 거친 코팅사료 5.0~20.0중량%를 입자형 배합사료 80.0~95.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시켜서 제조하는 단계;
    전복종묘 부화유생을 채묘하여 30~40일간 사육수조에서 자연발생 번식되는 해산 규조류만을 섭식시켜 사육한 후, 상기 제조된 혼합분말사료를 30일간 1일에 오후 1회 급이시키는 단계;
    해산 규조류가 사육수조에서 사라지는 시점부터, 상기 제조된 혼합한 입자사료를 2일에 오후 1회 급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색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26185A 2015-02-25 2015-02-25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KR10170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185A KR101700495B1 (ko) 2015-02-25 2015-02-25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185A KR101700495B1 (ko) 2015-02-25 2015-02-25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38A KR20160103638A (ko) 2016-09-02
KR101700495B1 true KR101700495B1 (ko) 2017-01-26

Family

ID=5694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185A KR101700495B1 (ko) 2015-02-25 2015-02-25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4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164B2 (ja) 2004-04-08 2011-11-02 日本農産工業株式会社 養殖用特殊飼料
JP2012023971A (ja) 2010-07-20 2012-02-09 Kochi Univ アワビ類の識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390B2 (ja) * 1991-08-13 2000-02-14 正裕 岡村 アワビまたはサザエの養殖方法
KR100282253B1 (ko) 1998-03-21 2001-02-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JP2001013909A (ja) 1999-06-16 2001-01-19 Lg Electronic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20028608A (ko) * 2000-10-11 2002-04-17 김보현 전복 패각 색택 개선을 위한 기능성 배합사료 조성물
KR101452612B1 (ko) 2013-01-08 2014-10-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164B2 (ja) 2004-04-08 2011-11-02 日本農産工業株式会社 養殖用特殊飼料
JP2012023971A (ja) 2010-07-20 2012-02-09 Kochi Univ アワビ類の識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38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2846B (zh) 应用黑水虻幼虫的动物饲料
CN102150834A (zh) 富有机硒鱼及其培育方法
CN105614159A (zh) 一种本地乌鳢全程使用的膨化配合饲料
CN102150754A (zh) 富有机硒虾及其培育方法
KR20200014471A (ko) 전복 치패용 배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20075B1 (ko) 어분대체제를 이용한 강도다리용 완전배합 ep사료 조성물
KR101696334B1 (ko) 추어용 복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4131B1 (ko) 해삼 중간육성용 사료 조성물 및 해삼 중간육성방법
CN109329654A (zh) 海湾扇贝种贝代用饵料及其制备方法
KR101746273B1 (ko) 홍조색소(β-carotene)를 포함하는 전복 종묘용 사료조성물 제조방법
KR101604223B1 (ko) 옥, 광물질, 해조류, 거저리 및 바실러스 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삼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5663B1 (ko)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배합사료
KR101938942B1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00495B1 (ko)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CN102485020B (zh) 一种方斑东风螺亲螺养成期的软体饵料及其生产方法
JP2632735B2 (ja) エスカルゴ用飼料
CN107348105A (zh) 一种笋壳鱼浮性膨化配合饲料
KR20180047628A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절편형 고체사료 제조방법
CN106689809A (zh) 一种海水鱼类养殖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60026A (ko) 어류용 기능성 첨가물과 이를 포함하는 어류용 사료 및 이의 급이방법
KR102385404B1 (ko) 괭생이 모자반을 이용한 전복 치패 양식방법
EP1569524B1 (en) Fish feed
KR101796536B1 (ko) 켈프밀을 이용한 치삼용 완전배합사료
KR101743206B1 (ko) 탈지미강을 기반으로 한 해삼종묘 생산용 순식물성 완전배합사료
JPH04351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