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414B1 -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414B1
KR101700414B1 KR1020160061713A KR20160061713A KR101700414B1 KR 101700414 B1 KR101700414 B1 KR 101700414B1 KR 1020160061713 A KR1020160061713 A KR 1020160061713A KR 20160061713 A KR20160061713 A KR 20160061713A KR 101700414 B1 KR101700414 B1 KR 10170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tire
layer portion
puncture
seal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옥
Original Assignee
파라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라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라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60C19/12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disposed inside of the inner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8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the article material itself being self-sealing, e.g.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0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with inner tubes; Means for lubricating, venting,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yre and inner tube
    • B60C5/04Shape or construction of inflatable inserts
    • B60C5/08Shape or construction of inflatable inserts having reinfor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펑크 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이물질(예: 못)로부터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보강부가 가혹 환경에서 타이어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로서, 타이어의 외표면에 직접 맞닿는 본딩부와 그 본딩부에 직접 맞닿는 타이어의 외표면 소정 두게 부분을 탄화시켜 상호 엉켜 붙도록 함으로써 낭창낭창하게 움직이는 타이어의 숄더와 사이드월 부분 사이의 본딩부가 타이어의 가혹 환경(예: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코너링)에서도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탄화된 본딩부의 외표면에 플렉시블한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타이어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경우에 타이어가 펑크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내벽으로부터 본딩 탄화 레이어부,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타이어의 숄더와 사이드 월의 경계영역에서 본래 목적한 두께 펑크 방지 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improved ride quality type tire for preventing puncture}
본 발명은 펑크 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이물질(예: 못)로부터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보강부가 가혹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운행하더라도 타이어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타이어의 외표면에 직접 맞닿는 본딩부와 그 본딩부에 직접 맞닿는 타이어의 외표면 소정 두게 부분을 탄화시켜 상호 엉켜 붙도록 함으로써 낭창낭창하게 움직이는 타이어의 숄더와 사이드월 부분 사이의 본딩부가 타이어의 가혹 환경(예: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코너링)에서도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탄화된 본딩부의 외표면에 플렉시블한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타이어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경우에 타이어가 펑크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타이어(100')는 사이드 월(103) 부분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주행 중 낭창낭창하게 움직이면서 승차감에 영향을 준다.
이때, 자동차의 코너링시 사이드 월(103) 부분이 너무 낭창낭창하게 움직이면 승차감은 부드러워지지만 차체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경우에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이드 월(103) 부분을 너무 두껍게 한다면 주행의 안정성은 어느 정도 확보되지만 딱딱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승차감이 떨어지게 된다.
결국, 타이어 제조사가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나름대로 최적화하여 완성된 타이어(100')에 대해 오픈 마켓에서 펑크 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실링할 때 아울러 그 타이어(100')의 승차감도 출고 당시보다 오히려 더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된다.
한편, 고속으로 운전하는 자동차에서 타이어의 펑크가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타이어의 내측으로 이물질(예: 못)이 침투하는 경우에도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도 2]에서와 같이 실링액(110')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개시되었다.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타이어(100')의 내벽에 펑크 방지를 위한 실링액(110')을 도포하였는데, 타이어(100')가 겨울철이나 여름철과 같이 가혹 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주행 중에 급커브를 틀거나 급브레이크를 밝게 되면 상대적으로 낭창낭창하게 움직이는 타이어(100')의 숄더(102)와 사이드 월(103)의 경계영역(S)에서 타이어(100')의 내측에 도포된 실링액(110') 부분이 타이어(100')로부터 들떠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타이어(100')의 숄더(102)와 사이드 월(103)의 경계영역(S)에서 실링액(110')이 타이어(100')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점차적으로 타이어(100') 단면의 중앙에 대응하는 바닥 몸체부(104)에서도 실링액(110')이 들떠 떨어지게 되어 제대로 펑크 방지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타이어(100')의 내벽에 실링액(110')을 도포할 때 사이드 월(103) 부분으로부터 타이어(100')의 단면 중앙부로 일부가 흘러내려 타이어(100')의 단면 중앙부는 두껍게 적층되고 타이어(100')의 숄더(102)와 사이드 월(103)의 경계영역(S)에서는 본래 목적한 실링액(110')의 두께를 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0095919호 "타이어 펑크 방지 실링액의 도포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52738호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제조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39675호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제조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68689호 "바퀴틀과 이를 이용한 타이어 제조장치, 타이어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68690호 "바퀴틀과 이를 이용한 타이어 제조장치, 타이어 제조방법"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13-0002758호 "타이어 제조장치, 타이어 및 바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20568호 "에어주입 없이 펑크를 방지하는 이륜차용 바퀴"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우에도 타이어가 펑크나지 않도록 하는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펑크 방지 보강부가 타이어의 가혹 환경에서도 타이어의 내벽으로부터 들뜨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내벽에 본딩된 펑크 방지 보강부가 타이어의 단면 중앙부로 쏠리지 않도록 하는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는 타이어의 단면에서 내벽의 사이드월 부분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타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벽에 적층되며, 그 적층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타이어의 외표면 소정 두께 부분과 탄화에 의해 상호 엉겨 붙어 일체화된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 타이어의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본딩 탄화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적층됨에 따라 본딩 탄화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이어의 외부로부터 타이어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움직이면서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도록 하는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 사이에 적층되어 본딩 탄화 레이어부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일체로 접합시키는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직접 적층되어 본딩 탄화 레이어부와 상호 엉겨 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적층되어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와 일체화되는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a) 타이어의 단면에서 내벽의 사이드월 부분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타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벽에 제 1 실링액을 적층하는 단계; (b) 제 1 실링액와 타이어의 외표면 소정 두께 부분이 함께 탄화되면서 일체로 서로 엉겨 붙도록 외부의 가열 수단을 통해 가열하여 본딩 탄화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 (c) 타이어의 외부로부터 타이어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움직이면서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타이어의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본딩 탄화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제 2 실링액을 적층함에 따라 제 2 실링액이 본딩 탄화 레이어부와 엉겨 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단계 (b)와 단계 (c) 사이에, (b-1) 본딩 탄화 레이어부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탄화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제 3 실링액을 적층하여 본딩 탄화 레이어부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 (b-2)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제 4 실링액을 적층하여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펑크 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내벽에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예: 못)이 타이어의 내측으로 관통하거나 그 관통된 이물질을 타이어의 외부로 이탈시키는 경우에도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가 타이어의 내벽을 실링하여 펑크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내벽에 직접 맞닿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를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와 타이어 내벽 사이에 적층함으로써 타이어의 가혹 환경에서도 타이어의 내벽으로부터 펑크 방지 보강부가 들뜨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내벽으로부터 본딩 탄화 레이어부,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타이어의 숄더와 사이드 월의 경계영역에서 본래 목적한 두께 펑크 방지 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타이어 내벽에 실링액을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였다가 이탈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빠져 나가는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완전히 빠져 나간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내벽에 펑크 방지 보강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펑크 방지 보강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타이어(100)의 내벽에 적층되는 펑크 방지 보강부(110)를 [도 3]에서와 같이, 타이어의 단면에서 내벽의 사이드 월(103) 부분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벽에 적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주행 중 낭창낭창하게 움직이는 숄더(102)와 사이드 월(103)의 경계영역을 펑크 방지 보강부(110)가 소프트한 탄력으로 보강하여 출고 당시의 타이어보다 안정된 승차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펑크 방지 보강부(110)가 타이어(100)의 내벽에 형성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인 못이 관통하면 펑크 방지 보강부(110) 중 최상위에 적층된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가 [도 3]에서와 같이 못의 외주벽을 감싸는 형태로 움직이면서 타이어(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빠져 나가는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완전히 빠져 나간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100)의 내부로 관통한 못이 외부로 빠져 나가면 애초 못에 의해 관통되었던 곳으로 통하는 부분을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가 채우면서 타이어(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실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타이어(100)의 내외부를 관통하였다가 빠져 나가는 상황에서도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펑크 방지 보강부(110)가 타이어(100)의 가혹 환경하에서도 타이어(100)의 내벽에 일체화된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채택한 구체적인 구성을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내벽에 펑크 방지 보강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는 기온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반복적인 급커브나 급브레이크에서도 내벽에 구비된 펑크 방지 보강부(110)를 타이어(100)의 내벽에 일체화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펑크 방지 보강부(110)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구분하여 타이어(100)의 내벽에 적층시킴으로써 타이어(100)와 일체화한다.
먼저,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는 [도 6]에서와 가팅 타이어(100)의 단면에서 내벽의 사이드월(103) 부분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벽에 적층되며, [도 7]에서와 같이 그 적층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타이어(100)의 외표면 소정 두께 부분과 가열을 통한 탄화에 의해 상호 엉겨 붙어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100)의 내벽에 실링액을 적층한 상태에서 외부의 가열 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열(예: 직화)하면 실링액이 적층된 타이어(100)의 외표면 소정 두께 부분의 조직이 액상으로 풀리면서 액상의 실링액와 서로 엉겨 일체화가 되며, 이렇게 일체화된 상태에서 경화되면 그 경화된 상태에서의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타이어(100)의 내벽은 그 경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는 정도로 일체화된다.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 사이에 적층되어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일체로 접합시킨다.
여기서, 타이어(100)의 내벽에 적층 형성되는 펑크 방지 보강부(110)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는 복수 회차의 프로세스로 적층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펑크 방지 보강부(110)는 타이어(100)의 내벽에 적층되되 타이어(100)의 바닥 몸체부(104)로부터 숄더(102)를 경유하여 사이드 월(103) 부분에 이르기까지 그 단면이 'U'자 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를 액상 상태에서 적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껍게 적층이 이루어지면 어느 정도 경화가 진행되지 전에 이미 사이드 월(103) 부분에 적층된 실링액이 바닥 몸체부(104)에 대응하는 타이어(100)의 단면 중앙부로 흘러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수 회차 덧대어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직접 적층되어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상호 엉겨 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와,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의 외표면에 적층되어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와 일체화되는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에 대응하는 실링액을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적층한 후 어느 정도 시간(예: 1분)이 경과하여 소폭 경화가 진행된 후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의 온도가 대략 60 ℃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에 대응하는 실링액을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의 외표면에 적층한 후 소정 시간(예: 2분)을 경과시킨다.
이렇게,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가 형성된 후, 바람직하게는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의 온도가 대략 60 ℃에서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의 외표면에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에 대응하는 실링액을 적층한다.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는 타이어(100)의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적층됨에 따라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도 3]에서와 같이 타이어(100)의 외부로부터 타이어(100)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움직이면서 타이어(100)의 펑크를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펑크 방지 보강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타이어(100)의 단면에서 내벽의 사이드월(103) 부분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타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벽에 제 1 실링액을 적층한다.
단계 (S120) : 그리고, 제 1 실링액와 타이어(100)의 외표면 소정 두께 부분이 함께 탄화되면서 일체로 서로 엉겨 붙도록 외부의 가열 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열하여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를 생성한다.
여기서, 타이어(100)의 외부로부터 타이어(100)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움직이면서 타이어(100)의 펑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타이어(100)의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제 2 실링액을 적층함에 따라 제 2 실링액이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엉겨 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30, S140) :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에 대응하는 제 1 실링액을 적층한 후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생성하기 전에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에 대응하는 실링액을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적층한다. 이를 통해,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본딩 접합 레이어부(112)는 실링액을 복수 회 적층하는 레이어로서, 일례로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와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는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의 외표면에 제 3 실링액을 적층하여 생성된다.
이처럼,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를 형성함으로써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와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는 상호 엉겨 붙어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는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의 외표면에 제 4 실링액을 적층하여 생성된다.
이처럼,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를 형성함으로써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와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는 상호 엉겨 붙어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150) : 이어서, 타이어(100)의 외부로부터 타이어(100)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움직이면서 타이어(100)의 펑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타이어(100)의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의 외표면에 제 2 실링액을 적층함에 따라 제 2 실링액이 본딩 2차 레이어부(112b)와 엉겨 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생성한다.
한편,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어(100)의 내벽에 1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실링액은 펑크 방지 보강부(110)에 대응하는 전체 실링액의 10%로 할당된다. 또한,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실링액은 전체 실링액의 20%로 할당된다. 또한,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를 생성하기 위한 제 4 실링액은 전체 실링액의 20%로 할당된다. 또한,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실링액은 전체 실링액의 50%로 할당된다.
여기서, 본딩 탄화 레이어부(111)로부터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112a),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112b),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113)를 각각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은 직전에 적층된 레이어부의 온도를 대략 60 ℃로 유지하는 환경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100 : 본 발명의 타이어
100' : 일반적인 타이어
101 : 트래드
102 : 숄더
103 : 사이드월
104 : 바닥 몸체부
110 : 펑크 방지 보강부
110' : 실링액
111 : 본딩 탄화 레이어부
112 : 본딩 접합 레이어부
112a :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
112b :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
113 :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타이어의 단면에서 내벽의 사이드월 부분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타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벽에 제 1 실링액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실링액과 상기 타이어의 외표면 소정 두께 부분이 함께 탄화되면서 일체로 서로 엉겨 붙도록 외부의 가열 수단에 의한 가열을 통해 본딩 탄화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
    (b-1) 상기 본딩 탄화 레이어부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본딩 탄화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제 3 실링액을 적층함에 따라 상기 제 3 실링액이 상기 본딩 탄화 레이어부에 엉겨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타이어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움직이면서 상기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도록 하는 제 2 실링액을 상기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적층하여 상기 제 2 실링액이 상기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와 엉겨붙어 일체화되는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와 단계 (c) 사이에,
    (b-2) 상기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를 4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1차 본딩 접합 레이어부의 외표면에 제 4 실링액을 적층함에 따라 상기 본딩 1차 접합 레이어부와 상기 본딩 플렉시블 레이어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본딩 2차 접합 레이어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KR1020160061713A 2016-05-19 2016-05-19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KR10170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13A KR101700414B1 (ko) 2016-05-19 2016-05-19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13A KR101700414B1 (ko) 2016-05-19 2016-05-19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414B1 true KR101700414B1 (ko) 2017-01-26

Family

ID=5799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713A KR101700414B1 (ko) 2016-05-19 2016-05-19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787A (zh) * 2019-06-27 2019-10-11 江苏龙贞智能技术有限公司 三角胶自动贴合机钢丝圈缓存装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20A (ja) * 2001-06-11 2002-12-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3080909A (ja) * 2001-09-14 2003-03-1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38780A (ja) * 2006-05-30 2009-11-12 ロワベル・ゲオルゲ・ピエレ・ブレ パンク耐性柔軟なインナーチューブ
JP2011502856A (ja) * 2007-11-09 2011-01-27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セルフシーリング組成物を備えた空気式物品
KR20110020568A (ko) 2009-08-24 2011-03-03 유영근 난황, 난백을 교반·숙성시킨 가공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30039675A (ko) 2011-10-12 2013-04-22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KR20130002758U (ko) 2011-10-29 2013-05-08 허영철 접착제 개폐밸브
KR20130068690A (ko) 2011-12-16 2013-06-26 고동욱 일회용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KR20130068689A (ko) 2011-12-16 2013-06-26 백경율 이송물 디바이더 장치
KR101307604B1 (ko) 2013-05-09 2013-09-12 송덕수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제조장치
KR20150095919A (ko) 2012-12-21 2015-08-21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제어된 전달 미백 조성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20A (ja) * 2001-06-11 2002-12-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3080909A (ja) * 2001-09-14 2003-03-1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38780A (ja) * 2006-05-30 2009-11-12 ロワベル・ゲオルゲ・ピエレ・ブレ パンク耐性柔軟なインナーチューブ
JP2011502856A (ja) * 2007-11-09 2011-01-27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セルフシーリング組成物を備えた空気式物品
KR20110020568A (ko) 2009-08-24 2011-03-03 유영근 난황, 난백을 교반·숙성시킨 가공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30039675A (ko) 2011-10-12 2013-04-22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KR20130002758U (ko) 2011-10-29 2013-05-08 허영철 접착제 개폐밸브
KR20130068690A (ko) 2011-12-16 2013-06-26 고동욱 일회용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KR20130068689A (ko) 2011-12-16 2013-06-26 백경율 이송물 디바이더 장치
KR20150095919A (ko) 2012-12-21 2015-08-21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제어된 전달 미백 조성물
KR101307604B1 (ko) 2013-05-09 2013-09-12 송덕수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787A (zh) * 2019-06-27 2019-10-11 江苏龙贞智能技术有限公司 三角胶自动贴合机钢丝圈缓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5510B (zh) 形成复合构件的方法和用于其的组件
JP5573045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3451A (ja) 燃料タンク及び燃料タンクの蒸気透過を減少する方法。
WO2004033176A1 (ja) Rtm成形方法
WO2012118855A3 (en) Insulated and sealed cap assembly for a fastener component
WO2008103779A3 (en) Composite laminate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laminate
KR101700414B1 (ko) 승차감 개선형 펑크 방지 타이어의 제조 방법
JP5770356B1 (ja) 食品用脱気袋
JP2018526238A5 (ko)
JP2010173614A (ja) プレキュアトレ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更生タイヤ
JP2008540194A (ja) 構造用軽量トリム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された構造用軽量トリム部品
JP4931023B2 (ja) 複合構造の外皮を修復するための方法
US7040364B2 (en) Pneumatic tire
JP7005283B2 (ja) 構造体の製造方法、スキン材の準備方法及びスキン材の加熱条件設定方法
CN110143106A (zh) 一种横截面ω形孔面注pet形成的防爆膜上膜封补胎液的隔层卡环封闭式防爆轮胎
KR101251424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
US706590A (en) Vehicle-tire.
PL1854663T3 (pl) Podkład antypoślizgowy do zabezpieczenia ładunku i jego wytwarzanie
US103637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retreaded tires
FR2961739B1 (fr) Procede d'obtention d'une piece en materiau composite visant a limiter les effets de bord
US1442242A (en) Motor-cycle-wheel structure
US20200198399A1 (en) Multilayer inner tube
US1280412A (en) Pneumatic tire for the wheels of motor-cars and other vehicles.
JP200909094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7137037A (ja) 電子部品付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