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600B1 -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600B1
KR101698600B1 KR1020100047454A KR20100047454A KR101698600B1 KR 101698600 B1 KR101698600 B1 KR 101698600B1 KR 1020100047454 A KR1020100047454 A KR 1020100047454A KR 20100047454 A KR20100047454 A KR 20100047454A KR 101698600 B1 KR101698600 B1 KR 10169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roller
connector
wat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928A (ko
Inventor
이선동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4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60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연주기용 가이드롤러 내부로 냉각수를 통과시켜 가이드롤러(20)의 수압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111)과 가이드레일(112)이 서로 다른 곳에 각각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20) 일단과 결합되기 위한 고정커넥터부(113)가 구비된 베이스부(110);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베이스부(110) 상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0) 타단과 결합되기 위한 이동커넥터유닛(120); 상기 이동레일(111)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받치는 1개 이상의 이동캐리어유닛(130);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되는 배수유닛(140);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150); 및 상기 배수유닛(140)과 연결되어 배수유닛(140)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라인(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APPARATUS FOR WATER TEST OF GUIDE ROLLER}
본 발명은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강 공정 중의 하나인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공정에 사용되는 연속 주조 설비에는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가 주편 제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속 주조 공정에서, 래들 및 턴디쉬에서 배출된 금속 용융물은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와 하부 가이드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며, 금속 용융물은 이동 과정에서 가압되고 고형화된다.
도1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 설비의 평면도이고, 도2a는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b는 가이드롤러의 수압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에서 보듯이 연주 설비에 사용된 세그멘트(10)의 수리를 위한 작업공정은, 우선 연주공장에서 사용이 완료된 세그멘트(10)를 운송 차량을 통해 연주 수리공장으로 운반한 후 수리작업을 실시한다.
세그멘트(10)의 수리작업은 크게 프레임 분해 및 가이드롤러 교체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0)는 측정을 통해 수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20) 중 롤러의 표면 냉각능력을 증대하여 고속 주조가 가능하도록 개선한 리벌버롤러(20;가이드롤러의 일종이므로 동일부호 사용)는 외형이 길이방향을 따라 3개로 분할되고, 내부에 냉각 가공홀이 다량 가공된 형태이다.
상기 리벌버롤러(20)의 수리작업 공정을 소개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사용이 완료된 세그멘트(10)에서 리벌버롤러(20)를 취외하여 전문 수리공장으로 운반한 후 리벌버롤러의 재사용을 위해 부품을 분해한다.
부품이 분해된 리벌버롤러는 외경을 측정하여 마모 정도에 따라 외경 하드팩싱(Hard Facing)이나 리커팅(Recutting)후 부품을 교체하여 재조립한다.
단, 재조립전에 리벌버롤러(20)는 내부 가공홀이 다량 존재하므로 연주공장 사용시 충분한 성능을 보증하기 위하여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벌버롤러 내부에 냉각수를 통과시키는 자체 수압검사를 실시한다.
종래 리벌버롤러의 자체 수압검사는 적정한 수압검사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냉각수 호스를 리벌버롤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하여 냉각수를 통수시킴으로써 검사를 실시해 오고 있다.
따라서, 종래 리벌버롤러의 수압검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작업자가 임시 냉각수 호스를 리벌버롤러에 연결하여 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호스의 연결 불량으로 인한 수압의 비산으로 특히 작업자 안면부의 상해 위험이 존재한다.
둘째, 작업자가 냉각수 호스를 연결하여 리벌버롤러의 수압을 검사하는 방식은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적량적인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어 수압 검사 중 재작업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와 함께 정비비가 증가되는 원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이드롤러(리벌버롤러)의 수압검사를 수행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능률을 개선하기 위해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를 개발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주기용 가이드롤러 내부로 냉각수를 통과시켜 가이드롤러의 수압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과 가이드레일이 서로 다른 곳에 각각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 일단과 결합되기 위한 고정커넥터부가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베이스부 상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롤러 타단과 결합되기 위한 이동커넥터유닛;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고정커넥터부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받치는 1개 이상의 이동캐리어유닛;
상기 이동커넥터유닛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되는 배수유닛;
상기 고정커넥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 및 상기 배수유닛과 연결되어 배수유닛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베이스부 상에는 상기 이동커넥터유닛의 고정될 위치가 결정되면 그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는 상기 위치고정유닛이 고정되어야 할 여러 위치에 고정스톱퍼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커넥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소정높이 돌출되며 높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서포트부와, 상기 장공에 끼워지며 일측으로 상기 급수라인과 결합되는 커넥터홀더와, 상기 커넥터홀더의 타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일단과 통수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컨넥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은, 높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서포트부와,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커넥터홀더와, 상기 커넥터홀더의 일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타단과 통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컨넥터와, 상기 서포트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부가 이동 가능하게 하는 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캐리어유닛은, 하부에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구르는 바퀴가 구비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 상부에 상호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주면을 받치는 1쌍의 안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테두리에 일정높이의 벽이 형성되며 하부면은 경사면을 이루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는 상기 배수라인과 연결되는 배수니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 중에 빈번하게 발생하던 작업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검사가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검사결과에 신뢰도가 높으며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 설비의 평면도,
도2a는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가이드롤러의 수압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커넥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3단 및 2단 리벌버롤러의 수압검사 수행시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베이스부(110)와, 이동커넥터유닛(120)과, 이동캐리어유닛(130)과, 배수유닛(140)과, 급수라인(150) 및 배수라인(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한 기본부재로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구조물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이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각 모서리 부분은 연결빔을 매개로 용접되어 하나의 대형 구조물을 이룬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111)과 가이드레일(112)이 서로 다른 곳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레일(111)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면에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2)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 양측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단부에는 고정커넥터부(113)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커넥터부(113)는 연주기용 가이드롤러(20; 리벌버롤러와 동일한 뜻으로 보아도 무방)의 일단과 통수(通水)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넥터부(113)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부(114)와 커넥터홀더(115)와 컨넥터(11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서포트부(114)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서포트부(114)에는 높이방향으로 장공(114a)이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홀더(115)는 상기 장공(114a)에 끼워지고 일측으로 급수라인(150)과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는 구성이며, 상기 컨넥터(116)는 상기 커넥터홀더(115)의 타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롤러(20)의 일단과 통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커넥터홀더(115)는 상기 서포트부(114)의 장공(114a)에 끼워져 급수라인(15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컨넥터(116)를 통해 가이드롤러(20)의 일단으로 물을 보내 물이 상기 가이드롤러(2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상기 컨넥터(116)와 가이드롤러(20) 일단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높이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홀더(115)는 상기 서포트부(114) 상에서 장공(114a)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은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이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은 크게 서포트부(121)와, 커넥터홀더(122)와, 컨넥터(123)와, 다리부(124)와, 휠부(125)로 이루어진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부(121)에는 높이방향으로 장공(121a)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홀더(122)는 상기 서포트부(121)의 장공(121a)에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진다.
또한, 상기 컨넥터(123)는 상기 커넥터홀더(122)의 일측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롤러(20)의 타단과 통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0)의 내부에 공급된 물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의 컨넥터(123)를 통해 커넥터홀더(122)의 타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124)는 상기 서포트부(121)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향해 연장되는 구성이며, 상기 다리부(124)의 끝단에는 휠부(12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휠부(125)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에 안착되어 상기 서포트부(121)가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는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의 고정될 위치가 결정되면 그 위치에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유닛(17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고정유닛(170)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의 외측에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아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12) 상에는 상기 위치고정유닛(170)이 고정되어야 할 여러 위치에 소정스톱퍼(112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소정스톱퍼(112a)에 상기 위치고정유닛(170)이 걸려 상기 위치고정유닛(170) 및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소정스톱퍼(112a)가 형성될 위치는 상기 가이드롤러(20)의 길이 등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예측 가능한데, 예를 들어 검사에 사용되는 가이드롤러의 제원이 미리 정해져 있고 이러한 가이드롤러를 3단으로 검사할 때의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 위치와 2단 검사시 이동커넥터유닛(120) 위치는 예측 가능하므로, 이러한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소정스톱퍼(112a)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캐리어유닛(130)은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이동레일(111)을 따라 움직이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20)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이동캐리어유닛(130)은 1개만 마련되어도 무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으로 분할되게 마련되는 것이 좋은바, 상기 이동캐리어유닛(130)의 개수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캐리어유닛(130)은 크게 대차부(131)와, 안착판(132)으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대차부(131)는 그 하부에 상기 이동레일(111)을 따라 구르는 바퀴(131a)가 구비되며, 상기 대차부(131)의 상부에는 상호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주면을 받치는 1쌍의 안착판(13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부(131)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1쌍의 안착판(132)이 상기 가이드롤러(20)의 하부면을 받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배수유닛(140)은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하여 상기 배수유닛(140)에 모이게 된다.
상기 배수유닛(140)은 도4 및 도6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수판(141)과, 배수니플(14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배수판(141)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의 커넥터홀더(122) 타측으로 배출된 후 낙하하는 물이 집수되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테두리에는 일정높이의 벽(14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판(141)은 부식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배수판(141)의 하부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니플(142)은 상기 배수판(1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판(141)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수라인(160)과 연결되어 배수라인(160)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니플(142)은 상기 경사면을 이루는 배수판(141)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수라인(15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며, 상기 배수라인(160)은 상기 배수유닛(140)의 배수니플(142)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닛(14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하,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가이드롤러(리벌버롤러라고도 함)의 검사 항목 중 하나인 수압검사에 사용되는 장치로 3단 가이드롤러 및 2단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에도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1단 가이드롤러(즉, 단품)의 검사도 가능한 장치이다.
먼저 도7에서와 같이 3단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를 수행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0)가 위치될 곳에 상기 이동캐리어유닛(130)을 적절하게 배치시켜 상기 가이드롤러(20)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롤러(20)의 일단은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을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롤러(20)의 타단과 결합되도록 한 후,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고정유닛(170)을 고정스톱퍼(112a)에 걸리도록 설치하여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급수라인(150)을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와 연결하고 상기 배수라인(160)은 배수유닛(140)과 연결되도록 한 후, 상기 급수라인(150)에 마련된 급수밸브를 열어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수가 공급되면 가이드롤러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일정시간 통수시키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수라인(160)에 마련된 배수밸브(미도시)를 잠가서 상기 가이드롤러(20) 내부에 있는 냉각수가 규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는지 확인하면서 누수 여부를 검사한다.
도8은 2단 가이드롤러의 수압검사를 나타낸 참고로,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20 : 가이드롤러(리벌버롤러) 110 : 베이스부
111 : 이동레일 112 : 가이드레일
113 : 고정커넥터부 120 : 이동커넥터유닛
130 : 이동캐리어유닛 140 : 내수유닛
150 : 급수라인 160 : 배수라인
170 : 위치고정유닛

Claims (7)

  1. 연주기용 가이드롤러 내부로 냉각수를 통과시켜 가이드롤러(20)의 수압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111)과 가이드레일(112)이 서로 다른 곳에 각각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20) 일단과 결합되기 위한 고정커넥터부(113)가 구비된 베이스부(110);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베이스부(110) 상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0) 타단과 결합되기 위한 이동커넥터유닛(120);
    상기 이동레일(111)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받치는 1개 이상의 이동캐리어유닛(130);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되는 배수유닛(140);
    상기 고정커넥터부(113)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150); 및 상기 배수유닛(140)과 연결되어 배수유닛(140)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라인(16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은 높이방향의 장공(121a)이 형성된 서포트부(121)와, 상기 장공(121a)에 끼워지는 커넥터홀더(122)와, 상기 커넥터홀더(122)의 일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롤러(20)의 타단과 통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컨넥터(123)와, 상기 서포트부(121)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부(124)와, 상기 다리부(124)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부(121)가 이동 가능하게 하는 휠부(1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110) 상에는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의 고정될 위치가 결정되면 그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유닛(1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12) 상에는 상기 위치고정유닛(170)이 고정되어야 할 여러 위치에 고정스톱퍼(112a)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부(113)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소정높이 돌출되며 높이방향의 장공(114a)이 형성된 서포트부(114)와, 상기 장공(114a)에 끼워지며 일측으로 상기 급수라인(150)과 결합되는 커넥터홀더(115)와, 상기 커넥터홀더(115)의 타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일단과 통수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컨넥터(1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캐리어유닛(130)은,
    하부에 상기 이동레일(111)을 따라 구르는 바퀴(131a)가 구비된 대차부(131)와, 상기 대차부(131) 상부에 상호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주면을 받치는 1쌍의 안착판(1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140)은,
    상기 이동커넥터유닛(120)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테두리에 일정높이의 벽(141a)이 형성되며 하부면은 경사면을 이루는 배수판(141)과, 상기 배수판(141)의 일측에는 상기 배수라인(160)과 연결되는 배수니플(1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KR1020100047454A 2010-05-20 2010-05-20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KR10169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54A KR101698600B1 (ko) 2010-05-20 2010-05-20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54A KR101698600B1 (ko) 2010-05-20 2010-05-20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28A KR20110127928A (ko) 2011-11-28
KR101698600B1 true KR101698600B1 (ko) 2017-01-23

Family

ID=4539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454A KR101698600B1 (ko) 2010-05-20 2010-05-20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766A (zh) * 2012-12-28 2014-07-02 上海宝钢工业技术服务有限公司 炼钢厂连铸二分节辊水压试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09B1 (ko) 2006-08-10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유기수지코팅 강판 지지용 롤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324B2 (ja) * 1993-09-30 2000-03-06 株式会社クボタ 水圧試験対象管の水切り装置
JPH11101707A (ja) * 1997-09-29 1999-04-13 Nikko Co Ltd 配管材空圧検査装置
KR100955713B1 (ko) * 2008-04-08 2010-05-03 (주)인정인터내셔널 롤러 재생처리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09B1 (ko) 2006-08-10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유기수지코팅 강판 지지용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28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682B1 (ko) 용접선 정렬이 용이한 해저 파이프라인 자동용접장치
CN208216921U (zh) 一种用于安装船舶轴系的辅助工装
KR101824397B1 (ko) 석탄 하역기의 체인핀 교체장치
US11247300B2 (en) Fixture for use in semi-automatic reconditioning process of a railcar articulated connector
KR101990581B1 (ko) 디스펜서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698600B1 (ko) 연주기 가이드롤러용 수압검사장치
KR101241305B1 (ko) 이동식 교량 점검대
CN104842198B (zh) 一种外轮廓需铣削的工件的底座可调夹具
KR101964710B1 (ko) 원통형 클램프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64709B1 (ko) 원통형 클램프 기반 고정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008365B1 (ko) 가이드 롤러 테스트 장치
JPS62267048A (ja) 水平連続鋳造装置
KR20150022543A (ko) 크레인의 수직 공차 조절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204751999U (zh) 一种用于cng加气母站三罐安全阀拆装检测的移动龙门架
CN102921737A (zh) 一种铝箔轧机工作辊轴承箱拆装设备
KR101547765B1 (ko) 원자로 내부의 볼트 교체 장치
CN101745842B (zh) 切割机的喷粉划线装置
CN208496859U (zh) 一种便捷的行车车轮更换装置
CN109822069A (zh) 板坯连铸机在线设备高效点检方法
KR101263840B1 (ko) 슬라브의 이물질 자동 제거 멀티 나이프
KR200254179Y1 (ko) 몰드수리용 시험장치
KR101758492B1 (ko) 베어링 윤활 테스트 장치
CN213495656U (zh) 一种轧槽冲水装置
CN208631958U (zh) 一种用于同轨道多台起重机的安全止停装置
KR101550109B1 (ko) 용접토치 높이 보정 기능을 구비한 노즐투쉘 서클자동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