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667B1 - 이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이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667B1
KR101697667B1 KR1020150095698A KR20150095698A KR101697667B1 KR 101697667 B1 KR101697667 B1 KR 101697667B1 KR 1020150095698 A KR1020150095698 A KR 1020150095698A KR 20150095698 A KR20150095698 A KR 20150095698A KR 101697667 B1 KR101697667 B1 KR 101697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disposed
lifting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550A (ko
Inventor
임기성
손봉군
강명성
김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9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 B08B1/005
    • B08B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이송시키는 벨트 상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장치로서,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된 제1 제거유닛과, 상기 제1 제거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벨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가 상기 제1 제거유닛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제1 제거부, 및 상기 제1 제거부와 이격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된 제2 제거유닛과, 상기 제2 제거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벨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승강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벨트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제2 제거부를 포함하여, 벨트 상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Belt}
본 발명은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상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를 순환구동시켜 벨트 상에 적재된 철광석이나 석탄 등의 원료를 수송하는 설비이다. 우천 시 벨트 전체에 비를 막아줄 커버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상에 빗물이 고이게 된다. 이에, 빗물이 벨트 상의 석탄 등과 섞일 수 있다. 빗물과 섞인 원료는 설비에 고착되면서 설비를 손상시킬 수 있고, 벨트의 사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빗물과 원료가 섞이는 것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 상에 원료를 적재하기 전 벨트를 순환구동시키면서 빗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벨트 상의 빗물을 제거하였다. 종래의 빗물 제거장치는 벨트를 상측으로 부상시켜 벨트와 벨트 상측의 크리너를 접촉시켰다. 이에, 벨트가 순환구동하면 벨트는 크리너를 통과하고 벨트 상의 빗물을 크리너에 막혀 제거되었다.
그러나, 빗물 제거장치를 통과하면서 제거되지 않은 일부 빗물이나 빗물 제거장치의 후단의 벨트 상 이물은 빗물 제거장치에 의해 제거되지 않아 벨트 상에 정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정체된 빗물은 석탄과 같은 원료와 섞일 수 있고, 설비의 파손 및 코크스 품질의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KR 2003-0046883 A
본 발명은 이물과 원료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벨트 상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상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장치로서,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된 제1 제거유닛과, 상기 벨트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벨트가 상기 제1 제거유닛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제1 제거부; 및 상기 제1 제거부와 이격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된 제2 제거유닛과, 상기 벨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승강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벨트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제2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거부는, 상기 제1 승강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제거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승강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회동되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제거부는, 상기 벨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제거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승강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승강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제2 승강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승강유닛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되고 상기 벨트와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제거유닛을 상기 벨트의 상부면에 접촉시키는 균형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제거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부재에 연결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동되는 회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제거유닛은, 상기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거나 중심부가 벨트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 승강유닛은 상기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승강유닛은 중심부의 두께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벨트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제거부의 후방에 상기 벨트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위치에서 벨트 상의 이물을 제거한다. 예컨대, 1차로 제1 제거장치를 통과하면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이나 제1 제거장치 후단의 이물을 2차로 제2 제거장치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상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이물이 벨트 상에 정체되어 원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에 설치된 벨트가 석탄 등의 원료를 이송시키는 경우, 우천 시 벨트 상에 고인 빗물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빗물과 석탄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과 섞인 석탄으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하고 생산되는 코크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강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벨트 상의 빗물을 제거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를 이송시키는 다양한 벨트 상의 이물을 제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1000)는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B) 상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장치로서, 상기 벨트(B)의 상측에 이격된 제1 제거유닛(110)과, 상기 벨트(B)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벨트(B)가 상기 제1 제거유닛(110)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B)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120)을 구비하는 제1 제거부(100), 및 상기 제1 제거부(100)와 이격배치되고, 상기 벨트(B)의 상측에 이격된 제2 제거유닛(210)과, 상기 벨트(B)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승강유닛(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벨트(B)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220)을 구비하는 제2 제거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벨트(B)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물 제거장치(1000)는 상기 제2 제거부(200)의 후방에 상기 벨트(B)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료는 석탄일 수 있고, 이물을 벨트(B) 상에 고인 빗물일 수 있다.
제1 제거부(100)는, 벨트(B) 상 빗물을 제거하는 제1 제거유닛(110) 및 벨트(B)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제1 승강유닛(120)을 포함하고, 지지프레임(190), 제1 승강유닛(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130), 상기 벨트(B)를 하측으로 밀어내는 가압유닛(160), 제1 연결부재(141), 제2 연결부재(142), 및 회동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90)은 벨트(B)의 이동경로에 배치되고, 제1 제거부(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벨트(B)는 지지프레임(19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제거유닛(110)은 지지프레임(19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벨트(B)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제거유닛(110)은 벨트(B)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러버(Rubber)를 포함하고, 러버의 폭은 벨트(B)의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벨트(B)의 상부면이 러버와 접촉하여 이동하는 경우, 벨트(B)는 러버의 하측을 통과하고 벨트(B) 상의 빗물은 러버에 막혀 러버의 양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1 제거유닛(110)에 의해 벨트(B) 상의 빗물 등의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제거유닛(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승강유닛(120)은 지지프레임(19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제거유닛(110)에 대응하여 벨트(B)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승강유닛(120)은 벨트(B)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롤(Roll)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가 폭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승강유닛(120)은 지지프레임(190)에 구비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제1 승강유닛(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벨트(B)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벨트(B)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벨트(B)의 상부면과 제1 제거유닛(110)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승강유닛(120)이 롤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벨트(B)가 제1 승강유닛(120) 상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벨트(B)와 제1 승강유닛(12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벨트(B)가 손상되거나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승강유닛(1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유닛(130)은 제1 승강유닛(120)과 이격되어 지지프레임(190)의 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승강유닛(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130)은 실린더일 수 있고, 일단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1 승강유닛(1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승강유닛(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14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130)의 양단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회동부재(150)는 벨트(B)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지프레임(19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벨트(B)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회동된다.
제1 승강유닛(12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벨트(B)를 들어올리는 경우, 구동유닛(130)의 일단을 하측으로 신장시켜 제2 연결부재(142)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회동부재(150)의 타측을 하부로 밀면 회동부재(15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측이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회동부재(150)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4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승강유닛(1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승강유닛(120)이 벨트(B)를 들어올려 벨트(B)와 제1 제거유닛(110)을 접촉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승강유닛(12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벨트(B)를 원료의 이동경로 즉,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구동유닛(130)의 일단을 상측으로 수축시켜 제2 연결부재(142)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동부재(150)의 타측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회동부재(15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측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회동부재(150)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4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승강유닛(1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벨트(B)는 제1 승강유닛(12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유닛(130)이 제1 승강유닛(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압유닛(160)은 구동유닛(130)의 일측에 연결되고 벨트(B)의 상측에 배치되고 벨트(B)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유닛(160)은 제1 승강유닛(120)보다 지지프레임(190)의 전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가압유닛(160)은 실린더일 수 있고, 일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에, 가압유닛(160)의 일단이 하측으로 신장되면 벨트(B)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벨트(B)를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가압유닛(160)에 의한 벨트(B)의 최소 높이와 제1 승강유닛(120)에 의한 벨트(B)의 최대 높이의 차이가 커질 수 있다.
벨트(B)의 최소 높이와 최대 높이의 차이가 커질수록 벨트(B)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경사도가 더욱 가파르게 된다. 따라서, 벨트(B) 상의 빗물 등의 이물이 벨트(B)의 경사면에 의해 벨트(B)로부터 이탈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즉, 가압유닛(160)은 벨트(B)의 경사면을 가파르게 형성하여 빗물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제거부(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제거부(200)는 벨트(B) 상 빗물을 제거하는 제2 제거유닛(210) 및 벨트(B)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제2 승강유닛(220)을 포함하고, 제2 승강유닛(22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240), 가이드유닛(240)을 지지하는 고정대(290), 제1 제거부(100)의 작동에 따라 제2 승강유닛(2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230), 균형부재(250), 회동바(260), 및 지지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거부(200)는 원료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 제거부와 이격배치된다. 이에, 제1 제거부(100)의 후단의 빗물 또는 제1 제거부(100)에서 제거되지 않을 빗물을 제2 제거부(20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제2 승강유닛(220)은 제2 제거유닛(210)에 대응하여 벨트(B)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승강유닛(220)은 벨트(B)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롤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폭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승강유닛(220)은 가이드유닛(240)에 형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제2 승강유닛(2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벨트(B)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벨트(B)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벨트(B)의 상부면과 제2 제거유닛(210)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승강유닛(220)이 롤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벨트(B)가 제2 승강유닛(220) 상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벨트(B)와 제2 승강유닛(22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벨트(B)가 손상되거나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승강유닛(220)은 중심부의 두께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제2 승강유닛(220)이 벨트(B)를 상측으로 밀어내면 벨트(B)가 제2 승강유닛(220)의 형상을 따라 중심부의 높이가 양측 높이보다 높아져 벨트(B)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B)의 중심부에 고여있던 빗물이 경사면을 따라 흘러 벨트(B)의 양단부로 배출될 수 있고, 벨트(B) 상 빗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후술될 제2 제거유닛(210)은 제2 승강유닛(22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벨트(B)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승강유닛(2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240)은 한 쌍이 제2 승강유닛(2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2 승강유닛(22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한다. 가이드유닛(240)은 벨트(B)의 이동경로에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유닛(240)은 상하로 연장되는 프레임일 수 있고,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홀이 형성되어 제2 승강유닛(2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승강유닛(220)의 단부에는 가이드유닛(240)에 형성된 홀의 폭 이하의 폭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의 끝단에는 제2 승강유닛(220)이 가이드유닛(2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는 가이드유닛(240)에 형성된 홀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승강유닛(220)의 단부인 돌출부가 가이드유닛(240)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홀의 형상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유닛(2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대(29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프레임으로서,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상부가 가이드유닛(240)의 하부에 연결된다. 고정대(29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가이드유닛(24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고정대(290)는 가이드유닛(240) 등 제2 제거부(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고정시켜 지지해줄 수 있다.
한편, 고정대(290)의 하부에 구동휠(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구동휠을 이용하여 고정대(290)를 벨트(B)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거부(100)와 제2 제거부(2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제거부(200)가 빗물을 제거하기 가장 용이한 위치로 제2 제거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대(29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와이어 로프일 수 있고,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130) 및 상기 가압유닛(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승강유닛(22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130) 및 상기 가압유닛(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승강유닛(2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230)의 일단은 구동유닛(130)의 제2 연결부재(142)와 연결된 로드 또는 가압유닛(160)의 로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이 작동하여 로드가 전후진하는 경우, 로드에 연결된 연결부재(230)가 당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9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230)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제1 도르래(180)가 구비되고, 가이드유닛(240)의 상부에도 연결부재(230)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제2 도르래(2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르래(180)는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고, 제2 도르래(280)는 제2 승강유닛(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승강유닛(220)의 상측에 이격배치된다.
연결부재(230)의 일단은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에 연결되며, 타단은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 상측의 제1 도르래(180) 및 제1 도르래(180)와 벨트(B)의 이동방향으로 이격된 제2 도르래(280)에 감겨 제2 도르래(280) 하측의 제2 승강유닛(220)의 단부에 연결된다. 제1 도르래(180), 제2 도르래(280), 및 연결부재(23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연결부재(230)는 제2 승강유닛(220)의 양단부 즉, 제2 승강유닛(220)의 돌출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동유닛(130)의 일단 즉 로드가 하측으로 신장되어 제1 승강유닛(12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거나 가압유닛(160)의 일단 즉 로드가 하측으로 신장되어 벨트(B)를 상부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부재(230)가 당겨져 제2 승강유닛(220)을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제2 승강유닛(220)이 벨트(B)의 하부면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벨트(B)의 상부면이 제2 제거유닛(210)과 접촉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유닛(130)의 일단이 상측으로 수축되어 제1 승강유닛(1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가압유닛(160)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벨트(B)의 상부면을 가압하지 않는 경우, 연결부재(230)가 풀어져 제2 승강유닛(220)을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제2 승강유닛(220)에 의해 들어올려졌던 벨트(B)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벨트(B)가 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승강유닛(220)은 제1 제거부(1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상승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제거부(100)와 제2 승강유닛(220)을 연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제거유닛(210)은 벨트(B)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고정대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제거유닛(210)은 벨트(B)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 제거유닛(210)의 폭은 벨트(B)의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벨트(B)의 상부면이 제2 제거유닛(210)의 하부와 접촉하여 이동하는 경우, 벨트(B)는 제2 제거유닛(210)의 하측을 통과하고 벨트(B) 상의 빗물은 제2 제거유닛(210)에 막혀 벨트(B)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제1 제거유닛(110)에 의해 벨트(B) 상의 빗물 등의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2 제거유닛(210´)은 도 4와 같이 중심부가 벨트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거유닛(210´)이 쐐기 형태나 'V'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제거유닛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벨트(B) 상 빗물이 제2 제거유닛에 밀려 벨트(B)의 제2 제거부(200)를 아직 통과하지 않은 부분으로 흘러갈 수 있다. 즉, 빗물이 벨트(B)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벨트(B)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벨트(B) 상 빗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제거유닛(210´)의 중심부가 벨트(B)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양단부는 벨트(B)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하면 빗물의 벨트(B)의 전방으로 밀려나지 않고 러버의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이동하여 벨트(B)의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이 벨트(B)를 타고 흘러내려 벨트(B)에 계속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제거유닛(2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재(27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가이드유닛(240)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지지부재(270)는 일단이 전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프레임일 수 있고, 벨트(B)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지지부재(27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회동바(2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프레임일 수 있고,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지지부재(270)의 일단 각각에 중심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바(260)는 일단이 제2 제거유닛(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균형부재(250)에 연결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회전축(262)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동된다. 즉, 한 쌍의 회동바(260)가 제2 제거유닛(210)의 양단부의 각각에 연결되어 제2 제거유닛(210)을 지지해준다.
또한, 회동바(260)의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부재(27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걸림부보다 제1 제거부(1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균형부재(250)와 연결된 회동바(260)의 타단이 벨트(B)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회동바(260)의 일단이 하측으로 회동되고 걸림부도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부가 돌기에 막혀 이동에 제한이 걸릴 수 있고, 제2 제거유닛(210)이 하측으로 회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제거유닛(210)이 하측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려고 하면 제2 제거유닛(210)이 벨트(B)의 상부면을 큰 힘으로 가압하여 벨트(B)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거유닛(210)의 회동거리에 제한을 두어 벨트(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회동바(260) 및 지지부재(27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균형부재(250)는 벨트(B)의 상측에 이격되고 벨트(B)와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제2 제거유닛(210)을 벨트(B)의 상부면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균형부재(250)는 벨트(B)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롤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폭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이동하는 벨트(B)가 균형부재(250)와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벨트(B)와 균형부재(25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벨트(B)가 손상되거나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균형부재(25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려고 한다. 이에, 균형부재(250)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270)의 타단은 하측으로 내려가려고 하고, 지지부재(270)의 일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균형부재(250)와 반대로 제2 제거유닛(210)을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반대로, 균형부재(250)가 상승하는 벨트(B)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지지부재(270)의 타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균형부재(250)와 반대로 제2 제거유닛(21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제2 제거유닛(210)의 하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기 때문에, 하측의 벨트(B)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거유닛(210)이 벨트(B) 상 빗물 등의 이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벨트(B)가 상승하는 경우 균형부재(250)도 벨트(B)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2 제거유닛(210)을 통과한 벨트(B)는 균형부재(250)를 지나면서 3차로 빗물 등의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즉, 균형부재(25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2 승강유닛(22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한 벨트(B)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벨트(B)는 균형부재(250)를 통과하고, 벨트(B) 상부면의 이물은 벨트(B) 상부면에 밀착된 균형부재(250)에 막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제거유닛(210)을 벨트(B)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부는 제2 제거부(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벨트(B)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는 반원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벨트(B)의 상부면에 덮을 수 있고 벨트(B)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가 벨트(B)의 상부면이 이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거부(100) 및 제2 제거부(200)를 지나면서 이물이 제거된 벨트(B)의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제2 제거부(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수의 위치에서 벨트(B) 상의 이물을 제거하여 이물이 벨트 상에 정체되어 원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1차로 제1 제거부(100)를 통과하면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이나 제1 제거부(100) 후단의 이물을 2차로 제2 제거부(200)를 통해 제거하므로 벨트(B) 상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우천 시 벨트(B) 상에 고인 빗물을 깨끗하게 제거하므로 빗물과 석탄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빗물과 섞인 석탄으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하고 생산되는 코크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거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천 시 벨트(B) 상에 빗물이 고일 수 있고 벨트(B)로 이송되는 석탄 등의 원료와 섞여 죽탄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B)로 원료를 이송하기 전에 벨트(B) 상에 빗물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도 5와 같이 구동유닛(130)의 일단을 하측으로 신장시켜 제2 연결부재(142)를 하측으로 밀어내면, 회동부재(150)의 타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회동부재(150)의 일단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회동부재(15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141)가 제1 승강유닛(1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승강유닛(120)은 벨트(B)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벨트(B)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원래의 벨트(B) 이동경로로부터 들어올려진 벨트(B)는 상측의 제1 제거유닛(110)과 접촉하게 되고, 제1 승강유닛(120)에 의해 들어올려진 부분을 기준으로 벨트(B)에 전단부와 후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가압유닛(160)이 제1 승강유닛(120)보다 전단에 배치되는 벨트(B)의 상부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가압유닛(160)과 제1 승강유닛(120) 사이의 벨트(B)의 경사면을 더욱 가파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가파르게 형성된 경사면을 통해 빗물이 흘러 벨트(B) 외측으로 배출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 다음, 벨트(B)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벨트(B)가 제1 승강유닛(120)을 지나 제1 제거유닛(110)을 통과하고, 벨트(B) 상부면의 빗물과 같은 이물은 제1 제거유닛(110)에 막혀 벨트(B)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의 일단과 연결된 연결부재(230)가 구동유닛(130) 또는 가압유닛(160)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재(230)의 타단이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연결부재(230)의 타단과 연결된 제2 승강유닛(220)이 연결부재(230)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제2 승강유닛(220)은 벨트(B)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벨트(B)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벨트(B)의 상부면이 균형부재(250)와 접촉하면서 균형부재(250)를 상측으로 밀어내고, 회동바(260)를 통해 균형부재(250)와 연결된 제2 제거유닛(210)은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벨트(B)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제2 제거유닛(210)은 회동바(260)에 의해 균형부재(250)가 이동하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균형부재(250)가 벨트(B)에 이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벨트(B)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즉, 균형부재(250)가 제2 제거유닛(210)을 벨트(B)와 밀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벨트(B)를 이동시키면 제1 제거부(100)의 후단에 위치하여 제1 제거부(100)를 통과하지 못한 부분의 벨트가 제2 제거유닛(210)을 통과하고, 벨트(B) 상부면의 빗물과 같은 이물은 제2 제거유닛(210)에 의해 차단되어 벨트(B)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1 제거부(100)에서 벨트(B) 상의 빗물 등의 이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해도 제2 제거부(200)를 지나면서 빗물이나 이물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2 제거유닛(210)을 통과한 벨트(B)는 균형부재(250)를 지나면서 3차로 빗물 등의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즉, 균형부재(25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2 승강유닛(22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한 벨트(B)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벨트(B)는 균형부재(250)를 통과하고, 벨트(B) 상부면의 이물은 벨트(B) 상부면에 밀착된 균형부재(250)에 막혀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 벨트(B)는 벨트(B)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한다. 커버부는 벨트(B)의 상부면이 이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거부(100) 및 제2 제거부(200)를 지나면서 이물이 제거된 벨트(B)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빗물 등의 이물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구동유닛(130)의 일단과 가압유닛(160)의 일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벨트(B)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던 제1 승강유닛(12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벨트(B)가 제1 제거유닛(110)과 분리되고 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130)의 일단 또는 가압유닛(160)의 일단이 상승하면서 연결부재(230)의 타단을 풀어주면 제2 승강유닛(220)도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벨트(B)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벨트(B) 상에 원료를 적재하고 원료를 이송시키므로, 벨트(B) 상에 고인 빗물 등의 이물이 원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위치에서 벨트(B) 상의 이물을 제거하여 이물이 벨트 상에 정체되어 원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1차로 제1 제거부(100)를 통과하면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이나 제1 제거부(100) 후단의 이물을 2차로 제2 제거부(200)를 통해 제거하므로 벨트(B) 상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우천 시 벨트(B) 상에 고인 빗물을 깨끗하게 제거하므로 빗물과 석탄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빗물과 섞인 석탄으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하고 생산되는 코크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철강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벨트 상의 빗물을 제거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원료를 이송시키는 벨트 상의 다양한 이물을 제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제거부 110: 제1 제거유닛
120: 제1 승강유닛 130: 구동유닛
160: 가압유닛 200: 제2 제거부
210: 제2 제거유닛 220: 제2 승강유닛
230: 연결부재 1000: 이물 제거장치

Claims (11)

  1.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상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장치로서,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된 제1 제거유닛과, 상기 벨트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벨트가 상기 제1 제거유닛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 상기 벨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구비하는 제1 제거부; 및
    상기 제1 제거부와 이격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된 제2 제거유닛과, 상기 벨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제2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가압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도르래, 상기 제2 승강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도르래, 및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 승강유닛을 연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가압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승강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도르래와 상기 제2 도르래에 감기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이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거부는, 상기 제1 승강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물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거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승강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회동되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물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제2 승강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승강유닛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물 제거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벨트의 상측에 이격되고 상기 벨트와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제거유닛을 상기 벨트의 상부면에 접촉시키는 균형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제거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부재에 연결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동되는 회동바를; 포함하는 이물 제거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제거유닛은, 상기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거나 중심부가 벨트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이물 제거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유닛은 상기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롤 형태로 형성되는 이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유닛은 중심부의 두께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이물 제거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제거부의 후방에 상기 벨트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배치되는 이물 제거장치.
KR1020150095698A 2015-07-06 2015-07-06 이물 제거장치 KR10169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698A KR101697667B1 (ko) 2015-07-06 2015-07-06 이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698A KR101697667B1 (ko) 2015-07-06 2015-07-06 이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50A KR20170005550A (ko) 2017-01-16
KR101697667B1 true KR101697667B1 (ko) 2017-02-01

Family

ID=5799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698A KR101697667B1 (ko) 2015-07-06 2015-07-06 이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95B1 (ko) * 2017-06-27 2018-05-24 에스큐시스템 주식회사 슬러지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72Y1 (ko) * 2000-06-30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빗물제거장치
JP2003165613A (ja) * 2001-11-29 2003-06-10 Nishimatsu Constr Co Ltd ベルトコンベヤ
KR101250869B1 (ko) * 2011-05-16 2013-04-0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135A (ja) * 1994-01-26 1995-08-08 Bridgestone Corp コンベヤベルト用雨水等除去装置
KR100853072B1 (ko) 2001-12-07 2008-08-19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야드 콘베이어에 고여 있는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72Y1 (ko) * 2000-06-30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빗물제거장치
JP2003165613A (ja) * 2001-11-29 2003-06-10 Nishimatsu Constr Co Ltd ベルトコンベヤ
KR101250869B1 (ko) * 2011-05-16 2013-04-0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50A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02163A (ja) コンベヤベルトにより物品を運搬するための搬送装置
CN110844176A (zh) 一种半自动固体包装线用输送结构
KR101697667B1 (ko) 이물 제거장치
CN210762935U (zh) 一种风车翻板机
KR101654880B1 (ko) 벨트컨베이어용 유입수 제거장치
JPH07206135A (ja) コンベヤベルト用雨水等除去装置
KR102121412B1 (ko)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KR101615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CN212023815U (zh) 一种砂石输送机
JP4781936B2 (ja)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CN207981401U (zh) 建筑垃圾轻物质分离设备
CN214293390U (zh) 一种双工位塑料盒裁切装置
CN213475288U (zh) 一种制茶生产用的茶叶提升装置
CN208683830U (zh) 一种砖块的自动换向输送装置
FR2561227A1 (fr) Installation de stockage dynamique, notamment pour produits fragiles tels que fromages
KR100500171B1 (ko) 기판의 경사 이송장치 및 경사 이송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판의 처리방법
CN117023227B (zh) 一种钢带表面酸洗设备的送料装置以及送料方法
KR102065254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클리닝장치
CN112782172B (zh) 一种全自动电路板光学检测机
CN207957204U (zh) 一种用于建筑卸货支撑架
CN216862610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上料设备
JP4280059B2 (ja) ベルトコンベア
CN218200438U (zh) 尾板自翻转式粉条加工输送线
CN210001027U (zh) 一种弹力升降式烟包输送装置
KR200484811Y1 (ko) 방향전환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