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635B1 - 석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635B1
KR101697635B1 KR1020150154516A KR20150154516A KR101697635B1 KR 101697635 B1 KR101697635 B1 KR 101697635B1 KR 1020150154516 A KR1020150154516 A KR 1020150154516A KR 20150154516 A KR20150154516 A KR 20150154516A KR 101697635 B1 KR101697635 B1 KR 10169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frame
wire conveyor
uni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남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03Multipurpose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07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using saw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25Use, recovery or regeneration of abrasive medi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석재의 가공을 위해 석재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 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된 석재를 임의의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유닛; 상기 가공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가공유닛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스테이지, 상기 가공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지, 상기 가공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유닛은, 상기 프레임 설치된 상기 이송유닛에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기; 상기 한 쌍의 롤러에 무한궤도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어받는 와이어 컨베이어;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를 절단하는 줄톱; 및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줄톱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재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OF STONE}
본 발명은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를 자유자재로 이동시켜가면서 절단과 연마가 동시에 가능한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재는 광산에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6면체 형태로 채취되어 석재가공에서 판형 또는 곡면의 형태를 갖도록 가공되는 것으로, 원형 기둥의 외측에 붙일 수 있는 곡면 석재판을 가공하기가 쉽지 않다.
즉, 기존에는 곡면 석재판을 가공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개 1997-61031호로 공개된 "석재 절단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선 공개된 기존의 석재 절단기는 원통형의 회전드럼 하부에 다이아몬드 절단날을 부착시킨 원형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절단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절단장치를 상하 이송시키는 상하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절단장치 하부에서 절단될 석재원석을 전후 이송시키는 석재이송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석재면에 물을 분사시키는 급수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된 석재 절단기는 석재 이송장치에 의해 육면체의 석재원석을 3 방향에서 공급하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고, 상하 이송장치에 의해 하부로 이송되는 원형절단장치의 하부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절단날로 석재가 곡면 절단되며, 상기 절단부위에는 급수 장치에 의해 물이 분사되게 함으로써 원형절단장치의 상, 하 이동에 의해 3조각의 곡면석재로 절단된다.
상기 석재 절단기는 원형절단장치가 한번 내려와서 석재를 절단하며, 원형절단장치가 상부로 이송되게 하고, 절단된 곡면 석재판을 꺼내고, 다시 육면체의 석재원석을 곡면석재판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후 다시 원형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시켜야 하므로, 3 군데서 석재를 공급하여 한번에 3 개의 곡면석재판을 얻는다 하더라도, 원형절단장치가 한번 내려오며 절단된 후에는 반듯이 작업자가 절단된 곡면석재판을 꺼내고 다시 육면체의 석재원석을 이동시킨 후 원형절단장치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자가 항시 절단기 옆에 붙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0-2007-0023030호 `석재 절단기`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원형기둥의 외측에 붙일 수 있는 석재를 절단하는 석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의 석재원석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석재 절단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석재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하부에 다이아몬드 절단날이 부착된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원형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절단장치를 수직 프레임에서 상하 이송시키는 상하 이송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절단장치의 하부에서 절단될 육면체의 석재를 곡면석재판의 두께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석재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육면체 석재원석의 이동거리와 회전드럼의 상하 이동을 자동으로 조작하는 자동조절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육면체의 석재원석이 자동으로 원형절단장치의 하부로 이동하는 한편 원형절단장치는 자동으로 상하 이동하여 여러 장의 곡면석재판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석을 가공하는 작업은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요구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한번의 작업에서 원석 가공의 불량률을 줄이며 시산과 비용을 절감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보석 가공작업이나 실험용 시료채취용 원석의 가공 작업은 이하 일련에 연계된 작업들의 시발점으로써 최소한의 작업 불량률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도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8-0082317호(발명의 명칭: 석재 절단기)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1997-61031호(발명의 명칭 : 석재 절단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석재를 자유자재로 위치를 조정해가면서 절단과 연마가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석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석재의 절단과 연마가 한번의 작업으로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석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재 가공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석재의 가공을 위해 석재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 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된 석재를 임의의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유닛; 상기 가공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가공유닛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스테이지, 상기 가공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지, 상기 가공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유닛은, 상기 프레임 설치된 상기 이송유닛에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기; 상기 한 쌍의 롤러에 무한궤도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어받는 와이어 컨베이어;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를 절단하는 줄톱; 및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줄톱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톱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상기 석재측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부재는, 상기 줄톱의 반대편 부분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줄톱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하고,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는, 상기 롤러구동기에 의한 상기 롤러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상기 줄톱 및 상기 연마부재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줄톱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외주면을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연마부재는,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는, 상기 롤러구동기에 의한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프레임 양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가공유닛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가공유닛고정대;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이 수평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에 동력을 제공하는 레일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한 쌍의 상기 가공유닛고정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공유닛을 회전시키는 로테이터; 및 한 쌍의 상기 가공유닛고정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는, 석재를 고정시키는 석재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석재고정대를 상기 프레임 바닥면의 x-y 좌표상에서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x-y 스테이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석재 가공장치는, 석재고정대가 구비된 스테이지를 자유자재로 이동시켜가면서 작업을 하므로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작업자가 정밀하게 석재의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 컨베이어에 줄톱과 연마부재를 함께 구비하여 석재의 절단과 동시에 연마가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컨베이어에 부분적으로 줄톱과 연마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외주면에는 줄톱이 내주면에는 연마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석재 가공장치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석재 가공장치의 가공유닛이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컨베이어에 부분적으로 줄톱과 연마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외주면에는 줄톱이 내주면에는 연마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석재 가공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석재 가공장치의 가공유닛이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00), 스테이지(200), 가공유닛(300), 이송유닛(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끝단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200)는 프레임(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석재의 가공을 위해 석재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테이지(200)는 석재를 고정시키는 석재고정대(210)를 포함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석재고정대(210)를 프레임(100) 바닥면의 x-y 좌표상에서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x-y 스테이지일 수 있다.
상기 석재고정대(210)는 스테이지(200) 상에 구비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석재를 고정시키거나 고분자수지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공유닛(300)은 프레임(100) 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스테이지(200)에 고정된 석재를 임의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가공유닛(300)은 롤러(310), 롤러구동기(320), 와이어 컨베이어(330), 줄톱(340) 및 연마부재(350)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롤러(310)는 한 쌍으로 제작되며 프레임(100) 설치된 후술할 이송유닛(400)에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구동기(320)는 컨트롤러(500)와 연결되고, 한 쌍의 롤러(310)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롤러(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330)는 한 쌍의 롤러(310)에 무한궤도식으로 연결되어 롤러(310)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어받을 수 있다.
상기 줄톱(340)은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350)는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줄톱(340)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우선, 줄톱(340)은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석재측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연마부재(350)는, 줄톱(340)의 반대편 부분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줄톱(340)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하고, 와이어 컨베이어(330)는, 롤러구동기(320)에 의한 롤러(31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줄톱(340) 및 연마부재(350)를 왕복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줄톱(340)은,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외주면을 따라서 설치되고, 연마부재(350)는,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내주면을 따라서 설치되며, 와이어 컨베이어(330)는, 롤러구동기(320)에 의한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연마부재(350)(abrasive material, 硏磨材)는 연마작업 때 사용하는 강도가 강한 물질로 쌀알 모양이거나 분말형태로 되어 있다. 종류로는 알루미나 등을 이용한 인조연마재와 다이아몬드 등의 천연연마재가 있다.
그 작용이 깎인 표면 및 깎인 물질이 원재질의 조직을 유지하게 되는 연삭(硏削)과 원재질의 조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탁마(琢磨)가 있다. 연마부재(350)의 중요한 성질은 굳기(경도), 인성(靭性), 입형(粒形) 및 입도(粒度)이다. 굳기는 보통 모스굳기로 표시하는데, 연마당하는 물질보다는 연마하는 물질의 굳기가 커야 함은 당연하다.
연마부재의 종류는 우선, 인조품으로는 용융 알루미나, 인조 코런덤(강옥), 카버런덤의 결정을 제조하여 이것을 분쇄, 정립(精粒)한 것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어서, 숫돌, 연마포지 그 밖의 형체로 연삭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알루미나질의 것은 인성이 강하고, 탄화규소질의 것은 인성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근래에는 탄화붕소나 그 밖의 탄화물도 제조되고 있다. 인조품이라도 소성법으로 제조된 산화철, 알루미나, 산화크롬 등의 미분은 탁마재이며, 금속, 비금속면의 끝손질이나 광택내기 연마에 사용하는 수가 많다. 돌로마이트 소성물도 이러한 용도에 사용한다.
다음으로, 천연연마부재로는 다이아몬드가 최고의 것인데, 보석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최고급의 연마재로 사용된다. 에머리는 알루미나질이지만 금속 표면을 끝손질하는 데 좋으며, 석류석은 규산염 광물인데, 연마지(硏磨紙)로서 목재를 연마하는 데 알맞다. 규사나 무수규산의 미분말은 연마능력이 그리 우수하지는 않지만, 천연품으로서 다량 산출되며, 가격이 싸서 대량으로 사용된다.
상기 이송유닛(400)은 가공유닛(300)을 프레임(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가공유닛(300)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레일(410), 가공유닛 고정대(420), 레일 구동기(430)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레일(410)은 한 쌍으로 제작되어 프레임(100) 양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공유닛 고정대(420)는 레일(410)에 각각 장착되며 가공유닛(3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구동기(430)는 컨트롤러(500)와 연결되고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레일(410)이 수평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레일(41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일 구동기(430)로는 주로 리니어 모터가 이용되는데,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에 대해서 알아보면, 동기 전동기의 1차측 및 2차측을 축방향으로 전개한 것으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 전동기로서, 리니어 싱크로너스 모터 방식은 언제나 동기 제어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그 반면에 고속 영역까지 역률, 효율이 높고, 지상과의 틈을 크게 잡을 수 있으며, 차상(車上) 자석이나 지상 코일이 안내용과 겸용할 수 있는 등 고속 특성이나 구성면에서 뛰어나다.
또한, 가공유닛 고정대(420)를 레일(410)에 장착하는 방식으로는 가공유닛 고정대(420)나 레일(410)의 각각의 나사나 볼트를 설치하여 결합시키거나, 클램프 방식을 이용하거나, 레일(410)측에는 걸림턱을 설치하고 가공유닛 고정대측(420)에는 걸림부위를 마련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들의 채용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스테이지(200), 가공유닛(300) 및 이송유닛(400)과 연결되며 스테이지(200), 가공유닛(300) 및 이송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400)은 로테이터(440)와 회전모터(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440)는 한 쌍의 가공유닛 고정대(420)에 각각 설치되어 가공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450)는 한 쌍의 가공유닛 고정대(420)에 각각 구비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로테이터(44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로테이터(440)는 회전모터(450)가 장착되어 있는데, 회전모터(450)는 가공유닛 고정대(4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공유닛 고정대(420)에는 로테이터(440)가 설치되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회전모터(450)의 동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 석재 가공장치의 사용방법은, 작업자가 가공될 석재를 스테이지(200) 상에 구비된 석재고정대(210)에 접착제나 고분자수지의 열융착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이송유닛(400)으로 가공유닛(30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가공유닛(300)에 설치된 줄톱(340)과 연마부재(350)를 이용하여 석재의 절단과 연마를 순차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지(200)로 석재고정대(210)의 위치를 조절해가면서 석재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두가지 방식의 와이어 컨베이어(330)를 이용하여 석재의 가공이 가능한데, 하나는 와이어 컨베이어(330)의 석재측 와이어에는 줄톱(340)이 반대측 와이어에는 연마부재(350)가 설치되어 와이어 컨베이어(330)를 반적인 왕복운동으로 시키면서 석재를 절단과 연마를 해가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와이어의 외측 외주면은 줄톱(340)이 내측 내주면에는 연마부재(350)를 설치하고 와이어 컨베이어(33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석재를 가공하는 방식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스테이지
210 : 석재고정대
300 : 가공유닛
310 : 롤러
320 : 롤러구동기
330 : 와이어 컨베이어
340 : 줄톱
350 : 연마부재
400 : 이송유닛
410 : 레일
420 : 가공유닛 고정대
430 : 레일 구동기
440 : 로테이터
450 : 회전모터
500 : 컨트롤러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석재의 가공을 위해 석재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 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된 석재를 임의의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유닛;
    상기 가공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가공유닛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스테이지, 상기 가공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지, 상기 가공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유닛은,
    상기 프레임 설치된 상기 이송유닛에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기;
    상기 한 쌍의 롤러에 무한궤도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어받는 와이어 컨베이어;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석재를 절단하는 줄톱; 및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줄톱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톱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상기 석재측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부재는,
    상기 줄톱의 반대편 부분 와이어 컨베이어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줄톱으로 절단된 석재의 절단면을 연마하고,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는,
    상기 롤러구동기에 의한 상기 롤러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상기 줄톱 및 상기 연마부재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톱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외주면을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연마부재는,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는,
    상기 롤러구동기에 의한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프레임 양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가공유닛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가공유닛 고정대;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이 수평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에 동력을 제공하는 레일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한 쌍의 상기 가공유닛 고정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공유닛을 회전시키는 로테이터; 및
    한 쌍의 상기 가공유닛 고정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석재를 고정시키는 석재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석재고정대를 상기 프레임 바닥면의 x-y 좌표상에서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x-y 스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KR1020150154516A 2015-11-04 2015-11-04 석재 가공장치 KR10169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16A KR101697635B1 (ko) 2015-11-04 2015-11-04 석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16A KR101697635B1 (ko) 2015-11-04 2015-11-04 석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635B1 true KR101697635B1 (ko) 2017-01-18

Family

ID=5799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516A KR101697635B1 (ko) 2015-11-04 2015-11-04 석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396A (zh) * 2017-10-24 2018-02-13 峨眉山市万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膏线的自动切线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708U (ja) * 1993-04-14 1994-10-25 日本クレセント株式会社 石材切断・研磨装置
JPH09314543A (ja) * 1996-05-24 1997-12-09 Hiroshi Ishizuka 硬脆材切断用ブレードおよび装置
KR970061031U (ko) 1996-05-25 1997-12-10 김장진 석재 절단기
JPH1076515A (ja) * 1996-09-02 1998-03-24 Tawara Sekizaiten:Kk 石材等の硬質材切断方法及び装置
KR200385536Y1 (ko) * 2005-03-04 2005-05-31 김만영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KR20080082317A (ko) 2007-03-08 2008-09-11 주식회사 범서알앤지 석재 절단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708U (ja) * 1993-04-14 1994-10-25 日本クレセント株式会社 石材切断・研磨装置
JPH09314543A (ja) * 1996-05-24 1997-12-09 Hiroshi Ishizuka 硬脆材切断用ブレードおよび装置
KR970061031U (ko) 1996-05-25 1997-12-10 김장진 석재 절단기
JPH1076515A (ja) * 1996-09-02 1998-03-24 Tawara Sekizaiten:Kk 石材等の硬質材切断方法及び装置
KR200385536Y1 (ko) * 2005-03-04 2005-05-31 김만영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KR20080082317A (ko) 2007-03-08 2008-09-11 주식회사 범서알앤지 석재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396A (zh) * 2017-10-24 2018-02-13 峨眉山市万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膏线的自动切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ng et al. Distribution of diamond grains in fixed abrasive wire sawing process
KR101333296B1 (ko) 타일 표면 연마장치
US66450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d-end processing full lead crystal
CN104972375A (zh) 一种节能低耗砂带磨边机
KR101697635B1 (ko) 석재 가공장치
CN206455519U (zh) 研削/研磨复合加工装置以及研磨装置
CN206527621U (zh) 一种异形瓷砖磨削抛光加工装置
CN105479291B (zh) 用于超硬材料产品的打磨机
CN102229081A (zh) 水晶宝石全自动磨光方法及设备
CN204868512U (zh) 一种蓝宝石振动研磨机构
KR20160035323A (ko) 석재 쌍방향 가공 장치
RU2483854C2 (ru) Способ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алмаз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6863090A (zh) 一种异形瓷砖磨削抛光加工方法及装置
KR101579406B1 (ko) 석재 무늬 성형 절단기
CN203956656U (zh) 平面磨床
CN202964353U (zh) 一种用于实现硅片背面损伤的加工设备
CN203918783U (zh) 一种数控抛光机床用的自动修整抛光轮机构
CN207171768U (zh) 一种石材地板加工用抛光设备
CN206326487U (zh) 直线输送式抛光机
CN205111464U (zh) 全等厚蓝宝石半球、超半球整流罩的加工设备
WO2018003429A1 (ja) ブレードのドレッシング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切削装置及び該機構を用いたブレードのドレッシング方法
KR101479042B1 (ko) 롤러형 3차원 곡면 연마기
CN102366938A (zh) 一种打磨头可更换式去毛刺机磨料带
CN106737096A (zh) 直线输送式抛光机
KR100664881B1 (ko) 연마기가 구비된 워터제트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