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006B1 - 용수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용수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006B1
KR101697006B1 KR1020150078228A KR20150078228A KR101697006B1 KR 101697006 B1 KR101697006 B1 KR 101697006B1 KR 1020150078228 A KR1020150078228 A KR 1020150078228A KR 20150078228 A KR20150078228 A KR 20150078228A KR 101697006 B1 KR101697006 B1 KR 10169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mount
water
supply
amount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190A (ko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06B1/ko
Priority to CN201610374966.0A priority patent/CN106228460A/zh
Priority to US15/171,949 priority patent/US10248138B2/en
Publication of KR2016014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7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flow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 공급 시스템은 기 설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 상기 용수를 공급 중 제1 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제2 시점이 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2 시점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급되는 용수에 대한 누적 공급 용수 량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누적 공급 용수 량과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용수 량 차이를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 중 상기 제2 시점 이후의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합산하여 보정한다. 상기 보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

Description

용수 공급 방법{WATER SUPPLYING METHOD}
본 발명은 용수 공급 시스템의 용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에 따른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는 용수 공급 시스템 및 용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관망에서는 취수 장에서 정수 장 혹은 정수 장, 가압 장에서부터 배수지까지 펌프를 이용하여 용수를 공급한다.
이때, 펌프를 자동으로 운전하기 위해서, 펌프로 공급해야 하는 용수 량에 대한 계획 치를 산정할 때 배수지 유출부의 유량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면, 15분 또는 1시간)으로 하루치 혹은 이틀치 물 수요를 예측하여, 일반적으로 펌프의 운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펌프를 이용하여 배수지로 공급한 송수 량 계획 치와 실제 공급된 송수 량 실적 치 간의 일정 이상의 편차가 발생했을 때 수요예측 후단 부에서 이를 보상하는 방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편차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발생 시 계획대비 실제 물의 공급량은 누적 편차만큼 많거나 적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장기간 누적 편차가 커지게 되면 실제 펌프의 운전 계획이 실제 공급량과 크게 벗어나, 자동 운전 실패가 예상된다.
따라서 오차가 발생한 물 수요 예측 결과에 대하여, 현재 시간 이후의 예측 결과에 대한 실시간 보정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 오차 보상 기술은 산출된 수요 예측 데이터에 대하여 임계 범위 기간 이내의 수요 예측 데이터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시간 량 예측 결과 데이터에 대비한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이지만, 그 오차 보상 방법이 명확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변하는 공급 용수 량을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용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시간 별 수요 용수 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수량 제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 공급 방법은 기 설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용수를 공급 중 제1 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제2 시점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시점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급되는 용수에 대한 누적 공급 용수 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누적 공급 용수 량과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용수 량 차이를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 중 상기 제2 시점 이후의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합산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 방법은 다양한 환경 요소 및 시간 요소가 적용된 시간 별 용수 수요량을 예측함으로써, 수요에 대응하는 수량 제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 공급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도 1의 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 공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용수 량 실시간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획 공급 용수 량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적 실제 공급량에 기초하여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 및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이 도시된 그래프 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에 용수 량의 차이가 합산되어 변경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이 도시된 그래프 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이 용수 량 하한 값 또는 용수 량 상한 값으로 변경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이 도시된 그래프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요량 예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 공급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수 공급 장치(100)는 제어부(1), 표시부(2) 입력부(3) 및 공급 용수 량 측정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3)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장치 일 수 있다.
제어부(1)는 입력부(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공급 용수 량 측정부(4)로부터 일일 공급 용수 량에 대한 실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상기 수신한 일일 공급 용수 량에 대한 실적 데이터로 일일 수요량을 예측하며, 예측한 일일 수요량을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표시부(2)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표시부(2)는 제어부(1)의 제어에 기초하여 일일 수요량의 예측 동작 상태와 예측된 일일 수요량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상기 실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거나,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된 수요량 데이터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며, 실적 데이터의 주기(일량, 시간 량)에 따라 동적으로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수집된 공급 실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적 데이터 실측 값의 분석을 통해 상한 및 하한 한계 값을 산출 및 등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는 상한 및 하한 한계 값을 비교하여 한계 값의 범위를 초과하는 값(BAD)(비정상 데이터)과 한계 값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값(GOOD)(정상 데이터)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는 추출된 값 중 한계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값만을 수요예측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는 기 설정된 값을 기초하여 플래그 값의 변경 여부에 따라 수요 예측을 수행 또는 정지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수요예측을 위한 알고리즘을 서브(sub)단위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단위 모듈은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 플래그에 따라 사용할 알고리즘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제어부(1)가 수동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1개의 수요예측 알고리즘이 선택되며, 자동 모드일 경우 1~N개의 수요예측 알고리즘이 조합(앙상블 알고리즘)되어 각각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1)는 상기 알고리즘의 조합(앙상블 알고리즘)의 개수를 결정하고 각 조합된 케이스마다 학습과정을 거쳐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최적의 알고리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는 상기 조합된 알고리즘의 그룹 마다 수행된 학습과정을 통하여 산출된 결과는 각각의 조합에 사용된 알고리즘 마다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를 높게 가지는 알고리즘의 조합 또는 기준 예측 결과 데이터와의 오차가 적은 알고리즘의 조합을 최적의 알고리즘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는 수요 예측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결과를 재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수요 예측 결과에 대한 재검증은 별도의 테스트 모듈 세트 또는 다른 알고리즘 조합에 의하여 다시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1) 내의 오차 보정부(미도시) 실시간 수요 예측의 경우 시간당 수요 예측을 수행하며, 예측 오차는 현재 시간과 향후 예측 시간 간의 시간 차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오차 보정부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의 데이터에 대해 일량 예측 결과를 시간 량 예측 결과의 가중치로 반영하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즉, 오차 보정부는 미리 산출된 수요 예측 데이터에 대하여 임계 범위 기간 이내의 수요 예측 데이터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시간 량 예측 결과 데이터에 대비한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요량 예측 결과에 따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계산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도 1의 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는 누적 공급 용수 량 수집부(11), 예측 수요 용수 량 계산부(12), 계획 공급 용수 량 계산부(13) 및 오차 보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누적 공급 용수 량 수집부(11)는 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누적 용수 량에 대한 실적 데이터를 공급 용수 량 측정부(4)로부터 수집하고, 저장부(미도시)에 누적 공급 용수 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측 수요 용수 량 계산부(12)는 공급되는 누적 용수 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요 용수 량을 예측하고, 계산할 수 있다.
계획 공급 용수 량 계산부(13)는 미리 계산된 예측 수요 용수 량에 기초하여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 또는 시간당 계획 공급 용수 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는 미리 계산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을 변경(또는 보정)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누적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계획된 공급 용수 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 공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급 용수 량 측정부(4)는 실제로 공급되어 누적되는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을 실시간으로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측정한다(S200).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이 측정되면, 제어부(1) 내의 누적 공급 용수 량 수집부(11)는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에 대한 실적 데이터를 획득한다.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에 대한 실적 데이터가 획득되면, 제어부(1) 내의 예측 수요 용수 량 계산부(12)는 실제 공급된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을 기 설정된 예측 방법에 따라 계산한다(S201).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이 계산되면, 제어부(1) 내의 계획 공급 용수 량 계산부(13)는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에 기초하여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설정한다(S202).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은 현재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계산하는 현재 시점 이후 현재 시간이 포함된 날짜의 24시까지의 공급 용수 량에 대한 계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이 설정되면, 제어부(1)는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펌프를 통해 공급한다(S203).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공급되는 용수 량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용수 량 실시간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먼저, 제어부(1)는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S203).
용수가 공급되는 중, 제어부(1)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15분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용수를 공급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
용수를 공급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 내의 누적 공급 용수 량 수집부(11)는 현재 시점까지 누적된 실제 공급 용수 량을 측정한다(S204).
현재 시점까지 누적된 실제 공급 용수 량이 측정되면, 제어부(1) 내의 오차 보정부(14)는 누적된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한다(S205).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가 일정 용수 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는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가 일정 용수 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 내의 오차 보정부(14)는 계산된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합산하는 방법으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재 설정한다(S206). 이때,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은 현재 시점부터 특정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은 현재 시점부터 24시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상기 계산된 용수 량 차이가 합산되면, 제어부(1)는 변경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S203).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가 일정 용수 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는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변경하지 않고 기 계산된 계획 공급 용수 량에 따라 용수를 계속하여 공급한다(S20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획 공급 용수 량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보정부(1)는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가 일정 용수 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산된 실제 공급 용수 량과 현재 시점까지의 계획 공급 용수 량의 차이를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합산한다(S206).
오차 보정부(1)에 의해 용수 량의 차이가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합산되면, 오차 보정부(1)는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차 보정부(1)는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상기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으로 설정한다(S207).
판단한 결과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차 보정부(1)는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
판단한 결과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차 보정부(1)는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용수 량 하한 값으로 설정한다(S208).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이 용수 량 하한 값으로 설정되면, 제어부(1)는 용수 량 하한 값으로 설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에 따라 용수를 공급한다(S203).
한편, 판단한 결과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는 합산 후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한다(S203).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계획 공급 용수 량 변경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적 실제 공급량에 기초하여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 및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이 도시된 그래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는 현재 시점(제1 시간)까지 누적된 실제 공급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실제 공급량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제1 시간) 이후 24시까지의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일일 예측 수요 용수 량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제1 시간)부터 24시까지의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에 용수 량의 차이가 합산되어 변경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이 도시된 그래프 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시간 이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이 경과하여 제2 시간(현재 시간)이 되면, 제어부(1)는 제1 시간부터 현재 시간인 제2 시간 까지 실제로 공급되어 누적된 실제 공급 용수 량(B)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는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 까지 기 설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A)을 저장부(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까지의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B) 및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A)이 획득되면, 제어부(1)는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까지의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B) 및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A)의 차이(A-B)를 계산할 수 있다.
용수 량의 차이(A-B)가 계산되면, 제어부(1)는 용수 량의 차이(A-B)가 기 설정된 일정 용수 량 이상인지 판단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 량의 차이(A-B)가 일정 용수 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계산된 용수 량의 차이(A-B)를 현재 시간인 제2 시간부터 24시까지의 기 설정된 기존 계획 공급 용수 량(A1)에 계산된 용수 량의 차이(A-B)를 합산하여 보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A2)(A1+A-B)으로 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 량의 차이(A-B)가 일정 용수 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현재 시간(제2 시간)부터 기 설정된 기존 계획 공급 용수 량(A1)을 그대로 유지(A2)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이 용수 량 하한 값 또는 용수 량 상한 값으로 변경된 계획 공급 용수 량이 도시된 그래프 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는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까지의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B) 및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A)을 획득하고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까지의 누적 실제 공급 용수 량(B) 및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A)의 차이(A-B)를 계산하며, 용수 량의 차이(A-B)가 기 설정된 일정 용수 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계산된 용수 량의 차이(A-B)를 현재 시간인 제2 시간부터 24시까지의 기 설정된 기존 계획 공급 용수 량(A1)에 계산된 용수 량의 차이(A-B)를 합산하여 보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A2)으로 재 설정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A2)이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D1)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보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A2)을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D1)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A2)이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D1)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는 보정된 계획 공급 용수 량(A2)을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D2)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기재된 실시 예들은 설명된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용수 공급 장치가 설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용수 공급 장치가 상기 용수를 공급 중 상기 용수가 공급된 제1 시점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제2 시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용수 공급 장치가 상기 제2 시점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2 시점 사이에 누적 공급한 용수에 대한 누적 공급 용수 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용수 공급 장치가 상기 누적 공급 용수 량과 상기 제2 시점까지의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 사이의 용수 량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용수 공급 장치가 설정된 일정 용수 량과 상기 용수 량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용수 량 차이가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보정하기 위해 설정된 일정 용수 량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용수 량 차이가 상기 일정 용수 량 이상으로 판단하면, 상기 용수 공급 장치가 상기 용수 량 차이를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합산하여 일일 계획 공급 용수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에 기초하여 상기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용수 량의 차이가 상기 일정 용수 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일일 계획 공급 용수량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용수 량의 차이가 상기 일정 용수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합산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상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용수 량 상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합산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상기 용수 량 상한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용수 량 상한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합산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수 공급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이 기 설정된 용수 량 하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용수 량 하한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합산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상기 용수 량 하한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용수 량 하한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합산된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수 공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요 예측 알고리즘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는, 복수의 알고리즘 조합 각각에 따라 복수의 예측 수요 용수 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누적 공급 용수 량과 상기 복수의 예측 수요 용수 량 각각과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예측 수요 용수 량 중 가장 작은 차이를 보이는 예측 수요 용수 량을 산출한 알고리즘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상기 알고리즘 조합에 따라 상기 제2 시점 이후의 일일 계획 공급 용수 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수 공급 방법.
KR1020150078228A 2015-06-02 2015-06-02 용수 공급 방법 KR10169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228A KR101697006B1 (ko) 2015-06-02 2015-06-02 용수 공급 방법
CN201610374966.0A CN106228460A (zh) 2015-06-02 2016-05-31 供水方法
US15/171,949 US10248138B2 (en) 2015-06-02 2016-06-02 Water supply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228A KR101697006B1 (ko) 2015-06-02 2015-06-02 용수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190A KR20160142190A (ko) 2016-12-12
KR101697006B1 true KR101697006B1 (ko) 2017-01-23

Family

ID=5745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228A KR101697006B1 (ko) 2015-06-02 2015-06-02 용수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48138B2 (ko)
KR (1) KR101697006B1 (ko)
CN (1) CN1062284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102B1 (ko) * 2014-04-08 2016-10-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용수량 수요 예측 장치
US20180003180A1 (en) * 2016-07-01 2018-01-04 Online Energy Manager Llc Pumping energy management control system
JP7013325B2 (ja) * 2018-05-22 2022-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運用計画立案装置および運用計画立案方法
CN112594553A (zh) * 2020-12-07 2021-04-02 熊猫智慧水务有限公司 一种基于压力目标曲线的管网压力调控方法
CN112987803B (zh) * 2021-02-02 2023-01-06 桂林鸿程矿山设备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氢氧化钙给料配水控制系统、方法及存储介质
CN116562600B (zh) * 2023-07-11 2023-09-19 中关村科学城城市大脑股份有限公司 供水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731A (ja) * 1998-08-26 2000-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上水道システムの運用制御システム及び運用制御装置
KR100724497B1 (ko) * 2006-02-16 2007-06-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물 수요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2012099049A (ja) * 2010-11-05 2012-05-24 Hitachi Ltd 配水量計画予測システム、その予測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918A (ja) 1982-02-24 1983-08-29 Hitachi Ltd 配水管網の圧力・流量制御方式
JP4812269B2 (ja) 2004-03-31 2011-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需要変動リスク最小生産計画生成方法
JP4706018B2 (ja) 2004-06-14 2011-06-22 国立大学法人電気通信大学 流動数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39460B2 (ja) 2005-10-31 2010-03-24 株式会社東芝 水供給システム
US7930069B2 (en) * 2008-04-24 2011-04-19 Telsco Industries, Inc. Irrigation flow converter, monitoring system and intelligent water management system
WO2011044289A1 (en) * 2009-10-07 2011-04-14 Rain Bird Corporation Volumetric budget based irrigation control
JP5537375B2 (ja) 2010-10-05 2014-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水池浄水供給システムの浄水供給量算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配水池浄水供給システム
WO2012064809A1 (en) 2010-11-12 2012-05-18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Real time measurements of fluid volume and flow rate using two pressure transducers
JP5932466B2 (ja) * 2012-04-27 2016-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水運用制御装置
CN103093284A (zh) * 2013-01-18 2013-05-0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海岛供水系统时用水量预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731A (ja) * 1998-08-26 2000-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上水道システムの運用制御システム及び運用制御装置
KR100724497B1 (ko) * 2006-02-16 2007-06-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물 수요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2012099049A (ja) * 2010-11-05 2012-05-24 Hitachi Ltd 配水量計画予測システム、その予測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8138B2 (en) 2019-04-02
KR20160142190A (ko) 2016-12-12
US20160357195A1 (en) 2016-12-08
CN106228460A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006B1 (ko) 용수 공급 방법
US20150331023A1 (e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forecasting procedure using ambient temperature, enthalpy, bias corrected weather forecast and outlier corrected sensor data
WO2018190082A1 (ja) 電池の寿命診断装置及び電池の寿命診断方法
CN108520152B (zh) 一种工程设备的寿命分布确定方法及系统
CN104392274B (zh) 基于用电负荷与温度趋势的城市短期用电负荷预测方法
CN104636874B (zh) 检测业务异常的方法及设备
KR20140106436A (ko) 배터리 충전량 트래킹, 등가 회로 선택 및 벤치마킹
KR102041417B1 (ko) 기온 분포를 사용한 측정 및 검증 가중 방법 및 시스템
JP4512074B2 (ja) エネルギー需要予測方法、予測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508774A (zh) 基于新环境因子函数的软件可靠性增长模型的建模方法
JP2006092058A (ja) 流量予測装置
CN110100185A (zh) 蓄电元件的管理装置、蓄电装置、太阳光发电系统、劣化量的估算方法及计算机程序
KR101793625B1 (ko) 기후변화를 고려한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에서의 확률강우량 산출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022864A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22742B1 (ja) 閾値演算システム、及び、閾値演算方法
KR100923402B1 (ko) 가뭄관리를 위한 최적의 운영률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하는방법
JP5778295B2 (ja) 流量予想装置及び流量予想システム
KR101865924B1 (ko) 예측 속도 향상을 위한 신경망과 보정계수를 이용한 주간 부하 예측 장치 및 방법
JP2005237187A (ja) 配電系統負荷想定方法及び装置
KR101042176B1 (ko) 실시간 일별 최소유량 구간 분석에 의한 손실량 산정 방법
JP4664842B2 (ja) エネルギープラントの最適運用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88944A (ja) 電力需要予測装置、電力需要予測方法、そのプログラム
KR20190085665A (ko) 로버스트 최적화를 이용한 이수기 저수지 운영룰 산정방법
KR100724497B1 (ko) 물 수요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4407420B2 (ja) 配水量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