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501B1 - 배출기 후드 - Google Patents

배출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501B1
KR101696501B1 KR1020127004372A KR20127004372A KR101696501B1 KR 101696501 B1 KR101696501 B1 KR 101696501B1 KR 1020127004372 A KR1020127004372 A KR 1020127004372A KR 20127004372 A KR20127004372 A KR 20127004372A KR 101696501 B1 KR101696501 B1 KR 101696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box
capture panel
ejector
hood
fix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455A (ko
Inventor
위르겐 라이쓰
마야 리히터
안네테 슈베어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5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박스(2)와, 내부 프레임(3)과, 캡처 패널(4)을 포함하는 배출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출기 후드(1)는 캡처 패널(4)과의 탈착식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521, 522)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레일(5)이 팬 박스(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기 후드{EXTRACTOR HOOD}
본 발명은 배출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굴뚝형으로 형성되는 배출기 후드의 경우, 팬 하우징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팬 박스(fan box)에 실제 후드가 고정된다. 굴뚝형 후드의 경우 상기 후드는 캡처 패널에 의해 상부 및 외부 쪽으로 제한되고, 예컨대 전자 부재와 같은 기능 부재들은 후드 내에 수용된다. 또한, 후드 내에는 배출기 후드의 흡기구를 덮고 있는 필터 부재들이 유지된다. 후드 상부에서는 연도에 의해 팬 박스가 덮인다.
현재 상기 굴뚝형 배출기 후드는, 캡처 패널이 팬 박스와 나사 결합되도록 제조된다. 또한, 필요한 강성을 캡처 패널에 부여하고 기능 및 필터 부재들을 캡처 패널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강 및 연결 부재들이 캡처 패널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예컨대 캡처 패널의 후방 영역에서는 수직의 후방 벽부가 캡처 패널과 나사 결합된다. 밑면에서는 캡처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 레일이 캡처 패널과 나사 결합된다. 또한, 캡처 패널의 폭을 따라 중앙에서 연장되는 보강 레일이 제공된다. 더욱이 전자 장치를 유지하거나, 적어도 전자 장치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캡처 패널과 나사 결합되는 차폐판이 제공된다. 또한, 오염물 유입을 방지하고 팬 박스의 공기 유입부로의 공기 안내를 개선하기 위해 트로프 형태의 안내판이 캡처 패널에 또는 보강 및 연결 부재들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배출기 후드의 경우 캡처 패널은 후드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다.
캡처 패널의 형태는 디자인 관점 및 장착 공간에 기초해서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및 보강 부재들과, 차폐판 및 후방 벽부는 캡처 패널의 기하 구조에 따르며 이에 상응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후방 벽부, 연결 및 보강 부재들 및 차폐판의 형태 및 치수는 사용된 팬 박스의 폭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지금까지는, 후드를 상응하게 제조해서 캡처 패널에 의해 팬 박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배출기 후드의 각각의 형태에 상응하는 보강 및 기능 부재들을 제조해야만 했다.
DE 299 03 104 U1호에는 후드(상기 문서에서는 후드 부재로서 지칭되어 있다)의 고정 유형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후드 부재에는 하부로부터 팬 박스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이 고정된다. 더욱이, 후드 부재는 캡처 패널에서 팬 박스에 연결된다.
공지된 굴뚝형 배출기 후드의 단점은, 배출기 후드(특히, 캡처 패널 및 팬 박스)의 상이한 형태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매우 다양한 부품들이 필요하다는 점에 있다. 더욱이 제조는 많은 수의 연결 지점들로 인해 복잡해지며 연결 지점들에 대한 접근성이 부분적으로 취약함으로 인해 어려워진다. 마지막으로, 예컨대 후드 내에 배치되는 전자 부재들에 대한 수리 용도로, 또는 그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대개 팬 박스로부터 후드를 완전하게 분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이한 배출기 후드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품 다양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럼에도 배출기 후드를 간단하게 조립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캡처 패널을 탈착 가능하게 팬 박스에 연결할 수 있는 (이러한 연결을 위해 내부 프레임과 캡처 패널 사이의 연결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고정 가능성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과제는 팬 박스와, 내부 프레임과, 캡처 패널을 포함하는 배출기 후드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배출기 후드는 캡처 패널과의 탈착식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레일이 팬 박스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는 바람직하게 굴뚝형 배출기 후드, 특히 벽 장착 굴뚝형 배출기 후드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팬 박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드에 의해 둘러싸이고 후드는 외부면에 캡처 패널을 포함하며 후드의 내부에 예컨대 배출기 후드의 전자 제어 장치와 같은 기능 부재들뿐 아니라 필터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배출기 후드가 굴뚝형 배출기 후드로서 지칭된다. 팬 박스는 송풍기와, 경우에 따라 모터뿐 아니라, 송풍기 작동을 위한 대응하는 전자 구성부품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팬 박스에 대한 고정을 위해 규정된 경계면을 윗면에 포함하고, 캡처 패널과의 연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경계면을 외부면에 포함하는 배출기 후드의 부품이 배출기 후드의 내부 프레임으로서 이해된다. 또한, 내부 프레임에는 배출기 후드의 추가 구성부품들(특히, 전자 구성부품들 및 필터 부재들)도 유지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내부 프레임은 내부 프레임의 밑면의 흡기구로부터 팬 박스의 공기 유입부 쪽으로, 목표한 공기 안내에 추가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내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트로프 형태로 형성되고, 여기서 트로프 바닥부는 윗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배출기 후드의 페이싱(facing) 부품이 캡처 패널로서 지칭된다. 이 경우 캡처 패널은 바람직하게 배출기 후드의 외부 가장자리와 팬 박스 사이의 간격을 적어도 상부 쪽으로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라 길쭉한 부품이 고정 레일로서 이해된다. 고정 레일에는 캡처 패널에 의해 팬 박스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고정 레일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며 팬 박스의 측면들에 제공된다. 따라서 캡처 패널이 전방으로부터 팬 박스 상에 미끄러지면서 끼워질 수 있는데, 이는 프레임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팬 박스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 레일이 고정된다. 이로써 고정 레일들에 간단히 접근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캡처 패널과의 연결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팬 박스에 대한 캡처 패널의 탈착식 고정을 위해 팬 박스 내의 맞물림(이러한 맞물림은 배출기 후드의 추가의 구성부품들을 팬 박스에 사전 조립할 때 경우에 따라 가능하지 않다)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의 상기 실시예에서, 내부 프레임이 팬 박스에 이미 연결된 경우에도 팬 박스에 캡처 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팬 박스의 밑면에 고정 레일이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 레일은 팬 박스의 밑면을 둘러싸며, 캡처 패널의 고정을 위해 외부에서 또한 고정 레일의 부분에 접근할 수 있다.
1개보다 많은 고정 레일, 바람직하게 2개의 고정 레일들이 제공되면, 상기 고정 레일들은 연결 영역 안으로의 캡처 패널의 일부분의 삽입이 수평 이동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배향된다. 특히 캡처 패널은 전방으로부터 팬 박스 상에 미끄러지면서 끼워질 수 있으며, 캡처 패널의 부분들은 고정 레일의 연결 영역들 내에 수용된다.
고정 레일에 의해 캡처 패널이 팬 박스에 고정됨으로써, 고정 레일의 기하 구조 및 치수에 의해 캡처 패널의 상이한 기하 구조들과 치수들이 고려될 수 있다.
고정 레일은 팬 박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레일은 바람직하게 별도의 부품을 나타내며 팬 박스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팬 박스와 별도로 분리된 고정 레일의 장점은, 상이한 캡처 패널들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 컨셉을 위해서도 동일한 팬 박스가 사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상이한 배출기 후드들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들의 수가 최소화된다. 팬 박스의 외부면 또는 밑면에 고정 레일들이 고정되기 때문에, 특히 팬 박스의 밑면과 캡처 패널의 윗면 사이의 높이 차이가 고정 레일의 형태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캡처 패널이 팬 박스의 밑면에 직접 고정되는 배출기 후드들의 경우, 배출기 후드의 구조 높이는 팬 박스의 높이와 캡처 패널의 높이로 구성된다. 공지된 이러한 배출기 후드들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의 경우 배출기 후드의 전체 높이는 캡처 패널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 레일은 그 기능에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레일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반면, 팬 박스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한편으로 배출기 후드의 중량이 최소화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금속의 안정성이 캡처 패널과의 연결에 이용된다. 또한, 별도의 고정 레일이 사용됨으로써 캡처 패널에 대한 고정 레일(들)의 사전 조립이 허용된다. 이 경우 고정 레일은 캡처 패널에 고정된 이후에야 팬 박스에 연결된다. 이는 배출기 후드의 제조 시에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뒤집힌 상태(upside-down)에서 즉, 팬 박스의 밑면이 상부 쪽을 향하고 있는 조립 상태에서 배출기 후드가 조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고정 레일이 팬 박스에 고정된 이후 내부 프레임이 팬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 레일은 팬 박스 하부 가장자리의 플랜지 또는 웨브에 제공된다. 팬 박스 하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는 팬 박스로부터 외부 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는 내부 프레임에 대한 팬 박스의 고정에 사용된다. 고정 레일 역시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므로, 팬 박스의 추가 변형이 필요하지 않으며 종래의 팬 박스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내부 프레임이 플랜지에 고정된다. 이로써 배출기 후드의 추가의 구성부품뿐만 아니라 캡처 패널도 고정될 수 있는 고정된 기본 구조부가 팬 박스 및 내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프레임과 팬 박스 사이에 별도의 연결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팬 박스와 내부 프레임 사이의 상기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고도, 상기 기본 구조부로부터 캡처 패널이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 레일의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은 수평으로 배향된다. 이때 수평 배향이라 함은 연결 영역 내로 캡처 패널의 수평 도입, 특히 삽입을 허용하는 연결 영역의 배향을 지칭한다.
추가로, 고정 레일과 캡처 패널 사이에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해 캡처 패널은 연결 영역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로부터 고정 레일 상에 캡처 패널을 안착하거나, 전방으로부터 고정 레일 내에 캡처 패널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 방향은 팬 박스와 내부 프레임으로 구성된 기본 구조부에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팬 박스로부터 내부 프레임이 분리되지 않고도 상기 기본 구조부에서도 팬 박스 상에 캡처 패널이 미끄러지면서 끼워지고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캡처 패널의 일부분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브래킷이 제공된다. 팬 박스와 캡처 패널 사이의 연결부가 클램핑 연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공구 없이도 상기 연결부가 다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캡처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단순해진다. 클램핑 브래킷은 고정 레일의 추가 부품(특히, 연결 벽부)과 상호 작용하므로, 캡처 패널의 일부분(특히, 캡처 패널의 가장자리)에 클램핑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브래킷에 대해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캡처 패널의 공동부 내에 맞물릴 그립핑 브래킷이 제공될 수 있다. 캡처 패널의 공동부는 바람직하게 수평으로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그립핑 브래킷은 클램핑 영역을 포함하며, 공동부를 통한 맞물림 이후 클램핑 영역은 상기 공동부가 제공되어 있는 캡처 패널의 부분에 클램핑 작용을 가한다. 그립핑 브래킷이 제공됨으로써, 고정 상태에서 캡처 패널의 수직 이동이 방지된다. 이로써 팬 박스로부터 캡처 패널이 분리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설명한 클램핑 브래킷 및 그립핑 브래킷에 대해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캡처 패널과 고정 레일 사이의 형태 결합을 쉽게 하는 또 다른 연결 부재도 고정 레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하나의 클램핑 브래킷이,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하나의 그립핑 브래킷이 제공되며 그립핑 브래킷의 높이는 클램핑 브래킷의 높이보다 낮다. 따라서, 고정 레일 내로 삽입되는 캡처 패널의 가장자리는 그 전체 높이에 걸쳐서 클램핑 브래킷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의 공동부 내에 맞물리는 그립핑 브래킷이 상기 클램핑 브래킷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 레일은 U자형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며, 연결 영역은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 중 하나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레그는 연결 벽부로도 지칭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고정 레일은 특히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클램핑 브래킷과 그립핑 브래킷은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에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들 사이에 위치한 재료가 굽혀짐으로써 형성된다. U자형 프로파일부의 바닥부 또는 베이스는 팬 박스(특히, 팬 박스의 플랜지)에 대한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대향 배치되는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도 팬 박스에 대한 고정에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U자형 프로파일부에서 이와 같이 대향 배치되는 레그에 의해서는 고정 레일이 팬 박스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그는 지지 벽부로도 지칭된다. U자형 프로파일부의 2개의 레그들 사이의 간격에는, 팬 박스를 덮고 있는 연도의 밑면이 삽입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 레일은 U자형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며 연결 영역들은 대향 배치되는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에 제공된다. 이로써 상기 실시예는 2개의 장착 위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고정 레일이 180°로 회전함으로써 각각 다른 레그가 캡처 패널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 중 하나는 팬 박스의 측면에 대한 지지를 위한 지지 벽부로서 사용된다. 이는 배출기 후드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 레일의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은 상이한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대향 배치되는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에 연결 영역들이 제공되는 고정 레일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고정 레일은 이러한 상이한 높이들에 기초해서, 상이한 높이의 캡처 패널들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180°회전에 의해, 캡처 패널의 상이한 두 높이들 사이가 뒤바뀔 수 있다. 이로써, 상이한 배출기 후드들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 수가 더욱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캡처 패널은 그립핑 브래킷과의 연결을 위해 가장자리에 공동부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캡처 패널은 하나 이상의 로킹 러그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첩 에지부를 내부 가장자리에 포함한다. 로킹 러그는 그립핑 브래킷 또는 클램핑 브래킷을 둘러쌀 수 있으므로 팬 박스에 대한 캡처 패널의 유지를 더욱 개선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측면", "수평" 및 "수직"의 표현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벽에 조립된 상태에 있는 배출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에 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의 고정 레일에 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고정 레일에 대한 절단선 A-A 및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캡처 패널에 고정된 고정 레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레일이 고정된 캡처 패널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7은 고정 레일에 의한 캡처 패널과 팬 박스 사이의 연결 원리를 도시한 스케치이다.
도 8은 상이한 캡처 패널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부품들의 구조와 기능은 경우에 따라 한 번만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1)의 실시예는 팬 박스(2)를 포함하고, 팬 박스는 상자형 기본 본체(20)로 구성되고 팬 박스의 밑면에서 측면에는 플랜지들(21)이 제공되며, 이들 플랜지는 기본 본체(20)의 측면들로부터 각각 외부 쪽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배출기 후드(1)는 내부 프레임(3)을 포함하고, 내부 프레임의 윗면은 팬 박스(2)에, 특히 플랜지들(21)에 연결된다. 내부 프레임(3)은 트로프형 기본 본체(32)를 포함한다. 기본 본체(32)의 바닥부에는 직사각형 통기구(33)가 제공된다.
또한, 배출기 후드(1)는 팬 박스(2)와 내부 프레임(3)으로 구성된 기본 구조부에 고정되는 캡처 패널(4)을 포함한다. 캡처 패널(4)의 윗면은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 공동부의 크기는 적어도 팬 박스(2)의 밑면의 크기에 상응한다. 공동부의 내측면에서 캡처 패널(4)은 하부 방향으로 배향된 각각 하나의 내부 절첩 에지부(42)를 3개의 측면에 포함한다. 내부 프레임(3) 내로는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필터 부재들(7)이 삽입된다. 또한, 배출기 후드(1)는, 내부로 조명 수단들(61)이 삽입되는 라이트 스트립(6)을 포함하며, 조명 수단들은 배선(62)을 통해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배출기 후드(1)는 고정부들(81)을 통해 캡처 패널(4)에 고정되는 작동 부재(8)를 포함한다.
팬 박스(2)에 대한 캡처 패널(4)의 탈착식 연결을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팬 박스(2)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들(5)이 제공된다. 이들 고정 레일(5)은 특히 팬 박스(2)의 플랜지(21)에 고정되며, 플랜지는 측면에서 팬 박스(2)의 기본 본체(20)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외부 쪽을 향해 연장된다.
도 2에는 고정 레일(5)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레일(5)은 U자 형태를 갖는다. 고정 레일(5)의 바닥부(50) 단부에는 공동부 형태의 고정 홈(53)이 각각 제공된다. 도 2에서 U자형 프로파일부 중 좌측의 레그는 지지 벽부(51)가 된다. 반대편 레그는, 캡처 패널(4)을 고정 레일(5)과 연결시켜 팬 박스(2)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 벽부(52)가 된다. 상기 연결 벽부(52)에는 연결 영역들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연결 영역은 클램핑 브래킷(521) 및 그립핑 브래킷(5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들(521, 522)은 각각 슬롯에 의해 연결 벽부(52) 내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클램핑 브래킷(521)이 제공되는데, 이들 클램핑 브래킷은 고정 레일(5)의 바닥부(50)로부터 연결 벽부(52)의 전체 높이 위로 연장되고 연결 벽부(52)에 대해 안쪽으로 즉, 지지 벽부(51) 방향으로 옵셋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두 개의 그립핑 브래킷(522)은 연결 벽부의 상부 에지로부터 고정 레일(5)의 높이의 절반까지만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그립핑 브래킷(522)도 연결 벽부(52)에 대해 안쪽으로 즉, 지지 벽부(51) 방향으로 옵셋된다.
도 2에서의 절단선 A-A 및 B-B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도 3 및 도 4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브래킷(521) 및 그립핑 브래킷(522)과 연결 벽부(52) 사이의 간격에 의해 각각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 내로 캡처 패널(4)의 일부분, 특히 캡처 패널(4)의 가장자리 중 일부분이 삽입된다.
자명한 사실은, 본 발명이 도시된 고정 레일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클램핑 브래킷(521)의 높이는 연결 벽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브래킷(521)은 여전히 연결 벽부(52)의 윗면에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캡처 패널(4)은 밑면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측면과 전방면에 프레임(4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다. 캡처 패널(4)의 윗면에는 캡처 패널(4)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공동부가 제공되며, 상기 공동부 내로 배출기 후드(1)의 팬 박스(2)가 삽입될 수 있다. 공동부의 전방면과 측면을 따라 각각 하나의 내부 절첩 에지부(42)가 제공되고, 절첩 에지부는 캡처 패널(4)의 윗면으로부터 하부 쪽으로 (따라서 도시된 저면도에서는 상부 쪽으로) 연장된다. 내부 절첩 에지부(42)를 통해 캡처 패널(4)은 팬 박스(2)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측면의 내부 절첩 에지부(42)에는 각각 하나의 고정 레일(5)이 부착된다. 따라서, 이들 두 고정 레일(5)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5의 사시도에는 캡처 패널(4)에 대한 고정 레일(5)의 탈착 가능한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레일(5)은 후방 쪽으로부터 캡처 패널(4)의 측면 내부 절첩 에지부(42)에 미끄러지면서 끼워진다. 이때, 클램핑 브래킷(521)은 절첩 에지부(42)의 내부 측면에 잔류한다. 반면, 그립핑 브래킷(522) 하부의 연결 벽부(52) 영역은 로킹 러그(421)의 후방에 배치되고, 로킹 러그는 캡처 패널의 절첩 에지부(42)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로킹 러그(421)는 수평으로 후방을 향해 있다. 로킹 러그(421)는 내부 절첩 에지부(42)의 절반 높이에 제공되어 내부 절첩 에지부(42)의 하부 가장자리까지 닿는다. 고정 레일의 바닥부(50)는 조립 상태에서 캡처 패널(4) 내의 공동부 방향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공동부 내에서 지지 벽부(51)는 고정 레일(5)의 바닥부(50)로부터 상부 쪽으로 돌출한다.
도 7에는 고정 레일(5)에 연결된 캡처 패널(4)의 팬 박스(2)에 대한 고정이 도시되어 있다. 팬 박스(2)에 대한 캡처 패널(4)의 고정은, 우선 고정 레일(5)이 팬 박스(2)에 연결된 다음에야 캡처 패널이 고정 레일(5)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레일(5)의 바닥부(50)는 팬 박스(2)의 플랜지(21)와 나사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랜지가 U자형 프로파일부 내에 수용되어 고정 레일(5)의 바닥부(50)에 지지되도록 고정 레일(5)이 플랜지(21)에 연결된다. 지지 벽부(51)는 팬 박스(2)에 대해 안쪽으로 지지되는 반면, 연결 벽부(52)는 팬 박스(2)에 대해 외부 쪽으로 옵셋되어 상부 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팬 박스(2)를 둘러싸는 연도(9)가 고정 레일(5)의 U자형 프로파일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21)에 대한 고정 레일(5)의 고정은 고정 레일(5)의 고정홈(53) 및 고정 개구(54)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내부 프레임(3)은 하부로부터 나사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 레일(5)의 바닥부(50)는 플랜지(21)의 밑면과 내부 프레임(3)의 윗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처 패널(4)은 팬 박스(2)에 고정되지만, 팬 박스(2)에 고정 연결된 고정 레일(5)의 수평 변위 및 경우에 따른 수직 상승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캡처 패널(4)은 연결 벽부(52)에 제공된 브래킷 구조부의 클램핑력 및 형태 결합력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캡처 패널의 윗면이 내부 절첩 에지부(42)에서 연결 벽부(52)의 상부 가장자리에 지지됨으로써 캡처 패널(4)도 유지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후드(1)의 3개의 상이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들은 사용된 캡처 패널(4)에 의해서만 구별된다. 캡처 패널(4a)은 직사각형의 상자 형태를 갖는, 소위 박스 캡처 패널이다. 캡처 패널(4b)은 단지 높이에 의해서만 캡처 패널(4a)과 구별된다. 캡처 패널(4c)은, 캡처 패널(4c)의 높이가 캡처 패널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배면의 공동부로 갈수록 상승하는, 소위 귀마루지붕형(ripped-roof) 패널이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기 후드(1)에 대한 3개의 실시예 모두 팬 박스(2)와 내부 프레임(3)으로 구성된 동일한 기본 구조부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캡처 패널(4)의 고정을 위해 고정 레일(5)이 사용된다. 상기 고정 레일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모든 배출기 후드에 대해 동일하다. 팬 박스(2)에서 캡처 패널(4)의 높이 차이는 캡처 패널(4a, 4b, 4c)의 절첩 에지부(42)의 각각의 길이에 의해 보상된다.
그러나, 캡처 패널(4a, 4b, 4c)의 각각에 대해 다른 고정 레일(5)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이때, 연결 벽부(52)의 높이가 상이한 고정 레일(5)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캡처 패널(4a, 4b 및 4c)의 절첩 에지부(42)는 동일하다. 또한, 예를 들어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가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두 레그들에 클램핑 브래킷(521) 및/또는 그립핑 브래킷(522)이 제공되어 있는 고정 레일(5)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팬 박스와 함께 기본 구조부를 형성하는 지지형 내부 프레임 구조가 사용되는 배출기 후드에 사용된다. 이러한 굴뚝형 구조에 의해 모든 케이블과 전기 부품들이 내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므로 고객의 접근은 가능하지 않다. 내부 프레임은 중요한 지지형 부재이기 때문에 고객의 애프터서비스의 경우에도 분해될 수 없다. 이러한 구조에서 캡처 패널은 디자인 커버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고장 수리의 경우 캡처 패널이 가급적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어서 수리 기술자가 패널 아래의 부품들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으로 가능하게 된다.
애프터서비스의 경우 단지 기술자는 경우에 따라 내부 프레임과 캡처 패널 사이에서 외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만 분리시키면 되고 계속해서 캡처 패널을 전방 쪽으로 약간 이동시켜 릴리스해서 제거할 수 있다. 팬 박스와 내부 프레임의 지지형 구조부는 전기 부품들과 함께 벽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이제 기술자는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이한 캡처 패널에도 불구하고 기기 자체의 높이에는 차이가 없는데, 이는 캡처 패널이 팬 박스에서 사실상 높게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기의 전체 높이는 모든 캡처 패널 형태에 대해 동일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일련의 장점을 갖는다. 한편으로, 상이한 구조 높이의 캡처 패널에 대해 단일 고정 레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및 보관이 단순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조립이 단순해진다. 결국, 애프터서비스 기술자들은 본 발명에 의해 주요 부품에 더욱 양호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1 : 배출기 후드
2 : 팬 박스
20 : 기본 본체
21 : 플랜지
3 : 내부 프레임
32 : 트로프형 기본 본체
33 : 통기구
4 : 캡처 패널
40 : 프레임 밑면
42 : 내부 절첩 에지
421 : 로킹 러그
5 : 고정 레일
50 : 바닥부
51 : 지지 벽부
52 : 연결 벽부
521 : 클램핑 브래킷
522 : 그립핑 브래킷
53 : 고정 공동부
54 : 고정 개구
6 : 광 스트립
61 : 조명 수단
62 : 배선
7 : 필터 부재
8 : 작동 부재
81 : 고정부
9 : 연도

Claims (13)

  1. 팬 박스(2)와, 내부 프레임(3)과, 캡처 패널(4)을 포함하는 배출기 후드에 있어서,
    상기 팬 박스(2)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레일(5)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 레일은 캡처 패널(4)과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521, 522)을 포함하고,
    내부 프레임(3)은 윗면에서 팬 박스(2)에 연결되고,
    연결 영역들(521, 522) 중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캡처 패널(4)의 일부분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브래킷(5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5)은 팬 박스(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5)은 팬 박스(2) 하부 가장자리의 플랜지(2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 프레임(3)이 플랜지(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521, 522)은 수평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영역들(521, 522) 중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캡처 패널(4)의 공동부 내에 맞물릴 그립핑 브래킷(52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영역들(521, 522) 중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하나의 클램핑 브래킷(521)이 제공되고, 연결 영역들(521, 522) 중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는 하나의 그립핑 브래킷(522)이 제공되며, 그립핑 브래킷(522)의 높이는 클램핑 브래킷(521)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레일(5)은 U자형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며, 연결 영역(521, 522)은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 중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레일은 U자형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며, 연결 영역(521, 522)은 U자형 프로파일부의 대향 배치되는 레그들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11. 제9항에 있어서,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 중 하나는 지지 벽부(51)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12. 제9항에 있어서, U자형 프로파일부의 레그들은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캡처 패널(4)은 하나 이상의 로킹 러그(42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첩 에지부(42)를 내부 가장자리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후드.
KR1020127004372A 2009-08-21 2010-08-16 배출기 후드 KR101696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910028807 DE102009028807A1 (de) 2009-08-21 2009-08-21 Dunstabzugshaube
DE102009028807.4 2009-08-21
PCT/EP2010/061878 WO2011020808A1 (de) 2009-08-21 2010-08-16 Dunstabzugsha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455A KR20120050455A (ko) 2012-05-18
KR101696501B1 true KR101696501B1 (ko) 2017-01-13

Family

ID=4330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372A KR101696501B1 (ko) 2009-08-21 2010-08-16 배출기 후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67649B1 (ko)
KR (1) KR101696501B1 (ko)
CN (1) CN102472504B (ko)
DE (1) DE102009028807A1 (ko)
EA (1) EA021949B1 (ko)
ES (1) ES2601207T3 (ko)
WO (1) WO2011020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20066B3 (de) 2014-06-12 2022-06-09 Miele & Cie. Kg Dunstabzugshaube
DE102014108248B4 (de) * 2014-06-12 2021-07-29 Miele & Cie. Kg Dunstabzugshaube
CN105972658B (zh) * 2014-11-26 2019-06-11 中山市日顺厨卫有限公司 可快速连接和拆分的吸油烟机
FR3045787B1 (fr) * 2015-12-21 2019-07-19 Groupe Brandt Hotte aspirante et procede d'installation simplifie associe
CN108506983A (zh) * 2018-04-25 2018-09-07 中山市风田集成厨卫电器有限公司 一种集烟柜及其制造方法
CN111608717B (zh) * 2020-05-25 2021-06-15 中国矿业大学 板-口耦合式排烟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3104U1 (de) 1999-02-20 1999-05-12 Atag Kitchen Group Bv Modulare Dunstabzughaube
EP1548369A2 (de) 2003-12-23 2005-06-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bindungseinrichtung für eine Dunstabzugsvorrichtung
DE202005018078U1 (de) 2005-11-18 2006-05-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unstabzugshaube und Gehäuse für Dunstabzugshaube
CN201242204Y (zh) 2008-07-04 2009-05-20 袁庆堂 分体式抽油烟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261A (en) * 1982-01-15 1983-11-29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 and ventilator system
DE29914232U1 (de) * 1999-08-18 1999-12-16 Buercher Friedrich Kamingehäuse-Aufhängung für eine Dunstabzugshaube
DE10110251A1 (de) * 2001-03-05 2002-09-12 Imp Werke Ohg Dunstabzugshaube
US6499482B1 (en) * 2001-08-24 2002-12-31 Shun-Chang Hung Discharge tube shielding hood for an extractor
DE20316130U1 (de) * 2003-10-21 2004-04-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atz von Schubladen-Dunstabzugshauben
DE102005002148A1 (de) * 2005-01-17 2006-07-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chendunstabzugsvorrichtung
CN201206865Y (zh) * 2008-04-18 2009-03-11 姚国祥 分合式抽油烟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3104U1 (de) 1999-02-20 1999-05-12 Atag Kitchen Group Bv Modulare Dunstabzughaube
EP1548369A2 (de) 2003-12-23 2005-06-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bindungseinrichtung für eine Dunstabzugsvorrichtung
DE202005018078U1 (de) 2005-11-18 2006-05-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unstabzugshaube und Gehäuse für Dunstabzugshaube
CN201242204Y (zh) 2008-07-04 2009-05-20 袁庆堂 分体式抽油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21949B1 (ru) 2015-10-30
CN102472504A (zh) 2012-05-23
KR20120050455A (ko) 2012-05-18
WO2011020808A1 (de) 2011-02-24
EA201270287A1 (ru) 2012-09-28
EP2467649B1 (de) 2016-10-12
EP2467649A1 (de) 2012-06-27
DE102009028807A1 (de) 2011-02-24
ES2601207T3 (es) 2017-02-14
CN102472504B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501B1 (ko) 배출기 후드
KR20120047955A (ko) 배출기 후드용 내부 프레임 및 배출기 후드
EP2937642B1 (en) Air-conditioning unit
KR101786144B1 (ko)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필터 유닛
CN104242070B (zh) 一种用于配电盘的框架组件以及相关的框架和配电盘
RU2756709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сборки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30087133A1 (en) Ventilating range hood
KR101712224B1 (ko) 배출기 후드, 배출기 후드용 키트 및 배출기 후드 조립 방법
EP266447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7481322B2 (en) Rack for vehicles, preferably hat rack
EP1241040A2 (en) Instrument panel frame
CN103867359B (zh) 安装在车辆的发动机中的空气滤清器
EP3076095A1 (en) Indoor unit
JP5260691B2 (ja) 空気調和機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8196801A (ja) レンジフード
US7445546B2 (en) Housing for an extractor hood and ventilator housing
US20070296315A1 (en) Cabinet With an Integral Framework for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CN111503726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JP4918413B2 (ja) 冷蔵ショーケース
US20070010187A1 (en) Ventilator housing
EP3321134B1 (en) Vehicle roof console integrated with capacitive gesture recognition module
JP6681003B2 (ja) 給湯器の取付け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給湯器用のブラケット
JP5112355B2 (ja) 扉一体型制御盤
JP2008196802A (ja) レンジ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