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060B1 - 유체 청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청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060B1
KR101696060B1 KR1020150029267A KR20150029267A KR101696060B1 KR 101696060 B1 KR101696060 B1 KR 101696060B1 KR 1020150029267 A KR1020150029267 A KR 1020150029267A KR 20150029267 A KR20150029267 A KR 20150029267A KR 101696060 B1 KR101696060 B1 KR 10169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mber
fluid
foreign
foreign matt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834A (ko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2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0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29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with circulating matrix or matrix elements
    • B03C1/03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with circulating matrix or matrix elements rotating, e.g. of the carous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조 및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회동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의 높이에 변화에 대응되게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이물배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청정화 장치{Fluid pur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 청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포함한 유체가 저장된 저장조 바닥부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출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유체 청정화 효율을 높이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산업 분야에서는 각종 유체를 이용하여 가공작업(예를 들어 액압을 이용하는 하이드로 포밍 등)을 하고, 사용된 유체를 청정화하여 재사용하고 있다.
즉, 가공작업에 사용된 유체 중에 함유된 철가루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청정화된 유체를 다시 가공작업에 사용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f)에 포함된 이물질(s)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미세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물질(s)이 자중에 의해 일부 영역에 모이도록 하기 위해서, 유체(f)가 저장된 저장조(100')의 바닥부(110')는 경사진 형상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일부 깊이가 깊은 영역에 제공되는 이물질까지 흡입수단이 밀착하여 상기 이물질을 흡입배출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의해, 청정화가 완전히 되지 않은 유체가 재사용됨으로써, 가공작업에 의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체 청정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이나 기타 이물질 특히,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유체의 청정화 정도를 높여 유체 재사용시의 가공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유체 청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조 및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회동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의 높이에 변화에 대응되게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이물배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필터부재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의 이물질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처리되는 자력밸트 및 상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이물질 이외의 이물질이 메쉬 형상 사이에 끼워지게 부착되어 처리되는 거름망밸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필터부재는 자력밸트로 제공되며, 상기 자력밸트는 외측면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소재로 형성되며, 내측면은 상기 상부롤부재 및 하부롤부재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거나,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물배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와 연계되며, 상기 저장조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필터부재를 밀착하게 구비되는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연계되는 상부롤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연계되는 하부롤부재 및 상기 상부롤부재와 상기 하부롤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부재의 측면부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구비되는 지지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지지링크부재는, 상기 상부롤부재와 연결된 상부지지바, 상기 하부롤부재와 연결된 하부지지바, 4절 링크로 제공되며, 4절 링크의 상단모서리부는 상기 상부지지바와 연결되고, 하단모서리부는 상기 하부지지바와 연결되며, 나머지 모서리 부분인 양측모서리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측면부와 밀착되는 중앙롤부재가 연결된 중앙링크바 및 상기 중앙링크바의 양측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양측모서리부가 서로 인접하게 오므라들도록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닥부와 수평한 방향의 긴 홈 형상으로 상기 저장조의 상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기어결합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롤부재에 고정결합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에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물배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에서 이탈 제거하는 이물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물수집부는, 상기 장력유지부에 결합되며,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홈이 형성된 수집바디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 외측면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집바디부재에 결합되는 스윕판재 및 상기 수집바디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집홈과 연통되는 흡입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는 유체에 포함된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배출하는 동시에, 침적 등에 의해 저장조의 바닥부에 안착된 이물질에 근접하여 상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유체 내부의 이물질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체 청정화도의 향상에 의해서, 유체의 재사용하여 가공작업 수행시의 가공설비의 작동 에러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체 청정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장력유지부 주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장력유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송부 주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송부 주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물수집부 주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물수집부 주변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는 이물질(s)을 포함한 유체(f)가 저장된 저장조(100) 바닥부(110)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이물질(s)을 배출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는 유체(f)에 포함된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s)을 자력에 의해 배출하는 동시에, 침적 등에 의해 저장조(100)의 바닥부(110)에 안착된 이물질(s)에 근접하여 상기 이물질(s)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체(f) 내부의 이물질(s)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어, 유체(f) 청정화도를 향상시켜, 유체(f)의 재사용하여 가공작업 수행시의 가공설비의 작동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조(100) 및 상기 유체(f)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회동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110)의 높이에 변화에 대응되게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이물배출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필터부재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의 이물질(s)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처리되는 자력밸트(210) 및 상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이물질 이외의 이물질이 메쉬 형상 사이에 끼워지게 부착되어 처리되는 거름망밸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필터부재는 자력밸트(210)로 제공되며, 상기 자력밸트(210)는 외측면(211)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소재로 형성되며, 내측면(212)은 상기 상부롤부재(231) 및 하부롤부재(232)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거나,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상기 필터부재와 연계되며,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10)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부(220) 및 상기 이송부(220)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110)와 상기 필터부재를 밀착하게 구비되는 장력유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조(100)는 가공작업 등에 사용되었던 유체(f)가 저장되어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특히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s)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유체(f)가 저장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f)는 특히 액압을 이용한 하이드로 포밍 작업 후에 발생되는 확관액일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이물배출유닛(200)과 연계되어, 상기 유체(f)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저장조(100)에는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배관 및 청정화된 유체(f)가 배출되는 유출배관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상기 저장조(100)에 저장된 유체(f) 내부의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s) 및 오일 등의 자력에 의한 배출이 어려운 이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배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상기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밸트(210) 및 메쉬 형상으로 제공되는 거름망밸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자력밸트(210)는 상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s)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제공되어,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s)을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밸트는 메쉬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메쉬 형상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끼워져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회동에 의해서, 상기 이물질을 저장조(100)의 상단부(120)로 이동시켜 배출하게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상기 저장조(100)의 바닥부(110) 높이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바닥부(110)에 밀착되게 제공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안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120)까지 이동시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이송부(220), 장력유지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필터부재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조(10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이물질은 상기 저장조(100) 내부의 바닥부(110) 전체에 안착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바닥부(110)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바닥부(110)의 모든 영역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220)는 이동바(221), 구동모터(222)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만,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필터부재 및 장력유지부(230)를 상기 저장조(10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이송부(220)일 수 있으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가 상기 필터부재 및 장력유지부(23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키는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부(230)는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바닥부(110)에 밀착되게 제공되면서도 상기 필터부재의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가 무한궤도의 회전 구동과 같은 회동구동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력유지부(230)는 상기 저장조(100)의 바닥부(110)의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닥부(110)에 밀착되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물질(s)의 배출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저정조 내부의 이물질이 일정 부분에 모여서 쌓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110)는 일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바닥부(110)의 형상은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120)를 기준으로 깊이가 달라지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바닥부(110)의 형상으로 제공되어도, 상기 저장조(100) 내부로 진입되는 흡입수단이 제공되는 깊이는 동일하기 때문에, 비교적 깊이가 깊은 부분에 쌓인 이물질의 배출은 어려운 한계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는 상기 바닥부(110)에 밀착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력유지부(230)는 상부롤부재(231), 하부롤부재(232), 지지링크부재(233)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저장조(100)에 쌓여서 제공되는 이물질을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로 이동되도록,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부착 또는 메쉬 형상에 끼워서 제공하여, 상기 이송부(220), 장력유지부(230)와 협력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밸트(210) 및 메쉬 형상으로 제공되는 거름망밸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인 이물질(s)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제공되는 자력밸트(210) 및 메쉬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메쉬 형상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끼워지게 제공되는 거름망밸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필터부재가 자력밸트(210)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자성소재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야 한다. 일례로써, 상기 자력밸트(210)는 외측면(211)은 자성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물질(s)이 부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자력밸트(210)의 내측면(212)은 고무재질의 소재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상부롤부재(231), 하부롤부재(232)와의 마찰력을 높여서, 상기 상부롤부재(23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롤부재(2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력밸트(210)의 내측면(212)은 상기 상부롤부재(231), 하부롤부재(232)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재질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결합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돌출된 형상의 결합돌기 부분은 상기 상부롤부재(231), 하부롤부재(232)와의 가압력이 더 증가하므로, 마찰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장력유지부(230) 주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장력유지부(23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장력유지부(230)는, 상기 이송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연계되는 상부롤부재(231),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연계되는 하부롤부재(232) 및 상기 상부롤부재(231)와 상기 하부롤부재(232)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부재의 측면부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구비되는 지지링크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지지링크부재(233)는, 상기 상부롤부재(231)와 연결된 상부지지바(234), 상기 하부롤부재(232)와 연결된 하부지지바(235), 4절 링크로 제공되며, 4절 링크의 상단모서리부(236a)는 상기 상부지지바(234)와 연결되고, 하단모서리부(236b)는 상기 하부지지바(235)와 연결되며, 나머지 모서리 부분인 양측모서리부(236c)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측면부와 밀착되는 중앙롤부재(237)가 연결된 중앙링크바(236) 및 상기 중앙링크바(236)의 양측모서리부(236c)에 구비되며, 상기 양측모서리부(236c)가 서로 인접하게 오므라들도록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23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장력유지부(230)는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바닥부(110)에 밀착되게 제공되면서도 상기 필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부롤부재(231), 하부롤부재(232), 지지링크부재(233) 등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롤부재(231)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하부롤부재(232)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필터부재가 무한궤도와 같이 회동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롤부재(231)는 상기 이송부(220)에 연계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이 상기 필터부재에 다시 전달되어 상기 필터부재가 회동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부재(231)와 하부롤부재(232)는 후술할 지지링크부재(233)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지지링크부재(233)는 상기 상부롤부재(231)와 하부롤부재(23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상기 지지링크부재(233)는 상기 필터부재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구비되기 위해서, 4절 링크 형상의 중앙링크바(236)를 포함한, 상부지지바(234), 하부지지바(235), 탄성부재(2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지지바(234)는 상기 상부롤부재(231)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지지바(235)는 상기 하부롤부재(232)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지지바(234)와 하부지지바(235)는 4절 링크의 중앙링크바(236)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링크바(236)는 상기 탄성부재(238)에 의해서 상기 탄력적으로 상기 필터부재에 밀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링크바(236)는 4절 링크로 제공되는데, 여기서, 4절 링크의 상단모서리 부분인 상단모서리부(236a)는 상기 상부지지바(234)와 연결되고, 상기 4절 링크의 하단모서리 부분인 하단모서리부(236b)는 상기 하부지지바(235)와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4절 링크의 나머지 모서리 부분인 양측모서리부(236c)는 수축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8)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오므라들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한 묘사는 도 4를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도 4의 (a)는 상기 양측모서리부(236c)가 탄성부재(238)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상기 하부롤부재(232)가 위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양측모서리부(236c) 사이가 멀어지며, 상기 하부롤부재(232)가 위쪽으로 밀린 위치를 완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일반적인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양측모서리부(236c)가 서로 인접하게 제공되어 오므라든 상태이고, 상기 하부롤부재(232)가 상기 바닥부(11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위쪽으로 밀리는 경우에는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양측모서리부(236c)가 멀어져서, 상기 필터부재에 탄력적으로 밀착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중앙링크바(236)의 상기 양측모서리부(236c)는 상기 필터부재와 연계되기 위해서, 중앙롤부재(237)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송부(220) 주변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송부(220) 주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바닥부(110)와 수평한 방향의 긴 홈 형상으로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21)에 기어결합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롤부재(231)에 고정결합되는 이동바(221) 및 상기 이동바(221)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221)에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필터부재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조(10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 이동바(221), 구동모터(222) 등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모터(222)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구동모터(2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이동바(221)에 의해서 상기 저장조(10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이동바(221)는 상기 상부롤부재(231)와 연계됨으로써, 상기 상부롤부재(231)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상부롤부재(231)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재가 무한궤도와 같이 회동되게 작동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동바(221)는 상기 상부롤부재(231)의 회전축 위치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모터(222)와 연결된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221)는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21)에 기어결합됨으로써,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1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홈(121)은 상기 저장조(100)의 수평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상기 저장조(100)의 상단부(120)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21)의 하측면에는 기어이(gear tooth)가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상측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21)의 하측면에 형성된 기어이는 상기 이동바(221)에 형성된 기어(221a)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22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홈(121)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측홈은 상기 기어(221a)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저정조 벽부의 두께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221a)가 위치히게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물수집부(240) 주변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유체 청정화 장치에서 이물수집부(240) 주변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에서 이탈 제거하는 이물수집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청정화 장치의 상기 이물수집부(240)는, 상기 장력유지부(230)에 결합되며,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홈(241a)이 형성된 수집바디부재(241),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 외측면(211)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집바디부재(241)에 결합되는 스윕판재(242) 및 상기 수집바디부재(241)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집홈(241a)과 연통되는 흡입배출수단(24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배출유닛(200)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서 상측으로 이동된 이물질을 이탈 제거하기 위해서, 이물수집부(240)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수집부(240)의 구체적 구성으로 수집바디부재(241), 스윕판재(242), 흡입배출수단(243) 등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집바디부재(241)는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서 저장조(100)의 상단부(120)로 이동된 이물질이 분리되면 모여지는 바디의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집바디부재(241)는 상기 장력유지부(230)의 지지링크부재(233) 중의 상부지지바(234)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이물질이 수집 안착되는 수집홈(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윕판재(242)는 상기 필터부재에 부착된 이물질(s)을 이탈시켜 분리하여 상기 수집홈(241a)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윕판재(242)는 일단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의 외측면(211)에 밀착되게 제공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집홈(241a)을 향하게 상기 수집바디부재(241)에 결합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스윕판재(242)가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면(211)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 내는 것이다.
상기 흡입배출수단(243)은 상기 수집홈(241a)에 모여진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흡입배출수단(243)은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로 제공되며, 상기 수집홈(241a)과 연통되는 플렉시블한 관재로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을 흡입배출할 수 있다.
100: 저장조 110: 바닥부
120: 상단부 121: 가이드홈
200: 이물배출유닛 210: 자력밸트
211: 외측면 212: 내측면
220: 이송부 221: 이동바
222: 구동모터 230: 장력유지부
231: 상부롤부재 232: 하부롤부재
233: 지지링크부재 234: 상부지지바
235: 하부지지바 236: 중앙링크바
237: 중앙롤부재 238: 탄성부재
240: 이물수집부 241: 수집바디부재
242: 스윕판재 243: 흡입배출수단

Claims (9)

  1.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조; 및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저장조의 높이 방향으로 회동하는 밸트 형상의 필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저장조의 바닥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장조의 바닥부의 높이에 변화에 대응되게 길이가 신축되고 상기 필터부재 내측에 제공되는 장력유지부가 구비되는 이물배출유닛;
    을 포함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의 이물질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처리되는 자력밸트 및 상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이물질 이외의 이물질이 메쉬 형상 사이에 끼워지게 부착되어 처리되는 거름망밸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자력밸트로 제공되며,
    상기 자력밸트는,
    외측면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소재로 형성되며,
    내측면은 상기 장력유지부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거나,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유닛은,
    상기 장력유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조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연계되는 상부롤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연계되는 하부롤부재; 및
    상기 상부롤부재와 상기 하부롤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부재의 측면부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구비되는 지지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부재는,
    상기 상부롤부재와 연결된 상부지지바;
    상기 하부롤부재와 연결된 하부지지바;
    4절 링크로 제공되며, 4절 링크의 상단모서리부는 상기 상부지지바와 연결되고, 하단모서리부는 상기 하부지지바와 연결되며, 나머지 모서리 부분인 양측모서리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측면부와 밀착되는 중앙롤부재가 연결된 중앙링크바; 및
    상기 중앙링크바의 양측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양측모서리부가 서로 인접하게 오므라들도록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닥부와 수평한 방향의 긴 홈 형상으로 상기 저장조의 상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기어결합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롤부재에 고정결합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에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에서 이탈 제거하는 이물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수집부는,
    상기 장력유지부에 결합되며,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홈이 형성된 수집바디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 외측면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집바디부재에 결합되는 스윕판재; 및
    상기 수집바디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집홈과 연통되는 흡입배출수단;
    을 포함하는 유체 청정화 장치.
KR1020150029267A 2015-03-02 2015-03-02 유체 청정화 장치 KR10169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67A KR101696060B1 (ko) 2015-03-02 2015-03-02 유체 청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67A KR101696060B1 (ko) 2015-03-02 2015-03-02 유체 청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34A KR20160106834A (ko) 2016-09-13
KR101696060B1 true KR101696060B1 (ko) 2017-01-24

Family

ID=5694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267A KR101696060B1 (ko) 2015-03-02 2015-03-02 유체 청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31B1 (ko) 2018-11-23 2019-07-11 주식회사 삼영필텍 히팅 공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기술 및 코로나 방전 유도 기술이 적용된 오일 청정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08Y1 (ko) 1999-12-22 2000-07-15 한샘이앤지주식회사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장치
JP2004267955A (ja) 2003-03-11 2004-09-30 Hitachi Kiden Kogyo Ltd 汚泥掻寄機の据付・組立用冶具
JP2006076813A (ja) 2004-09-08 2006-03-23 Ando Corp 堆肥化施設の切返し装置及び堆肥材料切返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742U (ja) * 1992-10-12 1994-05-10 日立金属株式会社 磁気式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08Y1 (ko) 1999-12-22 2000-07-15 한샘이앤지주식회사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장치
JP2004267955A (ja) 2003-03-11 2004-09-30 Hitachi Kiden Kogyo Ltd 汚泥掻寄機の据付・組立用冶具
JP2006076813A (ja) 2004-09-08 2006-03-23 Ando Corp 堆肥化施設の切返し装置及び堆肥材料切返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34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79730A (ja) 切削チップの処理装置
EP2721985A2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US6495031B1 (en) Enclosed belt filter apparatus
KR20180075392A (ko) 바닥 스크러버 건조 스윕 장치
KR101696060B1 (ko) 유체 청정화 장치
JP2010253619A (ja) 可搬型切削液再利用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切削液再利用処理方法
KR20130063655A (ko) 자동필터 구조를 갖는 산업진공청소기
CN108159798A (zh) 一种布袋清灰装置
KR101659899B1 (ko) 로타리 제진기
JP2006231291A (ja) マグネットフィルター
EP4356809A1 (en) Recycling bucket and cleaning device
JP2012091311A (ja) チップコンベヤ装置
JP2012254516A (ja) 濾過機、当該濾過機が搭載されたチップコンベヤ装置、及び濾過機に使用するフィルター
US9237835B2 (en)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US20120211429A1 (en) Magnetic discharge out of bottle cleaning machines
US20110017656A1 (en) Rotary filtration device
JP2010240531A (ja) スクリーンメッシュ式塵埃除去装置
US10933358B2 (en) Sweeper and filter assembly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KR20150096243A (ko) 슬러리의 고형물 분리처리용 스크린설비의 왕복 스크래이퍼 장치
KR20170022696A (ko)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산업용 진공청소기
JP2013151355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板清掃装置
JPH06210198A (ja) 固形体回収装置
JP2006159393A (ja) クーラント濾過装置
KR102539786B1 (ko) 오폐수용 섬유여과장치
CN107053759B (zh) 一种纸盒加工吸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