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131B1 -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131B1
KR101695131B1 KR1020160067398A KR20160067398A KR101695131B1 KR 101695131 B1 KR101695131 B1 KR 101695131B1 KR 1020160067398 A KR1020160067398 A KR 1020160067398A KR 20160067398 A KR20160067398 A KR 20160067398A KR 101695131 B1 KR101695131 B1 KR 101695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paper
functional
freezing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묵
김경현
Original Assignee
김춘묵
김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묵, 김경현 filed Critical 김춘묵
Priority to KR102016006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BMECHANICAL TREATMENT OF NATURAL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TO OBTAIN FIBRES OF FILAMENTS, e.g. FOR SPINNING
    • D01B1/00Mechanical separation of fibres from plant material, e.g. seeds, leaves, stalks
    • D01B1/10Separating vegetable fibres from stalks or leav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C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NATURAL FILAMENTARY OR FIBROUS MATERIAL TO OBTAIN FILAMENTS OR FIBRES FOR SPINNING; CARBONISING RAGS TO RECOVER ANIMAL FIBRES
    • D01C1/00Treatment of vegetable material
    • D01C1/02Treatment of vegetable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to obtain bast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14Disintegrating in mil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22Other features of pulping processes
    • D21C3/26Multistage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66Pulp catching, de-watering, or recovering; Re-use of pulp-wat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01Drying webs by radiant heating
    • D21F5/002Drying webs by radiant heating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보다는 보다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양질의 신선초와 아바카(대마잎)성분 및 대마를 포함하는 기능성 대마원사를 제조 생산할 수 있고, 동시에 동결건조 및 초음파분쇄 또는 교반형의 초미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다공성 미세분말의 해리율을 증가시키며,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한 분진 및 수질오염물질을 크게 저감시켜 제조될 수 있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은, (a) 1cm 이하로 절단시킨 대마 줄기, 아바카, 신선초를 혼합기내에서 혼합시키면서 증류수로 분사 세척시키는 공정과; (b) 혼합 세척된 원료를 냉동기가 가동된 동결 챔버에서 일정 범위의 영하 온도와 진공상태의 감압 분위기에서 동결시켜 원료내 조직을 다공성 상태로 제조시키는 공정과; (c) 동결된 원료를 건조실로 투입시킨 후 이송컨베어를 통해 일정 구간 이송시키면서 건조실의 감압 분위기에서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파장을 통해 동결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d) 동결 건조된 다공성 원료를 해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쇄기에 투입하여 초음파 분쇄 또는 교반 초미 분쇄를 통해 미세한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과; (e) 나노 분말에 물을 넣고 고온/고압의 분위기에서 삶고 유기물을 분리시켜 펄프를 만든 후, 펄프를 초지기를 이용하여 탈수, 압착 건조시킨 후 와인더에 감아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종이를 제조하는 공정과; (f) 종이를 한쪽에서 리와인딩 시키면서 이송구간에서 노즐을 통해 나노 단위의 광물질의 합성물질과 원적외선 액을 도포시킨 후,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열 파장을 통해 건조시켜 항균처리하는 공정처리후 완성된 권취된 종이 롤을 다른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정된 크기의 절단슬리팅기를 통해 종이를 다른 쪽에서 가는 폭으로 절단하여 보빈에 권취시킨 후, 절단 종이를 연사기를 통해 연사하여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사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Angelica comprising functionality hemp threa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마섬유는 단순히 거칠고 딱딱하며, 유연성이 부족하여 직물로는 그다지 애용되지 않고 있으나 내구력 및 내수성이 강하여 옷으로는 전통복, 장례복, 수의 일부와, 모기장, 어망사 및 로우프, 호스, 소방관련 비품, 등 각종 공업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바, 이에 기존 대마 원사보다는 보다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대마사를 만들기 위해 대마줄기 성분에 양질의 신선초를 가공 첨가하고, 아바카(대마잎)를 첨가 배합하여, 기능성 대마원사를 제조 생산할 수 있고, 동시에 이를 위하여, 동결건조 및 초음파분쇄 또는 교반형의 초미분쇄 방법을 사용하여 기능성 대마원사를 제조 생산하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얻은 대마입자는, 보통 일반 건조할 경우 수분만 빠져나간 대마입자의 분자 정공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져 다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지만, 동결건조 및 초음파 분쇄 또는 교반형 초미세 분쇄 방법을 사용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저온 냉동 동결시킨 후 건조 증발하시므로, 수분만 빠져나간 대마입자의 분자 정공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지지 않는, 다공성이 확보되어, 기존방법으로 대마원사를 만들었을 때 보다 더 우수한, 속건성, 소취성, 유연성이 좋아지고, 또한, 미세한 나노 분말로 가공하기 쉬운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어서, 나노 분자화된 미세 다공성 분말형태로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해리율(解離率)을 증가시켜 주며,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한 분진 및 수질오염물질을 크게 저감시켜 줌으로, 대마원사가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속건성, 소취성, 인장력이 더 뛰어난 대마사를 만들기 위한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유의 천연섬유인 대마포는 대마를 원료로 하여 만들고 있으며, 마(麻)섬유는 인류역사가 시작되면서 부터 직물원료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식물학상으로 분류를 하면 무려 50~60여종으로, 의료용으로는 아마, 저마(모시), 대마가 적용되고, 그물의 벼리용 줄이나 배의 로우프용으로는 마닐라마, 시살마가 적용되고, 포장용으로는 황마 등이 적용된다. 마섬유는 단순히 길고 거칠고 딱딱한하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유럽 쪽에서는 각가의 독특한 이름들을 붙이고 있으나 동양에서는 모두 마섬유라고 통칭하고 있다. 마섬유는 거칠고 딱딱하므로 일괄 경질섬유(硬質纖維, hard fiber)라고도 한다. 그리고 중에서 비교적 유연한 아마, 저마, 황마는 연질마(軟質麻, soft hemp), 좀더 딱딱한 마닐라마, 시살마 등은 경질마(硬質麻, hard hemp)로 구분하기도 한다.
현재 대마를 사용하여 원사를 만들기 위한 제조 방법은 크게 3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알칼리 펄프화법, 알칼리-과산화수소 펄프화법 및 설포메틸 펄프화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08905호로서, '대마사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스팀 공정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잘린 삼 껍질의 겉피와 속피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단계; 상기 스팀 공정을 거친 삼 껍질이 일정한 면적만큼 펼쳐진 상태로 건조기에 삽입되어 1차 건조되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삼 껍질이 일정 시간동안 물에 불려져 상기 겉피와 속피가 분리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속피가 일정한 면적만큼 펼쳐져 표백용 건조기에 삽입되어 2차 건조되는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속피가 그늘진 양생고에서 식물성 유연제에 침지되면서 적층되고, 자연 양생되어 부풀어지는 단계; 상기 양생된 속피가 섬유질대로 세분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기준으로 긴 섬유 및 짧은 섬유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긴 섬유 및 짧은 섬유가 방적 공정을 통해 각각 방적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마사를 제작함은 물론, 별도의 표백제 사용 및 염색을 하지 않고 대마의 고유 색상을 지닌 대마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동결 분쇄의 과정이 없기 때문에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양질의 섬유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03832호로서, '전자빔을 이용한 대마 인견사 제조용 종이 및 산업용 종이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대마 원료를 잘게 자른 후 전자빔을 조사하여 대마의 해리율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대마의 해리율을 증가시킨 결과물을 일정 온도와 시간 동안 증해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마 인견사 제조용 및 산업용 종이가 제작된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종이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끝나기 때문에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양질의 섬유를 얻을 수 없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08905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038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원사보다는 보다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양질의 신선초와 아바카(대마잎)성분 및 대마를 포함하는 기능성 대마원사를 제조 생산할 수 있고, 동시에 동결건조 및 초음파분쇄 또는 교반형의 초미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대마원사를 만들었을 때, 기존방법으로 대마원사를 만들었을 때 보다 더 우수한, 속건성, 소취성, 유연성이 좋아지고, 또한 미세한 나노 분말로 가공하기 쉬운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어서, 나노 분자화된 미세 다공성 분말형태로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해리율(解離率)을 증가시켜 주며,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한 분진 및 수질오염물질을 크게 저감시켜 줌으로, 대마원사가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속건성, 소취성, 인장력이 더 뛰어난 대마사를 만들기 위한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은,
(a) 1cm 이하로 절단시킨 대마 줄기, 아바카, 신선초를 혼합기내에서 혼합시키면서 증류수로 분사 세척시키는 공정과;
(b) 혼합 세척된 원료를 냉동기가 가동된 동결 챔버에서 일정 범위의 영하 온도와 진공상태의 감압 분위기에서 동결시켜 원료내 조직을 다공성 상태로 제조시키는 공정과;
(c) 동결된 원료를 건조실로 투입시킨 후 이송컨베어를 통해 일정 구간 이송시키면서 건조실의 감압 분위기에서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파장을 통해 동결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d) 동결 건조된 다공성 원료를 해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쇄기에 투입하여 초음파 분쇄 또는 교반 초미 분쇄를 통해 미세한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과;
(e) 나노 분말에 물을 넣고 고온/고압의 분위기에서 삶고 유기물을 분리시켜 펄프를 만든 후, 펄프를 초지기를 이용하여 탈수, 압착 건조시킨 후 와인더에 감아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종이를 제조하는 공정과;
(f) 종이를 한쪽에서 리와인딩 시키면서 이송구간에서 노즐을 통해 나노 단위의 광물질의 합성물질과 원적외선 액을 도포시킨 후,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열 파장을 통해 건조시켜 항균처리하는 공정처리후 완성된 권취된 종이 롤을 다른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정된 크기의 절단슬리팅기를 통해 종이를 절단하여 보빈에 권취시킨 후, 절단 종이를 연사기를 통해 연사하여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사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동결 챔버에서는 영하 10℃~ 영하 30℃의 저온과 1~4mmHg 이하의 감압 분위기가 형성되어 동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건조실에는 열(熱)적으로 접속되어 표면에 냉각되는 콜드패널을 갖는 콜드트랩이 하나 이상 더 설치되어 건조실 내 승화 수증기를 응축시켜 포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단계에서 종이에 도포되는 나노 크기의 광물질은 나노 세라믹 분말(NANO CEREAMIC POWDER), 맥반석 분말, 지올라이트(ZEOLITE) 분말, 벤토나이트(BENTONITE), 항균 세라믹 분말(CERAMIC POWDER),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대마 줄기 30~40, 아바카 55~65, 신선초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양질의 신선초와 아바카(대마잎)성분 및 대마를 포함하여 제조하고, 또한 제조 공정 중 동결건조 및 초음파분쇄 또는 교반형의 초미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기존방법으로 대마원사를 만들었을 때 보다 더 우수한,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속건성, 소취성, 인장력이 더 뛰어난 기능성 대마원사를 제조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나노 분말로 가공하기 쉬운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어서, 나노 분자화된 미세 다공성 분말형태로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해리율(解離率)을 증가시켜주며,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한 분진 및 수질오염물질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동결 건조 및 분쇄 공정을 보여주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종이에 항균 처리 후 미세한 폭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시스템의 구성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원료 절단 및 세척 공정>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1cm 이하로 절단시킨 대마 원료를 혼합기(10)내에서 혼합시키면서 증류수로 분사 세척시키는 단계(S11)를 갖는다.
대마 원료는 아마(flax), 대마(hemp), 황마(jute), 케나프(kenaf), 아바카(abaca)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대마 원료에는 신선초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마 줄기 30~40, 아바카 55~65, 신선초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경우 보다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양질의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원료 동결 공정>
그 다음, 도 2와 같이 혼합 세척된 원료를 냉동기(22)가 가동된 동결 챔버(20)에서 일정 범위의 영하 온도와 진공상태의 감압 분위기에서 동결시켜 원료내 조직을 다공성 상태로 제조시키는 단계(S12)를 갖는다.
이같이 동결 공정에서는 원료내 분자막이 저온에서 단단해지므로 이대로 건조되어도 기공 협착이 일어나지 않는 이점을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 동결 챔버에서는 영하 10℃~ 영하 30℃의 저온과 1~4mmHg 이하의 감압 분위기가 형성되어 동결이 이루어진다. 동결챔버(20)에는 진공펌프(24)가 접속되어 감압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온도와 감압 조건은 분리 해리된 대마입자 속에 수분이 빠른 시간 내에 얼게된 후 건조 증발하여 수분만 빠져나간 대마입자의 정공의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공성이며 미세한 나노 분말로 가공하기 쉬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나노 분자화한 후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또 물에 대한 수용성 분말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동결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함이다.
<건조 공정>
그 다음, 동결된 원료를 도 2와 같이 건조실(30)로 투입시킨 후 이송컨베어(32)를 통해 일정 구간 이송시키면서 건조실내의 감압 분위기에서 원적외선 히터(34)(또는 원적외선 램프)에서 방사되는 파장을 통해 동결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건조(S13)시킨다.
이때 원적외선 히터(34)는 이송켄베어(32)의 상방에 다수 설치되어 고르게 원적외선이 이송컨베어(32)에 실려가는 원료에 방사되도록 한다. 건조실(30)에는 진공펌프(36)가 접속되어 감압 분위기를 형성한다.
건조 공정에서 건조실(30)에는 표면에 건조실 내 승화 수증기를 응축시켜 포착하도록 열(熱)적으로 접속되어 냉각되는 콜드패널(37a)을 갖는 콜드트랩(37)이 하나 이상 더 설치된다.
<분말 공정>
그 다음, 동결 건조된 다공성 원료를 도 2의 분쇄기(40)에 투입하여 초음파 분쇄 또는 교반 초미 분쇄를 통해 미세한 나노 분말의 원료(펄프)(수용성 분말)을 제조(S14)한다.
<종이 제조>
그 다음, 나노 분말에 물을 넣고 고온/고압의 분위기에서 삶고 유기물을 분리시켜 펄프를 만든 후, 펄프를 초지기를 이용하여 탈수, 압착 건조시키고 광택과정을 거친 후 와인더에 감아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종이(50)를 제조(S15)한다.
<절단 및 연사 공정>
그 다음, 도 3과 같이 일측 보빈(51)에 권취된 기능성 종이(50)를 한쪽에서 리와인딩 시키면서 다른 쪽에서 가는 폭으로 절단슬리팅기(52)를 통해 절단하여 타측 보빈(54)에 권취(S16) 시킨다. 이때, 슬리팅 절단된 종이(50a)를 도 4와 같이 주지의 연사기(100)를 통해 200~300TM(꼬임)을 주어 연사된다.
이후 꼬임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압력으로 열처리가 이루어진 후, 건조 및 염색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연사실을 일정한 장력을 주면서 다시 감아주어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사를 제조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기능성 종이를 절단하기 전에 리와인딩되는 이송구간에서 노즐(60)을 통해 나노 단위의 극 미립 HOLE의 밀집도를 높게 형성시켜주고, 흡착력 및 탈취효과(악취분자 및 습기를 다량 흡수할 수 있는 습흡 계수)를 높여 주며, 대마종이 분자 물질간의 다공성 결정의 상호 결합성을 높여주기위해 나노 세라믹 분말(NANO CEREAMIC POWDER), 맥반석 분말, 지올라이트(ZEOLITE) 분말, 벤토나이트(BENTONITE), 항균 세라믹 분말(CERAMIC POWDER),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등의 광물질의 합성물질과 원적외선 액(예를 들면 숯액)을 도포 코팅 시킨 후,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파장을 통해 건조시키며, 항균처리하는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적외선 액을 도포시킨 후, 도포된 원적외선 액을 원적외선 히터(램프)(62)에서 방사되는 파장을 통해 건조시켜 항균처리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대마 원사는 신선초와 아바카(대마잎)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보다 밀집도를 높게 형성시켜 주고, 흡착력 및 탈취효과(악취분자 및 습기를 다량 흡수할 수 있는 습흡 계수)를 높여주며, 더 가늘고 부드러우며 인장력이 뛰어난 양질의 양질의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 중간에 항균 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면, 대마 원사로 직조된 직물에 곰팡이 등 기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결건조 및 미세 분쇄를 통해 대마 줄기부분과 아바카(대마잎), 신선초 분자가 나노단위로 잘개 분리되어, 펄프 공정시 잘 풀어지고 이물질의 분리성이 좋아져 해리율이 증가되는 수용성 나노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동결 건조시 승화된 수증기의 포착으로 건조성이 매우 뛰어나게 되어 중간에 제조된 나노 분말의 분체를 장기 보관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혼합기
20: 동결 챔버
22: 냉동기
24: 진공펌프
30: 건조실
32: 이송컨베어
34,62: 원적외선 히터
37: 콜드트랩
60: 노즐

Claims (6)

  1. (a) 1cm 이하로 절단시킨 대마 줄기, 아바카, 신선초를 혼합기내에서 혼합시키면서 증류수로 분사 세척시키는 공정과;
    (b) 혼합 세척된 원료를 냉동기가 가동된 동결 챔버에서 일정 범위의 영하 온도와 진공상태의 감압 분위기에서 동결시켜 원료내 조직을 다공성 상태로 제조시키는 공정과;
    (c) 동결된 원료를 건조실로 투입시킨 후 이송컨베어를 통해 일정 구간 이송시키면서 건조실의 감압 분위기에서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파장을 통해 동결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d) 동결 건조된 다공성 원료를 해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쇄기에 투입하여 초음파 분쇄 또는 교반 초미 분쇄를 통해 미세한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과;
    (e) 나노 분말에 물을 넣고 고온/고압의 분위기에서 삶고 유기물을 분리시켜 펄프를 만든 후, 펄프를 초지기를 이용하여 탈수, 압착 건조시킨 후 와인더에 감아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종이를 제조하는 공정과;
    (f) 종이를 한쪽에서 리와인딩 시키면서 이송구간에서 노즐을 통해 나노 크기의 광물질과 원적외선 액을 도포시킨 후,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사되는 열 파장을 통해 건조시켜 항균처리하는 공정처리후 완성된 권취된 종이 롤을 다른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정된 크기의 절단슬리팅기를 통해 종이를 절단하여 보빈에 권취시킨 후, 절단 종이를 연사기를 통해 연사하여 신선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사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동결 챔버에서는 영하 10℃~ 영하 30℃의 저온과 1~4mmHg 이하의 감압 분위기가 형성되어 동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건조실에는 열(熱)적으로 접속되어 표면에 냉각되는 콜드패널을 갖는 콜드트랩이 하나 이상 더 설치되어 건조실 내 승화 수증기를 응축시켜 포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종이에 도포되는 나노 크기의 광물질은 나노 세라믹 분말(NANO CEREAMIC POWDER), 맥반석 분말, 지올라이트(ZEOLITE) 분말, 벤토나이트(BENTONITE), 항균 세라믹 분말(CERAMIC POWDER),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대마 줄기 30~40, 아바카 55~65, 신선초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KR1020160067398A 2016-05-31 2016-05-31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98A KR101695131B1 (ko) 2016-05-31 2016-05-31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98A KR101695131B1 (ko) 2016-05-31 2016-05-31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31B1 true KR101695131B1 (ko) 2017-01-23

Family

ID=5798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98A KR101695131B1 (ko) 2016-05-31 2016-05-31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2919A (zh) * 2018-09-20 2018-12-25 淮安天然丝纺织科技有限公司 原浆纸粉碎方法
KR101952830B1 (ko) * 2018-03-20 2019-05-22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피섬유 정련용 세척장치
KR20190138517A (ko) 2018-06-05 2019-12-13 손기하 친환경 장례용 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14245A (zh) * 2019-09-28 2020-01-21 赵霞芬 一种纺纱方法
KR102196652B1 (ko) * 2019-10-14 2020-12-31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대마 입자를 포함하는 섬유 그 제조방법
KR102196651B1 (ko) * 2019-10-14 2020-12-31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항균력이 개선된 대마 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010A1 (ko) * 2020-12-22 2022-06-30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항균력이 개선된 대마 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011A1 (ko) * 2020-12-22 2022-06-30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대마 입자를 포함하는 섬유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137B1 (ko) * 1998-11-19 2000-12-15 김정태 대마사 제조 방법
KR101016270B1 (ko) * 2008-06-20 2011-02-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마를 이용한 한지 제조 방법
JP2012136822A (ja) * 2012-04-23 2012-07-19 Omikenshi Co Ltd 非木材再生セルロース繊維及び該繊維含有繊維製品
KR101203832B1 (ko) 2011-05-04 2012-11-28 주식회사 우백인견코리아 전자빔을 이용한 대마 인견사 제조용 종이 및 산업용 종이 제조방법
KR101487475B1 (ko) * 2013-12-02 2015-01-29 자동차부품연구원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508905B1 (ko) 2013-11-01 2015-04-07 주식회사 안동삼베 대마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137B1 (ko) * 1998-11-19 2000-12-15 김정태 대마사 제조 방법
KR101016270B1 (ko) * 2008-06-20 2011-02-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마를 이용한 한지 제조 방법
KR101203832B1 (ko) 2011-05-04 2012-11-28 주식회사 우백인견코리아 전자빔을 이용한 대마 인견사 제조용 종이 및 산업용 종이 제조방법
JP2012136822A (ja) * 2012-04-23 2012-07-19 Omikenshi Co Ltd 非木材再生セルロース繊維及び該繊維含有繊維製品
KR101508905B1 (ko) 2013-11-01 2015-04-07 주식회사 안동삼베 대마사 제조 방법
KR101487475B1 (ko) * 2013-12-02 2015-01-29 자동차부품연구원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830B1 (ko) * 2018-03-20 2019-05-22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피섬유 정련용 세척장치
KR20190138517A (ko) 2018-06-05 2019-12-13 손기하 친환경 장례용 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0709B1 (ko) 2018-06-05 2020-09-02 손기하 친환경 장례용 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82919A (zh) * 2018-09-20 2018-12-25 淮安天然丝纺织科技有限公司 原浆纸粉碎方法
CN110714245A (zh) * 2019-09-28 2020-01-21 赵霞芬 一种纺纱方法
KR102196652B1 (ko) * 2019-10-14 2020-12-31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대마 입자를 포함하는 섬유 그 제조방법
KR102196651B1 (ko) * 2019-10-14 2020-12-31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항균력이 개선된 대마 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010A1 (ko) * 2020-12-22 2022-06-30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항균력이 개선된 대마 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011A1 (ko) * 2020-12-22 2022-06-30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대마 입자를 포함하는 섬유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131B1 (ko) 신선초를 포함한 기능성 대마 원사 및 그 제조방법
CN107568782A (zh) 复合无烟烟草产品、系统及方法
US9587352B2 (en) Textiles and process for making textiles and dyes from tobacco plants
MX2008016292A (es) Estructura fibrosa no tejida que comprende una fibra de multifilamentos.
CN107683358A (zh) 纤维素纤维用于制造非织造布的用途
KR101508905B1 (ko) 대마사 제조 방법
US20150197418A1 (en) Wool mixture fill material
KR20160147779A (ko) 중공 구조체 천연 섬유의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특성의 개선 방법
KR102061597B1 (ko) 홍조류 섬유를 이용한 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170099584A (ko) 삼베섬유 원단 제조방법
KR101325839B1 (ko) 닥나무를 이용한 화섬혼방사 제조방법
KR101879650B1 (ko) 지사용 한지사의 물성 강화를 위한 한지사의 제조방법
KR101370459B1 (ko) 닥나무를 이용한 솜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닥나무 실 제조방법
KR101306381B1 (ko) 방충원단 제조방법
KR101325386B1 (ko) 닥나무섬유와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
KR20180043476A (ko) 백운모가 도포된 한지 종이원단의 제조방법
KR102150709B1 (ko) 친환경 장례용 관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8417338B2 (en) A textile product having applied thereon with a treating composition
KR100631413B1 (ko) 대마 및 실크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342B1 (ko) 닥나무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KR100668471B1 (ko) 기능성 원사 및 그 제조방법
CN102764179A (zh) 医用纱布块及其生产方法
KR102106257B1 (ko) 나노코팅 한지가죽 원단의 제조방법
RU198239U1 (ru) Композиционное волокнистое изделие,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траса
KR102571697B1 (ko) 칡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 및 상기 종이를 꼬아 만든 섬유사를 포함하여 직조된 섬유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