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858B1 -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858B1
KR101694858B1 KR1020150061893A KR20150061893A KR101694858B1 KR 101694858 B1 KR101694858 B1 KR 101694858B1 KR 1020150061893 A KR1020150061893 A KR 1020150061893A KR 20150061893 A KR20150061893 A KR 20150061893A KR 101694858 B1 KR101694858 B1 KR 10169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late
copper plates
disposed
heating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564A (ko
Inventor
배동현
김민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Priority to KR102015006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8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ho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100)는,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구리판(120, 1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100)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구리판(120, 130)을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와, 상기 소재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의 접합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을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구리판(120, 130)을 밀착하여 압축하는 압연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 두께 대비 구리판에 비해서, 중량 감량과 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하면서도 전도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Clad for bus bar of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부스바용 클래드 및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알루미늄판과 구리판을 접착하므로 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클래드 및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로서 구리판으로 형성된 부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로서 부스바에 사용되는 구리판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인버터 내지는 각종 전기 제품에 사용되는 부스바(BUS BAR, 10)는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판(1)으로 형성되는데, 단일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구리판(1)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리판(1)이 감기는 언와인딩롤이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구리판(1)이 통과하도록 상하방으로 배치된 압연롤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연롤을 통과한 구리판(1)을 감는 와인딩롤이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에 의하면, 구리판(1)이 감긴 보빈을 상기 언와인딩롤에 장착한 후, 구리판(1)을 풀어내어 상기 압연롤 사이로 통과시킨다. 이렇게 통과된 구리판(1)은 다시 와인딩롤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연롤 사이의 간격은 구리판(1)을 압축하므로 원하는 치수의 두께가 되도록 한다.
이처럼 구리판(1)을 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연롤을 통해서 압연하는 방법을 냉간압연이라고 한다. 이처럼, 구리판(1)을 냉간압연에 의해서 제작하고, 압연이 용이하도록 열을 가하여 압연하는 열간압연을 하지 않는 이유는 가열된 상태에서 구리는 산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기술에 의하면, 구리판(1)을 단일 구조로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다른 비금속에 비해서 고가이고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제10-1098252호 (2011년 12월 19일) (문헌 2) 한국 특허공개 제10-2012-0125248호 (2012년 11월 14일)
본 발명에 의한 클래드의 제조방법은, 동일 두께 대비 단일층으로 구성된 구리판에 비해서,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전도성에 전혀 문제가 없는 클래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구리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구리판을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와, 상기 소재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과 구리판의 접합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을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의 상하면에 구리판을 밀착하여 압축하는 압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연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과 구리판이 부착된 부스용 클래드를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에칭, 브러싱, 페이퍼링 중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처리단계는, 200∼400℃로 가열한 후 어닐링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가열단계가 가능하도록 가열로가 사용되고, 상기 가열로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를 상하방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2개인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에 의해 상하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통로와, 상기 통로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관통된 심관과, 상기 심관 중 맨 상부의 심관과 맨 하부의 심관 사이에 배치되는 심관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통로 내부에 수용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알루미늄판이, 상기 히터 측방에 배치된 심관을 통과하고, 상기 알루미늄판이 통과하는 상기 심관의 상하부에 배치된 심관을 상기 구리판이 통과하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연단계는, 상기 가열로를 통과한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구리판을 압축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는, 동일 두께 대비 단일층으로 구성된 구리판에 비해서,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전도성에 전혀 문제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로서 구리판으로 형성된 부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로서 부스바에 사용되는 구리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에서 압연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에서 압연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100)는 중량 감량과 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하면서도 전기 전도 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스바용 클래드(100)는, 도 3에서처럼, 알루미늄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구리판(120, 130)을 포함한다. 상기 구리판(120, 130)은 일례로서 압연에 의해서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즉, 압연 시,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은 비철금속 특유의 전성에 의해서 상호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의 구리판(120), 알루미늄판(110), 하부의 구리판(130)을 통해서 전류의 흐름이 가능하고, 구리의 비중이 감소하므로 중량의 감량이 가능하고, 알루미늄이 구리에 비해서 저가이므로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판(110)은 구리판(130)에 비해서 전도율은 떨어지지만 전기 컨트롤박스 등에 사용되는 부스바로 사용될 경우, 전류의 흐름에 장애가 되지 않으므로 부스바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부스바용 클래드(1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구리판(120, 130)을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의 부착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을 가열하는 가열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구리판(120, 130)을 밀착하여 압축하는 압연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부착된부스바용 클래드(100)를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에칭, 브러싱, 페이퍼링 중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물질뿐만 아니라, 산화막도 제거하고 부착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거칠게 하는 것으로서, 부착의 장해요소인 산화막과 오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거칠기에 의해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에서 표면을 거칠게 하는 이유는 표면적 증가에 의한 계면 에너지의 증가로 접합 표면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압연에 의한 접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의 부착면에 형성된 요철이 상호 조합되므로 결합면적이 증가되고 압연에 의해서 상기 조합된 요철이 짓이겨지면서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에칭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분사한 후 세척하는 작업이고, 상기 브러싱은 브러시를 상기 부착면에 마찰시킨 후 세척하는 것이며, 상기 페이퍼링은 샌드페이퍼(사포)를 상기 부착면에 마찰시킨 후 세척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상기 부착면에 붙어있는 기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과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을 거칠게 하여 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는,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을 모두 가열할 수 있는데, 상기 구리판(120, 130)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산화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열하지 않거나, 100℃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판(110)은 100℃∼400℃로 가열하므로 1∼2mm 두께 대비 5∼15분 가열한다. 따라서, 압연단계에서 알루미늄판(110)의 전성이 더 커져서 쉽게 압착되면서 구리판(120, 130)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구리판(120, 130)에도 알루미늄판(110)의 온도가 전달되어 용이한 압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압연단계에서 상하부에 배치된 압연롤(250)에 의해서 양측 구리판(120, 130)과 그 사이에 배치된 알루미늄판(110)을 원하는 두께로 압연하게 된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상기 압연단계를 통해서 부착된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 즉 부스바용 클래드(100)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200∼400℃로 가열한 후 상온(常溫)이 될 때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어닐링(annealing)을 실시한다. 따라서,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은 시스템(200)을 일례로 사용한다.
상기 시스템(200)은, 롤 타입의 상기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이 장착되는 언와인딩롤(210)이 구성되는데, 알루미늄판(110)이 장착된 언와인딩롤(210)의 상하부에 구리판(120, 130)이 장착된 언와인딩롤(21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언와인딩롤(210)에서 풀려난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이 통과하는 가열로(230)가 구성되는데, 상기 가열로(230)는 도 4 및 도 6에서처럼, 전후방으로 개방된 터널 형상의 챔버(231)가 구성되고, 상기 챔버(231)의 내부를 상하방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2개인 칸막이(23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233)에 의해 상하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통로(234)가 구성된다. 일례로 상하방으로 2개의 칸막이(233)가 배치되면 3개의 통로(23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로(234)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관통된 심관(235, 237, 238)이 구성되어, 상기 구리판(120, 130) 및 알루미늄판(11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심관(235, 237, 238)의 전후방에는 상하부에 가이드롤러(270)를 구비하여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심관(235, 237, 238) 중 맨 상부의 심관(235)과 맨 하부의 심관(238) 사이에 배치되는 심관(237)은 알루미늄판(110)이 통과하는 것으로서,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통로(234) 내부에 수용되는 히터(239)가 구성된다. 상기 히터(239)는 일례로서 전기의 전도에 의해서 발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연단계가 가능하도록 상기 가열로(230)를 통과한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구리판(120, 130)을 압축하도록 상하부에 압연롤(25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밀착된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제조되도록 한다.
상기 가열로(230)를 통과한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감기는 와인딩롤(26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표면처리장치와 열처리단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열처리장치는 상기 시스템(200)과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처리장치는, 롤 타입의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장착되는 언와인딩롤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각각 감기는 와인딩롤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언와잉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브러시가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구리판(120, 130)의 부착면에 브러시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때 브러시를 통과한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에 물을 분사하는 세척 노즐이 배치되므로 브러싱에 의한 표면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언와인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과 같은 에칭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세척 노즐을 배치하므로 에칭에 의한 표면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언와인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샌드페이퍼(사포)가 감긴 롤러와 상기 세척 노즐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샌드페이퍼(사포)가 감긴 롤러는 상기 브러시처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열처리장치는, 압연된 후 상기 와인딩롤(260)에 감긴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장착되는 언와인딩롤이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감기는 와인딩롤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언와인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배치되어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통과하는 터널 형상의 열처리로가 구성된다. 상기 열처리로는 내부에 히터가 장착되어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시스템(200)을 이용한 본 발명의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롤 타입으로 감긴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을 구비하는 소재준비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뉼판(110)과 구리판(120, 130)을 상기 표면처리장치에서 부착면이 표면처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부착면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거칠게 되도록 하는 표면처리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후에, 도 4에서처럼, 상기 언와인딩롤(260)에 롤 타입의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하부에 구리판(120, 130)이 장착된 언와인딩롤(260)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알루미늄판(110)이 장착된 언와인딩롤(26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언와인딩롤(260)에서 풀려난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상기 가열로(230)를 통과하도록 하여 알루미늄판(110)을 가열하는 가열단계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상기 가열로(230)의 각 심관(235, 237, 238)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부에 구리판(120, 130)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알루미늄판(110)은 상기 히터(239)에 의해서 가열된다.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가열로(230)를 통과한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압연롤(25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호 압축되어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제조되는 압연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압연된 부스바용 클래드(100)는 상기 와인딩롤(260)에 감기게 된다.
이렇게 와인딩롤(260)에 감긴 롤 타입의 부스바용 클래드(100)를 상기 열처리장치로 옮겨서 열처리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열처리장치의 열처리로를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통과하면서 200∼400℃로 가열된 후 상기 열처리장치의 와인딩롤에 감긴 상태에서 상온(常溫)이 될 때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어닐링(annealing)을 실시한다.
따라서, 동일 두께 대비 구리판에 비해서 경량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부스바용 클래드(100)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부스바용 클래드 110: 알루미늄판
120, 130: 구리판 200: 시스템
210: 언와인딩롤 S: 표면처리부 231: 챔버 233: 칸막이
234: 통로 235, 237, 238: 심관
239: 히터 240: 열처리로
250: 압연로 260: 와인딩롤

Claims (6)

  1. 삭제
  2.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구리판(120, 130)을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와,
    상기 소재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의 접합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을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구리판(120, 130)을 밀착하여 압축하는 압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연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부착된클래드(100)를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가 구비되되;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에칭, 브러싱 중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처리단계는, 200∼400℃로 가열한 후 상온일 될 때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어닐링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단계가 가능하도록 가열로(230)가 사용되고,
    상기 가열로(230)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챔버(231)와,
    상기 챔버(231)의 내부를 상하방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2개인 칸막이(233)와,
    상기 칸막이(233)에 의해 상하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통로(234)와,
    상기 통로(234)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관통된 심관(235, 237, 238)과,
    상기 심관(235, 237, 238) 중 맨 상부의 심관(235)과 맨 하부의 심관(238) 사이에 배치되는 심관(237)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통로(234) 내부에 수용되는 히터(239)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알루미늄판(110)이, 상기 히터(239) 측방에 배치된 심관(237)을 통과하고,
    상기 알루미늄판(110)이 통과하는 상기 심관(237)의 상하부에 배치된 심관(235, 238)을 상기 구리판(120, 130)이 통과하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연단계는, 상기 가열로(230)를 통과한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구리판(120, 130)을 압축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단계에서, 알루미늄판(110)은 1∼2mm 두께 대비 5∼15분 100℃∼400℃로 가열되며;
    상기 심관(235, 237, 238)의 전후방에는 상하부에 가이드롤러(270)를 구비하여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을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표면처리장치와 열처리단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열처리장치는 별도로 구성되되;
    상기 표면처리장치는, 롤 타입의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장착되는 언와인딩롤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알루미늄판(110)과 구리판(120, 130)이 각각 감기는 와인딩롤이 구성되며;
    상기 언와잉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브러시가 알루미늄판(110)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구리판(120, 130)의 부착면에 브러시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브러시를 통과한 구리판(120, 130)과 알루미늄판(110)에 물을 분사하는 세척 노즐이 배치되어 브러싱에 의한 표면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언와인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세척 노즐을 배치하여 에칭에 의한 표면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열처리장치는, 압연된 후 와인딩롤(260)에 감긴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장착되는 언와인딩롤이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감기는 와인딩롤이 구성되며;
    언와인딩롤과 와인딩롤 사이에 배치되어 부스바용 클래드(100)가 통과하는 터널 형상의 열처리로가 구성되고;
    상기 열처리로는 내부에 히터가 장착되어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61893A 2015-04-30 2015-04-30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KR10169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93A KR101694858B1 (ko) 2015-04-30 2015-04-30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93A KR101694858B1 (ko) 2015-04-30 2015-04-30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64A KR20160129564A (ko) 2016-11-09
KR101694858B1 true KR101694858B1 (ko) 2017-01-10

Family

ID=575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893A KR101694858B1 (ko) 2015-04-30 2015-04-30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018A (ko) 2022-09-14 2024-03-21 윤은상 전기자동차용 부스바 표면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62B1 (ko) * 2018-06-08 2020-06-11 대산전자(주) 버스바용 클래드와 버스바용 클래드 제조 방법
KR102246385B1 (ko) * 2018-06-19 2021-05-03 (주) 코스텍 부스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20030822A (ko)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용 부스바 구조
KR102422880B1 (ko) * 2022-01-24 2022-07-21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퓨징 부스바 제조방법
WO2024029299A1 (ja) * 2022-08-02 2024-02-08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クラッド材および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51B1 (ko) * 2012-03-08 2012-08-24 이든테크 주식회사 코일 투 코일 연속 압연에 의한 다중 플라이 클래드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설비
JP2013143257A (ja) * 2012-01-11 2013-07-22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用板状導電体及びそれからなるバスバ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939B1 (ko) * 2002-03-13 2004-10-26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클래드판의 연속 제조 장치
KR101098252B1 (ko) 2009-06-09 2011-12-23 김성수 전극구조
JP4869415B2 (ja) 2010-02-09 2012-02-08 三菱伸銅株式会社 純銅板の製造方法及び純銅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3257A (ja) * 2012-01-11 2013-07-22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用板状導電体及びそれからなるバスバー
KR101176051B1 (ko) * 2012-03-08 2012-08-24 이든테크 주식회사 코일 투 코일 연속 압연에 의한 다중 플라이 클래드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018A (ko) 2022-09-14 2024-03-21 윤은상 전기자동차용 부스바 표면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64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858B1 (ko) 부스바용 클래드의 제조방법
JP4117340B2 (ja) 銅クラッドアルミ母線の製造方法
CN111054748B (zh) 一种脉冲电流辅助轧制难/易变形金属复合板的制备方法
CN110711772B (zh) 一种温轧制备钛/钢复合板的方法
CN101559557A (zh) 铜铝复合板的制造方法
CN103331584B (zh) 一种光伏太阳能用铜带的生产工艺
CN104959382A (zh) 一种轧制铜铝双层复合板的方法
CN105436203A (zh) 镁/铝/钛复合板包覆轧制方法
CN101767123A (zh) 生产铝包铜管的工艺及设备
WO2008148257A1 (fr) Procédé pour la production de fil (tuyau) d'aluminium recouvert de cuivre et dispositif associé
CN107838193A (zh) 复合式冷轧线
CN109772885A (zh) 铝板和45°铜网累积叠轧的复合板材及其制备工艺
CN109290388B (zh) 一种铜包钢导线连续包覆轧制生产工艺
CN101236804A (zh) 一种连续轧制铜包铝排型材的生产方法
CN110142310A (zh) 一种直缝钢管的生产工艺
CN104588989B (zh) 一种不锈钢单面复合卷的生产方法
CN101465171A (zh) 包覆焊接及轧制连续制作铜包铝母线排的方法
CN201596651U (zh) 一种用于中心管式光缆的钢丝表面清洁设备
CN102682917B (zh) 铜包铝排的生产工艺
CN201596691U (zh) 生产铝包铜管的设备
CN201417630Y (zh) 一种铜铝单双面冷复合板带
JP3659208B2 (ja) MgまたはMg合金帯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4722191U (zh) 一种利用激光焊制备铜包铝线材的装置
CN113245860A (zh) 一种利用激光焊制备铜包铝线材的装置及方法
CN205463644U (zh) 一种冷轧铝钢复合带材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