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627B1 - 식재료 다지기 - Google Patents

식재료 다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627B1
KR101694627B1 KR1020150109400A KR20150109400A KR101694627B1 KR 101694627 B1 KR101694627 B1 KR 101694627B1 KR 1020150109400 A KR1020150109400 A KR 1020150109400A KR 20150109400 A KR20150109400 A KR 20150109400A KR 101694627 B1 KR101694627 B1 KR 101694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food material
food
compa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686A (ko
Inventor
서종열
Original Assignee
서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열 filed Critical 서종열
Publication of KR2016008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료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식재료를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 다짐에 작은 힘만이 소요되므로 식재료가 담기는 용기(컵, 사기그릇 등)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다져지는 식재료 조각들이 수납공간부를 막지 않고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면서 외부로 미끌어져 떨어지게 되어, 반복적으로 식재료 다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쉽고 간편하게 식재료를 다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재료 다지기{food crusher}
본 발명은 식재료 다지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가정이나 주방에서 다량의 마늘을 다질 때에는 절구와 절구공이를 이용해 왔으며, 소량의 마늘을 다질 때에는 칼의 손잡이 뒷부분을 이용해 왔다.
여기서, 절구와 절구공이를 이용할 경우에는 마늘을 다질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힘이 많이 드는 등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절구와 절구공이를 함께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칼의 손잡이 뒷부분을 이용하여 마늘을 다질 때에는 마늘의 일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조금씩 다질 수 밖에 없어 손가락을 다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수동 혹은 자동의 믹서기 형태의 마늘 다지기는, 다져진 마늘의 입자가 불균일하고 거칠어서 이를 이용해 음식을 조리할 경우, 음식의 식감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4397호에 개시된 '다수의 수직형 해머를 갖는 마늘 다지기용 푸드 쵸퍼'의 경우, 지그재그 형상의 해머에 묻는 마늘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보조원판이 더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5499호에 개시된 '마늘 다지기'의 경우, 마늘을 다지는 과정에서 마늘 분쇄물이 마늘다짐통에 형성된 구멍을 막게 되어, 분쇄된 마늘이 제대로 토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작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식재료를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 다짐에 작은 힘만이 소요되므로 식재료가 담기는 용기(컵, 사기그릇 등)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져지는 식재료 조각들이 수납공간부를 막지 않고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면서 외부로 미끌어져 떨어지게 되어, 반복적으로 식재료 다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쉽고 간편하게 식재료를 다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식재료를 다지는 다짐부;를 포함하되, 다짐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형성된 다수의 칼날부; 및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칼날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다져진 식재료가 수납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수납공간부;를 포함하는 식재료 다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식재료를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 다짐에 작은 힘만이 소요되므로 식재료가 담기는 용기(컵, 사기그릇 등)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져지는 식재료 조각들이 수납공간부를 막지 않고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면서 외부로 미끌어져 떨어지게 되어, 반복적으로 식재료 다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쉽고 간편하게 식재료를 다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다지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다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다지기에서 칼날부의 끝단부 길이와 수납공간부의 길이방향 최외곽 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다지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식재료 다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다지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다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다지기에서 칼날부의 끝단부 길이와 수납공간부의 길이방향 최외곽 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다지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식재료 다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다지기는(100, 400), 손잡이부(101, 401); 및 손잡이부(101, 401)의 하단에 형성되며, 식재료를 다지는 다짐부(103, 403);를 포함하되, 다짐부(103, 403)는, 중심축(105, 405)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형성된 다수의 칼날부(107, 407); 및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칼날부(107, 407)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다져진 식재료가 수납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수납공간부(109, 4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손잡이부(101, 401)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식재료 다지기(100, 400)를 사용시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제공되는데, 손잡이부(101, 401)와 다짐부(103, 40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101, 401)와 다짐부(103, 403)가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부(101, 401)와 다짐부(103, 403)가 서로 탈착가능하도록, 손잡이부(101, 401)의 하단에 삽입홈(201, 501)이 형성되고, 다짐부(103, 403)의 상단에 삽입홈(201, 501)에 끼워지는 연장암(203, 50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손잡이부(101, 401)와 다짐부(103, 403)를 분리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부(101, 401)를 다짐부(103, 403)와 다른 재질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다짐부(103, 403)는 손잡이부(101, 401)의 하단에 형성되며, 식재료를 다지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다짐부(103, 403)는 칼날부(107, 407)와 수납공간부(109, 40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짐부(103, 403)는 직경이 3㎝~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짐부(103, 403)의 직경이 4㎝를 초과하게 되면 식재료를 다질 때 상대적으로 좀 더 많은 힘이 소요되고, 다짐부(103, 403)의 직경이 3㎝ 미만이 되면 한번에 다져지는 식재료의 양이 너무 적어 비효율적이게 된다.
먼저 칼날부(107, 407)에 대해 설명하면, 칼날부(107, 407)는 중심축(105, 405)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다수개로 형성되는데, 칼날부(107, 407)의 개수는 6~1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칼날부(107, 407)의 개수가 12개를 초과하는 경우, 인접한 칼날부(107, 407) 사이의 각도가 지나치게 좁아져 식재료를 다질 때 과도한 힘이 요구되며, 칼날부(107, 407)의 개수가 6개 미만인 경우, 인접한 칼날부(107, 407) 사이의 각도가 지나치게 넓어져 한번에 다져지는 식재료의 조각이 상대적으로 굵게 되어 곱고 균일한 식재료 입자로 다지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어서, 수납공간부(109, 409)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칼날부(107, 407)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납공간부(109, 409)는 다져진 식재료가 수납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수납공간부(109, 409)는 칼날부(107, 407)의 끝단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W)과 경방향 폭(H)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예로 수납공간부(109, 409)는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수납공간부(109, 409)가 형성됨으로써, 칼날부(107, 407)에 의해 다져진 식재료는 수납공간부(109, 409)의 하측(즉, 손잡이부(101)의 반대 방향)에서 상측(즉, 손잡이부(1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면서 수납공간부(109, 409)의 외부로 미끌어져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식재료 다지기(100, 400)를 사용할 때, 다져진 식재료 조각들이 수납공간부(109, 409)를 막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효율적으로 식재료를 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공간부(109, 409)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칼날부(107, 407)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끼리 만나는 부분이 직선(111)으로 이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라운드면(411)으로 이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할 때, 칼날부(107)의 끝단부 길이(L)는 수납공간부(109)의 길이방향으로 경방향 최외곽 높이(L')보다 짧게 형성되는데, 칼날부(107)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그 반대의 경우보다 칼날부(109)가 더욱 예리해져, 작은 힘으로도 식재료를 다질 수 있게 된다.
물론,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칼날부(107)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식재료 다지기(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407)의 끝단부(413)는, 중심축(405)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손잡이부(401)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는데, 칼날부(407)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식재료를 담은 용기의 바닥이 오목하더라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식재료를 다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식재료를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 다짐에 작은 힘만이 소요되므로 식재료가 담기는 용기(컵, 사기그릇 등)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다져지는 식재료 조각들이 수납공간부를 막지 않고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면서 외부로 미끌어져 떨어지게 되어, 반복적으로 식재료 다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쉽고 간편하게 식재료를 다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식재료 다지기
101 : 손잡이부
103 : 다짐부
105 : 중심축
107 : 칼날부
109 : 수납공간부
111 : 직선
201 : 삽입홈
203 : 연장암
400 : 식재료 다지기
401 : 손잡이부
403 : 다짐부
405 : 중심축
407 : 칼날부
409 : 수납공간부
411 : 라운드면
501 : 삽입홈
503 : 연장암

Claims (5)

  1.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식재료를 다지는 다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짐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형성된 다수의 칼날부; 및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칼날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다져진 상기 식재료가 수납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수납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부는,
    상기 칼날부의 끝단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W)과 경방향 폭(H)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다져진 상기 식재료는 상기 수납공간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서 상기 수납공간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다지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칼날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끼리 만나는 부분이 직선으로 이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다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칼날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끼리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면으로 이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다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끝단부 길이(L)는,
    상기 수납공간부의 길이방향으로 경방향 최외곽 높이(L’)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다지기.
KR1020150109400A 2015-01-08 2015-08-03 식재료 다지기 KR101694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22 2015-01-08
KR20150004122 2015-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86A KR20160085686A (ko) 2016-07-18
KR101694627B1 true KR101694627B1 (ko) 2017-01-09

Family

ID=5667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400A KR101694627B1 (ko) 2015-01-08 2015-08-03 식재료 다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828B1 (ko) 2017-09-29 2019-07-19 정영미 마늘 다짐용 절굿공이를 포함하는 마늘 다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171B2 (ja) * 1990-01-08 2001-03-26 東洋紡績株式会社 防寒用中衣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171A (ja) * 1989-10-31 1991-06-25 Toyoda Mach Works Ltd 産業用ロボットの工具軌跡制御装置
JP2543462B2 (ja) * 1992-05-06 1996-10-16 株式会社ムロコーポレーション 果菜の分割切断器
KR20120059758A (ko) * 2010-12-01 2012-06-11 이은춘 양념류의 다짐이 용이한 절굿공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171B2 (ja) * 1990-01-08 2001-03-26 東洋紡績株式会社 防寒用中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86A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9177C (en) Hand held masher device
US8601940B2 (en) Apertured food press utensil to effect even cooking and browning
US8381640B1 (en) Spaetzle preparation apparatus
US20170209002A1 (en) Colander shafted kitchen utensil
US6746062B2 (en) Collapsible grilling spatula
KR101694627B1 (ko) 식재료 다지기
US8851738B2 (en) Dough blender with scraper
US2234242A (en) Culinary tool
EP2405793B1 (en) Multipurpose manual mixer
CN205514243U (zh) 一种土豆切丝器
CN201127537Y (zh) 多功能烧烤铲
GB2512870A (en) Food press
JP6831953B2 (ja) おろし器
CN210902714U (zh) 一种多功能擦菜器
JP3167935U (ja) おろし器
CN211299588U (zh) 一种熏香弹性烧烤网
US20030200875A1 (en) Ground meat separator
CN206213231U (zh) 一种蔬果切片、切丝机
CN207870796U (zh) 一种用于与榨汁杯配合使用的多功能推料夹
CN108013721A (zh) 一种刷架、榨汁杯及食物处理机
CN206703149U (zh) 切菜器
JP5600227B1 (ja) 灰汁取り器
CN102356996A (zh) 一种多功能炒锅
JP3187585U (ja) ターナー
IL296040A (en) Garlic press having a surface covered with tapered projections fitting tapered 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