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707B1 - 입술용 지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용 지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707B1
KR101693707B1 KR1020090114383A KR20090114383A KR101693707B1 KR 101693707 B1 KR101693707 B1 KR 101693707B1 KR 1020090114383 A KR1020090114383 A KR 1020090114383A KR 20090114383 A KR20090114383 A KR 20090114383A KR 101693707 B1 KR101693707 B1 KR 10169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p
ceramide
present
stea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819A (ko
Inventor
김은정
황정선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1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7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오일 점증제 및 선택적으로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입술에 도포시 우수한 입술 피부 보습 효과와 장벽 기능 회복을 나타내며, 상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고 다량의 수분 및 유용 활성 물질을 담지할 수 있는 입술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오일 점증제, 입술용 조성물

Description

입술용 지질 조성물{Lipid Composition for lip application}
본 발명은 입술용 지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은 입의 가장자리에 자리 잡고 있는 경계 부분으로 포유류에게만 발달 되어 있고, 모세혈관이 많아서 붉은 색으로 보인다. 입술은 끊임없이 수축 및 팽창 운동을 하므로 신체에서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 중 하나이며 입술에는 모공이 없어 땀이나 피지를 분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연적인 보습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입술 주위 피부는 다른 피부보다 얇고 연약해 건조한 날씨에 쉽게 트고 갈라진다. 또한 입술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자외선, 대기 중의 오염 물질 및 건조한 기후 등 환경 요인에 따라 쉽게 자극을 받게 된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란 입술에 색채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동시에 입술의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일반적인 성분으로는, 먼저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또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경도를 상승시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고형 성분을 들 수 있고, 둘째로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오일, 라놀린 유도체, 동 식물에서 추출된 오일, 합성 에스테르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액상 유성 성분을 들 수 있으며, 셋째로 입술 상태 개선을 위한 효능 성분, 비타민류, 고 보습 성분 또는 항산화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넷째로 유기 및 무기 색소로 이루어지는 색소 성분을 들 수 있으며, 다섯째로 산화 방지제, 방부제, 향 및 영양 성분 등의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오일 점증제 및 선택적으로 콜레스테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입술 피부 보습 효과, 입술 피부 장벽 기능 회복 및 높은 상(phase) 안정도를 가짐을 밝혀내어, 이에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오일 점증제 및 선택적으로 콜레스테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오일 점증제 및 콜레스테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오일 점증제 및 선택적으로 콜레스테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입술 피부 유사 구조 물질을 포함하여 생체 친화적이면서, 입술에 도포시 우수한 입술 피부 보습 효과 및 입술 피부 장벽 기능 회복을 나타내며, 수분 및 유용 활성 물질을 담지할 수 있고, 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내 외관의 품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입술,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체 피부의 최외곽 표면은 기저층으로부터 분화되어 성숙된 각질형성세포가 퇴화된 각질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질 세포들은 각질층에 다량 존재하는 세라마이드의 이중사슬 라멜라 구조에 의하여 결합 되어 있어 매끄럽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게 한다.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Sphingosine) 또는 파이토 스핑고신(Phytosphingosine)에 지방산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스핑고 지질의 일종으로서, 세라마이드는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간지질 중 약 40% 이상을 차지하고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데 필수적인 성분이다.
입술은 일반 피부와 달리 각질 세포층이 매우 얇으며 지질 성분 종류의 차이가 있고 특히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세라마이드와 유리 지방산 등의 성분들이 많이 부족하여 쉽게 상처받으며 수분이 빠르게 증발되어 쉽게 거칠어지고 건조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라마이드를 외부에서 입술에 공급해주면 그 상태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세라마이드류들은 오일에 용해는 되나 시간이 지나면 쉽게 결정화되어 제형 밖으로 석출 되는 경향이 강하여 외관상 좋지 않다. 또한 친수성 이 강하여 물과 함께 겔화 하거나 색소의 특정기와 결합하여 색소의 균일한 분산을 방해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겔화 및 석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라마이드를 이용하되, 세포간지질인 콜레스테롤, 지방산들 중, 서로 상용성이 우수한 콜레스테롤, 스테아린산을 선별하여 난용성의 세라마이드와 적정 비율로 포함한 조성물을 입술용 조성물에 적용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결정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점증제를 함께 용융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수분 담지 능력이 우수한 것을 밝혀내었으며, 나아가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입술 피부 보습 효과 및 입술 피부 장벽 기능 회복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수분 및 유용 활성 물질을 담지할 수 있는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어 생체 친화적이며, 상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포간지질 성분인 천연 세라마이드 및 이와 유사한 화학 구조 및 효능을 갖는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유사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화학 구조 및 효능을 갖는 합성 물질을 의미한 다. 이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피부 장벽 보호 기능, 수분 보유 기능, 각질층 보호 기능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천연 세라마이드로는 예를 들어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사 세라마이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9-C2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 및 R'는 C9-C2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3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같거나 다르며, 1 내지 3의 정수이고;
k 및 l은 같거나 다르며, 1 또는 2이며;
j는 0 또는 1이며;
R 및 'R는 같거나 다르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C31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A1, A2 및 A3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나, 단 A1, A2 및 A3가 동시에 수소인 경우는 제외된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4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알칼리토금속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5
(상기 식에서,
R 및 R'는 같거나 다르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0-C3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5는 -CH2CH2OA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6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7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8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09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0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1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알칼리토금속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2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같거나 다르며, 1 내지 4의 정수이고;
R 및 R'는 같거나 다르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C31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A1 및 A2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3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4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5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6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7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8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염기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19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같거나 다르며, 1 내지 3의 정수이고;
k 및 l은 같거나 다르며, 1 또는 2이며;
j는 0 또는 1이며;
A1, A2 및 A3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며:
Figure 112009072383141-pat00020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21
,
Figure 112009072383141-pat00022
Figure 112009072383141-pat00023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염기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R은 하기 구조를 갖는 치환기이다:
Figure 112009072383141-pat00024
[상기 식에서, B는 토코페롤의 5-, 7- 또는 8- 위치의 메틸기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D는 -CH2(CH3)-CH- 또는 -CH(CH3)=C-이다.]).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6의 화합물들은 입술 피부 보습 및 입술 피부 장벽 기능 회복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세라마이드 PC104, PC102, PC107 등으로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지질 조성물의 상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고 다량의 수분을 담지할 수 있어 입술 피부 보습 및 장벽 기능 회복에 있어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의 스테아린산은 지방산의 일종으로, 백-엷은 황색의 결정성 덩어리 또는 분말이며, 약간 특이한 냄새가 나고 짐승 기름과 유사한 맛이 있다. 화학식은 C18H36O2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아린산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아린산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아린산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는 경우, 지질 조성물의 상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고 다량의 수분을 담지할 수 있어 입술 피부 보습 및 장벽 기능 회복에 있어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점증제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중에서도 오일 점증제는 오일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점증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점증제는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오일 점증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오일 점증제는 수크로오스 에스터류, 알킬 로지네이트류, 덱스트린 에스터, 또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터류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다이머 디리노레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Dimer Dilinoleyl Hydrogenated Rosinate), 피토스테릴/이소스테릴/세틸/스테아릴/벤힐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Pytosteryl/Isosteary/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10-도데카베헤네이트(POLYGLYCERYL-10-DODECABEHENATE), 수크로오스 올레이트(SUCROSE OLEATE),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트리아세테이트(SUCROSE TETRASTEARATE TRIACETATE), 글리세릴/폴리글리세릴-6-이소스테아레이트/베헤네이트 에스터(GLYCERYL/POLYGLYCERYL-6-ISOSTEARATE/BEHENATE ESTERS),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DEXTRIN MYRISTATE),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및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진(HYDROGENATED ROSIN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 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콜레스테롤은 고등동물의 세포 성분으로 널리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는 동물에서만 볼 수 있는데, 특히 뇌나 신경 조직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피부 각질 구조에서 세라마이드, 지방산과 함께 세포의 막계(膜系)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며, 막 구조나 기능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에서, 상기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각각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및 3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에서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의 중량비는 세라마이드의 용해 안정성 및 수분 담지의 측면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비는 1 ~ 10 : 1 ~ 10 : 1 ~ 5 : 1 ~ 1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비는 1 ~ 4 : 1 ~ 4 : 1 ~ 2 : 1 ~ 4일 수 있다. 상기 중 량비를 충족하는 경우, 각 성분의 혼합도가 증진되어 결정으로 석출되거나 상(Phase)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입술용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제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수중유형, 파우더형, 유성형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 틴트, 립 케어, 립 트리트먼트 등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 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예로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이 0.01 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는 경우 기대하는 효과가 발휘되기 곤란하여, 40 중량%보다 많이 함유되는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화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결합제(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또는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주사제, 점적제, 로션, 연고, 겔, 크림,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적용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 내지 10 중량%로 함 유될 수 있다.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이 0.01 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는 경우 기대하는 효과가 발휘되기 곤란하여, 40 중량%보다 많이 함유되는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화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와 3에서 유사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PC104로 판매되는 제품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오일 점증제는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트리아세테이트(SUCROSE TETRASTEARATE TRIACETATE)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의 지질 조성물에서,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오일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1 : 1이었다. 실시예 2와 3의 지질 조성물에서,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의 중량%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 중량%, 40 중량%, 20 중량% 및 40 중량%(중량비 = 1:1:0.5:1)였다.
성분 실시예1
(중량%)
실시예2
(중량%)
실시예3
(중량%)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비교예3
(중량%)
1. 밀납 2.1 2.1 2.1 2.1 2.1 2.1
2. 칸델릴라납 4.0 4.0 4.0 4.0 4.0 4.0
3. 오조케라이트 2.0 2.0 7.0 2.0 7.0 2.0
4.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5.0 5.0 5.0 5.0 5.0 5.0
5. 시어버터 11.0 11.0 11.0 11.0 11.0 11.0
6. 올리브 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7.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8. 폴리부텐 5.0 5.0 5.0 5.0 5.0 5.0
9. 호호바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 초산 토코페롤 2.0 2.0 2.0 2.0 2.0 2.0
11. 보존제 0.04 0.04 0.04 0.04 0.04 0.04
12. 마이카 4.0 1.0 4.0 4.0 1.0 1.0
13. 색소 15.0 - 15.0 - 15.0 15.0
14. 티타네이티드 마이카 3.0 3.0 3.0 3.0 3.0 3.0
15.유사 세라마이드 - - - - - 2.0
16. 지질 조성물(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콜레스테롤= 1:1:0.5) - - - - 5
-
17. 지질 조성물(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콜레스테롤:오일 점증제 = 1:1:0.5:1) - 5 7 - -

-
18. 지질 조성물(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오일 점증제 = 1:1:1) 5 - - - -

-
1.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와 3의 제조 방법
베셀에 성분 1 내지 14를 함께 넣고 85℃에서 용해 후 혼합기(homogeniger)로 3600rpm에서 20분간 분산 시켰다. 이후 각각 성분 15(비교예 3), 성분 16(비교예 2), 성분 17(실시예 2와 3), 성분 18(실시예 1)을 투입하여 다시 분산시켰다. 이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내부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후 85℃에서 몰드에 부어 -20℃로 30분간 냉각한 다음 몰드에서 분리하고 용기에 담아 실시예 1과 내지 3, 비교예 2와 3을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의 제조 방법
베셀에 성분 1 내지 14를 함께 넣고 85℃에서 용해 후 혼합기(homogeniger)로 3600rpm에서 20분간 분산 시켰다. 이후 이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후 85℃에서 몰드에 부어 -20℃로 30분간 냉각한 다음 몰드에서 분리하고 용기에 담아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체에서의 입술 수분량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을 사람에 적용하였을 때 입술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각각 20~30대의 성인 여자 10명씩을 대상으로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을 입술에 2회씩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 도포 직후 및 도포 3시간 경과 후에 각각 24℃, 상대 습도 40%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입술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기인 코니오미터로 입술 표피의 전기 전도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 2는 도포 전 측정한 전기 전도도 값을 기준으로 하여 도포 직후 및 도포 3시간 후의 수분 증가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구분 수분 증가율(%)
도포 직후 도포 3시간 후
실시예 1 20% 16%
실시예 2 30% 45%
비교예 1 6% 15%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과 2는 도포 개시 전에 비해 도포 직후 뿐만 아니라 도포 3시간 후에도 입술에 존재하는 수분의 증가율이 비교예 1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한 조성물이 입술 보습 효과 및 장벽 회복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콜레스테롤이 세라마이드와 적정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 입술의 수분 증가 효과를 높여 더 뛰어난 입술 보습 효과 및 장벽 회복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상기의 기기적인 평가와 더불어 입술 수분량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설문조사 평가 결과 (응답자 수(명))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 2 4 5 1 0
비교예 1 1 5 4 0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지질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입술 수분량이 양호하다고 응답하는 인원이 많았다. 즉, 주관적인 평가 측면에서도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지질 조성물의 입술 보습 효과 및 장벽 회복 기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안정도 평가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조성물과 이에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온에서 일주일 보관한 다음 그 결정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상 거동(Phase behabior)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유사 세라마이드 : 스테아린산 : 콜레스테롤을 1 : 1 : 0.5의 비율로 포함한 조성물이고, (2)는 유사 세라마이드 : 스테아린산 : 콜레스테롤 : 오일 점증제(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트리아세테이트)를 1 : 1 : 0.5 : 1.5의 비율로 포함한 조성물이며, (3)은 유사 세라마이드 : 스테아린산 : 콜레스테롤 : 오일 점증제(다이머 디리노레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를 1 : 1 : 0.5 : 1.5의 비율로 포함한 조성물이다.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조성물이 쉽게 결정화되는 반면,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경우 결정 성장을 방해하여 조성물이 안정한 구조를 이루게 됨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장기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2와 3의 석출 정도나 외관상 품질 저하를 평가하기 위해 상온 또는 온도 45℃, 습도 80%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각각 보관한 후 1달 및 3달 후에 외관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비교예 3을 3달 동안 상온 보관한 후 외관 상태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상온 보관 온도 45℃, 습도 80% 항온 항습
1달 3달 1달 3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3 X X
[ 양호 : ○, 보통 : △, 나쁨 : X ]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과 2는 안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강했고 특히 실시예 2는 모든 조건에서 안정하기 유지된 반면, 비교예 2와 3은 장기간 보관 할수록 그 안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에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와는 달리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안정도가 낮다는 상기 결과로부터 오일 점증제가 조성물의 안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특히 비교예 3은 상온에서 3달 보관하는 경우 조성물의 표면에 하얀 결정이 석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1는 시험예 2 중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조성물과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점증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결정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2는 시험예 2 중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조성물과 유사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점증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상거동(Phase behavio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상온에서 3달 보관한 후 외관 상태를 관찰한 것이다.

Claims (11)

  1.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및 오일 점증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오일 점증제는 다이머 디리노레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Dimer Dilinoleyl Hydrogenated Rosinate) 및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트리아세테이트(SUCROSE TETRASTEARATE TRIACETATE)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입술용 지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유사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린산은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3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조성물은 콜레스테롤을 유효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는 지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각각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및 3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및 오일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4 : 1 ~ 4 : 1 ~ 2 : 1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지질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술용 지질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지질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14383A 2009-11-25 2009-11-25 입술용 지질 조성물 KR10169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383A KR101693707B1 (ko) 2009-11-25 2009-11-25 입술용 지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383A KR101693707B1 (ko) 2009-11-25 2009-11-25 입술용 지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19A KR20110057819A (ko) 2011-06-01
KR101693707B1 true KR101693707B1 (ko) 2017-01-09

Family

ID=4439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383A KR101693707B1 (ko) 2009-11-25 2009-11-25 입술용 지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687A (ko) * 2018-11-30 2020-06-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685B1 (ko) * 2011-11-16 2019-01-11 (주)아모레퍼시픽 글리코실 세라마이드 유사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9063B1 (ko) 2013-09-26 2015-12-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085664B1 (ko) * 2017-07-29 2020-03-06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천연 성분으로 구성된 고도로 개선된 물성을 가지는 페트롤라툼 젤리(바셀린) 대체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787088A (zh) * 2019-11-28 2020-02-14 广州那比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淡化唇纹的基础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119241A (ko) 2021-02-19 2022-08-29 (주)아모레퍼시픽 유분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립 케어용 화장료
KR102658841B1 (ko) * 2021-06-17 2024-04-19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실리콘 기반 화장품 성분에 의한 사용감 구현용 실리콘 대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942A (ko) * 1999-09-16 2001-04-06 유상옥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US6365138B1 (en) * 2000-04-07 2002-04-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for metabolic protection and repair of lips
KR100553227B1 (ko) * 2004-02-21 2006-02-22 주식회사 태평양 젤리 타입의 입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9343B1 (ko) * 2004-09-07 2007-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화장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687A (ko) * 2018-11-30 2020-06-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KR102645138B1 (ko) * 2018-11-30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19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707B1 (ko) 입술용 지질 조성물
EP3409264B1 (en)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external skin care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lpha-gel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BR112013025121B1 (pt) Composição e processo de tratamento cosmético
BR122017013201B1 (pt) Composição para a estimulação de crescimento capilar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08852865A (zh) 一种富勒烯外用组合物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161935A2 (fr) Utilisation de particules de gel cubique comme agent anti-pollution, notamment dans une composition cosmétique
KR20180036232A (ko)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KR102558185B1 (ko)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766912B (zh) 水性製劑
US20060100287A1 (en) Insulin-like growth factor-1 secretagogue
JP2572730B2 (ja) 皮膚化粧料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NZ245628A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fatty acid diester of 2,3-butanediol as viscosity agent and emollient
JPH0551314A (ja) 皮膚化粧料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3362B1 (ko)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보습용 조성물
JP2004506615A (ja) 天然又は再構築表皮を改善するためのセラミド前駆物質を含有する組成物と得られた皮膚等価物
WO2018197923A1 (en) Association and methods for fighting against the signs of ageing
US20230218500A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l
KR101626473B1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29279B1 (ko)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20019017B1 (pt) Composição compreendendo di-hidroavenantramida e derivado(s) de polialquilenoglicol, uso dos mesmos e preparação dermatológica e/ou cosmética para melhorar ou prevenir condições de pele indesejadas
KR100553227B1 (ko) 젤리 타입의 입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