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68B1 - 이어셋 - Google Patents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68B1
KR101693268B1 KR1020150050805A KR20150050805A KR101693268B1 KR 101693268 B1 KR101693268 B1 KR 101693268B1 KR 1020150050805 A KR1020150050805 A KR 1020150050805A KR 20150050805 A KR20150050805 A KR 20150050805A KR 101693268 B1 KR101693268 B1 KR 10169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le
speaker
receiving groo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172A (ko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해보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보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보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68B1/ko
Priority to SG10201506403WA priority patent/SG10201506403WA/en
Priority to US14/837,332 priority patent/US9762989B2/en
Priority to CN201510630769.6A priority patent/CN106060689A/zh
Publication of KR2016012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에 착탈되는 이어패드;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하는 스피커 출력홀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로 전달하는 마이크 입력홀과,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스피커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마이크가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마이크 입력홀로 유입되는 소리의 일부를 상기 마이크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마이크의 배면으로 유입하는 하나 이상의 백홀을 갖는 방음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셋{EARSET}
본 발명은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귀에 편안하게 삽입되도록 전면 케이스의 직경을 줄인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셋은 이어폰(스피커)과 마이크로폰(마이크)을 결합한 음성 송수신 장치로서, MP3 플레이어,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와 입을 통해 음향, 음성 등 소리가 송수신된다.
이러한 이어셋은 크게, 소리를 송신하는 스피커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고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에 가까운 위치에 오는 분리형과, 스피커와 마이크가 귀에 모두 삽입되는 형태의 일체형으로 분류된다.
분리형 이어셋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의 위치가 서로 떨어지게 구성되며, 양 손을 자유롭게 하면서 음악 청취, 통화 등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지만, 소음이 심한 장소 혹은 사용자가 몸을 움직일 경우에는 귀에 꽂은 스피커가 빠지거나 마이크의 위치가 흔들리기 때문에 소리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일체형 이어셋의 경우 외이도에 삽입되는 이어패드를 장착하고, 스피커와 마이크가 귀에 모두 삽입되어, 분리형 이어셋에 비해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도 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일체형 이어셋의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2012.03.29.자로 특허출원하여 2013.12.12.자로 등록공고된 이어셋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130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어셋은 스피커와 마이크가 이어패드의 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수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어셋은 스피커와 마이크가 수납되는 리어 하우징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에는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홀이 1개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귀로부터 전달된 소리를 마이크로 전달하는 1개의 마이크 입력홀과 한 쌍의 백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커 출력홀과 마이크 입력홀과 백홀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어셋은 프론트 하우징에 1개의 마이크 입력홀과 한 쌍의 백홀을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도록 구현하기 위해서는, 마이크 입력홀과 백홀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을 형성해야 하므로 프론트 하우징의 공간 활용이 제한적이고, 즉 마이크 입력홀과 백홀의 크기가 제한되어,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량 또한 줄어들게 되고, 또한 이어셋의 전면 케이스의 직경이 커져 귀에 삽입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41308호(발명의 명칭: 이어셋용 방음 하우징 및 그를 구비하는 유,무선 이어셋, 공고일: 2013.12.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 입력홀과 백홀의 배치를 개선하여,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귀에 편안하게 삽입되도록 전면 케이스의 직경을 줄인 이어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에 착탈되는 이어패드;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하는 스피커 출력홀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로 전달하는 마이크 입력홀과,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스피커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마이크가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마이크 입력홀로 유입되는 소리의 일부를 상기 마이크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마이크의 배면으로 유입하는 하나 이상의 백홀을 갖는 방음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어셋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홀은 상기 마이크 수납홈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 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과 상기 백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중심선에 대해 나란하게 또는 편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을 향해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로 외부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를 크래들에 거치한 후, 상기 필터와 상기 케이스에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 입력홀과 백홀의 배치를 개선하여,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귀에 편안하게 삽입되도록 전면 케이스의 직경을 줄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리어 하우징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사시도,
도 8는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종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리어 하우징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의 이어셋은 스피커와 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귓속에 삽입되는 기구를 말하며, 음악을 듣는 이어폰, 유선형 이어마이크, 블루투스 헤드셋, wifi 헤드셋, 근거리 무선통신 헤드셋(NFC 헤드셋), binary CDMA 헤드셋, 음성검색 또는 음성제어용 헤드셋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케이스(10)와, 이어패드(30)와, 방음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이어셋(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방음 하우징(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이어패드(30)가 결합되는 돌출부(21)를 가지며, 배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5)를 포함한다.
배면 케이스(11)는 어어셋(1) 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전면 케이스(15)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배면 케이스(11)의 후방에는 후술할 배터리(8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85)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 케이스(15)는 사용자의 외이도(미도시)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배면 케이스(11)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케이스(10)를 형성한다.
전면 케이스(15)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지며, 배면 케이스(11)와 착탈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본체(17)와, 귓속에 삽입되도록 전면 케이스 본체(17)의 일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1)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 본체(17)의 내측과 돌출부(21)의 내측은 서로 연통된다. 즉, 전면 케이스 본체(17)와 돌출부(21)는 관통된 하나의 큰 구멍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케이스(15)에는 방음 하우징(40)과 배터리(81)가 수용된다.
한편, 배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5)는 기밀을 유지하며 끼움 결합된다. 일 실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15)를 향하는 배면 케이스(11)의 단부의 외주에는 끼움턱(1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전면 케이스(15)의 단부의 내주에는 배면 케이스(11)의 끼움턱(13)과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패드(30)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33)을 형성하며 전면 케이스(15)가 귓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패드(30)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신축가능하게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어패드(30)는 이어패드 몸체(31)와, 복수의 트레드(35)를 포함한다.
이어패드 몸체(31)는 외이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부분 절취된 예컨대, 절두된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어패드 몸체(31)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 결합되며, 이어패드 몸체(31)의 내부에는 후술할 방음 하우징(40)의 스피커 출력홀(45) 및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는 연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33)은 스피커(71)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사용자의 외이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의 귀로부터 연통공(33)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마이크(75)로 전달된다. 여기서, 이어패드 몸체(31)는 절두된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두된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트레드(35)는 링 형상을 가지며, 이어패드 몸체(31)의 선단부의 반대측 단부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복수의 트레드(35)는 이어패드 몸체(31)의 연통공(33)의 축선에 대해 외이도로의 삽입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37)를 가진다. 이에, 트레드(35)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외이도로 이어패드(3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트레드(35)와 외이도 내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움직임이 억제되어, 쾌적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트레드(35)는 케이스(10)를 향할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즉, 복수의 트레드(35)는 외이도로의 삽입반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경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이어셋(1)을 외이도에 장착한 경우, 트레드(35)와 외이도 내벽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외부의 소음이 외이도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어패드(30)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여기서, 트레드(35)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이외에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트레드(35)는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방음 하우징(40)은 케이스(10)에 수용되어, 스피커(71)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이어패드(30)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어패드(30)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75)로 전달한다. 또한, 방음 하우징(40)은 전면 케이스(15) 또는 배면 케이스(11)를 통해 외부 잡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스피커(71)와 마이크(75)에 의한 진동 노이즈 발생을 줄여 음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음 하우징(40)은 이어패드(30)를 향하는 프론트 하우징(41)과,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리어 하우징(51)이 결합된 형태로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예컨대, 배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5)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프론트 하우징(41)은 전면 케이스(15)의 내부 수용공간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 내측을 향해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 하우징(41)에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의 내측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삽입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41)에는 스피커(71)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하나의 스피커 출력홀(45)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어패드(30)의 연통공(33)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75)로 전달하는 하나의 마이크 입력홀(4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커 출력홀(45)과 마이크 입력홀(47)은 이어패드(30)의 연통공(33)과 연통하며, 스피커(71)의 소리가 마이크(75)로 유입되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스피커 출력홀(45)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하우징(51)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스피커 출력홀(45)은 원형 이외에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삽입돌출부(43)에는 스피커 출력홀(45)의 둘레를 따라 전면 케이스(15)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링 형상의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부에 의해 프론트 하우징(41)은 전면 케이스(15)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밀착 결합되고, 이에 프론트 하우징(41)이 전면 케이스(15)와 완전 밀착하며 조립되지 않아 발생하는 에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 입력홀(47)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하우징(51)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마이크 입력홀(47)은 장방형 이외에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어 하우징(51)은 프론트 하우징(4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프론트 하우징(41)의 후방을 차단하며, 전면 케이스(15)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리어 하우징(51)에는 스피커 출력홀(45)과 연통하며 스피커(71)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며 마이크(75)가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55)과,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며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되는 소리의 일부를 마이크 수납홈(55)에 수납된 마이크(75)의 배면으로 유입하는 한 쌍의 백홀(57)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75)는 마이크(75)의 전면과 배면으로 소리가 입력되는 지향성 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수납홈(55)은 리어 하우징(51)의 중심선에 대해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지만,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수납홈(55)은 리어 하우징(51)의 중심선에 대해 편위되게 예컨대, 리어 하우징(51)의 중심선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프론트 하우징(41)을 향하는 리어 하우징(51)의 일측에는 스피커 수납홈(53)이 마련되어 있고, 스피커 수납홈(53)은 스피커(71)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41)을 향하는 리어 하우징(51)의 일측에는 마이크 수납홈(55)이 마련되어 있고, 마이크 수납홈(55)은 마이크(75)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커 수납홈(53) 및 마이크 수납홈(55)은 각각 스피커 출력홀(45) 및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며, 스피커(71)의 소리가 마이크(75)로 유입되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백홀(57)은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마이크 수납홈(55)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백홀(57)은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되는 소리의 일부를 마이크 수납홈(55)에 수납된 마이크(75)의 배면으로 유입되도록 마이크 수납홈(55)의 바닥부와 연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백홀(57)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백홀(57)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백홀(57)은 반원형의 단면형상 대신에,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로써, 하나의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된 소리의 대부분은 마이크 수납홈(55)에 수납된 마이크(75)의 전면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된 소리의 일부는 한 쌍의 백홀(57)을 통해 마이크(75)의 배면으로 유입된다.
한편, 방음 하우징(40)은 조립의 용이성, 외부로부터 잡음을 차단하고 내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소리신호가 사용자의 외이도에 효율적으로 전해지도록 흡음재, 플라스틱, 고무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리어 하우징(51)의 후방에는 배터리(81)가 마련되어 있으며, 배터리(81)는 전면 케이스(15)의 내측에 수용된다. 배터리(81)는 마이크(75)로 전원을 제공한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59는 스피커용 케이블(미도시)이 통과하는 스피커 케이블공이다. 스피커 케이블공(59)은 리어 하우징(51)의 스피커 수납홈(53)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스피커 수납홈(53)에 수납된 스피커(71)에 연결된 스피커용 케이블이 통과한다. 또한, 미설명된 참조부호 61은 마이크용 케이블(미도시)이 통과하는 마이크 케이블공이다. 마이크 케이블공(61)은 리어 하우징(51)의 마이크 수납홈(55)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마이크 수납홈(55)에 수납된 마이크(75)에 연결된 마이크용 케이블이 통과한다. 각 케이블공(59,61)은 리어 하우징(51)에 접착제 등으로 밀봉함으로써,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은 케이스(10)의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 이어패드(30)가 결합되고, 케이스(10)의 내측에는 방음 하우징(40)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41)에 하나의 스피커 출력홀(45)과 하나의 마이크 입력홀(47)을 형성하고, 리어 하우징(51)에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수납홈(55)을 형성하며, 마이크 수납홈(55)의 내주를 따라 백홀(57)을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리어 하우징(51)에 수납된 스피커(71)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는 스피커 출력홀(45)을 통해 이어패드(30)로 전달된다. 또한, 이어패드(30)로부터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되는 소리의 대부분은 마이크 수납홈(55)에 수납된 마이크(75)의 전면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되는 소리의 일부는 백홀(57)을 통해 마이크(75)의 배면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마이크 입력홀(47)과 백홀(57)의 배치를 개선하여, 즉 프론트 하우징(41)에 하나의 스피커 출력홀(45)과, 하나의 마이크 입력홀(47)을 형성하고, 마이크 수납홈(55)의 내주에 백홀(57)을 형성하여, 마이크(75)로 유입되는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마이크(75)로 유입되는 소리는 스피커(71)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와 중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어셋(1)의 전면 케이스(15)의 직경을 줄여, 외이도가 작은 사용자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이어패드(30)가 장착되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가 전면 케이스 본체(17)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는 전면 케이스 본체(17) 및 방음 하우징(40)의 프론트 하우징(41)과 후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는 프론트 하우징(41)을 향해 복수의 후크(23)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케이스 본체(17) 및 프론트 하우징(41)에는 돌출부(21)의 복수의 후크(23)가 후크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결합홈(19,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의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는 필터(27)가 마련되어 있다. 필터(27)는 스피커 출력홀(45) 및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9)을 형성하며, 이어패드(30)의 연통공(33)을 향해 스피커 출력홀(45)과 마이크 입력홀(47)의 전방에 배치된다.
필터(27)는 스피커 출력홀(45)과 마이크 입력홀(47)로 외부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필터(27)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0) 또한 전기가 통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필터(27)는 케이스(10)와 함께 배터리(81)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을 도시하지 않은 전용 크래들에 거치한 후, 필터(27)와 케이스(10)에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전원을 인가하여, 이어셋(1′)에 수용된 배터리(81)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크 입력홀(47)과 백홀(57)의 배치를 개선하여, 마이크(75)로 유입되는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마이크(75)로 유입되는 소리는 스피커(71)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와 중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어셋(1′) 의 전면 케이스(15)의 직경을 줄여, 외이도가 작은 사용자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어셋(1′)의 전체 사이즈와 이어셋(1′)을 거치하는 크래들의 전체 사이즈를 줄이며, 이어셋(1′)을 크래들에서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음 하우징에 스피커 수납홈 및 스피커 출력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튜닝 홀을 형성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고, 마이크의 소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음 하우징에 튜닝 홀을 형성함으로써, 튜닝 홀을 통해 공기의 유동 공간 예컨대, 소리의 울림 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스피커의 진동판의 울림이 더욱 증대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저음역대에서 고음역대까지의 소리가 맑고 깨끗하게 이어패드로 전달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질이 개선되고, 외부 소음이 마이크로 입력되지 않아 마이크의 소음 차폐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이어셋 10 : 케이스
11 : 배면 케이스 15 : 전면 케이스
17 : 전면 케이스 본체 21 : 돌출부
30 : 이어패드 31 : 이어패드 몸체
33 : 연통공 35 : 트레드
40 : 방음 하우징 41 : 프론트 하우징
45 : 스피커 출력홀 47 : 마이크 입력홀
51 : 리어 하우징 53 : 스피커 수납홈
55 : 마이크 수납홈 57 : 백홀
71 : 스피커 75 : 마이크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에 착탈되는 이어패드;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하는 스피커 출력홀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로 전달하는 마이크 입력홀과,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스피커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마이크가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마이크 입력홀로 유입되는 소리의 일부를 상기 마이크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마이크의 배면으로 유입하는 하나 이상의 백홀을 갖는 방음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백홀은 상기 마이크 수납홈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셋.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과 상기 백홀이 형성된, 이어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중심선에 대해 나란하게 또는 편위되게 형성되는, 이어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이어셋.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을 향해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로 외부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를 크래들에 거치한 후, 상기 필터와 상기 케이스에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이어셋.
KR1020150050805A 2015-04-10 2015-04-10 이어셋 KR10169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05A KR101693268B1 (ko) 2015-04-10 2015-04-10 이어셋
SG10201506403WA SG10201506403WA (en) 2015-04-10 2015-08-14 Earset
US14/837,332 US9762989B2 (en) 2015-04-10 2015-08-27 Earset
CN201510630769.6A CN106060689A (zh) 2015-04-10 2015-09-29 免提耳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05A KR101693268B1 (ko) 2015-04-10 2015-04-10 이어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172A KR20160121172A (ko) 2016-10-19
KR101693268B1 true KR101693268B1 (ko) 2017-01-05

Family

ID=5711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805A KR101693268B1 (ko) 2015-04-10 2015-04-10 이어셋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62989B2 (ko)
KR (1) KR101693268B1 (ko)
CN (1) CN106060689A (ko)
SG (1) SG10201506403W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94B1 (ko) * 2019-10-25 2021-02-24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WO2021080362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을 이용한 언어 처리 시스템
KR20210049369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20210068300A (ko) * 2019-11-29 2021-06-09 주식회사 이엠텍 음성 진동 마이크를 이용한 통역 시스템
US11076215B2 (en) 2018-12-07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and microphone
US11425487B2 (en) 2019-11-29 2022-08-23 Em-Tech Co., Ltd. Translation system using sound vibration micro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5302B (zh) * 2013-02-08 2016-05-21 Jian-Quan Pan Multi-channel headphones
US9872094B2 (en) * 2015-09-04 2018-01-16 Apple Inc. Speaker coupling and bracket
CN106954108B (zh) * 2017-04-28 2019-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麦克风及电子设备
WO2019035304A1 (ja) 2017-08-17 2019-02-21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出力装置
US10015574B1 (en) 2017-09-01 2018-07-03 Apple Inc. Acoustic assembly
KR102415970B1 (ko) * 2017-10-23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교체형 이어버드 및 그 전용장치
CN109756807A (zh) * 2017-11-08 2019-05-14 深圳市佳骏兴科技有限公司 具有耳语传导功能的通话器件及移动终端
WO2019092624A1 (en) * 2017-11-08 2019-05-16 Hearx Ip (Pty) Ltd A monitoring device
EP3503572B1 (en) * 2017-12-20 2023-02-08 ams AG Noise cancellation enabled audio device and noise cancellation system
CN109831725A (zh) * 2018-12-27 2019-05-3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扬声器模组
US11252495B2 (en) * 2019-02-04 2022-02-15 Dan Clark Audio, Inc. Headphone pad mounting system
KR102205697B1 (ko) * 2019-03-05 2021-01-21 주식회사 이엠텍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US11297407B2 (en) 2019-03-05 2022-04-05 Em-Tech Co., Ltd.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KR20200121623A (ko) * 2019-04-16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CN114697791A (zh) * 2020-12-30 2022-07-01 华为技术有限公司 耳机
CN113891210A (zh) * 2021-09-30 2022-01-04 博罗县全成电子有限公司 冲磁场抑制无源无线耳机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305346A (en) * 2002-04-12 2003-10-16 Nap Entpr Co Ltd Ear pad, and earphone with the pad
JP2005277792A (ja) * 2004-03-25 2005-10-06 Nappu Enterprise Kk 発振・エコーキャンセラーシステム
US7983433B2 (en) * 2005-11-08 2011-07-19 Think-A-Move, Ltd. Earset assembly
KR20080072323A (ko) * 2007-02-02 2008-08-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어마이크폰
TWI336597B (en) * 2007-08-07 2011-01-21 Cotron Corp Earphone speaker with esd protection
KR100962720B1 (ko) * 2008-08-29 2010-06-11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근거리 무선통신용 헤드셋
JP2010068299A (ja) * 2008-09-11 2010-03-25 Yamaha Corp イヤホン
US9167337B2 (en) * 2011-01-28 2015-10-20 Haebora Co., Ltd. Ear microphone and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KR101341308B1 (ko) * 2012-03-29 2013-12-12 신두식 이어셋용 방음하우징 및 그를 구비하는 유.무선 이어셋
JP2014155145A (ja) * 2013-02-13 2014-08-25 Funai Electric Co Ltd イヤホンマイク
JP2014187679A (ja) * 2013-02-20 2014-10-02 Funai Electric Co Ltd イヤホンマイク
JP2015023495A (ja) * 2013-07-22 2015-02-02 船井電機株式会社 イヤホンマイク
KR101469908B1 (ko) * 2013-08-21 2014-12-08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US9473842B2 (en) * 2014-09-05 2016-10-18 Haebora Co., Ltd. Earse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215B2 (en) 2018-12-07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and microphone
KR102219494B1 (ko) * 2019-10-25 2021-02-24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WO2021080362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을 이용한 언어 처리 시스템
KR20210049369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102285877B1 (ko) * 2019-10-25 2021-08-05 주식회사 이엠텍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20210068300A (ko) * 2019-11-29 2021-06-09 주식회사 이엠텍 음성 진동 마이크를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102350787B1 (ko) * 2019-11-29 2022-01-14 주식회사 이엠텍 음성 진동 마이크를 이용한 통역 시스템
US11425487B2 (en) 2019-11-29 2022-08-23 Em-Tech Co., Ltd. Translation system using sound vibration micro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1506403WA (en) 2016-11-29
CN106060689A (zh) 2016-10-26
US20160302000A1 (en) 2016-10-13
US9762989B2 (en) 2017-09-12
KR20160121172A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68B1 (ko) 이어셋
KR101721157B1 (ko) 이어셋
RU2713042C1 (ru) Способ модифик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US7477756B2 (en) Isolating deep canal fitting earphone
US8270648B2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9473842B2 (en) Earset
KR101762671B1 (ko) 이어셋
JP2015511805A (ja) イヤーセット用防音ハウジング及びそれを備える有無線イヤーセット
JP7240734B2 (ja) ワイヤレスイヤホン
KR101694706B1 (ko) 이어셋
JP6631530B2 (ja) 音響出力装置
TW201306607A (zh) 整合有麥克風的耳機
WO2006070229A2 (en) Earphone
JP2010016792A (ja) イヤホン
US20230276156A1 (en) Sound output device
US20180121155A1 (en) Helmet for a smart cycling equipment
CN109644301B (zh) 声音输出装置
CN108156547B (zh) 一种tws耳机
KR101756648B1 (ko)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KR102002529B1 (ko) 노즐 일체형 스피커유닛을 구비한 이어폰
JP2012085114A (ja) イヤホン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CN209748766U (zh) 一种声漫射双头护耳耳机
CN107911771B (zh) 一种tws耳机
JP2017528964A (ja) マルチウェイ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