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877B1 -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877B1
KR102285877B1 KR1020190133599A KR20190133599A KR102285877B1 KR 102285877 B1 KR102285877 B1 KR 102285877B1 KR 1020190133599 A KR1020190133599 A KR 1020190133599A KR 20190133599 A KR20190133599 A KR 20190133599A KR 102285877 B1 KR102285877 B1 KR 10228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retation
earphone
function
sound
interpret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369A (ko
Inventor
정승규
김경일
이교선
김선민
김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13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877B1/ko
Priority to PCT/KR2020/014544 priority patent/WO2021080362A1/ko
Publication of KR2021004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노이즈 유입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보다 명확한 음성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성에 대한 통역을 수행할 수 있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은 제 1 이어셋 또는 제 2 이어셋과, 제 1 이어셋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 2 이어셋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번역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로 구성되며,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전자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상태이고,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는 제 1 이어셋 또는 제 2 이어셋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통역 기능의 제어를 위한 기준 음성 신호가 포함된 경우, 기준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자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통역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통역 기능에 대한 시작 또는 종료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TRANSLATION SYSTEM USING EAR SET}
본 발명은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노이즈 유입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보다 명확한 음성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성에 대한 통역을 수행할 수 있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방문객들과 해외를 방문하는 내국인의 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산업 전반적인 분야에서 중국과의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중국인의 우리나라 방문이 급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 국의 방문객들이 대거 방문할 것임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사업을 목적으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사람들 수도 증가일로에 있다. 따라서 세계 각 국의 수많은 방문자들간의 의사소통과 우리나라 국민간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방문객들 및 해외 여행자들은 통상적으로는 서비스가 철저한 호텔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호텔에서는 방문객이 자국의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자신과는 다른 언어권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 호텔에 상주하는 통역사를 거쳐 의사소통을 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한 이-메일(e-mail)또는 팩시밀리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호텔에 세계 각 국의 언 어를 구사할 수 있는 통역사들을 모두 배치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통역사를 항시 동반해야 하며 한 두 명의 통역사들로는 다수의 방문객들에게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불합리함, 그리고 원 하는 시간에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관광 시 자신이 소지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외국인과의 대화 시 실시간으로 동시통역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21707호 "동시 통역 단말기"
본 발명은 외부의 노이즈 유입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보다 명확한 음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에 대한 통역을 수행할 수 있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은 제 1 이어셋 또는 제 2 이어셋과, 제 1 이어셋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 2 이어셋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번역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로 구성되며,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전자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상태이고,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는 제 1 이어셋 또는 제 2 이어셋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통역 기능의 제어를 위한 기준 음성 신호가 포함된 경우, 기준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자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통역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통역 기능에 대한 시작 또는 종료를 수행하고,
제 1 및 제 2 이어셋은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을 정의하고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전면 하우징과, 사용자의 귀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전면 하우징에 하나 이상의 방음구를 구비하고 후면 하우징에 설치 공간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백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음향을 방음구 쪽으로 방출하는 음향 재생 유닛; 음향 재생 유닛으로부터 음향 방출 방향 아래의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는 이너 마이크; 전면 하우징에 설치되며, 방음구를 통해 전달된 음성을 이너 마이크로 전달하는 관로; 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대기 상태에서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키는 중에, 통역 기능 시작을 포함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 업시켜 통역 기능을 시작하고,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통역 기능 종료를 포함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켜 통역 기능을 종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의 음성 통신 채널을 개방하여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부의 노이즈 유입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보다 명확한 음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에 대한 통역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통역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 동작에 의한 입력 없이도 외국인과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통역 대상 언어는 사용자가 말하는 언어로 번역 또는 통역 되어야 하는 언어에 해당되며, 통역 목표 언어는 사용자가 말한 언어를 번역 또는 통역에 의해 최종적으로 대화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언어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영어로 통역을 하고자 할 경우, 통역 목표 언어는 영어가 되며, 통역 대상 언어는 한국어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통역 시스템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이어셋(10)과,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과 유선 통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이어셋(20)과,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 1 이어셋(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이어셋(2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60)를 통하여 번역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와,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와 통신을 수행하며, 통역 대상 정보를 수신하여 포함된 음성 신호에 포함된 음성을 텍스트로 번역하여, 텍스트로부터 변환된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통역 정보를 제공하는 번역(또는 통역)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이어셋(10)은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11)와,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13)(또는 리시버)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5)(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마이크(11)와 스피커(13)의 구성이나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하기의 도 2 내지 6에서, 제 1 이어셋(10)의 기구적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통신 모듈(15)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통역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15)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통신 연결 상태에서, 마이크(11)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제 2 이어셋(20)은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21)와,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23)(또는 리시버)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 케이블(24)(예를 들면, 유선 케이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마이크(21)와 스피커(23) 및 연결 케이블(24)의 구성이나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하기의 도 2 내지 6에서, 제 2 이어셋(20)의 기구적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는 예를 들면,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전화 통화 기능, 음향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는 외부의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31)와,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33)와, 제 1 이어셋(10) 및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등)을 수행하는 통신부(35)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37)와, 마이크(31), 스피커(33), 통신부(35) 및 입력부(37)를 제어하여 전화 통화 기능, 음향 재생 기능 및 통역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마이크(31)와 스피커(33)와 통신부(35) 및 입력부(37)의 구성이나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MCU, MICROPROCESSOR 등)와, 음성 신호, 통역 수행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예를 들면,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역 수행 정보는 적어도 통역 기능을 시작하기 위한 음성 신호(예를 들면, '통역 시작"의 음성 신호 등)와 통역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음성 신호(예를 들면, '통역 종료'의 음성 신호 등)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 음성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는 제 1 및 제 2 이어셋(1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 가능한 상태(예를 들면, 무선 통신 연결 상태 또는 유선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제 1 이어셋(10)과 통신 연결 상태에서, 통신 모듈(15)이 마이크(11)를 통하여 획득된 음성 신호를 통신부(35)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 장착되는 마이크(21)로부터 음성 신호 및 사용자의 외부를 향하는 마이크(31)로부터 음성 신호를 획득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마이크(11) 및 마이크(21)로부터 획득되는 음성 신호(제 1 음성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으로, 마이크(31)로부터 획득되는 음성 신호(제 2 음성 신호)는 사용자의 대화 상대방의 음성으로 간주하여 처리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제 1 및 제 2 음성 신호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대화자 식별 정보를 통역 대상 정보의 전송 시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 이외의 모드나 기능(예를 들면, 대기 모드, 통역 기능 등)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이어셋(10)로부터의 음성 신호 또는 제 2 이어셋(20)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기준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음성 신호가 통역 기능 시작 또는 통역 기능 종료의 기준 음성 신호를 포함하거나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음성 신호가 통역 기능 시작 또는 통역 기능 종료의 기준 음성 신호를 포함하거나 대응하면, 데이터 프로세서(39)는 기준 음성 신호인 통역 기능 시작 또는 통역 기능 종료에 대응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에 인가한다. 만약 음성 신호가 통역 기능 시작 또는 통역 기능 종료의 기준 음성 신호를 포함하지도 대응하지도 않으면,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 이외의 현재 수행 중인 모드나 기능(예를 들면, 대기 모드, 통역 기능 등)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에 의해 시작되는 통역 기능에 의해 통신부(35)와 통신부(45) 간에의 음성 통신 채널(예를 들면, SCO: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을 통하여 통역 대상 정보를 전송하고, 통역 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상세한 통역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기재된다.
전자 통신 디바이스(40)는 예를 들면, 통신 기능을 지닌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정보 통신 장치에 해당되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이나 종료 선택, 통역 기능 시작이나 종료 선택, 통역 목표 언어 및/또는 통역 대상 언어의 선택 입력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49)에 인가하는 입력부(41)와, 통역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거나 표출하는 표시부(43)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등)을 수행하며 네트워크(60)를 통하여 번역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5)와, 음성이나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46)와,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41)와 표시부(43)와 마이크(46) 및 통신부(45)의 구성이나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 및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MCU, MICROPROCESSOR 등)와,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역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예를 들면,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통역 대상 언어 및/또는 통역 목표 언어의 선택 및 설정 과정과, 통역 대상 언어인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역 대상 정보를 생성하여 통역 서버(50)로 전송하는 과정과, 통역 서버(50)로부터 통역 목표 언어인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역 정보를 수신하여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 전송하는 과정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입력부(41)로부터의 실행 입력에 따라 포그라운드 서비스(foreground service) 상태로 활성화시키거나 실행시키며,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 상태 중에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부터의 통역 기능 제어 명령(예를 들면, 통역 기능 시작 명령)에 따라 추가적인 사용자의 버튼 또는 터치 입력 없이도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 업(wake up)시켜 통역 기능을 시작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기능의 수행 중에,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부터의 통역 기능 제어 명령(예를 들면, 통역 기능 종료 명령)에 따라 추가적인 사용자의 버튼 또는 터치 입력 없이도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 시키거나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켜 통역 기능을 종료하고 대기 상태 또는 전화 통화 기능이나 음향 재생 기능으로 동작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통역 기능의 수행 중에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역 대상 정보를 통신부(45)를 제어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하여 번역 서버(50)로 전송하고, 통신부(45)를 제어하여 번역 서버(50)로부터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역 목표 언어를 포함하는 통역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통역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번역 서버(50)는 STT(Speech to Text) 기능(통역 대상 정보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 및/또는 텍스트를 번역하여 번역 텍스트를 생성하는 기능 및/또는 TTS(Text to Speech) 기능(텍스트를 음성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로서, 이러한 번역 서버(5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네트워크(60)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해당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통역 시스템은 하기의 과정을 수행하여 통역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통신 연결 단계이다.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는 제 1 및/또는 제 2 이어셋(20)과 통신 가능한 상태이고, 전자 통신 디바이스(40)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40)와 통신 가능한 상태이다. 이 때,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킨다.
다음으로, 통역 기능의 시작 단계이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통신부(45)를 통하여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부터 통역 기능 시작 명령을 획득하면,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 업(wake up)시켜 통역 기능을 시작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사용자가 통역 대상 언어 및/또는 통역 목표 언어를 음성에 의해 또는 입력부(41)에 의한 입력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대상 언어의 정보(예를 들면, 언어의 종류) 및 통역 목표 언어의 정보(예를 들면, 언어의 종류)를 저장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신부(45)를 제어하여 통신부(35)와의 음성 통신 채널을 개방(open)하여 통역 대상 정보와 통역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통역 기능의 동작 단계이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기능의 수행 중에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제 1 또는 제 2 음성 신호) 및/또는 대화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음성 신호 및/또는 대화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역 대상 정보를 통신부(45)를 제어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하여 번역 서버(50)로 전송한다.
번역 서버(50)는 통역 대상 정보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번역하고, 텍스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음성 신호 및 또는 대화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역 정보를 전자 통신 디바이스(40)에 전송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정보를 통신부(45)를 통하여 수신하고,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부(35)를 통하여 통역 정보를 수신하고, 통역 정보에 포함된 대화자 식별 정보에 따라 포함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33)에 인가하거나 제 1 또는 제 2 이어셋(10, 20)에 인가한다. 즉, 대화자 식별 정보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대화 상대방이 변환된 음성 신호를 청취해야 하므로, 스피커(33)로 인가하고, 대화자 식별 정보가 대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청취해야 하므로, 제 1 또는 제 2 이어셋(10), (20)으로 변환된 음성을 전송하거나 인가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역 대상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직전에 전송한 통역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통역 정보를 수신하여 음 방출하는 동안에는 통역 대상 정보를 전자 통신 디바이스(40)로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이미 통역된 음성 신호를 다시 통역 대상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통역 기능의 종료 단계이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통역 기능의 수행 중에,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30)로부터 통역 기능 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 시키거나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켜 통역 기능을 종료하고 대기 상태 또는 전화 통화 기능이나 음향 재생 기능으로 동작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마이크를 구비한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6에서의 이어셋은 제 1 이어셋(10) 및 제 2 이어셋(2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보이스 마이크는 상술된 마이크(11) 및 마이크(21)에 대응되며, 음향 재생 유닛은 스피커(13) 및 스피커(23)에 대응된다.
하우징(100)은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110)과 외이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120) 구조를 구비하며, 삽입관(120)에는 사용자의 귀에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의 이어 버드가 탈부착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음향 재생 유닛(200),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 마이크(300), 이들을 제어하는 통신 모듈(15) 등과 같은 부품들이 설치 공간(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음향 재생 유닛(200)은 삽입관(120) 측으로 음향을 방출하여 사용자의 귀로 음향을 향하게 하며, 보이스 마이크(300)는 삽입관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들이게 된다. 음향 재생 유닛(200)과 보이스 마이크(300)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브라켓(410) 상에 조립되며, 상부 브라켓(410)에 하부 브라켓(430)이 결합되어 음향 재생 유닛(200)의 백 볼륨을 위한 폐쇄 공간(400)을 형성한다. 한편, 상부 브라켓(410)과 하부 브라켓(430) 사이에, 마이크 브라켓(420)이 추가로 설치되며, 마이크 브라켓(420)에 보이스 마이크(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부 브라켓(410)에는 삽입관(120)과 연통하며, 음향 재생 유닛(200)으로 이어지는 제1 관로(412), 마이크 브라켓(420)으로 이어지는 제2 관로(414)가 형성된다. 또한, 마이크 브라켓(420)에도 제2 관로(414)와 보이스 마이크(300)를 연결하는 관로(422)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브라켓(410)과 하부 브라켓(420) 사이로, 음향 재생 유닛(200)과 보이스 마이크(3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터미널(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미도시)은 PCB 등의 통신 모듈(15)이나 연결 케이블(24)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10), 음향 재생 유닛(200), 마이크 브라켓(420), 보이스 마이크(300), 터미널(510, 520), 하부 브라켓(430)의 조립이 완료된 후, 조립품이 하우징(100)의 설치 공간(110)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부 브라켓(410)의 형상은 하우징(100)의 설치 공간(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설치에 용이하다.
이렇게 상부 브라켓(410)과 하부 브라켓(430)이 형성하는 폐쇄 공간(110) 덕에 음향 재생 유닛(200)의 백홀(미도시)을 통해 외부의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고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재생 유닛(200)의 백홀 사이즈를 대략 1.0mm까지 키울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역대에서 음압을 6dB이상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방음구를 통해 전달된 음성을 보이스 마이크로 전달하는 관로 구조를 후면 하우징(120a)에 백(122a)이 형성되는 오픈형 이어셋에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은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전면 하우징(110a)과 사용자의 귀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하우징(120a)을 구비하며, 전면 하우징(110a)과 후면 하우징(120a)이 결합하여 형성한 설치 공간 내에 부품들이 설치된다.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음향 재생 유닛(200),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 마이크(300), 이들을 제어하는 통신 모듈(15) 등과 같은 부품들이 하우징(110a, 120a)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전면 하우징(110a)은 하나 이상의 방음구(112a, 114a)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2개의 방음구(112a, 114a)가 형성되어 있다. 방음구(112a, 114a)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 방음구(112a)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 방음구(114a)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방음구(112a)는 음향변환장치(300)로부터 외이도로 소리를 출력하며, 제2 방음구(114a)는 SPL 전반적인 밸런스를 위한 구조로 중역대 음압을 평탄하게 튜닝해주는 역할을 하며, 고역대 음압을 상승시켜준다. 제1 방음구(112a)의 음향 방사각과 제2 방음구(114a)의 음향 방사각이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이스 마이크(300)는 제1 방음구(112a)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방음구(112a)와 연통하며 보이스 마이크(300)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관로(420a)가 구비된다. 관로(420a)는 전면 하우징(110a)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화 시에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제1 방음구(112a)로 들어오는 음성을 보이스 마이크(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셋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 하우징(120a)은 귀 내부의 음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백홀(122a)을 구비한다. 이때, 후면 하우징(120a)과 음향변환장치(200) 사이에는 브라켓(430a)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430a)은 백홀(122)을 덮어 관로를 형성한다. 브라켓(430a)은 후면 하우징(120a)의 백홀(122a)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와 관로를 연통시키는 연통홀(432a)을 구비한다. 즉, 관로는 연통홀(432a)과 백홀(122a)을 연결한다. 브라켓(430a)이 형성하는 관로 구조는 하우징(110a, 120a) 내에서 내부 공진을 생성하여 저역대 음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백홀(122a)은 2kHz 대역에서 발생하는 Dip을 상쇄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은, 제2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나, 보이스 마이크(300)와 제1 방음구(112a)를 연결하는 관로(420b)가 절곡 되어 제1 방음구(112a) 내로 연장된 것이 특징이다. 관로(420b)가 제1 방음구 내로 절곡됨에 따라 음성 통화 시 하울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이어셋은, 방음구 내에 음성 마이크 관로를 형성하여 통화 시 유스타키오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음성을 마이크로 입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음성 통화 시에 하울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방음구 내로 연장되어 음성을 안내하는 관로(420b)를 별도로 제조하여 설치함으로써 하울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방음구 내에 음성 마이크 관로를 형성하는 구조는 커널형 이어셋에 적용할 수도 있고, 오픈형 이어셋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형 이어셋과 TWS 이어셋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제 1 이어셋 20: 제 2 이어셋
30: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 40: 전자 통신 디바이스

Claims (10)

  1. 제 1 이어셋 또는 제 2 이어셋과;
    제 1 이어셋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 2 이어셋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번역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로 구성되며,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 전자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상태이고,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는 제 1 이어셋 또는 제 2 이어셋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통역 기능의 제어를 위한 기준 음성 신호가 포함된 경우, 기준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자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통역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통역 기능에 대한 시작 또는 종료를 수행하고,
    제 1 및 제 2 이어셋은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을 정의하고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전면 하우징과, 사용자의 귀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전면 하우징에 하나 이상의 방음구를 구비하고 후면 하우징에 설치 공간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백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음향을 방음구 쪽으로 방출하는 음향 재생 유닛; 음향 재생 유닛으로부터 음향 방출 방향 아래의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는 이너 마이크; 전면 하우징에 설치되며, 방음구를 통해 전달된 음성을 이너 마이크로 전달하는 관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대기 상태에서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키는 중에, 통역 기능 시작을 포함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 업시켜 통역 기능을 시작하고,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통역 기능 종료를 포함하는 통역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통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로 동작시켜 통역 기능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자 통신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음향 디바이스와의 음성 통신 채널을 개방하여 통역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방음구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서 음향 재생 유닛으로부터 외이도를 향해 음향을 방출하는 제1 방음구와, 제1 방음구의 음향 방사각과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서 중역대의 음압을 평탄하게 튜닝해주는 역할을 하는 제2 방음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 방음구의 음향 방사각과 제2 방음구의 음향 방사각은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이너 마이크는 관로를 통해 제1 방음구와 연통하며 사용자의 발화 시에 유스타기오관을 통해 제1 방음구로 들어오는 음성이 관로를 통해 이너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음향 재생 유닛과 후면 하우징 사이에 브라켓이 구비되고 브라켓에는 브라켓 관로가 형성되어 백홀과 설치 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브라켓은 백홀을 덮어 브라켓 관로를 형성하고, 백홀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설치 공간 내부와 브라켓 관로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관로는 방음구 내로 연장되는
    음향 재생 유닛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며, 음향 특성을 튜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관로는 방음구를 따라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1020190133599A 2019-10-25 2019-10-25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10228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99A KR102285877B1 (ko) 2019-10-25 2019-10-25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PCT/KR2020/014544 WO2021080362A1 (ko) 2019-10-25 2020-10-23 이어셋을 이용한 언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99A KR102285877B1 (ko) 2019-10-25 2019-10-25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69A KR20210049369A (ko) 2021-05-06
KR102285877B1 true KR102285877B1 (ko) 2021-08-05

Family

ID=7591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599A KR102285877B1 (ko) 2019-10-25 2019-10-25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8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44A1 (ko) 2015-05-18 2016-11-24 해보라 주식회사 이어셋
KR101693268B1 (ko) * 2015-04-10 2017-01-05 해보라 주식회사 이어셋
KR101767467B1 (ko) 2016-04-19 2017-08-11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4546B1 (ko) * 2013-08-28 2018-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즈프리 자동 통역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핸즈프리 장치와, 핸즈프리 자동 통역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33B1 (ko) * 2009-03-11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 통역 시스템
KR20150021707A (ko) 2013-08-21 2015-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동시 통역 단말기
KR20150081157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넥밴드형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546B1 (ko) * 2013-08-28 2018-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즈프리 자동 통역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핸즈프리 장치와, 핸즈프리 자동 통역 서비스 방법
KR101693268B1 (ko) * 2015-04-10 2017-01-05 해보라 주식회사 이어셋
WO2016186344A1 (ko) 2015-05-18 2016-11-24 해보라 주식회사 이어셋
KR101767467B1 (ko) 2016-04-19 2017-08-11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69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1654B (zh) 耳塞语音估计
DK2882204T3 (en) Hearing aid device for hands-free communication
US7110800B2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headset
CN112770214B (zh) 耳机的控制方法、装置及耳机
US20100235161A1 (e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KR20180004950A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4080589A (zh) 自动主动降噪(anr)控制以改善用户交互
CN105814909A (zh) 用于反馈检测的系统和方法
CN103650533A (zh) 在电子装置上产生掩蔽信号
US20190138603A1 (en) Coordinating Translation Request Metadata between Devices
CN107465970B (zh) 用于语音通信的设备
KR101619133B1 (ko) 통역용 이어셋
US20210090548A1 (en) Translation system
CN111599358A (zh) 语音交互方法及电子设备
US9978387B1 (en) Reference signal generation for acoustic echo cancellation
WO2019186639A1 (ja) 翻訳システム、翻訳方法、翻訳装置、及び音声入出力装置
KR102285877B1 (ko)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CN112883744A (zh) 使用声音振动麦克风的翻译系统
WO2021080362A1 (ko) 이어셋을 이용한 언어 처리 시스템
KR102219494B1 (ko) 이어셋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CN113763940A (zh) 一种用于ar眼镜的语音信息处理方法及系统
KR102178415B1 (ko) 양방향 통역 시스템
KR20220084902A (ko) 주변 소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350787B1 (ko) 음성 진동 마이크를 이용한 통역 시스템
US2022018947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mbient soun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