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685B1 - 수직방향 수축가능한 레일 클램프 - Google Patents
수직방향 수축가능한 레일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1685B1 KR101691685B1 KR1020127017178A KR20127017178A KR101691685B1 KR 101691685 B1 KR101691685 B1 KR 101691685B1 KR 1020127017178 A KR1020127017178 A KR 1020127017178A KR 20127017178 A KR20127017178 A KR 20127017178A KR 101691685 B1 KR101691685 B1 KR 101691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carriage
- rail
- actuator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12—Grippers co-operating frictionally with t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22—Brakes applied by springs or weights and released hydraul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02—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 B61K7/04—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with clamping action
- B61K7/08—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with clamping action oper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레일 클램프는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그 베이스에 장착된 작동기 프레임을 구비하는 캐리지를 포함한다. 스프링은 캐리지의 상부 단부에서 작동기 프레임에 장착된다. 작동기는 베이스와 스프링 사이에 장착된다. 휠이 휠 지지부 상에 장착된다. 휠은 레일과 결합한다.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이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 대향 단부에서 휠 지지부에 장착된다. 작동기는 캐리지를 상승시키도록 서스펜션 프레임 상에 작용한다. 클램핑 레버 쌍은 캐리지의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브레이크 슈는 레버의 최하부 단부에 장착된다. 레버는 그 상부 단부가 이격 이동될 때 그 최하부 단부들을 함께 클램핑하도록 피봇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 같은 피클램핑 부재의 대향 측부들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스프링 세트 클램프(spring-set clamp) 및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인지하고 있는 종래 기술에서, 1976년 8월 3일자로 허여된 존슨의 미국 특허 제3,972,392호는 무동력 또는 무인 상태의 크레인이 그 레일에 고정되어 레일을 따라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경향의 외력에 저항하도록 동작의 페일 세이프 동작 모드에서 크레인 레일의 측부를 클램핑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존슨은 크레인 레일의 측부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페일 세이프 클램핑 장치는 몇가지 요건을 충족하여야만 한다고 교시하고 있으며, 이 요건은 먼저 크레인이 무동력 또는 무인 상태일 때 클램핑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페일 세이프 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력공급되어야 하며, 두 번째로, 클램핑 조립체는 휠 플랜지 사이의 트레드 폭에 의해 제한되는 바와 같은 레일 상의 크레인 휠이 이동을 수용하도록 레일에 관한 클램프의 충분한 측방향 이동을 허용하여야 하고, 세 번째로, 클램프 조립체의 측방향 이동은 클램핑 표면이 크레인 레일의 측부에 접근하는 각도를 크게 변경하지 않아야 하며, 네 번째로, 클램핑 표면이 레일의 경도보다 실질적으로 큰 경도의 금속 톱니형 슈(shoe)를 포함하는 경우 크레인이 그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슈가 레일 상에 끌리게 되는(dragging)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다섯 번째로 클램핑 조립체는 도크 설비의 경우에서와 같이 레일이 매설되는 이동 표면의 개구가 레일의 상단부의 폭의 대략 3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좁은 단면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며, 마지막으로, 그 레일 상에서의 크레인의 이동 이전에 클램프가 완전히 해제되었다는 것을 크레인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원격 감지 수단을 제공하는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존슨은 클램핑 조립체를 분해하지 않고 주기적 검사를 이행하기 위해 그 클램핑 표면이 외부에 장착되는 페일 세이프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인은 또한 이하의 동시계류중인 특허 출원을 인지하고 있다: 일정 하중 레일 클렘프에 대한 PCT 출원 공보 제WO 2009/092156 및 대응 미국 특허 출원 제12/018,085호. 일정 하중 레일 클램프 출원은 프레임과 한 쌍의 레버를 갖는 레일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레버 각각은 그 제1 단부의 브레이크 패드와, 그 제2 단부의 캠 종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피봇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된다. 캠은 레버들 사이에 배치되며, 스프링이 캠을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클램프 해제 작동기는 캠을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대향한다. 한 쌍의 가변 경사 캠 표면이 캠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다. 가변 경사 캠 표면은 레버들 중 대응하는 레버의 캠 종동자와 접촉하며, 가변 경사 캠 표면 각각은 캠이 변위될 때 스프링의 스프링 힘의 변동을 상쇄하여 일정한 클램핑 하중을 유지하도록 변하는 경사를 갖는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는 일 양태에서 하부 단부와 대향 상부 단부를 구비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 캐리지는 하부 단부에 장착된 강성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상부 단부로 상향 연장하도록 베이스에 장착된 작동기 프레임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캐리지의 상부 단부에서 작동기 프레임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작동기가 베이스와 스프링(들) 사이에 장착된다. 작동기는 수축 위치, 제1 연장 위치 및 완전 연장 위치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이 레일을 따라 구름 결합하게 휠 지지부로부터 현수되도록 휠 지지부 상에 장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은 서스펜션 프레임의 제1 단부에서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서스펜션 프레임의 대향 제2 단부에서 휠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작동기는 작동기가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완전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서스펜션 프레임 상의 완전 상승 위치로 캐리지를 상승시키도록 서스펜션 프레임의 제1 단부 상에 작용한다.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대향 대면 클램핑 레버 쌍이 캐리지의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는 대응하는 대향 대면 브레이크 슈 쌍을 그 위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핑 레버 쌍은 클램핑 레버 쌍의 대향 상부 단부가 이격 이동할 때 그 최하부 단부를 클램핑하도록 베이스에 대해 피봇될 수 있다.
클램핑 레버 작동기는 작동기가 수축 위치로부터 제1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레일을 클램핑 해제하도록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들을 이격 이동시키기 위해 클램핑 레버 쌍 상에 작용한다. 작동기가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완전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캐리지는 완전 상승 위치에 위치되고, 동시에 안내 휠의 최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실질적 수평 평면 위로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를 상승시키며, 그래서, 안내 휠이 레일 상에 존재할 때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 상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는 레일 위로 상승되게 된다. 작동기가 완전 연장 위치로부터 제1 연장 위치로 수축할 때, 캐리지는 완전 하강 위치에 위치되고, 동시에 레일의 대향 측부들을 브래킷하도록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를 하강시킨다.
작동기가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수축할 때, 이는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를 이격 이동시키도록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에 작용하며, 그에 의해, 최하부 단부들을 레일의 대향 측부 상에 함께 클램핑한다.
레일 클램프는 레일 클램프의 제동 보조가 필요한, 크레인 같은 레일 장착형 기계류에 적어도 그 제1 단부에서 장착될 수 있는 부하 전달 프레임을 포함한다.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는 캐리지가 완전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부하 전달 프레임 아래로 하향 현수되도록 장착 프레임에 대해 배치된다. 부하 전달 프레임은 클램핑 레버 쌍의 하부 단부와 캐리지의 베이스를 그 사이에 활주 결합으로 개재하는 적어도 종방향으로 이격된 부하 전달 부재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전달 프레임은 종방향 연장 부하 전달 벽을 포함하고, 부하 전달 부재의 쌍은 부하 전달 벽에 장착된 측방향 연장 부재일 수 있다. 부하 전달 벽은 부하 전달 프레임의 제1 단부에 장착되고 부하 전달 프레임의 대향 제2 단부로 연장한다. 부하 전달 벽은 클램핑 레버 쌍과 캐리지를 수납하도록 이격된, 측방향으로 이격된 벽의 쌍일 수 있으며, 이 벽의 쌍 각각은 안내 휠이 레일 상에 있을 때 레일에 인접한 하부 에지를 가지며, 그 위에 장착될 때 브레이크 슈에 대한 접근로를 제공하도록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에 인접한 측벽이 쌍의 하부 에지 각각에 절결부가 형성된다.
절결부는 그 둘레에 보강부를 가지며, 예로서, 보강부는 각 절결부 둘레에 장착된 보강 원호부일 수 있다. 부하 전달 벽이 I-비임인 경우, 보강 원호부 각각은 대응 I-비임의 대응 하부 플랜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지의 베이스는 그 사이에 클램핑 레버 쌍의 하부 단부들을 개재하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세장형의 베이스 부재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레버 쌍은 베이스 부재의 쌍에 피봇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의 쌍은 한 쌍의 연결판이다.
각 서스펜션 프레임은 안내 휠에 대한 캐리지의 이동을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 궤적을 유지하도록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적어도 평행사변형 연동부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휠 지지부는 수직 연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평행사변형 연동부의 쌍의 상부 및 하부 연동부는 대응 휠 지지부의 수직 연장 부재의 대응 상부 및 하부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캐리지는 서스펜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행사변형 연동부의 쌍은 서스펜션 지지부 상에 수직방향으로 이격 장착될 수 있다.
부하 전달 프레임은 크레인 같은 레일 장착 기계류에 그 제1 단부에서 장착되도록 제공되며, 캐리지 및 클램핑 레버 쌍은 상기 부하 전달 프레임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병진하도록 장착되고, 클램핑 레버 쌍은 레일 상에 클램핑되어 있을 때 부하 전달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인가되는 부하를 클램핑 레버 쌍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로 전달하며, 부하는 클램핑 레버 쌍에 대하여 압축에 의해 전달된다.
캐리지는 부하 전달 프레임에 대한 실질적 수직 병진을 안내하도록 부하 전달 프레임과 협력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기 프레임은 수직 직립부의 케이지를 포함한다.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하우징이 케이지에 장착된다.
캐리지의 베이스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부재의 쌍 사이에 장착된 강성 횡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램핑 레버 쌍은 베이스 부재의 쌍 사이에 개재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작동기는 횡단 부재에 대하여 지탱된다.
작동기는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에 대해 지탱되는 피스톤 하우징으로부터 작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 하우징은 쐐기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은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에 대하여 지탱되며, 그래서, 피스톤 하우징이 작동기 프레임에 대해 하강될 때 상부 단부들을 이격시키도록 힘을 인가하고, 스프링(들)에 의해 하향 압박될 때 피스톤의 피스톤 하우징 내로의 수축에 의해 베이스에 대해 힘을 인가한다. 피스톤의 작동에 의한 피스톤 하우징의 상승은 스프링(들)의 복귀 편의력에 맞작용한다. 클램핑 레버 작동기는 피스톤 하우징이 상승될 때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들을 함께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일 수 있다.
부하 전달 프레임은 캐리지를 브래킷하는 측방향 횡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평행한 베이스 부재의 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방향 횡단 부재는 클램핑 레버 쌍에 대하여 베이스 부재 쌍을 개재한다. 측방향 횡단 부재는 부하 전달 프레임의 상단부를 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판은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통해 캐리지가 장착되고, 이 개구를 통해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가 돌출한다. 개구는 지지판이 클램핑 레버 쌍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도록 하는 종방향 치수로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 레버 쌍의 각 레버는 대응 브레이크 슈를 중심으로 한 레버의 피봇이 지지판에 대하여 연장부를 지탱하도록 지지판의 대응 에지와 꼭맞는 인접도로 종방향으로 레버의 상부 단부를 연장시키는 레버의 상부 단부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작동기 구동 악세사리는 지지판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유사 참조번호는 각 도면에서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하나의 부하 전달 측벽이 제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단 지지판이 제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 클램프와, 레일 클램프가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레일을 통해 수직으로 절취된 단면도로서, 그 상승 위치에 있는 클램핑 레버 캐리지를 도시하고, 상단 지지판의 상단부 상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펌프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유압 작동기 장비를 도시한다.
도 4a는 클램핑 레버가 제거되고, 클램핑 레버 캐리지가 그 하강 위치에 있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서스펜션 아암이 실린더 둘레의 환형 플랜지와 접촉할 때까지 실린더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도 4a의 모습이다.
도 4c는 캐리지가 상승함에 따라 서스펜션 아암의 상향 회전을 시작하도록 실린더가 추가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도 4b의 모습이다.
도 4d는 캐리지가 그 완전 상승 위치로 상승되도록 실린더가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도 4c의 모습이다.
도 5는 하나의 부하 전달 측벽이 제거되어 있지만, 보강 원호부는 남아 있는, 도 2의 레일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부하 전달 프레임의 하위 구조를 도시하고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작동기 프레임과 클램핑 레버 작동기를 도시하기 위해 부분 절취되어 있는 도 1의 레일 클램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클램핑 레버 캐리지와 클램핑 레버를 양분하도록 레일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수직 및 측방향으로 절취되어 있는 도 5의 레일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위치에 있는 양 부하 전달 측벽과 제 위치에 있는 스프링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 6의 레일 클램프의 단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단부판과 하나의 부하 전달 측벽이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레일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에 사용하기 위한 클램핑 레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클램핑 레버 작동기의 피스톤 하우징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레버로부터의 하나의 커넥터 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행사변형 링크의 상부 서스펜션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서스펜션의 하나의 캔틸레버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작동기 프레임 캡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작동기 프레임을 위한 수평 안내 프레임 지지 관형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캔틸레버 아암 상에 장착된 상부 및 하부 서스펜션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레일 클램프가 해제되어 있고, 캐리지가 수동으로 상승되어 있으며, 상부 서스펜션 아암이 실린더의 베이스 둘레의 환형 플랜지와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갖지 않는 상태의 도 4d의 단면도의 대안 실시예이다.
도 1은 하나의 부하 전달 측벽이 제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단 지지판이 제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 클램프와, 레일 클램프가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레일을 통해 수직으로 절취된 단면도로서, 그 상승 위치에 있는 클램핑 레버 캐리지를 도시하고, 상단 지지판의 상단부 상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펌프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유압 작동기 장비를 도시한다.
도 4a는 클램핑 레버가 제거되고, 클램핑 레버 캐리지가 그 하강 위치에 있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서스펜션 아암이 실린더 둘레의 환형 플랜지와 접촉할 때까지 실린더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도 4a의 모습이다.
도 4c는 캐리지가 상승함에 따라 서스펜션 아암의 상향 회전을 시작하도록 실린더가 추가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도 4b의 모습이다.
도 4d는 캐리지가 그 완전 상승 위치로 상승되도록 실린더가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도 4c의 모습이다.
도 5는 하나의 부하 전달 측벽이 제거되어 있지만, 보강 원호부는 남아 있는, 도 2의 레일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부하 전달 프레임의 하위 구조를 도시하고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작동기 프레임과 클램핑 레버 작동기를 도시하기 위해 부분 절취되어 있는 도 1의 레일 클램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클램핑 레버 캐리지와 클램핑 레버를 양분하도록 레일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수직 및 측방향으로 절취되어 있는 도 5의 레일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위치에 있는 양 부하 전달 측벽과 제 위치에 있는 스프링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 6의 레일 클램프의 단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단부판과 하나의 부하 전달 측벽이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레일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에 사용하기 위한 클램핑 레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클램핑 레버 작동기의 피스톤 하우징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레버로부터의 하나의 커넥터 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행사변형 링크의 상부 서스펜션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서스펜션의 하나의 캔틸레버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작동기 프레임 캡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레버 캐리지의 작동기 프레임을 위한 수평 안내 프레임 지지 관형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캔틸레버 아암 상에 장착된 상부 및 하부 서스펜션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레일 클램프가 해제되어 있고, 캐리지가 수동으로 상승되어 있으며, 상부 서스펜션 아암이 실린더의 베이스 둘레의 환형 플랜지와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갖지 않는 상태의 도 4d의 단면도의 대안 실시예이다.
레일(12)로의 클램핑을 위해 레일 클램프(10)가 제공된다. 레일(12)은 측면(12a, 12b) 및 상부면 또는 가로면(12c)을 포함한다.
부하 전달 프레임(14)이 휠(16) 상에 장착된다. 승강 서스펜션(18)이 프레임(14) 상에 장착되어 레일(12) 및 프레임(14)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레일 클램프의 제동 보조를 요구하는 레일 장착 기계가 크레인인 경우, 프레임(14)은 크레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레일(12)을 따라 크레인과 함께 종방향(A)으로 이동한다.
승강 서스펜션(18)은 수직 휠 지지 부재(20)를 포함하며, 수직 휠 지지 부재 상에 평행사변형 연동부(parallelogram linkage)(24)일 수 있는 (서스펜션 프레임으로서의) 서스펜션 아암이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안내 휠(16)은 차축(22) 상에 또는 그 밖의 유사한 휠 지지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서스펜션(18) 내에, 평행사변형 연동부(24)의 제1 단부(24a)가 휠 지지부(20)에 핀으로 고정된다. 평행사변형 연동부(24)의 대향 제2 단부(24b)는 캔틸레버 아암(26)의 직립부(26a)에 핀으로 고정된다. 캔틸레버 아암(26)은 커넥터 판(28)의 상부면 상에 볼트 체결된 베이스 단부(26b)로부터 캔틸레버 지지된다. 베이스 단부(26b)에 대향하는 캔틸레버 아암(26)의 말단부(26c)는 해당 채널(30)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동부(26d)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종동부(26d)는 채널(3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각각의 채널(30)은 해당 직립 안내부(32)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캔틸레버 아암(26)은 레일(12)에 평행한, 즉 방향(A)에 평행한 종방향으로는 제한되지만, 그와 달리 수직 및 가로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인다. 그러나, 채널(30)의 이동 및 채널 내의 이동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는 레일 장착 크레인을 위한 스톰 브레이크(storm brake)로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슈(34) 사이에 레일(12)을 체결하도록 클램프가 설정될 때 견뎌야만 하는 주된 힘은 방향(A)에 대해 주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이라는 것을 유념해야된다. 레일 장착 크레인에 대한 특정한 적용을 위해, 레일 클램프 부하 전달 프레임(14)이 단부판(36)을 볼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크레인 구조물(38)에 일 단부에서 장착된다. 브레이크 슈(34)는 클램핑 레버(62)의 최하부 단부에 장착되어, 그들은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한 클램핑 레버 캐리지(40)의 최하부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캐리지(40)는 서스펜션(18) 상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 낮아진 브레이크 설정 위치에서, 대향의 대면하는 쌍으로 위치되는 브레이크 슈(34)가 레일(12)의 대향면(12a, 12b)에 체결된다. 승강된 위치에서, 브레이크는 해제되고 캐리지는 서스펜션(18) 상에서 방향(B)으로 승강된다. 수직 이동의 범위는 그들이 안내 휠 지지부(20) 상에서 방향(C)으로 회전할 때 그에 따른 평행사변형 연동부(24)의 회전에 의해 제한된다.
유압식 작동 피스톤(42)이 피스톤 실린더 하우징(44)으로부터 클램핑 레버 캐리지(40)의 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유압식으로 구동된다. 이것은 실린더 형의 스프링 하우징(48) 내에서 각각 제한되는 결합된 단일 쌍 또는 쌍들의 내측 및 외측 나선형 코일 스프링(46a, 46b)의 복귀 편의력에 대해 상향으로 피스톤 실린더 하우징을 구동시킨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 이상의 결합된 스프링, 예를 들어 최대 6 쌍의 결합된 스프링이 채용되지만, 이것은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스프링 하우징(48)은 외측 덮개(outer cowling)(48a)를 포함하고, 외측 덮개 내에 실린더 형의 스프링 보유 바스켓(48b)이 신축적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스프링 하우징(48) 내의 스프링에 대한 출입은 중공 지주(54)를 통해 수직 상향으로 장착된 4개의 대향 배치 타이 로드(tie rod)(52)로 구성된 4-지주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최고 단부 상에서 제자리에 보유 지지되는 제거 가능한 캡(50)을 통해서이다. 캡(50)은 타이 로드(52) 및 지주(54)의 최고 단부 상에 볼트 체결된다. 타이 로드(52)의 최하부 단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행한 쌍의 커넥터 판(28)의 상부면 내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커넥터 판(28)은 베이스 부재(58)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클램핑 레버 캐리지(4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H" 형상의 베이스 구조물을 형성한다.
피스톤 실린더 하우징(44)은 수평의 안내 프레임(56a) 상에 장착된 4개의 대향 배치된 관 모양의 안내부(56) 사이의 중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된다. 유압식 피스톤(42)이 하우징(44)의 최하부 단부로부터 연장하도록 유압식으로 작동될 때 안내부(56)가 피스톤 실린더 하우징(44)의 병진 운동을 수직적으로 안내하도록 지주(54)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커넥터 판(28) 사이에 견고하게 장착된 베이스 부재(58)를 지탱하도록 피스톤(42)이 하우징(44)으로부터 연장될 때 하우징(44)은 2단계 병진 운동으로서 특정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수직으로 승강된다. 2단계 병진 운동 중 제1 단계에 의해 레일(12)의 상부에 체결된 브레이크 슈(34)를 그들의 체결 및 설정 위치로부터 해제한다. 제2 단계가 제1 단계에 후속하고, 실린더 하우징(44)으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 또는 리지(ledge)(60)에 대해, 평행사변형 연동부(24)의 상부 연동부의 제2 단부(24b)로부터 캔틸레버식으로 연장하는 (강성 연장부로서의) 팁 연장부(24c)를 결합시킨다. 리지(60)는 환형일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 하우징(44)이 피스톤(42)의 작동에 의해 상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평행사변형 연동부(24)가 동시에 안내 휠 지지부(20)에 대해 상향하는 방향(C)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캔틸레버 아암(26)도 또한 상향으로 운반된다. 베이스(26b)가 볼트(26e)에 의해 커넥터 판(28) 상에 견고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아암(26)이 승강됨에 따라, 커넥터 판(28) 또한 승강된다. 커넥터 판(28)이 승강됨에 따라 그들은 그들 사이의 베이스 부재(58)를 견고하게 운반하고, 이에 의해 아래에 기술되는 전체 피스톤(42) 및 실린더 하우징(44) 조립체 및 브레이크 슈 클램핑 조립체를 운반한다.
수직 병진 운동의 제2 단계와 동시에, 실린더 하우징(44)으로부터의 피스톤(42)의 작동은 지주(54)에 대해 환형의 안내부(56)를 활주시키면서, 또한 덮개(48a) 내에 결합되도록 바스켓(48b)을 상향으로 구동시켜, 이에 의해 스프링(46a, 46b)을 압박한다. 캡(50)은 스프링의 상단부를 제한한다. 중심 볼트(50a)는 스프링(46a)의 하단부를 통해 안내 프레임(56a)으로부터 상향 수직으로 연장하는 부재(56b)의 대응 나사산이 있는 중심부 내에서 나사 결합된다. 볼트(50a)는 유지보수의 목적을 위해 스프링 챔버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특히, 볼트(50a)는 실린더의 유압식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프링이 스프링 챔버 내에서 압축을 유지하게 한다. 캡(50)은 4개의 지주(54)에 대해 볼트 체결되어 커넥터 판 및 베이스 부재(58)와 함께 견고한 구조물을 이룬다. 하부 캡(56)이 실린더-웨지 본체(44)와 함께 지주(54) 상에서 활주한다. 따라서,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 중 완전히 낮은 위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행정이 방향(B)으로 65mm인 것으로서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클램핑 레버(62)는 더 낮아지게 되고 브레이크 슈(34)는 레일(12)에 대해 결합된다. 피스톤(42)을 작동하는 유압 시스템 내에 있어서 최소 또는 0 압력이 존재함으로써 피스톤(42)이 완전히 후퇴된다. 도 4b에 있어서, 상부 서스펜션 아암이 60a에서 환형 플랜지(60)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 행정은 30mm까지 감소된다. 이 위치에서, 브레이크와 레일 사이에 갭이 존재하므로 캐리지(40)는 상향으로 자유롭게 병진 운동한다. 도 4c에 있어서, 피스톤(42)이 캐리지(40)를 상승시키도록 연장됨에 따라 행정은 15mm까지 감소된다. 이 위치에서, 캐리지가 방향(Bl)으로 들려 올려짐에 따라 해당하는 들려 올려진 치수(dl)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는 대략 중간 부분까지 승강된다. 도 4d에 있어서, 캐리지는 치수(dl)의 높이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승강된다.
대향하여 쌍을 이룬 클램핑 레버(62)가 핀(6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연결 판(28)의 보어(28a)에 저널식으로 결합된다. 연결 판(28)은 측방향으로, 즉 레일(12)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핀(64)은 레일(12)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클램핑 레버(62)가 핀(64)을 중심으로 D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클램핑 레버(62)가 하강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최하부 단부(62a)의 구멍을 통해 (체결구로서의) 볼트(34a)에 의해 장착되는 브레이크 슈(34)가 레일(12)의 표면(12a, 12b)을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실린더 하우징(44) 내의 유압이 감소함으로써 피스톤(42)이 스프링(46a, 46b)의 팽창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 내로 상향 후퇴하는 것을 허용함에 따라서, 클램핑 레버(62)가 캐리지(40) 상에서 하강된다. 스프링이 팽창함에 따라서, 실린더 하우징(44)은 포스트(54) 상에서 활주하는 관형 가이드(56)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향 구동된다.
클램핑 레버(62) 상의 평행한 플랜지(62b)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휠(66)은 상향 분기 캠 표면(44a)에 대해, 그리고 캠 표면(44a)과 일렬로 실린더 하우징(44) 상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 분기 웨지(44b) 상에 가압된다. 휠(66)이 캠 표면(44a) 위를 굴러 웨지(44b) 위에 오면, 클램핑 레버(62)의 상단부들이 강제로 분리되어, 즉 핀(64)을 중심으로 E 방향으로 회전되어, 브레이크 슈(34)를 F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대향하여 쌍을 이룬 브레이크 슈(34)들 사이의 갭을 폐쇄한다. 그러나, 초기에 휠(66)이 캠 표면(44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함에 따라서, 즉 실린더 하우징(44)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평행사변형 연동부(24)가 또한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캐리지(40) 및 쌍을 이룬 클램핑 레버(62)를 함께 하강시켜 레일(12)의 양쪽에 브레이크 슈(34)를 위치시킨다. 하강 동안, 브레이크 슈들은 클램핑 레버(62)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스프링(62c)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나사 볼트(63)는 캐리지(40)의 하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조정 가능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볼트(63)가 캐리지를 상승된 채로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한편, 스프링(46a, 46b)들은 유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예를 들어, 유지보수 동안) 케이징 볼트(50a)에 의해 매달린다. 정상 작동 동안, 볼트(63)는 스크류 결합되지 않은 위치에 고정되거나, 유지보수 키트의 일부로서 따로 보관된다.
유리하게는, 브레이크 슈(34)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 모양을 갖고, 대략 로크웰 경도 Rc 56-58의 경도를 갖는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34)는 레일(12)의 재료보다 더 경질이고, 그리하여 레일 상에 충분한 힘으로 클램핑될 때 톱니부가 레일을 파고들 수 있다.
스프링(46a, 46b)들의 조합된 스프링 강도는 스프링이 팽창함에 따라서 변하고, 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인 대략 30 킬로뉴턴(30KN)의 최대 압축력과 레일(12)의 측면과 브레이크 슈(34)의 맞물림에 대응하는 대략 중간 팽창에 스프링이 도달했을 때인 대략 21 킬로뉴턴(21KN) 사이에서 변한다. 실린더 하우징(44) 상에 작용하는 21KN의 조합된 하향 스프링력과, 캠 표면(44a)과 웨지(44b)를 통해 하향 스프링력을 휠(66)들이 별개로 구동됨에 따라서 브레이크 슈(34)를 레일(12) 상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레버(62) 상에 작용하는 모멘트로 변환시키는 것은 대략 250킬로뉴턴(250KN)의 유지력을 발생시킨다. 대략 0.5의 파지 상수를 가정하면, 각각의 브레이크 슈의 클램핑력도 대략 250KN이다.
브레이크 슈(34)가 클램핑되고 레일(12) 상에 고정되면, 이것은 예를 들어 레일 장착식 크레인이 바람, 폭풍 등의 영향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대해 총체적으로 저항을 제공한다. 따라서, 주로 브레이크 패드는 제동되어야 할 레일 장착식 기계의 레일을 따른 구름 이동을 저지한다. 크레인은 일례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패드는 또한 굽힘 모멘트, 예를 들어 브레이크 슈의 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 내에서 클램핑 레버를 브레이크 슈를 통과하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려 하는 모멘트에 대한 저항을 또한 제공한다.
따라서, 레일 클램프의 최적 성능을 위해, 브레이크 슈는 정돈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가 특히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더라도, 결국 브레이크 슈 상의 톱니부들의 예리한 에지가 무뎌질 것이고, 따라서 잠재적으로 톱니부들의 레일 내로의 고정이 감소하고 그리고 저항 또는 파지 상수가 감소하며, 따라서 레일 클램프의 유지력이 저하된다. 레일 클램프의 최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슈의 정기적인 교체가 장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인의 관점에서, 브레이크 슈의 교체가 작업자에게 과도하게 힘든 일이 아닐 때, 그리고 또한 브레이크 슈의 마모 상태가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탐지될 수 있을 때, 브레이크 슈가 정기적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에서, 클램핑 레버 캐리지(40)의 상승은 브레이크 슈의 마모를 점검하고 브레이크 슈를 교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첫째로, 캐리지(40)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브레이크 슈(34)들은 최대 간격을 두고 놓여있고, 레일(12)의 높이 위로 상승된다. 둘째로, 부하 전달 프레임의 종방향 연장 벽을 형성하는 벽(68)이 있는 실질적으로 I형 비임에서, 절결부(70)가 I형 비임(68)의 웹의 하부 플랜지 및 대응부에 형성된다. 절결부(70)의 위치는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의 브레이크 슈(34)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접근로를 확보하기 위한 절결부(70)를 통해 브레이크 슈(34)에 도달할 수 있고, 특히 그것의 대응 장착 볼트(34a)에 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모된 브레이크 슈의 점검 및 교체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된 브레이크 슈에 의해 제공되는 유지력을 위태롭게 하지 않기 위해서, 절결부(70)가 I형 비임(68)의 구조를 약화시켜서는 안된다.
작동시에, 바람 또는 폭풍이 기계를 난타함으로써 기계가 레일을 따라 원치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단부판(36)은 크레인과 같은 레일 장착식 기계에 볼트 결합된다. 브레이크가 클램핑되고 바람의 하중이 레일 장착식 기계에 가해지면, 기계는 레일을 따라 제멋대로 구를 수 있고, 따라서 레일 클램프에 불의의 손상을 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레일 장착식 기계가 단부판(36)에 볼트 결합되면, 레일 클램프에 대해 가압되거나 잡아당겨지는 레일 장착식 기계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 방식으로 큰 힘이 단부판(36)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큰 힘은 브레이크 슈에 전달된다. 특히, 가해지는 힘이 예를 들어 단부판(36)에 G 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이면(도 5 참조), 이것은 단부판(36)에 가장 가까운 커넥터 판(28)을 클램핑 레버(62)로부터 멀어지도록 잡아당기고, 단부판(36)으로부터 반대쪽인 클램핑 레버(62)의 측면의 대향 커넥터 판(28)을 클램핑 레버(62)에 대항하여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다. 커넥터 판(28)은 저부 횡단 바아(72) 위로 그리고 그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활주하면서 캐리지(40)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커넥터 판(28)과 횡단 바아(72)는 단순히 서로 샌드위칭되어 있기 때문에, 즉, 서로 링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둘 사이에는 압축시에만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G 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의 예에서, 힘은 단부판(36)에 가장 가까운 측면에서 커넥터 판(28)에 전달되어 대응 저부 횡단 바아(72)를 압축하고, 반대쪽 커넥터 판(28)에 의해 전달되어 클램핑 레버(62)의 대응 측면을 압축한다.
저부 횡단 바아(72)는 프레임(14) 아래의 안내 휠 개구를 측방향으로 가로질러 견고하게 장착되고, 특히 저부 안내 바(74)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저부 안내 바(74)는 단부판(36, 76)의 하부 에지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I형 비임(68)의 하부 에지에 절결부(70)를 형성함으로써[이때, 절결부(70)는 클램핑 레버(62)의 위치에 종방향으로 대응함], G 방향 힘이 절결부(70)를 시작으로 하여 각각의 I형 비임의 웨브(68b)를 통해 상방으로 I형 비임(68)을 찢어버릴 것이다. 이것은 I형 비임(68)의 하부 플랜지(68a)가 절결부(70)에 의해 완전히 절단되었고, 절결부가(70)가 또한 웹(68b) 내로 상향 절단되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보강용 아치(78)가 저부 안내 바(74)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종방향으로 이격된 쌍을 이룬 저부 안내 바(74)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힘 전달 브릿지를 제공한다. 보강용 아치(78)는 이것이 없었다면 웹(68b) 및 플랜지(68a)에 의해 지지되었을 하중을 지지하도록 예를 들어 1/4인치(0.635cm) 강철 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출원인은 또한 프레임(14)이 고하중 동안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그리하여 인클로져의 하부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추가의 강성을 더하기 위해 저부 횡단 바아(72)를 제공하였다.
평행사변형 연동부(24) 상의 안내 휠(16)의 현수 때문에, 그리고 단부판(36, 76)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부유하는 쌍을 이루어 대향 배치된 캔틸레버 암(26) 각각의 캔틸레버 단부(26c)에 의해, 프레임(14)은 캐리지(40)와는 독립적으로 작은 정도로 자유롭게 부유한다. 따라서, 안내 휠(16)이 레일 장착식 기계에 볼트 결합된 프레임(14)의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레일(12)의 기복을 따라 오르내릴 수 있기 때문에, 레일 클램프가 후퇴된 상태로 레일 장착식 기계가 레일 상에서 구를 때, 레일(12)의 높이의 작은 변동이 수용될 수 있다.
가혹한 조건이 상술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슈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야기하는 경우에, 모멘트는 또한 클램핑 레버(62)의 최상단부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윙(80) 상의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인 평면형 지지 표면(80a)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브레이크 슈(34)를 중심으로 클램핑 레버(62)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A 방향 힘으로 인한 모멘트의 경우에, 상부 지지 판(82)의 내부 에지(82a) 중 하나가 정지부로서 작용하여 클램핑 레버(62)의 대응 지지 표면(80a)을 지지한다.
I형 비임(68)의 웹(68b)에는 접근 구멍(84)이 제공된다. 구멍(84)은 상부 평행사변형 연동부(24)의 단부(24a)와 정렬된다. 수형 소켓 단부(25a)와 같은 수단이 대응 핀(25)의 단부에 제공되어, 작업자는 소켓 렌치 또는 기타 토크 장치를 삽입하여 평행사변형 연동부 암(24)에 모멘트를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동으로 클램핑 레버(62)를 후퇴시키고 수동으로 캐리지(40)를 상승시켜, 브레이크 슈(34)를 들어올리고 레일(12) 위로 클램핑 레버(62)의 최하부 단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추가의 수동 실시예에서, 암(24)은 캔틸레버 단부(24c)를 갖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캐리지(40)는 유압식으로 상승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캐리지(40)는 (수동 작동기로서의) 소켓 드라이브, 예를 들어 1/2인치(1.27cm) 정사각형 소켓에 의해, 수형 소켓 단부(25a)를 회전시켜 암(24)을 Z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승된다. 수형 소켓 단부(25a)는 I형 비임(68)에 있는 구동(84)을 관통한다.
이상의 개시 내용의 관점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명백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많은 변경 및 수정이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발명의 실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질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4)
- 레일 클램프이며,
하부 단부 및 대향 상부 단부를 갖는 캐리지로서, 상기 하부 단부에 장착된 강성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상부 단부로 상향 연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작동기 프레임을 구비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상기 상부 단부에서 상기 작동기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사이에 장착되고 수축 위치와 제1 연장 위치와 완전 연장 위치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작동기와,
레일을 따라 구름 결합하도록 휠 지지부로부터 현수되게 휠 지지부 상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과,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으로써,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은 그 제1 단부에서 상기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 대향 제2 단부에서 상기 휠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작동기가 상기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완전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상기 캐리지를 완전 상승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기가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상기 제1 단부 상에 작용하는, 서스펜션 프레임과,
상기 캐리지의 상기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대향 대면 클램핑 레버 쌍으로서,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는 그 위에 브레이크 슈의 대응하는 대향 대면 쌍을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은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대향 상부 단부가 이격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최하부 단부들을 함께 클램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피봇할 수 있는, 대향 대면 클램핑 레버 쌍과,
상기 작동기가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레일을 클램핑해제하도록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를 이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레버 쌍 상에 작용하는 클램핑 레버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상기 캐리지를 상기 완전 상승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완전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동시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을 수용하는 수평 평면 위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이 레일 상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 상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가 레일 위로 상승되게 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캐리지를 완전 하강 위치에 배치하도록 상기 완전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연장 위치로 수축할 때, 동시에,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하부 단부를 하강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이 레일 상에 있을 때 레일의 대향 측부들을 브래킷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 위치로 수축할 때 상기 클램핑 레버의 상기 상부 단부 상에 작용하여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상부 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레일의 대향 측부들 상으로 상기 최하부 단부를 함께 클램핑하는 레일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부하 전달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부하 전달 프레임은 적어도 그 제1 단부에서 상기 레일 클램프의 제동 보조를 필요로하는 레일 장착 기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완전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하 전달 프레임 아래로 하방으로 현수되도록 상기 부하 전달 프레임에 대해 배치되는 레일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에 대한 상기 캐리지의 이동을 위해 수직 궤적을 유지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적어도 평행사변형 연동부의 쌍을 포함하는 레일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상부 단부에 대해 지탱되는 피스톤 하우징으로부터 작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하우징은 쐐기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하향 압박될 때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로의 상기 피스톤의 수축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작동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피스톤 하우징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 단부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상부 단부에 대해 지탱되는 레일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는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각각의 최하부 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그 위에 상기 브레이크 슈의 쌍을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 각각을 통해 체결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각 클램핑 레버의 대응하는 상기 최하부 단부에 대해 대응하는 상기 브레이크 슈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 클램프.
- 레일 클램프이며,
하부 단부 및 대향 상부 단부를 갖는 캐리지로서, 상기 하부 단부에 장착된 강성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상부 단부로 상향 연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작동기 프레임을 구비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상기 상부 단부에서 상기 작동기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사이에 장착되고 수축 위치와 제1 연장 위치와 완전 연장 위치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작동기와,
레일을 따라 구름 결합하도록 휠 지지부로부터 현수되게 휠 지지부 상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과,
제1 단부에서 상기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 대향 제2 단부에서 상기 휠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과,
상기 캐리지의 상기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대향 대면 클램핑 레버 쌍으로서,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최하부 단부는 그 위에 브레이크 슈의 대응하는 대향 대면 쌍을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은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대향 상부 단부가 이격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최하부 단부들을 함께 클램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피봇할 수 있는, 대향 대면 클램핑 레버 쌍과,
상기 작동기가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레일을 클램핑해제하도록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를 이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레버 쌍 상에 작용하는 클램핑 레버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상기 캐리지를 완전 상승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완전 연장 위치로 연장할 때, 동시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을 수용하는 수평 평면 위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이 레일 상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최하부 단부 상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가 레일 위로 상승되게 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캐리지를 완전 하강 위치에 배치하도록 상기 완전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연장 위치로 수축할 때, 동시에,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하부 단부를 하강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휠이 레일 상에 있을 때 레일의 대향 측부들을 브래킷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제1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 위치로 수축할 때 상기 클램핑 레버의 상기 상부 단부 상에 작용하여 상기 클램핑 레버 쌍의 상기 상부 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레일의 대향 측부들 상으로 상기 최하부 단부를 함께 클램핑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은 그 위에 장착된 수동 작동기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수동 작동기에 인가된 수동 토크에 의한 수동 작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리지를 상승시키는 레일 클램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작동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피봇 결합부 상에 장착되는 레일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은 강성 연장부를 포함하고, 강성 연장부는 상기 작동기가 상기 완전 연장 위치로 연장될 때 상기 작동기 상의 대응 강성 표면에 대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프레임이 그와 함께 상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캐리지를 그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레일 클램프.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A2009/001737 WO2011063491A1 (en) | 2009-11-30 | 2009-11-30 | Vertical retractable rail clam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499A KR20120105499A (ko) | 2012-09-25 |
KR101691685B1 true KR101691685B1 (ko) | 2017-01-09 |
Family
ID=4406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7178A KR101691685B1 (ko) | 2009-11-30 | 2009-11-30 | 수직방향 수축가능한 레일 클램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8646582B2 (ko) |
EP (1) | EP2523841B1 (ko) |
JP (1) | JP5465788B2 (ko) |
KR (1) | KR101691685B1 (ko) |
CN (1) | CN102762429B (ko) |
WO (1) | WO201106349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76397B2 (en) | 2009-08-21 | 2017-06-13 | Herzog Contracting Corp. | Clamp assembly |
CN103204443A (zh) * | 2013-04-16 | 2013-07-17 | 抚顺永茂建筑机械有限公司 | 高层建筑用屋面吊吊臂防风夹轨器装置 |
CN103863945B (zh) * | 2014-03-20 | 2015-09-30 |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 行走台车刹车定位装置及具有其的轨道式塔式起重机 |
EP3256360B1 (en) * | 2015-02-11 | 2019-11-06 | Portal Crane Parts Ltd. | Retracting rail clamp |
DE102015108745B4 (de) * | 2015-06-02 | 2019-10-31 | Römer Fördertechnik GmbH | Schienenzange mit vertikaler Führung |
CN106395624B (zh) * | 2016-08-30 | 2017-11-03 | 武汉开锐海洋起重技术有限公司 | 一种自锁式顶夹轨防风抗滑装置 |
CN108215316A (zh) * | 2017-12-22 | 2018-06-29 | 宁波富乐礼机器人科技有限公司 | 体外诊断试剂盒的自动组装机的装配机构 |
US11447162B2 (en) * | 2018-11-15 | 2022-09-20 | Fritel & Associates, L.L.C. | Rail brake system for Hirail vehicles and other rail vehicles and rail equipment |
CN111845837B (zh) * | 2019-04-29 | 2024-09-20 | 常州中车铁马科技实业有限公司 | 制动夹钳装置、变轨距转向架和轨道车辆 |
US20220205498A1 (en) * | 2019-04-30 | 2022-06-30 | Hillmar Industries Limited | Rail clamp with rotatable brake shoe |
CN110356966A (zh) * | 2019-07-17 | 2019-10-22 |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 一种内置式手动夹轨器及安装有该夹轨器的轨道、方法 |
JP7398302B2 (ja) * | 2020-03-19 | 2023-12-14 | 株式会社三井E&S | レールクランプ装置 |
CN112091986B (zh) * | 2020-08-06 | 2024-05-31 | 陈凯 | 一种适用于架空轨道的传菜机器人 |
CN112091934B (zh) * | 2020-08-06 | 2024-05-31 | 陈凯 | 一种架空轨道式智能无人传菜系统 |
CN114538013B (zh) * | 2022-04-26 | 2022-07-12 | 烟台冰轮冻干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冻干设备的自动化物料输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48895A (en) * | 1952-11-04 | 1956-06-05 | Lucchetti Anthony | Emergency railroad brake |
US2928502A (en) | 1957-07-26 | 1960-03-15 | Fredrik Troften | Braking device for cable-drawn wagon on funicular railways |
US3972392A (en) | 1975-04-07 | 1976-08-03 | Norman Allen Johnson | Fail-safe clamping apparatus |
US4236608A (en) * | 1978-10-30 | 1980-12-02 | Jacob Kobelt | Compact caliper brake |
US4308937A (en) * | 1979-12-04 | 1982-01-05 | Johnson Norman A | Self-aligning clamping apparatus |
JPS58114290U (ja) * | 1982-01-25 | 1983-08-04 | 株式会社大倉製作所 | レ−ルクランプ |
FR2644765B2 (fr) * | 1988-06-08 | 1991-07-05 | Leroy Somer | Frein electromagnetique a machoires de serrage |
JPH0756296Y2 (ja) * | 1990-09-26 | 1995-12-25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レールクランプ |
JP2540383Y2 (ja) * | 1993-01-30 | 1997-07-02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レールクランプ |
JPH0885696A (ja) * | 1994-09-17 | 1996-04-02 | Koshihara:Kk | クレーンの走行レールクランプ装置 |
KR101008058B1 (ko) * | 2003-07-28 | 2011-01-13 | 주식회사 포스코 | 주행 레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하역기용 레일클램프 |
US7328778B2 (en) * | 2005-08-04 | 2008-02-12 | Hillmar Industries Ltd. | Wheel brake caliper |
DE102005053835B4 (de) * | 2005-11-08 | 2010-04-08 | Hartmut Bischoff | Kompakte Bremszange mit hoher und variabler Kraftübersetzung |
ITMI20061513A1 (it) * | 2006-07-31 | 2008-02-01 | Poli Costruzione Materiali Trazione Spa | Unita' frenante compatta a disco per veicoli su rotaia |
US7975811B2 (en) * | 2008-01-22 | 2011-07-12 | Hillmar Industries Ltd. | Constant force rail clamp |
-
2009
- 2009-11-30 KR KR1020127017178A patent/KR1016916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11-30 EP EP09851553.9A patent/EP2523841B1/en active Active
- 2009-11-30 US US13/512,871 patent/US8646582B2/en active Active
- 2009-11-30 JP JP2012540232A patent/JP5465788B2/ja active Active
- 2009-11-30 CN CN200980163351.1A patent/CN102762429B/zh active Active
- 2009-11-30 WO PCT/CA2009/001737 patent/WO20110634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02-11 US US14/178,267 patent/US20140158475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499A (ko) | 2012-09-25 |
US20120241262A1 (en) | 2012-09-27 |
WO2011063491A1 (en) | 2011-06-03 |
US20140158475A1 (en) | 2014-06-12 |
EP2523841A4 (en) | 2014-02-12 |
EP2523841B1 (en) | 2016-11-23 |
US8646582B2 (en) | 2014-02-11 |
JP2013512158A (ja) | 2013-04-11 |
JP5465788B2 (ja) | 2014-04-09 |
CN102762429B (zh) | 2015-08-19 |
EP2523841A1 (en) | 2012-11-21 |
CN102762429A (zh) | 2012-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1685B1 (ko) | 수직방향 수축가능한 레일 클램프 | |
EP3256360B1 (en) | Retracting rail clamp | |
US10214395B2 (en) | Gantry assembly and a system for replacing single or double railway bridges | |
KR102396813B1 (ko) | 부유식 설비를 지반에 고정하는 시스템을 위한, 앵커 체인 체결용 도삭기 | |
CN102085993A (zh) | 矿用电梯柔性导轨张紧力自动调节装置及方法 | |
US20220195678A1 (en) | Lift drive for a rail-guided cantilever construction device | |
CN209455879U (zh) | 一种用于升降设备的安全刹车装置 | |
US20020084449A1 (en) | Rotating jack winch | |
JP6586384B2 (ja) | エレベーターのコンペンロープ引き上げ装置 | |
KR20120105500A (ko) | 코일 스프링 레일 브레이크 | |
EP0831053B1 (en) | A ram winch | |
KR101775934B1 (ko) | 코일스프링 레일 브레이크용 스프링 케이징 장치 | |
US2024026353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ontrol lines in well operations | |
KR100790321B1 (ko) |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 |
US5443000A (en) | Calender | |
NO2022004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ontrol lines in well operations | |
AU2009201845B2 (en) | Rod Handling System | |
CN221625770U (zh) | 一种用于举升设备的辅助脱载装置及架车机 | |
CN208565326U (zh) | 一种常开式电力液压块式制动器 | |
CN210318260U (zh) | 货运索道制动装置 | |
RU250169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постановки на путь сошедшего с рельсов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 |
CN109592533A (zh) | 一种用于升降设备的安全刹车装置 | |
HU180829B (hu) | Csillebetoló berendezés gépesített bányaüzemi aknarakodóhoz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