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446B1 -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446B1
KR101691446B1 KR1020147032584A KR20147032584A KR101691446B1 KR 101691446 B1 KR101691446 B1 KR 101691446B1 KR 1020147032584 A KR1020147032584 A KR 1020147032584A KR 20147032584 A KR20147032584 A KR 20147032584A KR 101691446 B1 KR101691446 B1 KR 10169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led device
parameter information
service program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867A (ko
Inventor
쯔 캉
케 펭
보 황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3Household appliance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3Washing, laund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54Fridge, refrige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함 -;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DEVICE, AND PLUG-AND-PLAY DEVICE}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3년에 5월 17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310185748.9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2013년 9월 27일에 출원된 국제출원 PCT/CN2013/084387의 계속출원(continuation)이며, 두 출원 모두는 인용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 포함된다.
일상 생활에서, 냉장고, 세탁기, 및 텔레비전과 같은 장치에 대한 지능형 제어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러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냉장고의 온도 범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 후, 냉장고는 실행중의 프로세스에서 온도를 지능적으로 검출하여 온도 범위 내에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그 후에 다시 수동 제어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경험은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세탁기가 야간 피크밸리(peak-valley) 전기 기간을 사용하여 지능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세탁기의 실행기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야간의 피크밸리 전기 기간 동안에 세탁기의 실행을 수동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기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경험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전술한 디바이스가 지능적이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여전히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비교적 높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threshold)을 가지도록 요구하므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큰 장벽으로 작용하여 전술한 디바이스의 실제 이용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진흥 및 대중화에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레그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controlled device)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됨-;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control instruction)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명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후에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carry)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하다고 결정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랜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의 제2 측면은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고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명령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로컬 단(local end)의 식별 정보 및 수신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로컬 단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고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획득된 상기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1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대해 응답하여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은, 표시를 위해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랜더링하도록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은, 제어 디바이스, 피제어 디바이스,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고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됨-;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입력 이벤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타입 취득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며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하다고 결정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상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표시를 위해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를 위해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랜더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한 때, 입력 이벤트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기 때문에, 제어 디바이스는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할 수 있고; 그 후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명령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예를 들어,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피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필요로 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매우 감소시키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다비아스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adaptability)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히 소개한다. 명백히, 아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여전히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일 뿐이다.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간단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하에, 각각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기재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구현하고 사용하기 쉬운(user-friendly)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기반을 둔, 두 가지 타입의 디바이스, 즉 상호작용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를 소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피제어 디바이스는 공통의 지능형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통상의 비지능형 디바이스(통상의 비지능형 냉장고, 비지능형 세탁기, 또는 비지능형 텔레비전 등)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피제어 디바이스가 통상의 비지능형 디바이스인 경우,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basic function actuator)와 통합될 뿐 아니라, 표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및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통합되어야 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한 지능형 단말기 일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피제어 디바이스와의 통신 및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USB 인터페이스와 같은)를 가져야 할 뿐 아니라, 상호작용 디바이스와 통신 및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Wi-Fi를 통해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또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제어 디바이스는 Wi-Fi를 통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와 통신 및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또한,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PC 또는 다른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과 같은, Wi-Fi 능력을 갖는 휴대 가능한 지능형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1: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며, 파라미터 정보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current running state)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가 표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확립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피제어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가 표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확립한 후, 피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제어 디바이스에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사전에(proactively) 전송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는 일반적으로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에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디바이스가 냉장고이면,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는 온도, 냉장고 모드, 현재 실행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조명 작동 모드(light working mode), 심지어 냉장고 안의 음식의 타입이나 양 등을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피제어 디바이스가 세탁기이면, 현재 실행 상태에서의 세탁기의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는 설정된 세탁 시간, 세탁 모드(표준 세탁 또는 빠른 세탁과 같은) 등을 반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피제어 디바이스가 텔레비전이면,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는 현재 실행 상태에서의 텔레비전의 설정된 시작 시각, 디폴트 재생 채널, 음량, 등을 반영할 수 있다.
102: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캡슐화할 수 있다.
103: 제어 디바이스가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할 수 있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랜더링할 수 있다.
104: 제어 디바이스가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입력 이벤트를,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에 의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현재 상태에서의 냉장고에 대한 것이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되고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 이벤트가 트리거되면(예컨대, 제스처를 통해 트리거됨), 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냉장고에 대한 것이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기 위해, 입력 이벤트(즉, 제스처)를 파싱할 수 있다.
105: 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control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한다.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단계 104에서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냉장고에 대한 것이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면, 제어 디바이스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피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온도에 관한 지능형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냉장고에 대한 것이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파라미터의 조정(예컨대 증가 또는 감소)을 수행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가, 전술한 단계 104에서, 현재 상태에서의 세탁기에 대한 것이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설정 세탁 시간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면, 제어 디바이스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현재 상태에서의 세탁기의 설정된 세탁 시간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세탁기에 대한 것이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설정 세탁 시간의 조정(예컨대 세탁 시간의 연기 또는 앞당김)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간단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1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매우 감소시키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본 1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adaptability)이 우수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연결(Wi-Fi와 같은, 무선 연결 또는 유선 연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통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Wi-Fi를 통해, 무선 라우터가 위치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제어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는, 제어 디바이스는 피제어 디바이스(예컨대, 냉장고)에 대한 연결을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립한다.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코어로서, 제어 디바이스는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지능형 운영체제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은 지능형 운영체제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01: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예컨대, 냉장고)에 대한 연결을 확립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한다.
302: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질의한다.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질의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피제어 디바이스가 냉장고이면,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는 온도, 냉장고 모드 파라미터, 현재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조명 작동 모드), 심지어 냉장고 안의 음식의 타입이나 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03: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패키지화한 후, 피제어 디바이스는 표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에 패키지화된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한다.
304: 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305: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Wi-Fi를 통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한다.
306: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랜더링하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307: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동작을 포착한다.
308: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포착된 터치 동작을 스크린 좌표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스크린 좌표 입력 이벤트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스처로 인코딩한다.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스처의 콘텐츠는 터치 동작 타입(예: 가볍게 톡톡 치는 탭(tap) 또는 잽싸게 휙 움직이는 플릭(flick)), 터치 동작 영역(터치 동작 시점 및 종점 포함), 터치 동작 시간, 및 가속도 방향과 같은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309: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스처를 Wi-Fi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310: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고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제스처를 수신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제스처를 파싱하여 제스처에 포함된 속성을 획득하고, 그 후, 제스처에 포함된 속성에 따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는, 제스처의 콘텐츠에 포함된 터치 동작 영역(터치 동작 시점 및 종점 포함) 속성에 따라, 터치 동작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 즉 사용자가 제어해야 하는 파라미터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기 위해, 제스처의 콘텐츠에 포함된 가속도 방향 속성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해야 하는 파라미터 정보의 제어 타입(예: 증가, 감소 또는 모드 변경)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계 307∼308을 통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스처를 획득하는 목적이 달성될 수 있고, 전술한 단계 310을 통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기 위한 제스처의 파싱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311: 제어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어 명령어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312: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한 조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능형 운영체제상에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는 도 3에 기재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도 3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간단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3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매우 감소시키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도 3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는 지능형 운영체제상에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도 3에 기재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개시한다.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그 후 제어 디바이스가, 도 3에 설명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지능형 운영체제에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서버, 제어 디바이스, 피제어 디바이스, 및 무선 라우터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버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방식(예: Wi-Fi)를 통해, 무선 라우터가 위치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액세스할 수 있고, 무선 라우터는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되고; 또,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예: 냉장고)에 대한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의 흐름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501: 제어 디바이스가 타입 취득 명령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타입 취득 명령어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의 취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502: 피제어 디바이스가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는 디바이스 타입, 모델 정보, 또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제조사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503: 제어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서버에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전송한다.
504: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 클라우드 서버는 제어 디바이스에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패킷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무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 클라우드 서버는 식별 정보 인증 에러 메시지를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505: 제어 디바이스는, 도 3에 기재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한다.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설치(install)할 수 있다.
도 5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아키넥처 내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지능형 운영체제상에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는 도 3에 기재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간단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는 것이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매우 감소시키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가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네트워크 아키넥처 내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전에,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먼저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고; 피제어 디바이스를 식별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도 5에 기재된 방법의 수행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네트워크 아키넥처 내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에 대해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의 흐름도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601: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602: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 클라우드 서버는, 제어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하다는 결정한 후, 클라우드 서버는 먼저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이 저장되어 있으면, 추가로 제어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전송한다; 또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이 최종 버전인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에, 클라우드 서버는 또한, 제어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패킷을,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으로서 전송할 수 있다.
603: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된다.
604: 제어 디바이스는,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도 5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한다.
도 6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는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네트워크 아키넥처 내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도 5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그 후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더욱 간단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지능형 제어의 애플리케이션 범위를 확장한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가,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표시를 위해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 스트림 형태인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기 전에, 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는 추가로 통신 연결을 확립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 둘 다가, Wi-Fi를 통해, 무선 라우터가 위치하는 근거리 통신망에 액세스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신한 후,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 확립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한 후,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Wi-Fi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통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제어 디바이스 1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 1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 2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고, ..., 나머지는 유추에 의해 추론될 수 있으며, 제어 디바이스 n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 n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으며; 반면 상호작용 디바이스 1은 무선 네트워크(예: Wi-Fi)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 1 내지 제어 디바이스 n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고, 상호작용 디바이스 2는 Wi-Fi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 1 내지 제어 디바이스 n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고, ..., 나머지는 유추에 의해 추론될 수 있으며, 상호작용 디바이스 n도 또한 Wi-Fi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 1 내지 제어 디바이스 n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통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는 각각 USB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는 반면에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또한 Wi-Fi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 디바이스, 피제어 디바이스,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이한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피제어 디바이스 또는 상이한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해 우연하고 다양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며,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구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독립적인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의 새로 추가된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가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의 새로 추가된 부분 또는 독립적인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때,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활립(예: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연결도 확립(예: Wi-Fi를 통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대해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다른 구현 방식에서,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네트워크 요소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요소 디바이스의 제품 형태는 홈 파트너 디바이스(home partner device), 라우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네트워크 방화벽 디바이스, GGSN, PDSN 등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외부에 독립적인 구축을 지원하고, 기존 디바이스에 대한 상호연결할 수 있고, 또는 플러그인 카드 또는 소프트웨어 통합의 방식으로 라이브 네트워크(live network)의 네트워크 요소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축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기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유닛(801)- 파라미터 정보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제1 유닛(801)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유닛(802);
제2 유닛(802)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유닛(803);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유닛(804)을 포함한다.
제3 유닛(803)은, 제4 유닛(804)에 의해 획득된 제어 명령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그래픽 상호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므로,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적인 제어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4 유닛(804)이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4 유닛(804)은 입력 이벤트를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4 유닛(804)은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스처를 수신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단지 기복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필요로 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크게 낮추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구성도이며, 상기 장치는 본 발명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최적화함으로써 획득된다. 게다가, 도 8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포함된 유닛들 외에,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다음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유닛(805);
로컬 단(local end)의 식별 정보 및 제5 유닛(805)에 의해 수신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제6 유닛(806) -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은 실행을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됨 - ; 및
제1 유닛(801)을 트리거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6 유닛(806)에 의해 수신되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7 유닛(807).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다음의 유닛을 더 포함한다:
로컬 단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8 유닛(808)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클라우드 서버가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9 유닛(809)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은 실행을 통해 디바이스 타입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고,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제8 유닛(808)에 의해 수신됨 - ; 및
제5 유닛(805)을 트리거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9 유닛(809)에 의해 획득된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0 유닛(810).
실시예에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서, 제3 유닛(803)은,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대해 응답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여,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와 상호작용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서, 제1 유닛(801)은,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서, 제3 유닛(803)이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3 유닛(803)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랜더링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크게 낮추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구성도이며, 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1000)는 CPU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1),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4) 또는 다른 상호작용 인터페이스(1003), 메모리(1005),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1002)를 포함한다. 통신 버스(1002)는 이들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호작용 인터페이스(1003)는 선택적으로 USB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표준 인터페이스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4)는 선택적으로 Wi-Fi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005)는 고속 RAM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005)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001)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메모리(1005)는 아래의 요소, 실행 가능한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체, 아래의 요소, 실행 가능한 모듈 및 데이터 구조체의 서브세트, 또는 다음의 요소, 실행 가능한 모듈, 및 데이터 구조체의 확장세트를 저장한다:
각종 기본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에 기반한 타스크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운영체제(10051):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10052).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01)는 메모리(100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invoke)하여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작업;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작업;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작업; 및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 -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01)가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1001)는, 입력 이벤트를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한다.
실시예에서,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프로세서(1001)는 또한 다음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
로컬 단의 식별 정보 및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작업; 및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어하는 작업.
실시예에서,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기 전에, 프로세서(1001)는 또한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로컬 단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클라우드 서버가 로컬 단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는 작업; 및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실행을 위해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작업.
실시예에서,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기 전에, 프로세서(1001)는 또한,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01)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은,
프로세서(1001)가,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01)가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작업은,
프로세서(1001)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에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랜더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하는 것만으로,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크게 낮추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모듈(110), 회로 기판(120), 및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포함하고, 회로 기판(120)상에 마이크로컨트롤러(1201) 및 메모리(1202)가 배치되어 있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 및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각각 회로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1201)에 통신 연결 상태이고,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회로를 통해 메모리(1202)와 통신 연결 상태이고, 회로 기판(120) 및 무선 주파수 모듈(110)은 단일 케이싱(140)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으며;
메모리(1202)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메모리(12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호출하여,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 - 파라미터 정보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됨 -;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작업;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작업 - 입력 이벤트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됨 - ;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작업; 및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 -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01)가,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작업 시에,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구체적으로, 입력 이벤트를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또한,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로컬 디바이스(즉,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버가 로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또한,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로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고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클라우드 서버가 로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01)에 의한,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 시에,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구체적으로,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01)에 의한,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작업 시에,
마이크로컨트롤러(1201)는 구체적으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130)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110)을 사용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랜더링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하는 것만으로,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크게 낮추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는 또한 제어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도 불릴 수 있고; 구현 방식에서, 제어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이라는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이 시스템은 본 발명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1), 피제어 디바이스(2),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3)를 포함한다. 구현 방식에서, 제어 디바이스(1)는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2)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1)는 (Wi-Fi와 같은 무선 연결 또는 유선 연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대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으며,
제어 디바이스(1)는 피제어 디바이스(2)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2)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고;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호작용 디바이스(3)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됨 -;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피제어 디바이스(2)는,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2)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 피제어 디바이스(2)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
상호작용 디바이스(3)는,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되고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2)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제어 디바이스(1)에, 상호작용 디바이스(3)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입력 이벤트(예: 제스처)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1)가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어 디바이스(1)는 입력 이벤트를,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와 매칭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고, 변환을 통해 획득된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여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4)를 더 포함하고,
제어 디바이스(1)는, 피제어 디바이스(2)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2)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디바이스(1)의 식별 정보 및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클라우드 서버(4)는, 제어 디바이스(1)의 식별 정보 및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되는 피제어 디바이스(2)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디바이스(1)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피제어 디바이스(2)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 디바이스(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1)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2)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2)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피제어 디바이스(2)는,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된 타입 취득 명령어를 수신하고,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제어 디바이스(1)에 피제어 디바이스(2)의 타입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제어 디바이스(1)는, 제어 디바이스(1)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고,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고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클라우드 서버(4)가 제어 디바이스(1)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 후에 클라우드 서버(4)에 의해 전송됨 -;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피제어 디바이스(2)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는,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되고 제어 디바이스(1)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수신하고, 제어 디바이스(1)에,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제어 디바이스(1)는,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호작용 디바이스(3)는, 제어 디바이스(1)와 상호작용 디바이스(3) 사이의 통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제어 디바이스(1)에 연결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제어 디바이스(1)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어 디바이스(1)가, 피제어 디바이스(2)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피제어 디바이스(2)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2)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피제어 디바이스(2)가,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된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수신하고,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1)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제어 디바이스(1)가,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어 디바이스(1)가,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호작용 디바이스(3)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호작용 디바이스(3)가, 제어 디바이스(1)에 의해 전송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랜더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된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를 사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 표시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어를, 상호작용 디바이스상에서 단지 트리거하는 것만으로,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빠르게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12에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피제어 디바이스는 기본적인 기능 액추에이터만 있으면 되고, 지능형 칩,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복잡한 키와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낮은 지능형 제어 기술 임계값을 갖도록 허용되고, 이는 사용자 수행 지능형 제어에 대한 장벽을 크게 낮추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을 증가시키며, 피제어 디바이스의 진흥 및 대중화에 유익하다.
또한, 도 12에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정시에 독립적으로 지능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적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개시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저장 매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내로 판독되면, 컴퓨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모든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다음의 유익한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접 지능과 간접 지능 사이의 방법을 제안하고, 제어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채택되고, 이동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채택되므로,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간접적으로 구현한다. 다시 말해,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지능형 제어는 저가의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그리고 기존의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충분히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방안은 구현하기 쉽고 강한 효환성을 가진다.
보통의 피제어 디바이스는 변형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기술적 해결책은 구현하기 쉽고, 따라서 비교적 총 비용이 낮고 진흥 및 대중화하기 쉽다.
2. 플러그앤플레이 방식에서는 작고, 정교하고 휴대 가능한 것이 상이한 통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편리하게 되므로, 제어 디바이스는 다양한 피제어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고, 플러그앤플레이 및 이동성에 이점이 있으며, 피제어 디바이스와 결합되지 않는다. 또, 제어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편리하게 설치되고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확장성이 비교적 우수하다.
3.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타스크가 할당된 후, 타스크는 정시에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어,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적응성이 우수하다.
당업자라면, 실시예의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 하드웨어(예컨대, 프로세서)에 지시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상세하게 소개하였고, 본 발명의 원리 및 구현 방식은 구체적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실시예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한편,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인 구현 방식 및 애플리케이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8)

  1.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controlled device)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current running state)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표시를 위해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랜더링할 수 있도록,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됨 -;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속성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고(parsing), 상기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속성에 따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control instruction)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control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carry)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표시를 위해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비디오 스트림 형태로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을 수신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고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표시를 위해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랜더링할 수 있도록,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속성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고(parsing), 상기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속성에 따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식별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명령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로컬 단(local end)의 식별 정보 및 수신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단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고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로컬 단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획득된 상기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대해 응답하여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장치.
  11. 제어 디바이스, 피제어 디바이스,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고 -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를 위해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비디오 스트림의 형태로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고 -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표시를 위해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비디오 스트림 형태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표시를 위해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랜더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임 - ;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됨 -; 상기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속성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입력 이벤트를 파싱하고(parsing), 상기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속성에 따라,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작업의 수행은, 상기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의 그래픽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입력 이벤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타입 취득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타입 취득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타입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수신하고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인증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송됨 -;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하여,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타입 취득 명령어를 전송하는 작업의 수행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업그레이드된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지니는 상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매칭하는 디바이스 식별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킷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호작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결 확립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응답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질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상태에서의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인,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47032584A 2013-05-17 2013-09-27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91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185748.9 2013-05-17
CN201310185748.9A CN103309308B (zh) 2013-05-17 2013-05-17 一种设备智能化控制方法及装置、系统、即插即用设备
PCT/CN2013/084387 WO2014183365A1 (zh) 2013-05-17 2013-09-27 一种设备智能化控制方法及装置、系统、即插即用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867A KR20150004867A (ko) 2015-01-13
KR101691446B1 true KR101691446B1 (ko) 2016-12-30

Family

ID=4913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584A KR101691446B1 (ko) 2013-05-17 2013-09-27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077231A1 (ko)
EP (1) EP2840455B1 (ko)
JP (2) JP2015525529A (ko)
KR (1) KR101691446B1 (ko)
CN (1) CN103309308B (ko)
BR (1) BR112015028442B1 (ko)
RU (1) RU2602982C2 (ko)
TW (1) TWI496067B (ko)
WO (1) WO2014183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9308B (zh) * 2013-05-17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智能化控制方法及装置、系统、即插即用设备
CN103543738B (zh) * 2013-11-12 2016-04-13 从兴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空气开关设计方法及智能空气开关系统
CN104766456A (zh) * 2014-01-06 2015-07-08 上海本星电子科技有限公司 以便携式智能设备为控制中枢的智能交互系统
EP3114784B1 (en) * 2014-03-03 2023-06-07 Avi-on Labs, LLC Networking systems, protoco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s
WO2015134493A1 (en) 2014-03-03 2015-09-11 AVI-On Labs, LLC Networking systems, protoco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s
CN103986821A (zh) * 2014-04-24 2014-08-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进行参数调整的方法、设备和系统
CN104410653A (zh) * 2014-07-17 2015-03-11 深圳市巨龙科教高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屏互动方法及系统
CN105353729B (zh) * 2014-08-21 2018-12-04 丰唐物联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与控制设备
CN104244054B (zh) * 2014-08-22 2019-04-23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多终端设备的遥控方法及相关装置、系统
CN104216643A (zh) * 2014-08-26 2014-12-17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与设备的交互方法、装置以及系统
CN104519207B (zh) * 2014-12-08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614998B (zh) * 2014-12-19 2018-07-3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家居设备的方法和装置
CN104615456B (zh) * 2014-12-30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中控设备
WO2016141506A1 (zh) * 2015-03-06 2016-09-15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无线信号的系统、方法及装置、无线变换模块、路由器及用户设备
CN104932455B (zh) * 2015-04-27 2018-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系统中智能设备的分组方法和分组装置
CN104850329A (zh) * 2015-04-29 2015-08-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参数调节方法及装置
CN106201236B (zh) * 2015-04-30 2020-10-27 西安乐食智能餐具有限公司 一种交互界面的显示方法和设备
CN106293929B (zh) * 2015-06-11 2020-10-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第一电子设备
CN105549399B (zh) * 2015-07-29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室内环境监控方法及物联网终端
US11019560B2 (en) 2015-09-16 2021-05-25 Neutrino8, Inc. Selective cloud-based SSID (service set identifier) steering for allowing different levels of access for wireless network friends when onboarding on Wi-Fi networks
US10390217B2 (en) 2016-12-27 2019-08-20 Neutrino8, Inc. Wireless configuration of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WDS) Wi-Fi range extenders using non-Wi-Fi-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WO2017084044A1 (zh) 2015-11-18 2017-05-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总线编址方法、装置及一种信息提示方法、装置
JP6429033B2 (ja) * 2016-01-15 2018-11-28 株式会社ダイフク 機械設備の制御システム
CN108702830B (zh) * 2016-01-27 2021-07-13 昕诺飞控股有限公司 外围设备、包括外围设备的系统和方法
CN107015488B (zh) * 2016-01-28 2020-09-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方法、装置及终端适配装置
CN108307390A (zh) * 2016-08-25 2018-07-20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无屏智能设备的用户交互系统及交互方法
CN106507502A (zh) * 2016-10-27 2017-03-15 李露青 智能交互方法和系统
CN106572252A (zh) * 2016-10-28 2017-04-19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智能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363634B (zh) * 2016-11-29 2019-11-08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机器人的方法及系统
CN106475950B (zh) * 2016-12-19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螺丝刀的控制方法及装置
US10205724B2 (en) * 2016-12-27 2019-02-12 Neutrino8, Inc. Cloud-based onboarding of cloud-controlled Wi-Fi network devices
CN106657373A (zh) * 2017-01-04 2017-05-10 沈阳东软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云系统中的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6792696B (zh) * 2017-01-11 2023-04-07 揭军平 智能显示设备用二维码扫描的接入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8429810B (zh) * 2018-03-15 2021-06-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家教设备的远程管控方法与系统
CN108809968B (zh) * 2018-05-28 2021-05-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共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218516A (zh) * 2018-07-04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设备的交互控制方法和装置
CN109327507B (zh) * 2018-09-11 2021-12-17 深圳和而泰数据资源与云技术有限公司 转换协议加载方法、相关设备、系统及介质
CN109688488A (zh) * 2018-11-21 2019-04-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及移动终端
DE112019006699T5 (de) * 2019-01-21 2021-10-14 Google Llc Steuerung entfernter vorrichtungen unter verwendung von benutzerschnittstellenvorlagen
CN109945416A (zh) * 2019-03-31 2019-06-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的控制检测方法、联网模块、空调器及控制终端
CN109901478A (zh) * 2019-03-31 2019-06-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的联网控制方法、模块、控制终端、终端及介质
CN110609717A (zh) * 2019-09-09 2019-12-24 深圳市尚康智科技有限公司 一种料理机及其控制方法
EP3805878B1 (de) * 2019-10-11 2022-06-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von bildschirminhalten auf einem datenvisualisierungssystem sowie datenvisualisierungssystem zur visualisierung von bildschirminhalten
CN110996152A (zh) * 2019-11-26 2020-04-10 广州长嘉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投屏器的电视无线投屏方法、装置及系统
CN113038251B (zh) * 2019-12-25 2022-10-14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1367452B (zh) * 2020-03-17 2021-08-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交互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1596559A (zh) * 2020-04-02 2020-08-2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智慧显示终端及存储介质
CN111474859A (zh) * 2020-04-02 2020-07-3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非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923677B2 (en) 2021-01-14 2024-03-05 II Joseph M. DeLapa Customizable overcurrent protection assistant
CN115202221A (zh) * 2021-04-13 2022-10-18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主控设备的受控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3341738A (zh) * 2021-05-24 2021-09-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家电设备控制的方法及装置、设备
CN113419652A (zh) * 2021-06-22 2021-09-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智能设备交互方法、服务端和客户端
CN115032917A (zh) * 2022-05-27 2022-09-0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349A1 (en) * 2000-01-07 2001-09-27 Sharood John N. Retrofit monitoring device
JP2003324779A (ja) 2002-04-30 2003-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20130082827A1 (en) * 2011-09-30 201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467A (ja) * 1997-11-12 1999-05-28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制御装置、制御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伝送媒体
JP2000295645A (ja) * 1999-02-02 2000-10-20 Komu Square:Kk 通信経路制御装置
US7058967B2 (en) * 2000-12-15 2006-06-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8909739B2 (en) * 2001-01-29 2014-12-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device
US7337402B2 (en) * 2001-11-09 2008-02-26 Microsoft Corporation Tunabl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liance using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JP4315638B2 (ja) * 2002-04-16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る機器の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19000A (ja) * 2003-01-17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システム
FR2853421B1 (fr) * 2003-04-04 2005-06-03 Hager Electro Sas Ensemble de programmation de dispositifs de commande a distance
WO2005032203A1 (ja) * 2003-09-26 2005-04-07 Kabushiki Kaisha Toshiba 家電遠隔制御操作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サーバ、ホームサーバ、家電機器、サービス提供サーバの家電遠隔制御操作支援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サーバの家電サービス提供支援方法
KR20050040166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장치를 제어하는 프록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5175969A (ja) * 2003-12-11 2005-06-30 Sanyo Electric Co Ltd アダプタ
CN100383713C (zh) * 2004-12-31 2008-04-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设备的信息输入装置及控制方法
US8135395B2 (en) * 2005-03-18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nfigurable performance levels in a wireless device
US8533253B2 (en) * 2005-06-09 2013-09-10 Whirlpool Corporation Distributed object-oriented appliance control system
CN100401674C (zh) * 2005-09-08 2008-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系统及方法
RU53510U1 (ru) * 2005-10-24 2006-05-1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естаков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умный дом"
JP4605028B2 (ja) * 2006-01-18 2011-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通信装置、及び被制御側通信装置
US7890470B2 (en) * 2006-05-03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evice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with device not providing content directory
ITTO20070051A1 (it) * 2007-01-24 2008-07-25 Indesit Co Spa Utenza elettrica, in particolare un elettrodomestico, relativo dispositivo ausiliario opzionale e sistema comprendente tali utenza e dispositivo
CN101316183B (zh) * 2007-05-31 2011-07-27 海尔集团公司 数字家庭网络的人机交互界面生成方法以及系统
CN101436972A (zh) * 2007-11-16 2009-05-20 海尔集团公司 一种远程家电控制系统
JP5003518B2 (ja) * 2008-02-04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JP4978575B2 (ja) * 2008-06-25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CN101325612B (zh) * 2008-07-24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家庭网络的远程访问控制系统和方法
CN101727211A (zh) * 2008-11-03 2010-06-09 北京魔力科技有限公司 智能电子白板系统
US20120059932A1 (en) * 2010-09-02 201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ying home network technologies to a wide area network
RU108611U1 (ru) * 2011-01-12 2011-09-20 Юрий Эдуардович Галанин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ации средств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KR101047899B1 (ko) * 2011-02-18 2011-07-08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동 생성과 이를 이용한 설비 제어시스템
US20120331156A1 (en) * 2011-06-21 2012-12-27 Colpitts Cameron Wireless control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DE102012212514A1 (de) * 2011-07-18 2013-02-21 Logitech Europe S.A. Fernbedienungs-Benutzerschnittstelle für Handgerät
CN102413182A (zh) * 2011-11-17 2012-04-11 南京天溯自动化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远程监控装置和方法
CN102347957A (zh) * 2011-11-18 2012-02-08 王鑫 一种云网络准入鉴别系统及准入鉴别技术方法
TW201328249A (zh) * 2011-12-27 2013-07-01 Hon Hai Prec Ind Co Ltd 遙控系統及遙控方法
CN102736599B (zh) * 2012-06-14 2014-09-24 华北电力大学(保定) 基于物联网技术的实时互动智能终端控制系统
CN102938729B (zh) * 2012-10-30 2016-12-21 山东智慧生活数据系统有限公司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远程控制方法
CN103309308B (zh) * 2013-05-17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智能化控制方法及装置、系统、即插即用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349A1 (en) * 2000-01-07 2001-09-27 Sharood John N. Retrofit monitoring device
JP2003324779A (ja) 2002-04-30 2003-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20130082827A1 (en) * 2011-09-30 201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0455A4 (en) 2015-08-19
WO2014183365A1 (zh) 2014-11-20
EP2840455A1 (en) 2015-02-25
KR20150004867A (ko) 2015-01-13
RU2014151790A (ru) 2016-07-10
BR112015028442A2 (pt) 2017-07-25
JP6312877B2 (ja) 2018-04-18
JP2017102953A (ja) 2017-06-08
EP2840455B1 (en) 2018-04-04
TWI496067B (zh) 2015-08-11
JP2015525529A (ja) 2015-09-03
CN103309308B (zh) 2016-08-10
US20150077231A1 (en) 2015-03-19
CN103309308A (zh) 2013-09-18
TW201446011A (zh) 2014-12-01
RU2602982C2 (ru) 2016-11-20
BR112015028442B1 (pt)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446B1 (ko) 디바이스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
US11310730B2 (en) Method of connecting to network for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necting to network for home appliance system
CN103458399B (zh) 智能wifi模块及将支持wifi连接的设备配置进wifi网络的方法
AU201338803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device, and plug-and-play device
WO2017129124A1 (zh) 智能家电控制方法及智能家电
US20130271672A1 (en) Television manipulation method, handheld device, television, and television manipulation system
CN104808496A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访问方法
WO2020168568A1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2014224A (zh) 一种移动终端及遥控系统与方法
WO2017059703A1 (zh) 网络家电的控制方法、功能手机、网络家电及系统
WO2017143743A1 (zh) 一种异构协议互通方法及控制器
WO2015000379A1 (zh) 空调器的远程控制方法和空调器的远程控制系统
WO2022001039A1 (zh) 遥控器中键值的更新方法、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103619A1 (zh) 配网终端、家电的配网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345828A (zh) 一种智能终端控制电脑的方法及系统
CN104424036A (zh) 智能终端的同步操作方法及装置
CN107948689B (zh) 利用智能机顶盒进行物联控制的方法及系统
CN103327387A (zh) 电视机遥控方法及系统
CN114095295B (zh) 智能门铃信息继承方法、智能门铃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065992A (zh) 一种基于html的多屏机顶盒遥控器系统和工作方法
KR101669561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대상 단말 제어 방법
CN103269360A (zh) 一种对电器设备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CN109089250B (zh) 基于网关调度的蓝牙通信方法和装置
CN109151786B (zh) 基于网关调度连接的蓝牙通信方法和装置
CN110708744B (zh) 通信控制方法、家电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