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25B1 -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125B1
KR101691125B1 KR1020160041947A KR20160041947A KR101691125B1 KR 101691125 B1 KR101691125 B1 KR 101691125B1 KR 1020160041947 A KR1020160041947 A KR 1020160041947A KR 20160041947 A KR20160041947 A KR 20160041947A KR 101691125 B1 KR101691125 B1 KR 10169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pair
expert
diagnostic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4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6Q50/28
    • H04N5/225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시 전문가의 스케쥴을 통해 가용 인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스케쥴에 맞추어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해결을 위한 부품이 전문가의 업체 방문 이전에 배송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전문가의 업체 출장과 동시에 완벽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시 전문가의 스케쥴을 통해 가용 인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스케쥴에 맞추어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해결을 위한 부품이 전문가의 업체 방문 이전에 배송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전문가의 업체 출장과 동시에 완벽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용 인원 확보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효율적인 인원 운용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After-sales service system for apparatus in remote area}
본 발명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시 전문가의 스케쥴을 통해 가용 인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스케쥴에 맞추어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해결을 위한 부품이 전문가의 방문 이전에 진단 대상 장비가 위치하는 업체에 배송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전문가의 업체 방문과 동시에 완벽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계장치나 설비 또는 고객의 단말에 설치되어 고객이 요구하는 서비스에 대한 자동화를 구현하는 솔루션과 같은 장비를 판매하는 업체는 대부분 해당 장비에 대한 사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장비 이용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지속적인 고정 고객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의 고장 발생시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에 대한 사후 관리 서비스를 위해 대부분 출장 서비스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출장 서비스를 위해 업체에서는 대부분 간단한 고장임에도 불구하고 고객이 파악하지 못한 다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전문가를 파견함으로써 사후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이로 인해, 사후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 입장에서 전문가가 항시 외부에서 이동함에 따른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수 숙련자의 파견으로 인해 회사 내부의 잔여 대기 인원에 전문가를 배치시키기 어려워 유선을 통한 고객으로부터 질의에 대하여 전문적인 응답이 어려워지거나 다른 중요한 업무가 마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가를 출장 인원으로 파견한 경우라도 출장지에서 장비에 대한 문제 확인 중 부품교체가 필요한 진단이 발생하고 출장 인원이 해당 부품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 출장 인원은 부품 조달을 위해 다시 본사를 방문해야 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인력 낭비가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객의 출장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장비를 판매하는 회사 입장에서 효과적인 사후 관리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 숙련자의 효율적인 출장 관리 뿐만 아니라 출장 이전에 부품이 고객에게 조달되도록 하여 사후 관리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76939호
본 발명은 고객의 업무와 관련된 장비의 고장 발생시 원격지에서 전문가가 용이하게 출장 이전에 고장 원인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전문가의 출장 스케쥴에 맞추어 장비가 위치한 장소로 고장 원인의 해결을 위한 부품이 조달되도록 함으로써 사후 관리 서비스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장비에서 기존과 동일한 문제 발생시 고객이 직접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그대로 재연하여 고객 스스로 고장 원인의 해결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운용 가능한 전문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전문가 없이 고객의 즉각적인 대처에 따른 사후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진단 대상 장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신호를 상기 진단 대상 장비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진단 대상 장비로부터 상기 시험 신호에 대응되어 수신되는 응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 장치 및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부품의 배송 요청에 대한 부품 요청정보 및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수리 일정에 대한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쥴 정보 및 부품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스케쥴에 따른 부품의 배송 일자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배송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외부를 촬영하여 생성한 외부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의해 출력되는 내부 영상정보를 상기 진단 대상 장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외부 영상 정보 및 내부 영상 정보를 상기 진단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에 따른 수리 요청에 대한 수리 요청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서로 다른 전문가의 상기 각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수리를 위한 담당 전문가를 배정하여 상기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로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리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 및 상기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로 상호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진단 대상 장비는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문가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 완료시 상기 시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구성되어 상기 진단 장치로부터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른 로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수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상기 전문가의 수리 권한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진단 장치에 구성되는 인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입력코드와 미리 설정된 권한 정보를 비교하여 수리 권한 인증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를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종료 신호 수신 전까지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록 모듈은 상기 로그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인 결과 영상 정보를 상기 로그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수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록 모듈은 상기 진단 장치 또는 진단 대상 장비를 통해 수신된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이벤트 단위로 상기 로그정보와 결과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단 장치 또는 진단 대상 장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른 수리 완료시 상기 시작 신호 이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상기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장비는 상기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기록 모듈로부터 상기 수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수리 정보를 상기 전문가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리 내용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리 정보와 매칭하여 수리내역 DB에 저장하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에 따른 수리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리내역 DB를 검색하여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에 매칭된 수리 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수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인덱스 정보에 상기 부품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부품 정보 포함시 상기 부품의 장착 방법에 대한 부품 장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기 수리정보에 포함시키거나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부품 장착 정보에 대한 링크정보를 상기 수리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시 전문가의 스케쥴을 통해 가용 인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스케쥴에 맞추어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해결을 위한 부품이 전문가의 업체 방문 이전에 배송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전문가의 업체 출장과 동시에 완벽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용 인원 확보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효율적인 인원 운용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 대상 장비가 위치하는 장소에 방문하여 진단 대상 장비를 수리하는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기록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추후 해당 진단 대상 장비에서 기존과 동일한 고장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수리 요청에 따라 해당 고장 증상에 대응되는 전문가의 수리 과정에 대한 수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해당 수리 정보를 기초로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재연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문가의 방문을 기다릴 필요없이 즉시 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방문에 따른 모든 수리 과정을 기록하여 진단 대상 장비의 다양한 고장 증상에 따른 수리 방법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출장 횟수를 낮출 수 있어 가용 인원의 확보가 가능해짐으로써 사후 관리 서비스의 인건비 부담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사후 관리 서비스의 운영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전문가의 수리 시작시 진단 대상 장비를 일시 정지시켜 전문가의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원격 진단 및 부품 배송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문가의 스케쥴에 기반한 전문가 배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문가의 수리 과정에 대한 기록 및 저장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수리 정보 생성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수리정보에 대한 인덱스 설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수리 요청에 따른 수리 정보 제공에 대한 동작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 설치되는 진단 대상 장비(10)와 연결되는 진단 장치(20)와, 상기 진단 장치(2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진단 장치(20)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100)와, 상기 진단 장치(20) 및 관리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전문가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전문가에 각각 대응되는 전문가 단말(3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설치된 장소에 위치하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유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와 연결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는 특정 분야를 위한 설비, 기계 장치 또는 PC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비 외에도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적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21)는 PTZ 카메라로 구성되어 상기 진단 장치(20)의 제어에 따라 PTZ(PAN/TILT/ZOOM)가 제어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서 고장(이상) 발생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요청받은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진단 장치(20)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진단 장치(20)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진단에 따라 수신된 진단 정보를 기초로 고장 원인을 파악한 후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과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위한 스케쥴(schedule)을 지정하여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면, 관리 서버(100)는 전문가의 스케쥴에 맞추어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위한 부품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위치하는 업체에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문가가 원격에서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 원인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스케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문가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100)에서 해당 스케쥴에 따라 가용 인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전문가의 스케쥴에 따른 업체 방문 일정에 맞추어 해당 업체에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위한 부품이 배송되도록 함으로써 각 전문가의 스케쥴 파악에 따른 인원 관리 및 부품 조달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가용 인원의 확보를 통한 사후 관리 서비스의 운용 비용 절감 및 인원 관리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상세 동작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원격 진단 및 부품 조달에 대한 동작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대상 장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을 접수한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원격 진단을 위해 상기 진단 장치(20)로 시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시험 정보를 기초로 시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시험 신호를 진단 대상 장비(10)에 전송하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로부터 상기 시험 신호에 따른 응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시험 정보 수신시 상기 시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21)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21)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외부를 촬영하여 생성한 외부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는 상기 진단 장치(20)와 통신하는 기록 모듈(11)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진단 장치(20)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수신된 시험 신호를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따라 동작하는 진단 대상 장비(10)의 출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해당 출력정보를 상기 응답정보로 상기 진단 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정보는 상기 시험 신호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영상 출력 수단이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 정보는 상기 영상 출력 수단으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내부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내부에 상기 기록 모듈(11)과 함께 하나의 진단 모듈로 구성(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모듈(11) 또는 상기 진단 모듈은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운영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진단 모듈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0) 및 전문가 단말(30)과 통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응답정보 및 상기 외부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험 정보를 전송한 전문가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 정보는 전문가 단말(3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문가 단말(30)로 상기 진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한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진단 정보를 출력하여, 전문가가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전문가의 입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위치하는 업체로의 출장 일정에 대한 스케쥴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을 해결하기 위해 부품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부품을 요청하기 위한 부품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로 상기 스케쥴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전문가에 대응되는 사원 정보가 저장된 전문가 DB(102)와 비교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전문가의 상기 사원 정보에 포함된 스케쥴 정보를 상기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스케쥴 정보 및 부품 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문가의 출장(방문) 일정에 맞추어 부품을 상기 업체에 배송하기 위한 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40)에 대응되는 관리자는 해당 배송 정보를 확인하여 전문가가 요청한 부품을 조달하고 해당 부품이 상기 전문가의 업체 방문 일정에 맞추어 업체에 도착하도록 부품을 배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단 장치(20) 또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리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전문가 DB(102)에 저장된 각 전문가의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가용한 전문가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문가를 담당 전문가로 배정하여 해당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로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문일시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포함된 방문일시에 방문 가능한 담당 전문가를 상기 전문가 DB(102)에 저장된 각 전문가의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파악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쥴 정보는 전문가의 방문 일시별로 방문 대상 업체의 위치정보가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00)는 담당 전문가 배정시 상기 전문가 DB(102)에 저장된 각 전문가의 스케쥴 정보와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포함된 방문일시 및 업체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방문일시와 가장 인접한 시간에 상기 업체의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와 가장 인접한 장소에 위치하는 전문가를 담당 전문가로 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전문가 단말(30)의 원격 진단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회원 DB(101)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상기 회원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진단 대상 장비(10)에 연결되는 진단 장치(20)의 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응되는 진단 장치(20)를 식별하고, 해당 진단 장치(20) 및 상기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로 각각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이용 가능한 일회성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원 정보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장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진단 장치(20)로 접속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진단 장치(20)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인증된 전문가 단말(30)에 한해 시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진단을 허가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 발생시 전문가의 스케쥴을 통해 가용 인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스케쥴에 맞추어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 해결을 위한 부품이 전문가의 업체 방문 이전에 배송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전문가의 업체 출장과 동시에 완벽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용 인원 확보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효율적인 인원 운용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은 진단 대상 장비(10)에서 기존과 동일한 고장 발생시 해당 고장의 수리를 담당한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재연하여 자체 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 내지 도 7의 구성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수리하기 위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위치하는 장소에 도착한 전문가의 전문가 입력을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시작하기 위한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시작 신호를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구성된 기록 모듈(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진단 장치(20)로부터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통한 전문가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서 생성되는 결과정보 및 상기 입력정보를 로그(log)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로그정보를 취합하여 수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로그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인 결과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로그정보와 상기 결과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수리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기록 모듈(11)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로그정보와 결과 영상정보를 상호 매칭한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매칭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수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진단 장치(20) 또는 진단 대상 장비(10)를 통해 수신된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이벤트 단위로 상기 로그정보와 결과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로그정보 및 상기 로그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결과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단위를 구분하기 위한 상기 진단 장치(20) 또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로부터 수신되는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 신호 1을 기초로 상기 시작 신호부터 상기 이벤트 신호 1까지 생성된 상기 로그정보(로그정보 1) 및 결과 영상정보(결과 영상정보 1)를 매칭하여 이벤트 정보 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모듈(11)은 이벤트 신호 1의 수신시부터 상기 이벤트 신호 1의 다음 이벤트 신호인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 신호 2의 수신 전까지 생성된 상기 로그정보(로그정보 2) 및 결과 영상정보(결과 영상정보 2)를 매칭하여 이벤트 정보 2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기록 모듈(11)은 수리 과정의 종료에 대한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종료 신호 수신시 상기 종료 신호 수신전까지 생성된 모든 이벤트 정보를 생성 순서대로 취합하여 상기 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기록 모듈(11)은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시간 단위 또는 이벤트 단위로 기록하여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수리 정보를 상기 진단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수리 정보를 저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리 정보를 수리 내역 DB(103)에 저장하여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수리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리 정보는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담당한 전문가의 사원 정보와 상기 전문가가 수리한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응되는 회원정보 및 수리 일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리 정보에 대응되는 수리 요청 내용을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시작 신호 수신과 함께 상기 카메라부(21)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 과정에 대하여 촬영된 외부 영상정보를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영상 출력 수단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촬영하거나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부품 교체 과정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외부 영상 정보를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수리 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index) 정보를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거나 상기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수리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과 관련된 증상, 수리에 이용된 교체 부품에 대한 부품 정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담당한 전문가에 대한 사원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인덱스 정보에 부품 정보 포함시 상기 부품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부품 정보에 대응되는 부품의 장착 방법에 대한 부품 장착 정보를 수신하여(다운로드(download) 하여)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키거나 상기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부품 장착 정보에 대한 링크(link)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단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수리 정보와 인덱스 정보를 수리 내역 DB(103)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 상기 수리 정보에 대응되는 진단 대상 장비(10)에서 상기 수리 정보에 대응되는 고장 증상과 동일한 고장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고장 증상을 검색하여 해당 고장 증상에 대한 수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리 정보를 참고하여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을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50)의 수리 요청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리 내역 DB(103)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수신된 수리 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단 장치(20)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진단 정보를 기초로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 증상을 판단한 후 이에 대응되는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문가 단말(30)은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 원인에 대응되는 정확한 수리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100)에 의해 추출되도록 상기 진단 정보를 기초로 전문가의 입력에 따라 고장 원인에 대응되는 정확한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리 요청정보 또는 진단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리 내역 DB(103)의 수리 정보에 포함된 수리 요청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수리 요청정보 또는 진단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수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50) 또는 전문가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 서버(100)는 수리 요청정보 또는 진단 결과 정보에 포함되는 진단 대상 장비(10)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속성별 파라미터(parameter)를 검색어로 하여 상기 수리 내역 DB(103)를 검색하고, 해당 수리 요청정보에 따른 진단 대상 장비(10)의 고장을 사용자가 직접 재연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따른 고장 증상과 관련된 전문가에 의한 기존의 수리 과정이 기록된 수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는 진단 장치(20)에 대한 장치정보,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장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문가 단말(30)은 상기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리 정보 수신시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50)로 해당 수리 정보를 전송하여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하여, 전문가를 통한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이에 따른 정확한 수리 방법에 대한 수리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50)은 상기 수리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된 로그정보 및 결과 영상정보 뿐만 아니라 카메라부(21)를 통해 얻어진 외부 영상정보 및 부품 장착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직접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진단 대상 장비(10)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리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장착 정보 및 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직접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부품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수리 정보 추출시 상기 수리 정보에 부품 장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부품 장착 정보에 대응되는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4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40)의 관리자가 상기 배송정보를 기초로 부품을 사용자에게 배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진단 대상 장비(10)가 위치하는 장소에 방문하여 진단 대상 장비(10)를 수리하는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기록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추후 해당 진단 대상 장비(10)에서 기존과 동일한 고장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수리 요청에 따라 해당 고장 증상에 대응되는 전문가의 수리 과정에 대한 수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해당 수리 정보를 기초로 전문가의 수리 과정을 재연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문가의 방문을 기다릴 필요없이 즉시 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방문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리 과정을 기록하여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 방법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출장 횟수를 낮출 수 있어 대기 인원의 확보가 가능해짐으로써 사후 관리 서비스의 인건비 부담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사후 관리 서비스의 운영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수리하기 위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위치하는 업체에 대한 방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진단 결과 정보 및 스케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단 결과 정보에 대응되어 수리 내역 DB(103)로부터 수리 정보를 추출한 후 전문가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수리 정보에 부품 장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부품 장착 정보에 대응되는 부품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4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해 부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전문가 단말(30)의 스케쥴 정보에 따른 업체의 방문일정에 맞추어 부품이 배송되도록 하고, 전문가의 진단 결과에 따른 고장 증상에 대응되는 기존 수리 방법에 대한 수리 정보를 전문가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어, 전문가가 해당 업체 방문시 기존의 수리 방법을 참고하여 신속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부품이 전문가의 방문 일정에 맞추어 업체에 배송되도록 하여 전문가의 방문시에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수리가 완료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후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진단 장치(20)는 전문가의 입력을 기초로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를 위해 업체에 방문한 전문가의 출근 시간, 퇴근 시간 및 전문가의 사원정보를 포함하는 근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전문가 DB(102)에 상기 근태정보에 대응되는 사원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근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업체에 방문하는 전문가의 근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가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설비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문가가 업체에 방문하여 진단 대상 장비(10)를 수리할 때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상기 전문가의 수리 과정 동안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 권한이 있는 전문가에 한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입력정보를 기초로 수리 시작에 대한 상기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대한 전문가의 수리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진단 장치(20)에 구성되거나 별도 연결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인증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인증 인터페이스와 연계되며 상기 진단 장치(20)에 구성된 물리적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통한 전문가의 입력을 기초로 수신된 입력코드를 상기 진단 장치(20)에 미리 설정된 권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수리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증하고, 수리 권한 인증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상기 전문가의 수리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진단 장치(20)를 제어하여 상기 진단 장치(20)에 설정된 상기 권한 정보를 갱신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권한 없는 사용자가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20)는 상기 전문가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의 수리 종료에 대한 종료 신호 수신시 일시 정지된 상기 진단 대상 장비(10)를 재가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진단 대상 장비 11: 기록 모듈
20: 진단 장치 21: 카메라부
30: 전문가 단말 40: 관리자 단말
50: 사용자 단말 100: 관리 서버

Claims (11)

  1.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 대상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진단 대상 장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신호를 상기 진단 대상 장비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진단 대상 장비로부터 상기 시험 신호에 대응되어 수신되는 응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 장치;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부품의 배송 요청에 대한 부품 요청정보 및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수리 일정에 대한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쥴 정보 및 부품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스케쥴에 따른 부품의 배송 일자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배송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구성되어 상기 진단 장치로부터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른 로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수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록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외부를 촬영하여 생성한 외부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의해 출력되는 내부 영상정보를 상기 진단 대상 장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외부 영상 정보 및 내부 영상 정보를 상기 진단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에 따른 수리 요청에 대한 수리 요청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서로 다른 전문가의 상기 각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수리를 위한 담당 전문가를 배정하여 상기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로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리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진단 대상 장비 및 상기 담당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로 상호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진단 대상 장비는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문가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 완료시 상기 시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시작 신호 수신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대한 상기 전문가의 수리 권한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진단 장치에 구성되는 인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입력코드와 미리 설정된 권한 정보를 비교하여 수리 권한 인증시 상기 진단 대상 장비를 상기 전문가의 입력에 따른 종료 신호 수신 전까지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듈은 상기 로그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진단 대상 장비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인 결과 영상 정보를 상기 로그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수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듈은 상기 진단 장치 또는 진단 대상 장비를 통해 수신된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이벤트 단위로 상기 로그정보와 결과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단 장치 또는 진단 대상 장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문가의 입력정보에 따른 수리 완료시 상기 시작 신호 이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상기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리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기록 모듈로부터 상기 수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수리 정보를 상기 전문가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리 내용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리 정보와 매칭하여 수리내역 DB에 저장하며,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고장 발생에 따른 수리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수리 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리내역 DB를 검색하여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에 매칭된 수리 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진단 대상 장비의 수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리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인덱스 정보에 상기 부품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부품 정보 포함시 상기 부품의 장착 방법에 대한 부품 장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기 수리정보에 포함시키거나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부품 장착 정보에 대한 링크정보를 상기 수리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160041947A 2016-04-05 2016-04-05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169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47A KR101691125B1 (ko) 2016-04-05 2016-04-05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47A KR101691125B1 (ko) 2016-04-05 2016-04-05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125B1 true KR101691125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47A KR101691125B1 (ko) 2016-04-05 2016-04-05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1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8790A (zh) * 2018-10-17 2019-03-22 平安国际融资租赁有限公司 基于租赁设备的故障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WO2019189950A1 (ko) * 2018-03-27 2019-10-03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설비의 원격 진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405406B1 (ko) * 2021-09-17 2022-06-07 주식회사 디펜스타 군사 장비의 유지 보수 운영을 수행하는 장치
KR102496217B1 (ko) 2022-10-07 2023-02-06 김재상 지역 단위 전문가 분포 정보 기반 전기 및 소방 설비의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5870B1 (ko) * 2023-02-24 2023-09-07 주식회사 마이스터즈 전자기기 수리 관리 플랫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39B1 (ko) 1999-11-03 2003-03-31 주식회사 레인텍 통신망을 통한 원격 사후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전자제품의 사후관리시스템
KR100401303B1 (ko) * 1999-01-19 2003-10-10 김형석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원격 고장진단 방법 및 장치
JP2005141574A (ja) * 2003-11-07 2005-06-02 Mazda Motor Corp 配送管理システム
KR20160035105A (ko) * 2014-09-19 2016-03-31 주식회사 안다미로 게임기의 원격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303B1 (ko) * 1999-01-19 2003-10-10 김형석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원격 고장진단 방법 및 장치
KR100376939B1 (ko) 1999-11-03 2003-03-31 주식회사 레인텍 통신망을 통한 원격 사후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전자제품의 사후관리시스템
JP2005141574A (ja) * 2003-11-07 2005-06-02 Mazda Motor Corp 配送管理システム
KR20160035105A (ko) * 2014-09-19 2016-03-31 주식회사 안다미로 게임기의 원격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950A1 (ko) * 2018-03-27 2019-10-03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설비의 원격 진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09508790A (zh) * 2018-10-17 2019-03-22 平安国际融资租赁有限公司 基于租赁设备的故障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405406B1 (ko) * 2021-09-17 2022-06-07 주식회사 디펜스타 군사 장비의 유지 보수 운영을 수행하는 장치
KR102496217B1 (ko) 2022-10-07 2023-02-06 김재상 지역 단위 전문가 분포 정보 기반 전기 및 소방 설비의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5870B1 (ko) * 2023-02-24 2023-09-07 주식회사 마이스터즈 전자기기 수리 관리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125B1 (ko)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JP5170745B2 (ja) 保守管理方法および保守管理システム
US20090048853A1 (en) Permission based field service management system
KR101943799B1 (ko) 청소서비스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04240342A (zh) 一种门禁控制方法及门禁控制装置
US201200841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ork flow management application suit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119289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method
CN111626707A (zh) 一种作业智能远程安全管控方法和装置
CN104240013A (zh) 一种门禁控制方法及门禁控制平台
JP7108873B2 (ja) 顔認証管理サーバおよび顔認証管理方法
CN109214535A (zh) 一种基于离线终端的设备巡检系统及方法
CN104240014A (zh) 一种门禁控制方法及门禁控制平台
CN108615080A (zh) 一种电力营销服务移动作业客户端
CN105491102A (zh)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智能监控系统及其装置
CN106657294A (zh) 一种考勤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CN113490936A (zh) 面部认证机以及面部认证方法
EP3690878A1 (en) Voice command system and voice command method
CN113519013A (zh) 面部认证系统以及面部认证方法
CN110825776B (zh) 空气质量检测报告处理方法、装置及计算设备、存储介质
JP2009098767A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出管理方法
JP2002319050A (ja) 巡回管理システム、巡回管理方法、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89398B1 (ko) 효율적이고 안전한 석면해체공사를 위한 스마트 감리 및 건설사업관리시스템
KR20090121981A (ko) 전력설비 건설 및 유지 관리를 위한 it시스템, 장치 및그 방법
KR20200094333A (ko) 지능형 골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60108883A (ko)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