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619B1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619B1
KR101690619B1 KR1020140117812A KR20140117812A KR101690619B1 KR 101690619 B1 KR101690619 B1 KR 101690619B1 KR 1020140117812 A KR1020140117812 A KR 1020140117812A KR 20140117812 A KR20140117812 A KR 20140117812A KR 101690619 B1 KR101690619 B1 KR 10169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hanger
cabinet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798A (ko
Inventor
배상훈
조홍준
배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처리행정이 진행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다른 의류처리행정을 진행 가능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수용공간,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2지지부로 이동시키는 옷걸이 이송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처리에 관련된 행정(세탁, 건조, 탈취, 주름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주름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주름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주름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wrinkle)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 내부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의류처리행정이 진행시키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행정이 진행되는 공간에 각각 위치된 의류를 이웃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옷걸이 이송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을 구분하는 공간분할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처리행정이 진행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다른 의류처리행정을 진행 가능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수용공간;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 옷걸이를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 및 상기 수용공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2지지부로 이동시키는 옷걸이 이송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분리하거나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간분할부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되면, 상기 옷걸이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분할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서 인출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은 커버 및 도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간의 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분리하거나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간분할부; 상기 공간분할부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분리되면, 상기 수분공급장치 및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공간분할부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되면 상기 옷걸이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이송부는 상기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착탈부; 상기 착탈부를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서 왕복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착탈부를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바디; 상기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커플러;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부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바가 지지되는 제1이송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1모터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풀리;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풀리에 전달하며 상기 제1이송바디가 고정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2이송바디; 상기 제2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바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2모터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풀리; 상기 제2모터가 공급하는 동력을 상기 제2풀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 상기 제2풀리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2이송바디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지지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진부는 제3모터; 상기 제3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급룸; 상기 공급룸에 구비되어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급룸 지지부; 상기 공급룸과 상기 제1공간을 분리시키거나 연통시키는 제1분할부;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분리시키거나 연통시키는 제2분할부; 상기 제1분할부와 상기 제2분할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제3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지지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이송부는 상기 공급룸 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제1커플러; 상기 제1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제2커플러; 상기 수용공간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를 왕복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를 왕복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은 커버,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간의 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급룸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롤러; 자유단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은 상기 제1롤러의 원주면에 고정된 제1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분할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롤러; 자유단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은 상기 제2롤러의 원주면에 고정된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1주동풀리;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2주동풀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종동풀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종동풀리; 상기 제1격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1주동풀리를 연결하되 상기 제1종동풀리에 지지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격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2주동풀리를 연결하되 상기 제2종동풀리에 지지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 내부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의류처리행정이 진행시키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행정이 진행되는 공간에 각각 위치된 의류를 이웃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옷걸이 이송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을 구분하는 공간분할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공간분할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옷걸이 이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착탈부, 제1이송부 및 제2이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가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옷걸이 이송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70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710), 상기 수용공간(710)을 적어도 두 개의 공간(711, 713, 715)으로 구분하는 공간분할부(800, 도 2참고)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공간분할부(80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간분할부(800)는 상기 수용공간(710)을 공급룸(711)과 제1공간(713)으로 구분하는 제1분할부(810), 상기 수용공간(710)을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으로 구분하는 제2분할부(830), 상기 제1분할부(810)와 상기 제2분할부(83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은 의류처리행정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의류처리행정은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를 냉각시키는 제어과정,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여 냄새를 제거하거나 주름을 제거하는 제어과정, 의류를 진동시켜 주름을 제거하는 제어과정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제1공간(713)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과 제2공간(715)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이 서로 달리 설정된다면 의류처리장치(1000)의 작동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한편, 상기 공급룸(711)은 제1공간(713)으로 공급될 의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간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수용공간(710)은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간분할부(800)는 수용공간(710)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713, 715)으로 구분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로 구비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공급룸(711) 및 두 개의 의류처리공간(713, 715)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분할부(810)는 수용공간(710)을 공급룸(711)과 제1공간(713)으로 구분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제2분할부(830)는 수용공간(710) 내부를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으로 구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각 분할부(810, 830)는 상기 수용공간(710)의 내주면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710) 내부를 상기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1분할부(810) 및 제2분할부(830)가 수용공간(710)의 바닥면에서 수용공간(710)의 상부면(710a)을 향해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분할부(810)는 상기 캐비닛(7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롤러(813), 자유단은 상기 수용공간(710)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은 상기 제1롤러(813)의 원주면에 고정된 제1격벽(811)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분할부(830) 역시 상기 캐비닛(7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롤러(833), 자유단은 상기 수용공간(710)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은 상기 제2롤러(833)의 원주면에 고정된 제2격벽(83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850)는 상기 제1격벽(811)의 자유단 및 상기 제2격벽(831)의 자유단을 수용공간(710)의 바닥면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한데, 도 2는 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구동부(85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853), 상기 구동축(853)에 구비되는 제1주동풀리(855) 및 제2주동풀리(857), 상기 캐비닛(7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롤러(8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종동풀리(858),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종동풀리(859), 상기 제1격벽(811)의 자유단과 상기 제1주동풀리(855)를 연결하되 상기 제1종동풀리(858)에 지지되는 제1와이어(W1), 상기 제2격벽(831)의 자유단과 상기 제2주동풀리(587)를 연결하되 상기 제2종동풀리(859)에 지지되는 제2와이어(W2)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동축(8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710)보다 낮은 위치(제1롤러와 제2롤러가 구비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수용공간(710)보다 높은 위치(제1종동풀리와 제2종동풀리가 구비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850)는 제1종동풀리(858)와 제2종동풀리(859) 자리에 서로 다른 두 개의 구동모터를 위치시켜 각 격벽(811, 831)을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간분할부(800)는 수용공간(710) 내부에 구비되어 제1격벽(8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격벽 가이더(815), 수용공간(710) 내부에 구비되어 제2격벽(83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격벽 가이더(8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공간분할부(80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축(853)이 제1방향(도 2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주동풀리(855) 및 제2주동풀리(857)가 회전하게 된다.
제1주동풀리(855) 및 제2주동풀리(857)가 회전하면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는 제1격벽(811)과 제2격벽(831)을 수용공간(710)의 바닥면에서 수용공간(710)의 상부면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한편, 공간분할부(800)에 구비된 제1롤러(813)와 제2롤러(833)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각 격벽(811, 831)을 수용공간(710)의 바닥면 방향으로 당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축(853)이 제2방향(도 2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격벽(811, 831)은 수용공간(710)의 상부면에서 수용공간(710)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한다. 각 격벽(811, 831)이 수용공간의 상부면에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하면, 공급룸(711)은 제1공간(713)과 연통하게 되고, 제1공간(713)은 제2공간(715)과 연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85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공급룸(711), 제1공간(713) 및 제2공간(715)이 동시에 생성되거나 동시에 하나의 수용공간(710)으로 통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공간분할부(800)는 제1격벽(811)과 제2격벽(831)을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동시에 하강시키는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700)에는 상기 수용공간(710)의 상부에 위치된 제1기계실(780), 상기 수용공간(710)의 하부에 위치된 제2기계실(79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계실(780)에는 옷걸이 이송부(M)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계실(790)에는 제1공간(713)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791) 및 상기 제2공간(715)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7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장치(791)는 미스트(mist)나 스팀(steam)을 제1공간(713)에 공급하는 수단이고, 상기 공기공급장치(793)는 가열된 공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제2공간(715)으로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공급룸(711)에는 사용자가 의류를 공급룸(711)으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가 필요하고, 제2공간(715)에는 사용자가 의류를 제2공간(715)에서 인출할 수 있는 도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캐비닛(700)에는 제2공간(715)을 개폐하는 제1도어(750,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 공급룸(711)을 개폐하는 제2도어(730,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간(713) 역시 별도의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지만 제1공간(713)의 경우 옷걸이 이송부(M)를 통해 공급룸(711)에서 의류를 공급받아 제2공간(715)으로 의류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공간(713)을 개폐하는 별도의 도어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1도어(750)와 제2도어(730) 사이에는 캐비닛(700)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 및 제1공간(713)의 일면을 형성하는 커버(770)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수용공간(710)이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만으로 구비될 경우, 캐비닛(700)의 전방면은 제2공간(715)을 개폐하는 제1도어(750) 및 캐비닛(700)에 고정되어 제1공간(713)의 일면을 형성하는 커버(770)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옷걸이 이송부(M)는 공급룸(711)에 위치된 의류는 제1공간(713)으로 이동시키고, 제1공간(713)에 위치된 의류는 제2공간(715)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기계실(780)에 구비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이송부(M)는 상기 수용공간(710) 내부에 구비되어 옷걸이(900)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201, 202, 203),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900)에 착탈 가능한 착탈부(300), 상기 수용공간(7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착탈부(300)를 왕복시키는 제1이송부(400), 상기 수용공간(7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착탈부(300)를 왕복시키는 제2이송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710)의 너비방향"은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평행한 방향또는 각 지지부가 배열된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수용공간(710)의 높이방향"은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부는 공급룸(711)에 구비되는 공급룸 지지부(201), 제1공간(713)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202), 제2공간(715)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및 제2지지부(203)는 수용공간(710)의 상부면(710a)에 고정되는 제1바디(210), 옷걸이(900)가 지지되는 수용홈(221)이 구비된 제2바디(220),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230)를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220)에 지지되는 옷걸이(900)는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910), 지지바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홈(221)에 삽입되는 제1체결부(920), 상기 제1체결부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300)에 결합 가능한 제2체결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8참고).
이 경우, 상기 제2바디(220)에는 상기 제1체결부(920)를 상기 수용홈(221)으로 안내하는 제1경사부(222)와 제2경사부(223)가 수용홈(22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300)는 옷걸이(9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310), 상기 제2이송부(500)에 결합되는 바디(320), 상기 커플러(310)를 상기 바디(320)에 고정하는 연결 바(3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부((201, 202, 203)가 공급룸 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및 제2지지부(203)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플러(310)는 제1커플러(310a) 및 제2커플러(310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310a)와 제2커플러(310b)는 지지부(201, 202, 203)에 거치된 옷걸이(900)를 지지부(201, 202, 203)에서 분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연결 바(330)는 제1커플러(310a)를 바디(320)에 연결하는 제1바(330a), 제2커플러(310b)를 바디(320)에 연결하는 제2바(330b)로 구비될 수 있다.
각 바(330a, 330b)는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을 관통하여 각 커플러(310a, 310b)를 상기 바디(320)에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는 각 바(330a, 330b)가 관통하는 제1연통홀(717)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통홀(717)은 각 바(330a, 330b)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연통홀(717)은 각 지지부(201, 202, 203)가 나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옷걸이(900)가 제1체결부(920)에 고정된 T자 형상의 제2체결부(93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경우, 각 커플러(310a, 310b)는 각 바(330a, 330b)에 고정되는 커플러 베이스(311), 커플러 베이스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제2체결부(930)의 길이 이상으로 이격된 두 개의 연장부(312), 각 연장부(312)에서 돌출되어 제2체결부(930)의 자유단을 지지 가능한 돌출부(3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320)는 후술할 제2이송부(500)에 결합되는 수단으로 상기 바디(320)의 일면에는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홈(322)이 구비된다. 상기 절곡홈(322)은 바디(320)의 길이방향 전체에 구비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착탈부(300)는 수용공간(710)이 공급룸(711), 제1공간(713) 및 제2공간(715)으로 구분될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수용공간(710)이 제1공간(713)과 제2공간(715)만으로 구비된다면(지지부가 제1지지부(202)와 제2지지부(203)만으로 구비된다면), 상기 커플러(310)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면 충분하다.
상기 제1이송부(400)는 착탈부(300)를 수용공간(710)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1이송부(400)는 제1바(330a)와 제2바(330b)가 제1연통홀(717)을 따라 왕복시킴으로써 제1커플러(310a)는 공급룸(711)과 제1공간(713) 사이를 왕복하게 하고, 상기 제2커플러(310b)는 제1공간(713)과 제2공간(203)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이송부(400)는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고정되는 제1모터(410), 상기 제1모터(4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1동력전달부(420)에 의해 회전하는 제1풀리(430),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에 고정된 제1이송바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는 벨트나 체인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탄성재질로 구비된 벨트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이송바디(440)는 고정판(450)을 통해 제1동력전달부(420)에 고정되며, 상기 제1이송바디(440)에는 착탈부(300)에 구비된 제1바(330a)와 제2바(330b)가 관통하는 관통홀(441)이 구비된다.
상기 제2이송부(500)는 착탈부(300)에 구비된 바디(320)를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2이송부(500)는 착탈부의 바디(320)에 결합되는 제2이송바디(560),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550), 지지프레임(550)에 고정된 제2모터(510), 지지프레임(550)에 고정되며 제2모터(510) 및 제2동력전달부(540)에 의해 회전하는 제2풀리(520), 상기 제2풀리(520)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왕복운동은 이송바디 가이더(570)에 의해 안내되는데, 상기 이송바디 가이더(570)는 지지프레임(5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플랜지(571), 지지프레임(55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플랜지(572),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더(5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는 가이더 관통홀(562)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더(573)는 가이더 관통홀(562)에 삽입되어 제2이송바디(560)를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2모터(510)가 작동하면 상기 제2이송바디(560)는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는 착탈부의 바디(320)를 지지하는 바디지지부(561)가 구비되는데, 상기 바디지지부(561)는 제2이송바디(56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지지부(561)는 다수 개의 롤러가 바디(320)의 이동방향(제1연통홀(717)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 배열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지지부(561)는 바디(320)에 구비된 절곡홈(322)에 삽입되어 바디(320)를 지지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는 변환부(530)가 삽입되는 바디슬롯(563)이 구비되는데, 상기 바디슬롯(563)은 제2이송바디(560)의 길이방향의 길이(L4)가 상기 바디슬롯(563)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더 긴 형태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변환부(530)는 제2풀리 회전축(521)에 결합하는 축결합부(531), 제2이송바디(560)에 구비된 바디슬롯(563)에 삽입되는 슬롯결합부(532), 축결합부(531)와 슬롯결합부(532)를 연결하는 연결부(5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531)를 회전중심으로 하는 슬롯결합부(532)의 회전궤적이 가지는 지름(L3)는 상기 바디슬롯(563)의 너비방향 길이(L4)보다 작게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연결부(533)의 길이는 바디슬롯(563)의 너비방향 길이(L4)의 절반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2이송부(500)는 상기 변환부(530)가 제2모터(510)의 회전축과 바디 슬롯(563)을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축결합부(531)는 제2모터(5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옷걸이 이송부(M)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500)에 구비된 제2모터(510)가 작동하면, 제2풀리(520), 제2풀리 회전축(521) 및 변환부(530)에 의해 제2이송바디(560)는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착탈부(300)에 구비된 연결 바(330a, 330b)는 제1이송바디(44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착탈부(300)에 구비된 바디(320)는 제2이송바디(56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각 커플러(310a, 310b)는 각 지지부(201, 202, 203)에 거치된 옷걸이(900)를 지지부(201, 202, 203)에서 분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부(400)에 구비된 제1모터(410)가 작동하면, 제1동력전달부(420)는 제1이송바디(440)를 이동시킨다. 상기 착탈부에 구비된 연결 바(330a, 330b)는 제1이송바디(44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 바(330a, 330b)는 각 커플러(310a, 310b)를 바디(320)에 고정시켜주는 수단이므로 제1모터(410)가 작동하면 상기 커플러(310a, 310b)는 옷걸이(900)를 이웃하는 지지부(711, 713, 715)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 구비된 바디지지부(561)는 상기 바디(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커플러(310a)가 공급룸 지지부(201)에서 분리된 옷걸이를 제1지지부(202)의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제2커플러(310b)가 제1지지부(202)에서 분리된 옷걸이를 제2지지부(203)의 상부로 이동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2모터(510)를 통해 제2이송바디(560)를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2이송바디(560)가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 방향으로 하강하면, 착탈부(300)의 바디(320)가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 방향으로 하강하므로 각 커플러(310a, 310b)에 지지된 옷걸이는 제1지지부(202)와 제2지지부(203) 각각에 구비된 수용홈(221)에 안착된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22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경사부(222, 223)는 옷걸이의 제1체결부(920)가 수용홈(221)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옷걸이 이송부(M)는 제2지지부(203)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공간(713)에 수납된 의류를 흔들어주는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제2지지부(203) 및 가진부(60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가진부(600)에 의해 제2지지부(203)가 제2공간(715) 내부에서 진동 가능한 경우, 상기 제2지지부(203)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구비되는 베이스 가이더(260), 상기 베이스 가이더(260)에 의해 지지되며 제2지지부의 제1바디(210)가 고정되는 베이스(240), 상기 베이스(240)에 구비되며 상기 가진부(600)가 연결되는 베이스 슬롯(250)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부의 제1바디(210)는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연통홀(719)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240)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가이더(260)는 베이스(240)의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베이스와 베이스 가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기(261)가 구비되고 베이스와 베이스 가이더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진부(600)는 상기 베이스(240)가 베이스 가이더(260)를 따라 직선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가진부(60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가진부(600)가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에 고정된 프레임(650), 프레임(650)에 고정된 제3모터(610), 제3풀리 회전축(621)을 통해 프레임(6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3풀리(620), 제3모터(610)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상기 제3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0), 일단은 제3풀리 회전축(6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슬롯(250)에 삽입되는 동력변환부(63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변환부(630)는 제3풀리 회전축(621)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631), 상기 베이스 슬롯(250)에 삽입되는 제3결합부(632), 상기 제1결합부(631)와 제3결합부(632)를 연결하는 제2결합부(63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63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결합부(632)의 회전궤적 지름(L1)은 베이스(240)의 이동방향(베이스 가이더(2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베이스 슬롯(250)의 길이(L2)보다 짧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모터(610), 동력전달부(640) 및 제3풀리(620)를 통해 제3풀리 회전축(621)에 공급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동력변환부(630)에 의해 베이스(240) 및 제2지지부(203)의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으로 변환될 것이다.
다만, 상기 가진부(600)는 상기 동력변환부(630)가 제3모터(610)의 회전축과 베이스 슬롯(25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결합부(631)는 제3모터(610)의 회전축에 결합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의 사용자는 먼저 제2도어(730)를 개방한 뒤 의류를 공급룸(711)에 투입해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를 옷걸이의 지지바(910)에 거치시킨 뒤 옷걸이의 제1체결부(920)를 공급룸 지지부(201)의 수용홈(221)에 삽입함으로써 진행될 것이다.
한편, 옷걸이 이송부(M)가 작동하기 전 공간분할부(800)는 상기 공급룸(711), 제1공간(713) 및 제2공간(71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상기 공급룸(711), 제1공간(713) 및 제2공간(715)을 구분시키는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공간분할부(800)가 상기 공급룸(711), 제1공간(713) 및 제2공간(715)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격벽(811)과 제2격벽(831)이 수용공간(710)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옷걸이 이송부(M)에 구비된 제1커플러(310a) 및 제2커플러(310b)의 초기위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옷걸이의 제2체결부(930)는 기준선(X) 상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1커플러(310a)의 초기위치는 상기 공급부 지지부(201)와 제1지지부(202)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기준선(X) 보다 높은 위치(A)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커플러(310b)의 초기위치는 제1지지부(202)와 제2지지부(203)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기준선(X)보다 높은 위치(G)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공급룸(711)에 의류를 투입한 뒤 제2도어(730)를 닫으면, 제어부(미도시)는 제2이송부(500)를 작동시켜 제2이송바디(560)를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2이송바디(560)가 수용공간의 상부면(710a)을 향해 이동(하강)하면, 제2이송바디(560)에 지지된 착탈부의 바디(32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므로 제1커플러(310a)는 A지점에서 기준선(X) 상에 위치한 B지점을 향해 이동하고, 제2커플러(310b)는 G지점에서 기준선(X) 상에 위치된 H지점을 향해 이동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제1이송부(400)를 작동시켜 제1이송바디(440)를 도 9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이송바디(440)가 도 9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커플러(310a)는 B지점에서 C지점을 향해 이동하고, 제2커플러(310b)는 H지점에서 F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커플러(310a)가 C지점으로 이동하면 옷걸이의 제2체결부(930)는 제1커플러에 구비된 돌출부(313)에 결합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202)에는 옷걸이(900)가 거치된 상태일 수도 있고, 옷걸이(900)가 없는 상태일 수도 있다.
제1지지부(202)에 옷걸이(900)가 거치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제1지지부(202)에 거치된 옷걸이(900)는 상기 제2커플러(310b)가 F지점으로 이동한 때 제2커플러(310b)의 돌출부(313)에 결합될 것이다.
각 커플러(310a, 310b)에 옷걸이의 제2체결부(930)가 결합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2이송부(500)를 작동시켜 각 커플러(310a, 310b)가 기준선(X)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커플러(310a)는 C지점에서 D지점으로 이동하고, 제2커플러(310b)는 F지점에서 E지점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공급룸 지지부(201)에 지지된 옷걸이(900)는 공급룸 지지부(201)에서 분리될 것이고, 상기 제1지지부(202)에 거치된 옷걸이(900)는 상기 제1지지부(202)에서 분리될 것이다.
이후 제어부는 제1이송부(400)를 작동시켜 제1커플러(310a)는 제1지지부(202)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제2커플러(310b)는 제2지지부(203)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즉, 제1커플러(310a)는 D지점에서 E지점으로 이동하고, 제2커플러(310b)는 E지점에서 I지점으로 이동한다.
제1커플러(310a) 및 제2커플러(310b)가 E지점과 I지점으로 각각 이동하면, 제어부는 제2이송부(500)를 작동시켜 제1커플러(310a)는 F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제2커플러(310b)는 J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커플러(310a)가 기준선(X)상에 위치된 F지점으로 이동하면, 제1커플러(310a)에 거치되어 있던 옷걸이(900)의 제1체결부(920)가 제1지지부(202)의 수용홈(221)에 삽입될 것이다.
한편, 제2커플러(310b)가 기준선(X)상에 위치된 J지점으로 이동하면, 제2커플러(310b)에 거치되어 있던 옷걸이(900)의 제1체결부(920)가 제2지지부(203)의 수용홈(221)에 삽입될 것이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제1이송부(400) 및 제2이송부(5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제1커플러(310a)는 F지점에서 B지점을 거쳐 A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제2커플러(310b)는 J지점에서 H지점을 거쳐 G지점으로 이동시킨다.
각 커플러(310a, 310b)가 초기위치(A, G)에 위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공간분할부(800)를 작동시켜 공급룸(711), 제1공간(713), 제2공간(715)을 구분한다. 즉, 제어부는 구동부(850)를 작동시켜 제1격벽(811)과 제2격벽(831)을 수용공간(710)의 바닥면에서 수용공간의 상부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수용공간(710)이 공급룸(711), 제1공간(713) 및 제2공간(715)으로 분할되면, 제어부는 수분공급장치(791) 및 공기공급장치(793)를 작동시켜 제1공간(713)에는 수분을 공급하고 제2공간(715)에는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수분공급장치(791)가 스팀(Steam)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공간(713)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은 의류에서 냄새 및 주름을 제거하는 행정이 될 것이다.
상기 제1공간(713)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은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제1공간(713)에서 제2공간(715)으로 이동한 의류에 수분이 잔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곧바로 입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장치(793)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공기공급장치(793)는 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제2공간(715)으로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공급장치(791)와 공기공급장치(793)에 설정된 작동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는 수분공급장치(791)와 공기공급장치(793)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이 때, 제어부는 도어(750 또는 730)에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의류처리행정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수분공급장치(791)와 공기공급장치(793)의 작동을 중단되면, 사용자는 제1도어(750)를 개방하여 상기 제2공간(715)에서 의류를 인출하면 된다.
사용자가 제2공간에서 의류를 인출하면, 제어부(미도시)는 공간분할부(800)를 제어하여 공급룸(711), 제1공간(713), 제2공간(715)이 서로 연통하도록 각 격벽(811, 831)을 수용공간의 바닥면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제1지지부(202)에 거치된 옷걸이(900)가 제2공간(203)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이송부(400) 및 제2이송부(500)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공간(713)에 투입된 의류를 제2공간(715)으로 이동시키기 전 사용자가 비어있는 공급룸(711)에 의류를 거치시키면, 제1공간(713)에 투입된 의류가 제2공간(715)으로 이동할 때 공급룸(711)에 투입된 의류는 제1공간(713)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각 커플러(310a, 310b)가 각 지지부(201, 202, 203)의 상부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에는 각 커플러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 및 제어방법을 가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는 어려 벌의 의류를 하나의 수용공간에 투입한 뒤 수분공급과 공기공급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의류처리장치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수분공급장치(791)를 통한 의류처리행정 시간과 공기공급장치(793)를 통해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 시간이 수용공간에 투입된 의류 량에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의류가 적게 투입된 경우에도 필요 이상의 수분과 공기를 수용공간에 공급하는 문제, 및 적은 양의 의류가 투입되었음에도 의류처리행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의류처리행정에 설정된 시간, 제1공간(713)에 공급하는 수분의 양, 제2공간(715)에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한 벌의 의류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설정할 수 있고, 각 공간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행정의 시간 또는 한 벌의 의류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벌의 의류를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하여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0)는 공간분할부(800)가 수용공간(710)을 공급룸(711), 제1공간(713), 제2공간(715) 및 배출룸(미도시)으로 구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룸에는 제2공간(715)에서 공급되는 의류가 지지되는 다수의 배출룸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착탈부(300)는 제2지지부(203)에 거치된 옷걸이를 배출룸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커플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의류처리장치 700: 캐비닛 710: 수용공간
711: 공급룸 713: 제1공간 715: 제2공간
750: 제1도어 730: 제2도어 770: 커버
800: 공간분할부 810: 제1분할부 830: 제2분할부
850: 구동부 201: 공급룸 지지부 202: 제1지지부
203: 제2지지부 240: 베이스 260: 베이스가이더
300:착탈부 310a: 제1커플러 310b: 제2커플러
320: 바디 330: 연결 바 400: 제1이송부
410: 제1모터 420: 제1동력전달부 430: 제1풀리
440: 제1이송바디 450: 고정판 500: 제2이송부
510: 제2모터 520: 제2풀리 530: 변환부
540: 제2동력전달부 560: 제2이송바디 570: 이송바디 가이더
600:가진부 610: 제3모터 630: 동력변환부
640: 동력전달부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처리행정이 진행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다른 의류처리행정을 진행 가능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수용공간;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
    옷걸이를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 및 상기 수용공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2지지부로 이동시키는 옷걸이 이송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분리하거나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분할부;
    상기 공간분할부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되면, 상기 옷걸이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할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서 인출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은 커버 및 도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간의 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을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할부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공급장치 및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 이송부는
    상기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착탈부;
    상기 착탈부를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서 왕복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착탈부를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바디; 상기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커플러;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부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바가 지지되는 제1이송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1모터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풀리;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풀리에 전달하며 상기 제1이송바디가 고정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2이송바디;
    상기 제2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바디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2모터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풀리;
    상기 제2모터가 공급하는 동력을 상기 제2풀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
    상기 제2풀리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2이송바디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진부는 제3모터; 상기 제3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처리행정이 진행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다른 의류처리행정을 진행 가능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수용공간;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
    옷걸이를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 및 상기 수용공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2지지부로 이동시키는 옷걸이 이송부;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급룸;
    상기 공급룸에 구비되어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급룸 지지부;
    상기 공급룸과 상기 제1공간을 분리시키거나 연통시키는 제1분할부;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분리시키거나 연통시키는 제2분할부;
    상기 제1분할부와 상기 제2분할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제3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지지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 이송부는
    상기 공급룸 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제1커플러;
    상기 제1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제2커플러;
    상기 수용공간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를 왕복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를 왕복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은 커버,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간의 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급룸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롤러; 자유단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은 상기 제1롤러의 원주면에 고정된 제1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분할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롤러; 자유단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은 상기 제2롤러의 원주면에 고정된 제2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1주동풀리;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2주동풀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종동풀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종동풀리;
    상기 제1격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1주동풀리를 연결하되 상기 제1종동풀리에 지지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격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2주동풀리를 연결하되 상기 제2종동풀리에 지지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117812A 2014-09-04 2014-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9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12A KR101690619B1 (ko) 2014-09-04 2014-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12A KR101690619B1 (ko) 2014-09-04 2014-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98A KR20160028798A (ko) 2016-03-14
KR101690619B1 true KR101690619B1 (ko) 2016-12-28

Family

ID=5554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12A KR101690619B1 (ko) 2014-09-04 2014-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89A1 (ko)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1403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49B1 (ko) * 2018-06-08 2024-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98651B1 (ko) * 2018-06-08 202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04692B1 (ko) * 2018-09-20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DE102018221470A1 (de) * 2018-12-12 2020-06-18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mit integrierter Wäschebehandlungsfunktionalität und Verfahren zum Nutzen einer solchen Vorrichtung
KR20200080962A (ko) * 2018-12-27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US20230116412A1 (en) * 2020-03-18 2023-04-13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0001A (ja) * 2009-04-01 2010-10-28 Howa Mach Ltd 物干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09B1 (ko) * 2007-06-1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3276571B (zh) * 2008-12-09 2015-10-2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1672280B1 (ko) *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0001A (ja) * 2009-04-01 2010-10-28 Howa Mach Ltd 物干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89A1 (ko)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1403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98A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61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EP23894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7087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227355B2 (ja) 衣類処理装置
CN105937122A (zh) 衣物处理装置
KR201600981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1376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97211A (ko) 의류처리장치
US20150211164A1 (en) Washing machine
AU201622677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586899A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5013765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98155A (ko) 의류처리장치
US9752270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017209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AU2018380776B2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14012424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0751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135113A (ko) 의류처리장치
CN102191655B (zh) 洗衣机
KR20220034747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700819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055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7860B1 (ko) 다리미 및 다리미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