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4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940A
KR20170081940A KR1020160000986A KR20160000986A KR20170081940A KR 20170081940 A KR20170081940 A KR 20170081940A KR 1020160000986 A KR1020160000986 A KR 1020160000986A KR 20160000986 A KR20160000986 A KR 20160000986A KR 20170081940 A KR20170081940 A KR 20170081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bar
drawer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657B1 (ko
Inventor
이지홍
김우성
이건호
한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57B1/ko
Priority to AU2016226784A priority patent/AU2016226784B2/en
Priority to PCT/KR2016/002029 priority patent/WO2016140490A1/en
Priority to CN201610115882.5A priority patent/CN105937122B/zh
Priority to EP16158045.1A priority patent/EP3064637A1/en
Priority to US15/058,258 priority patent/US10125442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40A/ko
Priority to US16/186,175 priority patent/US10954618B2/en
Priority to AU2018282397A priority patent/AU20182823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06F2224/00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2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체결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3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과정이 진행될 때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서 진동하거나 상기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서 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비된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과 드로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위치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로워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제2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이 제2처리장치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하지 않고도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2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체결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3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1바; 상기 제1바를 상기 이송부에 연결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제1바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2바; 상기 제2바를 상기 이송부에 연결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제2바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는 상기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부에 위치하는 바 바디; 상기 제2바 자유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절곡부에 위치하는 바 착탈부; 상기 제1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디; 상기 바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 상기 바 바디와 상기 바 착탈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이송바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를 이동시키는 제1슬롯;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를 이동시키는 제2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바디의 왕복 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디슬롯;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암; 상기 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슬롯의 길이는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바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에서 상기 제2바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바와 상기 제1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더 바디; 상기 제3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3가이더 바디 관통홀; 상기 제3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4가이더 바디; 상기 제4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4가이더 바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출입구가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나란한 패널 전방면, 상기 패널 전방면의 양측면에서 상기 캐비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 상기 패널 전방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널 상부면을 포함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 상기 패널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세탁 또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 상기 패널 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로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되 상기 패널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패널 관통홀과 상기 신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도 중단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비된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과 드로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위치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로워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제2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이 제2처리장치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하지 않고도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해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100)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20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고,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처리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210),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의류수용부(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수용부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2터브(미도시),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을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210)에는 의류의 출입을 위한 제2처리장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는 제2캐비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처리장치 도어(2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처리장치 도어(230)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서 제2드럼 내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는 제2터브에 구비된 제2터브 투입구 및 제2드럼에 구비된 제2드럼 투입구를 통해 제2드럼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처리장치 도어(230)를 개방함으로써 제2드럼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2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를 제2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200)가 의류의 건조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에는 상기 제2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2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2터브 외부의 공기를 제2터브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어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2처리장치(2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제2처리장치(200)에서 제2터브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처리장치(200) 내부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고, 상술한 제2열풍공급장치는 제2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4, 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에는 출입구(21)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상기 출입구(21)를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은 너비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상기 드로워(3)를 지지하는 슬라이더(23, 도 4 참고)가 구비되는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캐비닛(2)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231), 상기 드로워(3)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31)에 삽입된 슬라이더 바디(2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는 드로워 바디(31, 도 3 참고),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상기 출입구(21)를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2)으로 인입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상기 캐비닛(2)의 전방면(출입구가 구비된 면)에 나란한 패널 전방면(33a), 상기 패널 전방면의 양측면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51)을 향해 연장되는 제1측면(33c) 및 제2측면(33d), 상기 패널 전방면(33a)의 상단에서 드로워 바디(51)를 향해 연장되어 드로워 패널(33)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패널 상부면(33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상부면(33b)에는 제1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수용부(4, 5)에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기 위한 수단(급수부, 배수부),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드럼구동부),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수분공급장치, 열풍공급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31)에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332), 상기 입력부(332)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333, 제1처리장치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패널 상부면(33b)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351),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할 급수관(71)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3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4, 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이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터브지지부(48)에 의해 드로워(3)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48)는 상기 터브(4)의 외주면과 상기 드로워(3)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지지부(48)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된 제1브라켓(481),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2브라켓(483),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바(4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4)의 상부면에는 터브(4) 내부를 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1), 물을 터브(2)로 공급하는 급수구(43),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45)는 터브(4)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터브의 상부면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45)는 상기 제1관통홀(351)을 통해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킨 뒤 도어(45)를 열어 터브(4)에 의류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드럼(5)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4)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바디(51),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드럼 투입구(53)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바디(51) 원주면과 바닥면에는 드럼 관통홀(55)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바디(51)의 바닥면에는 구동축(57)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상기 터브(4)의 외부에 구비된 드럼구동부에 의해 터브(4)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드럼구동부는 터브(4)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M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3)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57)은 상기 터브(4)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M3)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3)은 상기 투입구(41)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드로워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가 터브(4)와 드럼(5)으로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이 세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캐비닛(2) 내부에는 터브(2)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급수부(7)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부(7)는 급수원(미도시)과 급수구(42)를 연결하는 급수관(71), 제어부에 의해 급수관(71)을 개폐하는 밸브(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8)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수부(8)는 터브(4) 내부의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83), 터브(4) 내부의 물을 상기 제1배수관(83)으로 배출시키는 펌프(81,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구동부는 터브(4)에 고정되고, 터브(4)는 터브지지부(48)를 통해 드로워(3)에 고정되므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처리장치(100)는 로터(M3)가 회전할 때 드럼이나 터브에서 발생된 진동이 드로워(3)로 전달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드럼(5)이나 터브(4)의 진동이 드로워(3)에 전달되면, 드로워(3)와 캐비닛(2)의 충돌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드럼구동부의 작동 중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서 진동하는 것도 최소화하는 잠금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9)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91, 92), 상기 체결부를 작동시키는 이송부(95), 상기 이송부(95)를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구동부(97)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한 제1체결부(91),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의 타측면에 착탈 가능한 제2체결부(9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91)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제1바(91)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92)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제2바(9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911)는 제1결합부(913)를 통해 상기 이송부(95)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1바 자유단(F1)은 상기 이송부(95)의 위치에 따라 캐비닛(2)에 구비된 제1수용부(93)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921)는 제2결합부(923)를 통해 상기 이송부(95)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 자유단(F2)은 상기 이송부(95)의 위치에 따라 캐비닛(2)에 구비된 제2수용부(94)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제1수용바디(931), 상기 제1수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F1)이 수용되는 수용홈(9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제2수용바디(941), 상기 제2수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F2)을 수용되는 수용홈(94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수용부(93)와 제2수용부(94)는 상기 출입구(21)에서 상기 캐비닛(2)의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도 6 참고).
상기 잠금부(9)가 상기 출입구(21)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들(93, 94)이 출입구(21)보다 캐비닛(2) 내측에 위치되어야만 제1체결부(91)와 제2체결부(92)가 제1수용부(93)와 제2수용부(94)에 각각 삽입되었을 때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 고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95)는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Y)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951), 상기 이송바디(95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91)가 연결되는 제1슬롯(953), 상기 이송바디(951)에 구비되어 제2체결부(92)가 연결되는 제2슬롯(9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이송바디(95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더(99)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이송부 가이더(99)가 상기 이송바디(951)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슬롯(953)은 제1바에 구비된 제1결합부(913)를 밀거나 당겨주는 수단(제1바(911)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1바(911)는 상기 제1결합부(913)가 상기 제1슬롯(9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송바디(951)에 연결된다.
상기 제1슬롯(953)은 상기 이송바디(951)의 운동방향(Y축 방향, 이송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바디(951)의 중심을 통과하고 이송바디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직선(기준선, K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슬롯(953)은 상기 기준선(K1)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K2)로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바디(951)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1바(911)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2슬롯(955)은 제2바에 구비된 제2결합부(923)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수단(제2바(921)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2바(921)는 상기 제2결합부(923)가 상기 제2슬롯(95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송바디(951)에 연결된다.
상기 제2슬롯(955) 역시 상기 이송바디(951)의 운동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준선(K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결합부(913)와 상기 제2결합부(92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이송바디(951)의 이동방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결합부(913)와 상기 제2결합부(92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이송바디(951)의 이동방향으로 설정할 경우, 상술한 제1슬롯(953)과 제2슬롯(955)은 상기 이송바디(951)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의 자유단(F1)과 제2바의 자유단(F2)을 각 수용부(93, 94)에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바디(951)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바의 자유단(F1)과 제2바의 자유단(F2)을 각 수용부(93, 94)에서 분리시키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제1결합부(913) 및 제2결합부(923)가 각 슬롯(953, 955)의 하단(슬롯 사이의 간격이 최대인 지점,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지점)에 각각 위치하면, 각 바의 자유단(F1, F2)은 제1수용바디(931) 및 제2수용바디(935)에 각각 결합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결합부(913) 및 제2결합부(923)가 제1슬롯(953) 및 제2슬롯(955)의 상단(슬롯 사이의 간격이 최소인 지점,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각각 위치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F1) 및 제2바 자유단(F2)은 제1수용바디(931) 및 제2수용바디(935)에서 각각 분리될 것이다.
상술한 이송부(95)는 구동부(97)를 통해 드로워의 높이방향(Y)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7)는 모터(971, 도 4 참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송바디(951)의 왕복운동 동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9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975)는 상기 이송바디(951)의 너비방향(X)을 따라 구비되는 바디슬롯(976), 상기 모터의 회전축(973)에 결합되는 암(977), 상기 암(977)과 바디슬롯(976)을 연결하는 슬롯연결부(97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977)은 모터의 회전축(973)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슬롯연결부(979)는 상기 암(977)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모터(971)의 작동 시 상기 슬롯연결부(979)는 일정한 지름(L2)을 가진 원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슬롯(976)은 이송바디(951)의 운동방향(Y)에 수직한 방향(X)을 따라 구비되되 슬롯연결부(979)가 형성하는 원궤적의 지름(L2)과 동일하거나 원궤적의 지름(L2)보다 더 긴 길이(L1)로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 회전축(973)의 회전운동은 상기 변환부(975)에 의해 이송바디(951)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이송바디(951)는 가이더(99)의 안내를 받아 드로워(3)의 높이방향(Y)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잠금부(9)는 상기 드로워 패널(33) 내부 공간 중 드로워 패널(33)의 중심(K, 도 4)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잠금부(9)는 드로워 패널(33)의 일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 나란한 상기 터브(4)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 모서리(드로워 바디의 전방면과 드로워 바디의 측면이 만나는 지점)와 터브(4)의 원주면(43) 사이에 공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모서리와 상기 터브 원주면(43) 사이의 공간에 상기 잠금부(9)가 구비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33)의 두께(드로워 패널의 Z축 방향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제1처리장치(100)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은 상기 출입구(21)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된 제1면(311), 상기 제1면(311)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2)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312) 및 제3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면(312)과 상기 제3면(313)은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서 드로워 커버(35)를 향해 연장되는 면(드로워 바디의 측면)이 될 것이다.
상기 제1면(311)에는 상기 제1면(311)에서 상기 제2면(312)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43) 사이의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314), 상기 제1면(311)에서 상기 제3면(313)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315)가 더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9)는 제1절곡부(314)와 제2절곡부(31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은 상기 잠금부(9)가 상기 제1절곡부(31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잠금부(9)가 상기 제1절곡부(314)에 구비될 경우, 상기 이송바디(951)는 상기 제1절곡부(314)에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이송부 가이더(99)는 제1절곡부(314)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95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제1바(911)의 길이는 상기 제2바(9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91)에 구비된 제1바 자유단(F1)은 상기 제2면(312)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92)에 구비된 제2바 자유단(F2)은 상기 제3면(313)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제1수용부(93)는 상기 제2면(312)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수용부(94)는 상기 제3면(313)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바(921)는 상기 제2결합부(92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부(314)에 위치하는 바 바디(921a), 상기 제2바 자유단(F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절곡부(315)에 위치하는 바 착탈부(921b), 상기 제1면(311)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디(921c), 상기 바 바디(921a)와 상기 연결바디(921c)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921d), 상기 바 바디(921a)와 상기 바 착탈부(921b)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921e)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경사부(921e)는 상기 제2바 자유단(F2)이 상기 제1바(911)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상기 제2바(921)의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3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가이더(36)는 제1면(31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바(921)의 하부면만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바(92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상기 제2바(921)와 제1면(31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가이더(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캐비닛의 전방면에 나란하고 상기 제1면(311)과 소정거리 이격된 패널 전방면(33a), 상기 패널 전방면(33a)의 양측면 위치하여 상기 패널 전방면을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시키는 제1측면(33c) 및 제2측면(33d)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이더(37)는 상기 패널 전방면(33a)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제1면(31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상기 제1바 자유단(F1)을 지지하는 제3가이더(38), 상기 제2바 자유단(F2)를 지지하는 제4가이더(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더(38)는 드로워 바디의 제2면(312)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33)을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더 바디(381), 상기 제3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F1)이 삽입되는 제3가이더 바디 관통홀(383)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4가이더(39)는 드로워 바디의 제3면(313)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33)을 향해 연장되는 제4가이더 바디(391), 상기 제4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F2)이 삽입되는 제4가이더 바디 관통홀(3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 나란한 터브(4)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드로워 바디의 바닥면에 나란한 터브의 단면이 반드시 원형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특징은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터브(4)의 외주면 중 드로워 바디의 제1면(311), 제2면(312) 및 제3면(313)을 향하는 면이 곡면으로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부(9)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슬롯(976)이 모터의 회전축(973)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제1결합부(913)는 제1슬롯(953)의 상단에 위치되고 제2결합부(923)는 제2슬롯(955)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 상기 제1바 자유단(F1)은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되고 제2바 자유단(F2)는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관통홀(351), 투입구(41) 및 드럼 투입구(53)를 통해 드럼 바디(51)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드럼(5)에 의류 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3)를 캐비닛(2) 내부로 밀어넣은 후 컨트롤패널(331)의 입력부(332)를 통해 제1처리장치의 작동을 지시한다(제어명령을 입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32)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C)는 모터(571)를 작동시켜 회전축(973)을 회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모터의 회전축(973)이 회전하면, 이송바디(951)는 이송부 가이더(99)를 따라 드로워(3)의 상단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바디(951)의 상승으로 바디슬롯(976)이 회전축(973)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면, 제1체결부(91)와 제2체결부(92)는 도 6의 상태가 된다.
즉, 바디슬롯(976)이 회전축(973)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면, 제1바 자유단(F1) 및 제2바 자유단(F2)은 이송바디(9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제1바와 제2바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각 바의 자유단(F1, F2)이 이송바디(9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제1바 자유단(F1)은 제1수용부(93)에 결합되고, 제2바 자유단(F2)은 제2수용부(94)에 결합되므로 드로워 바디(31)는 캐비닛(2)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5)의 회전 시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31)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어부(C)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573)을 회전시켜 상기 바디슬롯(976)을 모터의 회전축(973)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슬롯(976)이 모터의 회전축(973)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F1)은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되고 제2바 자유단(F2)는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부(9)는 드럼(5)의 회전 중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드럼의 회전 중(제1처리장치의 작동 중,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완료되기 전) 드로워(3)를 인출시켜야 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드럼(5)의 회전 중 드로워(3)의 인출이 필요한 상황은 드럼(5)에 의류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처리장치가 어떤 원인에 의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잠금부(9)를 제어하는 잠금해제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부(6)는 상기 드로워 패널(33)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33a, 33b, 33c, 33d) 중 제1측면(33c)과 제2측면(33d)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되는 패널 상부면(33b)에 잠금해제부(6)가 구비될 수 있지만, 제1처리장치(100)의 상부면에 제2처리장치(200)가 안착될 경우, 사용자가 잠금해제부(6)에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의 캐비닛(2) 상부면에 상기 제2처리장치(200)가 안착 될 경우, 상기 패널 상부면(33b)은 제2처리장치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도 1 참고). 따라서, 상기 패널 상부면(33b)에 잠금해제부(6)가 위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항상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한 패널 전방면(33a)에 상기 잠금해제부(6)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해제부(6)는 상기 드로워 패널(33)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61), 상기 지지부(6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패널 관통홀(339)에 삽입되는 가압부(64), 상기 가압부(64)가 상기 드로워 패널(33) 내부로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C)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6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1)는 드로워 패널(33)에 고정되는 지지바디(611),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6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6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613)는 상기 지지바디(6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C'자 형상의 슬릿(slit)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력 제공부(613)는 상기 가압부(6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해제부(6)는 사용자가 가압부(64)를 드로워 패널(33) 내부로 가압하면, 상기 신호발생부(63)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C)에 전송하고, 제어부(C)는 상기 제1체결부(91)와 상기 제2체결부(92)가 각 수용부(93, 94)에서 분리되도록 모터(971)를 제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패널 관통홀(339)을 통해 물이 드로워 패널(33)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신호발생부(63)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 관통홀(339)과 상기 신호발생부(63) 사이에는 상기 지지바디(611)와 상기 가압부(64)를 연결하되 상기 패널 관통홀(339)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확장부(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65)가 상기 패널 관통홀(339)과 상기 신호발생부(63) 사이에 구비되면, 상기 패널 관통홀(339)을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물이 상기 신호발생부(63)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잠금해제부(6)는 신호발생부(63)에서 발생된 제어신호가 제어부(C)를 통해 모터(971)에 전달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신호발생부(63)는 모터(971)에 직접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잠금해제부(6)가 파손될 경우, 상기 잠금부(9)를 해제시켜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91, 92)가 각 수용부(93, 94)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바디(951)를 이동시키는 와이어(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7)는 일단은 상기 이송바디(95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패널(33)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에는 핸들(69)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드로워(3)가 캐비닛(2)에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6)가 고장날 경우, 사용자는 핸들(69)을 당겨 이송바디(951)를 드로워 패널(33)의 하부방향(드로워의 바닥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송바디(951)는 도 7과 같이 이동하므로, 제1체결부(91)는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되고, 제2체결부(92)는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금해제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드로워(3)와 캐비닛(2)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캐비닛 21: 출입구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11: 제1면 312: 제2면
313: 제3면 314: 제1절곡부 315: 제2절곡부
33: 드로워 패널 33c: 제1측면 33d: 제2측면
331: 컨트롤패널 35: 드로워 커버 36: 제1가이더
37: 제2가이더 38: 제3가이더 39: 제4가이더
4: 터브 41: 투입구 42: 급수구
45: 도어 48: 터브지지부 5: 드럼
6: 잠금해제부 61: 지지부 611: 지지바디
613: 탄성력제공부 64: 가압부 63: 신호발생부
65: 확장부 7: 급수부 8: 배수부
9: 잠금부 91: 제1체결부 911: 제1바
913: 제1결합부 92: 제2체결부 921: 제2바
923: 제2결합부 93: 제1수용부 94: 제2수용부
95: 이송부 97: 구동부

Claims (16)

  1.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2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체결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3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1바; 상기 제1바를 상기 이송부에 연결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제1바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2바; 상기 제2바를 상기 이송부에 연결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제2바 자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는
    상기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부에 위치하는 바 바디;
    상기 제2바 자유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절곡부에 위치하는 바 착탈부;
    상기 제1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디;
    상기 바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
    상기 바 바디와 상기 바 착탈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이송바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를 이동시키는 제1슬롯;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를 이동시키는 제2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바디의 왕복 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디슬롯;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암;
    상기 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슬롯의 길이는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바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에서 상기 제2바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바와 상기 제1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더 바디;
    상기 제3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3가이더 바디 관통홀;
    상기 제3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4가이더 바디;
    상기 제4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4가이더 바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가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나란한 패널 전방면, 상기 패널 전방면의 양측면에서 상기 캐비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 상기 패널 전방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널 상부면을 포함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
    상기 패널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세탁 또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 상기 패널 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로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되 상기 패널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패널 관통홀과 상기 신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00986A 2015-03-02 2016-01-05 의류처리장치 KR10248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86A KR102482657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AU2016226784A AU2016226784B2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2029 WO2016140490A1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610115882.5A CN105937122B (zh) 2015-03-02 2016-03-01 衣物处理装置
EP16158045.1A EP3064637A1 (en) 2015-03-02 2016-03-0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drawer
US15/058,258 US10125442B2 (en) 2015-03-02 2016-03-0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US16/186,175 US10954618B2 (en) 2015-03-02 2018-11-0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AU2018282397A AU2018282397B2 (en) 2015-03-02 2018-12-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86A KR102482657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40A true KR20170081940A (ko) 2017-07-13
KR102482657B1 KR102482657B1 (ko) 2022-12-29

Family

ID=5935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86A KR102482657B1 (ko) 2015-03-02 2016-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3561A (zh) * 2020-02-21 2021-08-2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355884A (zh) * 2020-03-06 2021-09-0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其组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746A (ja) * 2001-03-26 2002-10-03 Okamura Corp キャビネット
KR20150137653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746A (ja) * 2001-03-26 2002-10-03 Okamura Corp キャビネット
KR20150137653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3561A (zh) * 2020-02-21 2021-08-2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293561B (zh) * 2020-02-21 2023-12-0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355884A (zh) * 2020-03-06 2021-09-0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其组装方法
CN113355884B (zh) * 2020-03-06 2024-03-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其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657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461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KR10231608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9829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8506313A (ja) 衣類処理装置
KR202000464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1940A (ko) 의류처리장치
US2019036809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drawer unlocking unit
KR20170135113A (ko) 의류처리장치
US20190017209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2020006973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2328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37182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1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3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10629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69384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