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384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384B1
KR101769384B1 KR1020150080475A KR20150080475A KR101769384B1 KR 101769384 B1 KR101769384 B1 KR 101769384B1 KR 1020150080475 A KR1020150080475 A KR 1020150080475A KR 20150080475 A KR20150080475 A KR 20150080475A KR 101769384 B1 KR101769384 B1 KR 10176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using
drawer
cabinet
tu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120A (ko
Inventor
배상훈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3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로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과 나란하여 편심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면 상기 드럼을 상기 드로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의류를 인출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The laundry treating appatus}
본 발명은 Top loading tumble 건조기술을 갖춘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건조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수평으로 구성되었다. 이때, 상기 드럼의 투입구는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게 위치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드럼 후반부에 있는 의류를 꺼내기 위해 몸을 과도하게 굽히거나 손을 드럼 깊이 넣어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한편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에서 인출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건조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수직인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로써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투입구가 상향으로 되어있는 드럼이 그 내부를 전부 외부로 노출하게 되어, 사용자가 드럼에서 의류를 빼내는 것이 용이해졌다. 그러나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와 수직이기 때문에, 드럼에서 의류가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한쪽으로 뭉칠 수 있다.
이는 드럼의 동적균형을 무너뜨리고, 의류의 세탁 및 건조의 효율도 감소되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드로워를 캐비닛에 삽입할 경우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상하좌우로 교반 하여 세탁 및 건조 효율을 높이고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며,
사용자가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변경되어 사용자가 의류를 드럼에서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이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태일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의류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높이가 너비보다 낮은 타원형, 트랙형태 드럼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더라도 효과적으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더라도 드럼 내부를 회전하는 텀블부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가 트랙형태일 경우 드럼의 회전할 때 형상을 보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텀블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드럼을 인출할 때 용이성을 제공하고, 의류가 드럼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에 따라 곡률이 변경되는 부분이 존재하여도 안정적으로 텀블부를 회전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텀블부 내에서 의류가 교반되고 골고루 분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드럼을 드로워에서 인출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이 용이하게 드로워에서 인출되도록 하며, 드럼이 드로워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축이 드로워에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는 상부가 개구된 드로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이 드로워에 삽입되어 그 회전축이 드로워의 바닥면과 나란할 경우 드럼을 지지함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이 연결부를 통해 드로워와 결합될 때, 효과적으로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드로워에서 인출되거나 회전축이 변할 때에도 드럼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드로워에서 인출되거나 회전축이 변할 때에도 드럼을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를 갖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이 드로워에서 인출되거나 회전축이 변할 때에도 드럼을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를 갖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내부에 효과적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유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공기를 유입할 때, 외부공기를 원할하게 드럼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었을 때, 드럼을 당겨 드로워 상부로 올리지 않고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시켜 용이하게 투입구가 드로워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이 드로워 내에서 위치변경없이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갖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드로워를 갖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드럼을 지지하고, 구동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교반시키는 텀블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드럼의 회전축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고, 의류가 드럼에서 사용자가 원치않을 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드럼의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드럼의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상기 드로워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구는 원형, 타원형, 트랙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캐비닛이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태일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의류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높이가 너비보다 낮은 타원형, 트랙형태 드럼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하우징;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가 구비되는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텀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구가 타원형태 일 때,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투입구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구가 트랙형태 일 때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트랙형태에 대응한 반원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레일; 상기 제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타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드럼을 상기 드로워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텀블부는 다수의 직선바(bar)가 결합되어 양면이 개방된 기둥을 형성하거나, 다수의 원형바(bar)가 결합되어 양면이 개방된 기둥을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텀블부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의류에 낙차를 유발하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힌지;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를 지지하는 힌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드럼이 상기 드로워에서 인출시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상향으로 구부러진 폐곡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는 기둥형상으로, 상기 힌지가이드의 상기 폐곡선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전면패널, 상기 힌지가이드 또는 상기 힌지가 고정되는 측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제 1하우징;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가 구비되는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텀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본기어;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기어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부기어; 상기 부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부기어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드로워에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될 때 상기 본기어와 분리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가 상기 개구부를 향할 때 상기 본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본기어;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기어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기어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배면패널과 상기 제 2하우징 배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공기공급하우징; 상기 공기공급하우징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공기공급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드럼에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공기공급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공기공급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1유입공;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2유입공; 상기 제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드럼내부로 유입시키는 제 3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회전돌기;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를 지지하는 회전돌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돌기하우징은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드로워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돌기는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회전돌기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전면패널, 상기 회전돌기하우징 또는 회전돌기가 고정되는 측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구비된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하나에 상기 지지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는 제 1하우징;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구성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돌기 또는 상기 회전돌기하우징이 구비되는 제 3 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텀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레일; 상기 제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타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드럼을 상기 드로워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고,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돌기와 결착 가능하도록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 3 하우징에 구비되고,상기 지지돌기와 결착 가능한 상기 고정대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드로워를 캐비닛에 삽입할 경우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상하좌우로 교반 하여 세탁 및 건조 효율을 높이고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변경되어 사용자가 의류를 드럼에서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이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태일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의류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높이가 너비보다 낮은 타원형, 트랙형태 드럼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더라도 효과적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더라도 드럼 내부를 회전하는 텀블부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가 트랙형태일 경우 드럼의 회전할 때 형상을 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텀블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드럼을 인출할 때 용이성을 제공하고, 의류가 드럼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형태에 따라 곡률이 변경되는 부분이 존재하여도 안정적으로 텀블부를 회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텀블부 내에서 의류가 교반되고 골고루 분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드럼을 드로워에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용이하게 드로워에서 인출되도록 하며, 드럼이 드로워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는 상부가 개구된 드로워를 구비하여 드럼의 회전축이 드로워에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드로워에 삽입되어 그 회전축이 드로워의 바닥면과 나란할 경우 드럼을 지지함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연결부를 통해 드로워와 결합될 때, 효과적으로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드로워에서 인출되거나 회전축이 변할 때에도 드럼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의 구성으로 드럼의 드로워에서 인출되거나 회전축이 변할 때에도 드럼을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드로워에서 인출되거나 회전축이 변할 때에도 드럼을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입구와 배출부 구성으로 드럼내부에 효과적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유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공기를 유입할 때, 외부공기를 원할하게 드럼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었을 때, 드럼을 당겨 드로워 상부로 올리지 않고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시켜 용이하게 투입구가 드로워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드로워 내에서 위치변경없이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가 구비된 드로워로 인해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축만 회전하는 경우 드럼을 지지하고,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교반시키는 텀블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드럼의 회전축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의류가 드럼에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드럼의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드럼의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도4,도5는 상기 드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도7,도8,도9는 상기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유입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 1실시예이며, 도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 1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200),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0), 상기 드로워(200)와 상기 드럼(300)을 연결하며,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을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전방부에 개구부(101)를 구비하며,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드로워(200)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이며, 상기 드럼(300)을 수용한다.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에는 상기 드럼(300)을 지지하는 상기 연결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200)의 전면패널(220)은 상기 캐비닛(100)의 개구부(101)을 개폐하고, 상기 드로워(200)의 배면패널(230)은 후술할 공기공급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은 후술할 구동부(700)를 통해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은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레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은 상기 레일을 유동하는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을 수용한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구비된 부품 및 상기 드럼(300) 내부의 관리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5는 상기 드럼에 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드럼(300)은 일면이 개구된 투입구(312)를 구비하며, 원통형 또는 타원통형으로 구비되거나 좌우의 반원부(314)와 상하의 직선부(315)를 구비하는 형태(트랙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의류를 수용한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드럼(300)이 트랙형태인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드럼(300)이 타원형 또는 트랙형태 인 경우,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가 너비보다 작을 때에도 종래의 의류처장치와 같이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미도시)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래의류처리장치는 탑로딩 또는 프론트 로딩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가 프론트 로딩 타입일 경우, 캐비닛보다 키가 큰 사용자의 접근 편의성을 위해 드럼을 캐비닛의 내부의 정중앙이 아닌 상측으로 편중되게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하부는 빈공간으로 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빈공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이 타원형 또는 트랙형태 인 경우,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가 너비보다 작을 때에도 정상적으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미도시)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래의류처리장치는 탑로딩 또는 프론트 로딩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은 투입구(312)를 형성하는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드럼(3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320),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제 2 하우징(320)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텀블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300)이 트랙형태인 경우,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트랙형태의 원호를 형성하는 반원부(313), 상기 트랙형태의 직선을 형성하는 직선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트랙형태의 원호를 형성하는 반원부(313), 상기 트랙형태의 직선을 형성하는 직선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3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제 2 하우징(320)에는 ‘C’자 형의 제 1 가이드레일(311)과 제 2 가이드레일(321)이 구비되고, 상기 텀블부(340)의 양단은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11)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21) 에 수용된다. 상기 텀블부(340)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11)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2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300)이 타원 및 트랙형태일 경우, 상기 드럼(300) 전체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반지름이 커지게 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제 2하우징(32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상기 텀블부(340)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하우징(310)은 상기 제 1 하우징(310)에 구비된 투입구(312)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300) 내부의 의류가 상기 드럼(300)의 작동 중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하우징(310)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300)이 상기 드로워(200)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손잡이(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배면에는 공기공급부(6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하우징에는 상기 공기공급부(600)에서 토출된 열풍이 상기 드럼(300)으로 안내하도록 유입공(8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텀블부(340)는 복수의 직선 바(bar)(341)나 복수의 원기둥 바(bar) (341)의 결합으로 양단이 개구된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텀블부(340)는 복수의 바(341)의 결합으로 구비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11)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21)의 곡률이 변경되는 부분이 있어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텀블부(340)는 의류를 교반하거나, 의류에 낙차를 발생시키는 리프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342)는 상기 텀블부(340)의 내주면에서 상기 텀블부(340)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390)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6,도7,도8,도9는 상기 연결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되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100)의 하부패널(240)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드럼(3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수단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 삽입되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에 나란하도록 상기 드럼(3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수단이기도 하다. 이때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에 대한 상기 드럼(300) 회전축(390)의 각도변경범위는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0도에서 180도 이며, 바람직하게는 0도에서 90도 일 수 있다.
도8 에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드럼(300)의 일측면과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힌지(411)와 상기 드럼(300)의 일측면과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힌지(411)를 수용할 수 있는 힌지가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411)는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을 회전시키며, 상기 힌지가이드(412)는 상기 힌지(412)를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도8, 도9는 상기 힌지(411)가 상기 제 2하우징(320)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가이드(412)는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411)는 상기 제 2 하우징(320)에 돌출되어 상기 힌지가이드(412)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힌지가이드(412) 내부를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가이드(412)는 상향으로 구부러진 폐곡선 형태의 슬롯으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411)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411)는 상기 힌지가이드(412)내에서 상기 슬롯의 양단을 왕복할 수 있다.
도8, 도9를 통해 상기 드럼(300)이 상기 드로워(200)에서 인출되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 삽입된 상태 일 때에는, 상기 드럼(300)은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과 나란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사용자가 손잡이(370)등을 통해 드럼(300)을 위로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300)은 상기 힌지가이드(412)의 슬롯 형태에 따라 상기 드로워(200)의 전방부로 이동하며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드럼(300)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하우징(310)은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과 분리되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하우징(320)은 상기 힌지(411)가 상기 힌지가이드(412) 내부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로워(200)의 전방부로 이동한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300)의 상기 투입구(312)가 상기 드로워의 전면패널(220)의 위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 구비된 힌지가이드(412)는 상기 제 2하우징(320)에 구비된 상기 힌지(411)를 수용하고 지지하므로, 상기 드럼(300)이 외부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드럼(300)을 상기 드로워(200)에 투입하여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되는 과정은 위의 과정이 역으로 진행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0)이 상기 드로워(200)에 수용되면, 상기 드럼(300)이 상기 드로워(200) 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드럼(300)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210) 중 어느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기(510), 상기 지지돌기(510)와 결착가능하며 상기 드럼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대(520)를 포함한다.
도8,도9는 상기 지지돌기(510)와 상기 지지대(520)가 각각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510)는 상기 드럼(300)이 상기 드로워(200)에 수용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과 나란하게 될 경우 상기 제 1 하우징(310)이 움직이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520)는 상기 지지돌기(510)를 지지하나 상기 지지돌기의 인출이 자유로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드럼(300)을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드럼(300)의 제 1하우징(310)이 상기 드로워(200)에서 분리되고, 상기 투입구(312)가 상기 드로워(200)의 상부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의류를 상기 드럼(300)으로 투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드럼(300)을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과 나란한 회전축(390)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의류를 건조하게 된다.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텀블부가(340)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텀블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뿐 만 아니라 중력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300)의 일측에 편중되지 않고, 상기 드럼(300) 내에서 지속적으로 수평이동과 수직낙하를 반복하면서 골고루 교반 되어, 상기 드럼(300)의 동적균형이 무너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0)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텀블부(340) 내주면에 고정된 상기 리프터(342)로 인해 상기 텀블부(340)의 내주면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상기 의류는 상기 드럼(300)의 작동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되어 상기 드럼(300)에 공급되는 열풍에 균일하게 노출될 수 있어 건조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드로워(200)에 수용된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은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드럼(3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빼낼 수 있어 편의성이 높아진다.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었을때, 상기 드럼(300)은 상기 드로워(200)에서 인출되어 상기 드럼(300)의 전방부가 상기 드로워(200)의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진다.
도10,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와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 드럼(300)은 투입구(312)를 형성하는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드럼(3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 2하우징(320),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제 2하우징(320) 사이에 회전가능한 텀블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제 2 하우징(3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텀블부(340)를 감싸는 제 3 하우징(33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텀블부(340)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11),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21)과 제 3 하우징(33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제 2 실시예의 연결부(400)는 상기 드럼(300)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210)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회전돌기(421)와 상기 회전돌기(421)와 결합하고 상기 드럼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회전돌기하우징(42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돌기(421)와 상기 회전돌기하우징(422)은 상기 드럼(300)의 측면에 정중앙에서 상기 드럼(300)과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도11은 상기 회전돌기(421)이 상기 제 3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하우징(422)가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21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회전돌기(421)는 상기 회전돌기하우징(422) 내에서 위치이동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하우징(422)은 상기 회전돌기(421)를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00)을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하우징(422)은 상기 회전돌기(421)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하우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돌기(421)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300)은 상기 회전돌기(421)와 상기 회전돌기하우징(422)으로 인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닛(100)에서 상기 드로워(200)가 인출 되면 상기 드럼(300)이 상기 드로워(200) 내에서 수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의 회전축(390)만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하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상기 투입구(312)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드럼(300) 회전축(390)의 이동하는 각도의 범위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과 나란한 것에서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과 수직이 되는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0도~ 90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전할 때, 일정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530)는, 상기 지지돌기(510)와 결착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대(530)는 상기 드럼(300)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돌기와 탈착가능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0, 도11에서는 상기 지지돌기(510)가 제 3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530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고정대(530)는 상기 드럼(300)의 투입구(312)가 상기 드로워(200)의 상부면을 바라보게 될 때,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 을 기준으로 90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대(530)는 상기 지지돌기(510)와 탈착 가능한 자유로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시 사용자가 상기 드럼(300)을 당기어 상향으로 올릴 필요없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을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의 효과를 동일하게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300)은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상기 제 3하우징(330)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하우징(320)과 상기 제 3하우징(330)을 연결하는 하우징연결바(bar)(38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연결바(380)는 상기 텀블부가(340)이 상기 제 3 하우징(330)내에서 상기 제 3 하우징의 개구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을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300)이 본래의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연결바(380)는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이 제 3 하우징(33)을 기준으로 위치변경이 없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연결바(380)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2, 도13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3 실시예는 상부에 개구부(101)를 갖는 캐비닛(100),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가능한 드로워(200), 투입구(312)를 구비하며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0), 상기 드로워(200)를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하도록 하는 드로워인출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부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2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은 원통 형상으로 투입구(312)가 상기 캐비닛(200)의 전방부를 향한다.
상기 드로워인출부(900)는 상기 드럼(300)을 수용한 드로워(200)를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101)를 통해 외부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인출부(900)는 상기 드로워의 하부패널(240)(240)에 상기 드로워(200)를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하는 모터(910)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910)에는 제 1 기어(9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는 상기 인출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9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91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920)가 상기 제 2 기어(930)을 따라 상기 캐비닛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캐비닛 (100)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인출모터(910)가 역회전하면 상기 인출기어(920)가 상기 기어축(930)을 따라 상기 캐비닛 하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의 상부로 인출되거나 투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의 변화가 없으므로, 제 1,2 실시예와 같이 상기 드럼(300)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300)의 투입구(312)가 상기 캐비닛(100)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고, 결과적으로 용이하게 의류를 투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 3 실시예는 상기 드로워(200)상기 제 1 실시예 및 상기 제 2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을 변화시키지 않고, 제 1 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효과를 동일하게 도출 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인출부(900)는 상세한 설명에서 모터(910)와 제 1 기어(920), 제 2 기어(930)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에서 상향으로 인출할 수 있는 모든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도14,도15는 상기 구동부(700)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상기 구동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710), 상기 구동모터(710)에 의해 회전하는 제 3 기어(이하 본기어)(720), 상기 텀블부(340)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본기어(720)와 탈착 가능한 제 4 기어(이하 부기어)(7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390)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이동할때에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390)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할 때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한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본발명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럼(300)은 상기 드로워(200)내에서 위치변화가 없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710)가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어느 곳에 구비되든 무방하다.
이하에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에서 상기 구동모터(710)는 구비된 위치만 상이하므로 상기 제 1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 투입되어, 상기 드로워(200)에 상기 드럼(300)이 안착되면, 상기 본기어는(720)는 상기 텀블부(340)를 둘러싼 상기 부기어(740)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10)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본기어(720)와 상기 부기어(740)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부기어(740)가 상기 텀블부(3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되어, 상기 드로워(200)에서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본기어(720)와 상기 부기어(740)는 서로 분리된다.
도15는 상기 구동부(70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710)와, 상기 구동모터(710)에 의해 회전하는 본기어(720),상기 텀블부(34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기어(72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5기어 (이하 텀블기어)(730), 상기 텀블기어(730)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텀블부(340)와 상기 텀블기어(730)를 둘러싼 벨트(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텀블기어(730)는 2단 형식으로 되어 있어, 1단에는 상기 본기어(720)와 맞물리게 되고, 2단은 상기 텀블부(340)를 둘러싼 벨트(750)와 연결된다.
상기 드로워(200)에서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되면, 상기 본기어(720)와 상기 텀블기어(730)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10)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모터(710)의 회전력이 상기 본기어(720)와 상기 텀블기어(730), 상기 벨트(750)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텀블부(3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로워(200)에서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390)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본기어(720)와 상기 텀블기어(730)가 분리된다.
이렇게 상기 구동모터(710) 와 본기어(720)는 상기 텀블부(340)에 부착된 상기 텀블기어(730), 상기 밸트(740)과 서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된다.
도16, 도17은 공기공급부(6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600)는 상기 드로워(200)의 배면패널(230)이나 상기 제 2 하우징(320) 배면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공기공급하우징(610), 상기 공기공급하우징(610)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650), 상기 공기공급하우징(61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드럼(300)에 배출하는 배출구(660), 상기 공기 공급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630), 상기 공기공급하우징(610) 내부에 위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300) 내부로 공급하는 팬(6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부에서는 하나의 모터(640)로 두개의 상기 팬(62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600)는 상기 공기공급하우징(610)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620)에 의한 압력차이로 인해 유입구(650)를 통해 외부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유입구(650)로 공급받은 상기 외부공기는 가열히터(630)에서 가열된 뒤, 배출구(660)를 통해 상기 드럼(300)으로 유입된다.
도 18은 상기 유입공(800)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공기공급부(600)의 기능이 원할히 수행되기 위해선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부 까지(600)으로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드로워(200)에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부(600)까지 전달될 수 있는 유입공(800)이 필수적이다.
상기 드로워(200)의 배면패널(230)에 상기 공기공급부(60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캐비닛(100)의 배면에 제 1 유입공(810)이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200)의 배면패널(230)은 상기 공기공급부(600)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유입공(820)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배면에는 제 2 유입공(820)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3 유입공(8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배면에 상기 공기공급부(60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캐비닛(100)의 배면에 제 1 유입공(810)이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200)의 배면패널(230)에는 상기 제 1 유입공(810)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유입공(820)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유입공(820)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유입구(650)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공급부(600)의 배출구(660)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3 유입공(830)이 구비된다.
상기 도면은 상기 공기공급부(600)가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배면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100), 드로워(200), 상기 공기공급부(600), 상기 제 2하우징을 거쳐 가열되며 상기 드럼(3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00)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텀블부(340)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서 배출된 배출수를 처리하는 배출수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처리부는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에 배수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배출수 처리부는 상기 드로워(200)의 하부패널(240)에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 말단에 배수통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수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0)이 트랙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 높이가 밑변의 길이보다 작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메인 의류처리장치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서브 의류처리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로 구비될 수 있고, 본발명의 상기 서브의류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00 캐비닛 개구부: 110
드로워: 200 측면패널: 210 전면패널: 220
후면패널 : 230 하부패널: 240 손잡이홈: 270
드럼 : 300 제1하우징 : 310 제1가이드레일: 311
투입구: 312 제2하우징 : 320 제2가이드레일: 321
반원부: 314 직선부 : 315
제3하우징: 330 텀블부 : 340 직선 또는 원형bar : 341
리프터 : 342 지지돌기 : 350 손잡이 : 370
회전축 : 390
연결부 : 400 힌지: 411 힌지가이드: 412
회전돌기: 421 회전돌기하우징: 422
지지부 : 500 지지돌기: 510 지지대 : 520
고정대 : 530 공기공급부: 600 하우징: 610
송풍팬: 620 히터: 630
유입구 : 650 배출구: 660 구동축 :670
구동부 : 700 구동모터: 710 본기어 : 720
텀블기어 : 730 부기어 : 740 벨트: 750
유입공 : 800 제1 유입공: 810 제 2 유입공: 820
제 3 유입공: 830
모터 : 910 제 1기어 : 920 제 2기어 : 930

Claims (28)

  1.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상기 드로워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드로워의 형상과 부피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원형, 타원형, 트랙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가 구비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텀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가 타원형태 일 때,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투입구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가 트랙형태 일 때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트랙형태에 대응한 반원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레일;
    상기 제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타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드럼을 상기 드로워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부는 다수의 직선바(bar)가 결합되어 양면이 개방된 기둥을 형성하거나, 다수의 원형바(bar)가 결합되어 양면이 개방된 기둥을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부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의류에 낙차를 유발하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힌지;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를 지지하는 힌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드럼이 상기 드로워에서 인출시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상향으로 구부러진 폐곡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는 기둥형상으로, 상기 힌지가이드의 상기 폐곡선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전면패널, 상기 힌지가이드 또는 상기 힌지가 고정되는 측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가 구비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텀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본기어;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기어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텀블기어;
    상기 텀블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기어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드로워에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될 때 상기 본기어와 분리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가 상기 개구부를 향할 때 상기 본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본기어;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기어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부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배면패널과 상기 제 2하우징 배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공기공급하우징;
    상기 공기공급하우징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공기공급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드럼에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공기공급하우징에 구비되어 유입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공기공급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1유입공;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2유입공;
    상기 제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드럼내부로 유입시키는 제 3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회전돌기;
    상기 드로워와 상기 드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를 지지하는 회전돌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하우징은 상기 투입구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드로워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돌기는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회전돌기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전면패널, 상기 회전돌기하우징 또는 회전돌기가 고정되는 측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구비된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드럼 중 하나에 상기 지지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구성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돌기 또는 상기 회전돌기하우징이 구비되는 제 3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텀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레일;
    상기 제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텀블부의 개방된 타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드럼을 상기 드로워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돌기와 결착 가능하도록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 3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와 결착 가능한 상기 고정대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80475A 2015-06-08 2015-06-08 의류처리장치 KR10176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75A KR101769384B1 (ko) 2015-06-08 2015-06-0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75A KR101769384B1 (ko) 2015-06-08 2015-06-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20A KR20160144120A (ko) 2016-12-16
KR101769384B1 true KR101769384B1 (ko) 2017-08-30

Family

ID=5773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475A KR101769384B1 (ko) 2015-06-08 2015-06-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3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0644A1 (en) * 2005-05-12 2006-11-16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0644A1 (en) * 2005-05-12 2006-11-16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20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7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9251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5079B1 (ko) 의류처리장치
US97087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US1069710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US20220010473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1389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drainage connector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2078B1 (ko) 의류처리장치
EP331745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76938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751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EP326560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7000664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767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77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100546A (ko) 의류처리장치
JP200809992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