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54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546A
KR20160100546A KR1020150023094A KR20150023094A KR20160100546A KR 20160100546 A KR20160100546 A KR 20160100546A KR 1020150023094 A KR1020150023094 A KR 1020150023094A KR 20150023094 A KR20150023094 A KR 20150023094A KR 20160100546 A KR20160100546 A KR 2016010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pparatus
cabinet
frame
upper pan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962B1 (ko
Inventor
이승준
허남영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962B1/ko
Priority to US15/042,818 priority patent/US10443180B2/en
Priority to CN201610086717.1A priority patent/CN105887410B/zh
Publication of KR2016010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캐비닛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제1조절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상부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건조겸용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상업용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영업장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수의 의류처리장치를 적층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에 상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없어 하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가 파손되거나 외관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의류의 처리장치와 하부에 위치된 의류의 처리장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를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에서 분리하더라도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진동이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캐비닛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제1조절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상부패널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캐비닛과 제2캐비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조절부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2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된 제1캐비닛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캐비닛을 제2캐비닛에서 분리하여 제2캐비닛의 상부패널이 노출되더라도 상기 관통홀이 상기 지지부에 의해 막힌 상태을 유지하므로 제2캐비닛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제2처리장치만을 단독으로 설치, 판매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조절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패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비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패널에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제1캐비닛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패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부가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서 상기 상부패널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를 상기 상부패널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지지부는 제1캐비닛의 충격이 제2캐비닛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1면에 연결하는 제1프레임,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2면에 연결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1면에 연결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지지부는 제1캐비닛의 충격이 제2캐비닛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암나사;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제1캐비닛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제2캐비닛이 제1캐비닛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의류의 처리장치와 하부에 위치된 의류의 처리장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를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에서 분리하더라도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진동이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제1처리장치(T), 상기 제1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처리장치를 지지하는 제2처리장치(L)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 역시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은 전방면에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컨트롤패널(113), 상기 제1수용부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111),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구비된다.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수용부는 제1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1터브(미도시),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제1컨트롤패널(113)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미도시), 상기 제1터브로 물을 급수하는 제1급수부, 상기 제1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1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1)에는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부(미도시), 상기 제1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배출부(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수용부(미도시)는 제1터브와 제1드럼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캐비닛(1)에는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터브로 물을 공급하고 배수하는 제1급수부 및 제1배수부, 상기 제1터브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부, 제1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1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공기배출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제1처리장치(T)가 의류를 건조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공기배출부에는 제1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제1여과부(17)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1여과부(17)는 제1캐비닛(1)의 전방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여과부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과부가 상기 제1드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에 구비되었는데,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연결덕트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여과부의 여과용량을 확장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제1여과부(17)는 제1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종래 여과부에 비해 여과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대량의 의류를 빨리 건조시켜야 하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처리장치(T)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나 구조는 후술할 제2처리장치(T)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2처리장치(L)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캐비닛(1)의 바닥면(19)에는 제1캐비닛(1)의 높이조절(수평조절)을 위한 제1조절부(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조절부(15)는 바닥면(19)에 고정되는 고정바디(151), 상기 고정바디(1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캐비닛(1)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조절바디(1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고정바디(151) 및 조절바디(153)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암나사(internal thread)가 구비된 고정바디(151) 및 상기 암나사에 결합하는 수나사(external thread)가 구비된 조절바디(153)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L)는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제1캐비닛(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3), 상기 제2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의류수용부,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캐비닛(3)은 제2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31),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패널(35), 제2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3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31)에는 상기 제2수용부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311), 상기 제2투입구(311)를 개폐하는 제2도어(315), 상기 제2처리장치(L)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2컨트롤패널(3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컨트롤패널(113)은 제1도어(115)의 하부에 위치되는 반면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컨트롤패널(313)은 제2도어(315)의 상부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는 서로 구별된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1처리장치(T)를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안착시킬 경우, 제1처리장치(T)의 컨트롤패널(113)이 제1캐비닛(1)의 상부(제1도어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면 사용자의 키에 따라 제1처리장치(T)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컨트롤패널(113)은 제1캐비닛(1)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수용부는 제2캐비닛(3)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5)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캐비닛(3) 내부에는 제2드럼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부 및 제2드럼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부는 제2캐비닛(3)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바디(391), 상기 지지바디(3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311)에 연통하는 연통홀(392), 상기 지지바디(39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드럼(5)의 개방된 전방면이 지지되는 전방플랜지(3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37)는 제2캐비닛(3)을 구성하는 후방패널(38)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드럼(5)의 개방된 후방면을 지지하는 후방플랜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5)은 제2구동부(51)에 의해 회전 가능한데, 상기 제2구동부는 모터(511),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제2드럼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5)은 제2공기공급부(6)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제2드럼 내부의 공기는 제2공기배출부를 통해 제2캐비닛(3)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공기공급부(6)는 상기 후방패널(38)에 구비되어 하우징 유입구(611)와 후방패널에 구비된 공기유입구(381)를 연통시키는 하우징(61),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가열수단, 6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배출부는 제2드럼(5)의 높이방향(Y)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71), 상기 제2드럼(5)의 길이방향(X)을 따라 구비되어 연결덕트(7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제2캐비닛(3)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73), 상기 배출덕트(73)에 구비되는 팬(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73)에는 연결덕트(71)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제2여과부(8)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8)는 상기 연결덕트(71)가 아니라 상기 배출덕트(73)에 구비되어 제2드럼(5)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여과부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과부가 상기 연결덕트(71)에 구비되었는데,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연결덕트(71)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여과부의 여과용량을 확장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여과부(8)는 제2드럼(2)의 길이방향(드럼의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배출덕트(73)에 구비되므로 연결덕트(71)에 구비되는 종래 여과부에 비해 여과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대량의 의류를 빨리 건조시켜야 하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여과부(8)는 전방패널(31)을 통해 배출덕트(7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31)에는 상기 배출덕트(73)와 전방패널(31)을 연통시키는 덕트연통홀(317, 도 3 참고)이 구비되고,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덕트연통홀에 착탈 가능한 핸들(85), 상기 핸들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덕트(73)를 향해 연장되는 필터프레임(81), 상기 필터프레임(81)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8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제1처리장치(T)에 구비된 제1수용부, 제1공기공급부, 제1공기배출부 및 제1여과부는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된 제2수용부(5), 제2공기공급부(6), 제2공기배출부 및 제2여과부(8)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도 4의 제2수용부(5)는 물이 저장되는 제2터브(미도시),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터브는 상기 제2투입구(3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드럼은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부(51)는 제2터브를 관통하여 제2드럼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제2터브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L)에는 제2터브로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부,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2배수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의류의 건조 및 세탁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수용부는 제2터브 및 제2드럼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제2터브로 물을 급수하고 배수하는 제1급수부 및 제2배수부, 상기 제2터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부,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공기배출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구비한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제1처리장치(T)를 안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먼저, 제1처리장치(T)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수평을 조정할 때 제2처리장치(L)의 상부패널(35)이 파손되거나 외관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제1처리장치(T)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3개의 제1조절부(15)가 구비되므로 제1조절부의 조절바디(153)를 회전시키면 제1처리장치(T)의 높이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35)에 조절바디(153)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면, 조절바디(153)를 통해 상부패널(35)에 전달되는 제1처리장치(T)의 하중에 의해 상부패널(35)이 파손될 수 있고, 조절바디(153)의 회전 시 상부패널(35)의 외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처리장치(T)의 바닥면과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35) 사이에는 조절바디(153)의 길이만큼 간격이 발생 되는데, 제1처리장치의 바닥면과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 사이의 간격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심미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 사이의 공간에 쌓여 의류처리장치(100)는 물론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위생을 저해할 수 있다.
한편,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35)에 구멍을 뚫고 제1처리장치의 조절바디(153)를 삽입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조절바디(153)를 통해 제1처리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1처리장치를 제2처리장치에서 분리했을 때 상부패널에 뚫린 구멍에 의해 제2처리장치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제2처리장치의 단독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35)에 구멍을 뚫고 제1처리장치의 조절바디(153)를 구멍에 삽입하면,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를 서로 결합시키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의 전방면에 컨트롤패널(113, 313)이 위치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재는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의 배면을 서로 연결해야만 했고, 이로 인해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가 서로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2처리장치(L)에는 상부패널(35)에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의 제1조절부(15)를 지지하는 지지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조절부(15)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3은 4개의 지지부(9)가 상부패널(35)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씩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9)는 제1조절부의 조절바디(153)가 지지되는 베이스(91), 상기 베이스(91)를 상부패널(35)에 고정시키는 프레임(93, 95. 97. 99)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사이의 간격은 작을수록 좋기 때문에, 상기 상부패널(35)에는 상부패널을 관통하는 관통홀(351)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91)는 상부패널(35)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기 관통홀(351)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91)의 형상과 상기 프레임의 수는 상기 관통홀(35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도 5는 사각형상의 관통홀(351)에 구비되는 지지부(9)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지지부(9)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된 베이스(91)의 각 모서리에 제1프레임(93) 제2프레임(95), 제3프레임(97) 및 제4프레임(99)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각 프레임(93, 95, 97, 99)은 서로 소정거리(L3)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처리장치(T)의 제1구동부에 의해 제1수용부가 회전하면, 제1수용부의 진동이 제1캐비닛(1)에 전달되기 때문에 각 프레임(93, 95, 97, 99)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조절바디(153)를 통해 제1처리장치(T)에서 제2처리장치(L)로 전달되는 진동을 지지부(9)가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각 프레임(93, 95, 97, 99)에는 상기 베이스(91)를 상부패널(35)에 연결하는 제1프레임 플랜지(931), 제2프레임 플랜지(951), 제3프레임 플랜지(971) 및 제4프레임 플랜지(991)가 각각 구비된다.
각 프레임 플랜지(931, 951, 971, 991)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에 제1처리장치(T)의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부패널(35)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강도(strength) 및 강성(rigidity)을 가지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부패널(35)은 높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면(355, 357)을 가지도록 절곡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35)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제1면(355), 절곡부(353)를 통해 상기 제1면(355)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면(35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프레임들(93, 95, 97, 99)은 가능한 한 제1면(355)을 통해 베이스(91)를 상부패널(35)에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4개의 프레임(93, 95, 97, 99)이 구비된 지지부(9)가 상부패널(35)에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제1프레임(93), 제3프레임(97) 및 4프레임(99)은 상기 베이스(91)를 상기 제1면(355)에 고정하고, 제2프레임(95)은 베이스를 제2면(357)에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제2프레임의 높이(L2)는 제1프레임의 높이(L1)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제1면(355)은 상부패널(35)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부패널의 가장자리는 전방패널(31)과 후방패널(38) 등을 통해 지지되므로, 상기 베이스(91)가 제1면(355)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지지부(9)는 제1처리장치(T)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2처리장치(L)에 상부패널(35)을 지지하는 패널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될 경우, 패널프레임은 상기 제1면(355)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것이므로 상기 베이스(91)가 제1면(355)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지지부(9)는 제1처리장치(T)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9)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처리장치(T)를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설치한 뒤 제1조절부의 조절바디(153)를 회전하여도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35)이 파손되거나 외형이 손상될 위험이 없고, 조절바디(153)가 지지되는 베이스(91)가 상부패널(35)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므로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관통홀(351)이 사각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관통홀(351)은 원 또는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베이스(91)는 상기 관통홀(35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각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9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제2처리장치(L)와 다른 제1처리장치(T)를 제2처리장치(L)가 지지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하나의 제2처리장치(L)를 다른 하나의 제2처리장치(L)가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L)의 바닥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조절부(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제2처리장치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바디(41),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제2처리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각 프레임(93, 95, 97, 99)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 가능한 조절바디(43)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제1처리장치(T) 및 제2처리장치(L)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2처리장치(L)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지지부(9)는 상부패널(35)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L: 제2처리장치
3: 제2캐비닛 31: 전방패널 311: 제2투입구
313: 제2컨트롤패널 315: 제2도어 317: 덕트연통홀
35: 상부패널 351: 관통홀 353: 절곡부
4: 제2조절부 41: 고정바디 43: 조절바디
5: 의류수용부(제2수용부) 51: 제2구동부 6: 제2공기공급부
71: 연결덕트 73: 배출덕트 75: 팬
8: 제2여과부 81: 필터프레임 83: 필터
9: 지지부 91: 베이스 93: 제1프레임
95: 제2프레임 97: 제3프레임 99: 제4프레임

Claims (9)

  1.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캐비닛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제1조절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상부패널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조절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패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패널에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패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부가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서 상기 상부패널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를 상기 상부패널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1면에 연결하는 제1프레임,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2면에 연결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1면에 연결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암나사;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수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23094A 2015-02-16 2015-02-16 의류처리장치 KR10167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094A KR101674962B1 (ko) 2015-02-16 2015-02-16 의류처리장치
US15/042,818 US10443180B2 (en) 2015-02-16 2016-02-1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610086717.1A CN105887410B (zh) 2015-02-16 2016-02-16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094A KR101674962B1 (ko) 2015-02-16 2015-02-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546A true KR20160100546A (ko) 2016-08-24
KR101674962B1 KR101674962B1 (ko) 2016-11-10

Family

ID=5688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094A KR101674962B1 (ko) 2015-02-16 2015-02-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9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9615A1 (de) * 1983-08-17 1985-02-28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Verbindungsanordnung fuer aufeinandersetzbare haushaltsgeraete
KR20090024012A (ko) * 2007-09-03 200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포터, 이를 구비한 페데스탈 및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9615A1 (de) * 1983-08-17 1985-02-28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Verbindungsanordnung fuer aufeinandersetzbare haushaltsgeraete
KR20090024012A (ko) * 2007-09-03 200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포터, 이를 구비한 페데스탈 및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962B1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710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2899967B (zh) 衣物处理系统
KR102568673B1 (ko) 의류처리장치
EP2099966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US10119220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535086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5005931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의류처리장치
EP331745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7008192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674962B1 (ko) 의류처리장치
EP3265600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37272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U201920609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90004A (ko) 캐비닛 또는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4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7693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1294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65045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13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40507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