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15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155A
KR20160098155A KR1020160100802A KR20160100802A KR20160098155A KR 20160098155 A KR20160098155 A KR 20160098155A KR 1020160100802 A KR1020160100802 A KR 1020160100802A KR 20160100802 A KR20160100802 A KR 20160100802A KR 20160098155 A KR20160098155 A KR 2016009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rawer
water
tub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080B1 (ko
Inventor
이지홍
김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9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지지하는 바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디 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물을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인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이기 위한 수단일 뿐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 가능한 별도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거나 배수하는 것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응축시켜 수용부로 회수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에 세탁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가 구비되거나 상기 급수유로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디 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 가이더는 상기 바디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레일 또는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가이더와 상기 드로워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로;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프레임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바디에 지지되거나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배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드로워의 후방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단면 형상은 상기 드로워의 후방면 상단 모서리를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하되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 구비되는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드로워의 후방면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급수원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급수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유로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결하는 제2배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배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급수원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급수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바디의 외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배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바디의 외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유로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결하는 제2배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잔수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배수유로 내부에 잔류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는 드로워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배출부에 연통하되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잔수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수관의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잔수배수관의 자유단에는 상기 잔수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관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잔수배수관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바디 관통홀;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을 상기 고정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잔수배수관이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에서 인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출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의 일부가 되는 제1유로;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제1유로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급수원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제2유로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결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배수유로;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 중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부분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가 연결되는 급수구;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구에 연통하는 관통홀; 상기 급수구와 상기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관통홀로 회수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홀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응축시키는 제1회수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회수부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는 제2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회수부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수바디 및 상기 회수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에 연통하는 바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수부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2회수부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이 위치되는 수용홈; 상기 회수바디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바디 플랜지; 상기 바디 플랜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플랜지 관통홀; 상기 플랜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홈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는 회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수부는 상기 바디 플랜지가 상기 드로워에 투영됨으로써 형성되는 투영면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부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의 중공바로 구비되고, 각 중공바는 상기 급수구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공바들 중 넓이가 가장 큰 중공바의 넓이는 상기 바디 관통홀의 넓이보다는 크고 상기 바디 플랜지의 넓이보다는 작게 구비되고, 상기 중공바들 중 넓이가 가장 작은 중공바의 넓이는 상기 바디 관통홀의 넓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투입구 및 상기 급수유로가 연결되는 급수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브에는 상기 급수구와 상기 드럼을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상기 투입구와 상기 드럼을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급수구와 상기 관통홀을 연결하며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에 삽입되는 실링바디; 상기 실링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돌출부; 상기 터브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브에 접촉되도록 상기 실링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드로워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 중 상기 관통홀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위치된 부분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를 상기 드로워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를 상기 드로워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터브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 상기 캐비닛의 배면,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바디의 회전 시 상기 바디의 처짐을 방지하는 바디 가이더; 상기 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며,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된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 가이더는 상기 바디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바디의 타단은 상기 바디 가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가이더가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레일 또는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과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바디의 지지되는 별도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바디유로; 상기 바디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바디유로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배수관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드로워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1배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바디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임펠러;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드로워에 고정된 잔수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 가능한 별도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거나 배수하는 것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응축시켜 수용부로 회수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에 세탁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드로워, 터브 및 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터브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응축수 회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가이더 및 배수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배수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가이더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가이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1처리장치(T), 상기 제1처리장치(T)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2처리장치(L)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처리장치(L)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처리장치(T) 및 제2처리장치(L)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1), 상기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처리장치 터브(미도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제1처리장치 드럼(미도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처리장치 급수부(미도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처리장치 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 캐비닛(1)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제1처리장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 투입구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처리장치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 투입구에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터브 투입구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처리장치 도어(11)의 개방 시 세탁물을 제1처리장치 드럼에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1처리장치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1처리장치 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1처리장치 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제1처리장치 터브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1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제1처리장치(T)는 제1처리장치 터브가 불필요한 대신 열풍공급장치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L)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 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제2처리장치(L)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캐비닛(2)은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상부면이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의 하부에 구비되면 제1처리장치 도어(11)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상기 캐비닛(2)에는 개방면(21)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의 하부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상부패널(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개방면(21)은 제1처리장치 도어(11)가 위치된 방향(제1처리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는 상부면이 개방된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의 개방된 상부면에 구비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된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제2처리장치(L)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수용부(4, 5)에 세탁수를 급배수하기 위한 수단,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3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수단도 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53),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4, 5)으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구(3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4, 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터브 바디(41) 및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터브 커버(43)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5)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41)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M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 터브 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5)과 로터(M2)를 연결하는 구동축(M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5)의 외주면에는 드럼(5)의 내부를 터브 바디(41)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관통홀(5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터브 바디(41)는 터브 지지부(D)를 통해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고정된다.
터브 지지부(D)는 드로워 연결부(D1), 터브 연결부(D3), 각 연결부(D1, D3)를 연결하는 로드(D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 바디(31)에는 상기 드로워 연결부(D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브라켓(311)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41)의 외주면에는 상기 터브 연결부(D3)에 의해 지지되는 제2브라켓(411)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브라켓(311)은 드로워 바디(31)의 내주면에서 드로워 바디(3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브라켓(411)은 터브 바디(41)의 외주면에서 드로워 바디(31)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431), 상기 커버 바디(4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53)와 상기 드럼(5)을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435)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투입구(435)에는 상기 커버 바디(4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49)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49)는 힌지(미도시)를 통해 상기 커버 바디(431)에 결합되는데, 투입구(353)는 터브 투입구(435)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49) 및 상기 터브 투입구(435)의 크기는 상기 투입구(353)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브 투입구(435)가 드로워 커버(35)의 하부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49)를 통해 터브 투입구(435)를 개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49)의 외주면은 상기 투입구(353)의 내주면과 소정거리(X1, X2)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하공차(geometric tolerance)나 위치공차(positional tolerance)에 의해 상기 도어(49)가 투입구(353)에 간섭되어 터브 투입구(435)를 개방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49)에는 상기 도어(49)를 드로워 커버(35) 또는 커버 바디(4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도어핸들(49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9)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435)를 통해 세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4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95)는 상기 도어(49)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49)가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한 때 상기 터브 투입구(435)에 삽입되는 실링바디(496), 상기 실링바디(496)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출부(497) 및 제2돌출부(4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97)는 상기 실링바디(496)의 외주면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435)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돌출부(497)는 상기 도어(49)가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한 때 상기 터브 투입구(435)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돌출부(497)는 상기 실링바디(496)에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제1돌출부(497)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돌출부(498)는 상기 도어(49)가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한 때 상기 터브 투입구(435)가 폐쇄되도록 상기 실링바디(496)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498)는 상기 도어(49)가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한 때 상기 커버 바디(431)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링부(495)는 도어(49)가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한 때 터브 투입구(435)를 실링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한데 고무와 같은 탄성체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431)에는 상기 터브 바디(4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439)가 구비되는데, 상기 삽입부(439)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세척수를 드럼(5)으로 안내하는 경사부(4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에 구비된 드럼(5)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드럼(5)의 외주면에는 드럼(5) 내부와 터브 바디(4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관통홀(51)이 구비된다.
이 경우, 드럼(5)이 회전하면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는 상기 터브 바디(4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서 상기 터브 커버(43)까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4391)는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서 터브 커버(43)를 향해 이동한 세탁수를 드럼(5)의 상부면으로 안내하는 수단이 된다.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가 드럼(5)의 상부면을 통해 드럼(5)으로 재공급되면 세탁수가 드럼(5)에 저장된 세탁물을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경사부(4391)를 통해 세탁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바디(431)에는 상기 드로워(3)에 구비된 급수구(355)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355)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드럼(5)으로 안내하는 관통홀(438)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4)가 드로워(3) 내부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상기 관통홀(438)의 위치는 상기 급수구(355)의 하부에 고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관통홀과 급수구 사이의 상대운동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438)과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통해 급수구(355)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터브(4)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438)과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상기 파이프는 신축 가능한 호스(flexible hose, bellows hose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관통홀(438)과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물리적 유로를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급수관(77)을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급수관(77)은 상기 드로워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43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77)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탄성재질 또는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신축 가능한 구조나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급수관(77)의 상기 영역은 상기 관통홀(438)과 드로워 커버(35, 드로워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5)의 회전 시 발생된 진동이 터브 바디(41)로 전달될 경우 관통홀(438)과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진동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파이프의 내구성이 저하 또는 상기 파이프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를 고려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와 같이 관통홀(438)과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수단 없이 관통홀(438)을 급수구(355)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터브(4)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방식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홀(438)과 상기 급수구(355)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파이프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터브 바디(41)에 온수가 공급되거나 터브 바디(4)의 외부에 구비된 스팀발생장치(미도시)를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에 스팀이 공급될 경우, 상기 관통홀(438)은 터브 내부(41)의 수분(물, 미스트, 스팀 등)을 캐비닛(2) 내부로 배출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관통홀(438)을 통해 터브 내부(41)의 수분이나 열이 캐비닛(2) 내부로 배출되면 세탁력이 저하될 수도 있고,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된 장치(전자장치 등)들의 고장이나 부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통홀(438)을 통해 터브 내부(41)의 수분이 캐비닛(2)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회수부(45)는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38)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접촉되는 제1회수부(451), 상기 제1회수부(451)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상기 관통홀(438)로 안내하는 제2회수부(4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부(453)는 상기 터브 커버(43)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회수부(451)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수바디(454), 상기 회수바디(45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38)에 연통하는 바디 관통홀(45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부(451)는 상기 관통홀(438)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제2회수부(453)로 공급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1회수부(451)는 드로워 커버(35)에서 제2회수부(453)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평면이나 곡면 형상의 판(board)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회수부(453)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중공바(hollow bar)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회수부(451)가 중공바로 구비될 경우 중공바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중공바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1회수부(451)가 평면형상의 판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회수부(451)는 상기 바디 관통홀(456)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회수부(451)가 다수의 판(board)으로 구비될 경우, 다수의 판(board)들은 상기 바디 관통홀(456)이 드로워 커버(35)에 투영된 공간(관통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각 판(board)에서 제2회수부(453)를 향해 낙하되는 수분(물이나 응축수 등)이 바디 관통홀(456)을 통해 관통홀(438)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제1회수부(451)가 다수의 중공바로 구비될 경우, 상기 중공바들은 상기 관통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즉, 다수의 중공바가 동일한 중심을 가지도록 배치될 경우 가장 큰 넓이를 가진 중공바는 상기 관통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중공바들이 동일한 중심을 가지지 않도록 배치된다면 중공바들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기 관통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회수부(451)가 어떠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각 제1회수부(451)는 급수구(355)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제1회수부(451)의 자유단은 상기 회수바디(454)의 자유단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5)의 회전 시 상기 터브 바디(41)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 제1회수부(451)와 회수바디(454)가 충돌하여 제1회수부(451)나 제2회수부(45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회수부(451)가 터브(4)에서 배출되는 물이 드로워(3)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제2회수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만 구비된다면 상기 제1회수부(451)는 어떠한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제1회수부(451)가 터브(4)에서 배출되는 수분의 응축(터브에서 배출되는 수분과 열교환하는 수단) 및 응축된 수분을 상기 제2회수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구비된다면, 제1회수부(451)는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회수부(453)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회수부(45)는 수분의 회수량 및 응축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터브 커버(43)에는 커버 바디(431)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되 관통홀(438)이 위치되는 수용홈(43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회수부(453)는 상기 회수바디(454)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437)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디 플랜지(455), 상기 바디 플랜지(45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플랜지 관통홀(4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수부(451)는 바디 플랜지(455)가 드로워 커버(35)에 투영된 공간(플랜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회수부(451)가 판(board)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회수부(451)는 상기 플랜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드로워 커버(35)에서 회수바디(454)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수부(451)가 다수의 중공바로 구비될 경우, 상기 중공바들은 상기 플랜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다수의 중공바들이 동일한 중심을 가지지 않도록 배치된다면, 중공바들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기 플랜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면 충분하다.
그러나, 다수의 중공바가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면 지름이 가장 큰 중공바는 상기 관통홀 투영공간의 외부에 위치된 플랜지 투영공간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지름이 가장 작은 중공바는 상기 관통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중공바가 동일한 중심을 가지되 원통형상이 아닌 형상으로 구비된다면 가장 큰 넓이를 가진 중공바는 상기 플랜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가장 작은 넓이를 가진 중공바는 상기 관통홀 투영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제1회수부(451)가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중공바로 구비될 경우, 각 중공바들의 중심은 급수구(355)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중공바들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도 있고,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제1회수부(451)는 드로워 커버(35)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드로워 커버(35)는 외기와 지속적으로 열교환 가능하므로 제1회수부(451)가 급수구(355) 주변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제1회수부의 표면온도는 관통홀(438)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회수부(451)가 급수구(355) 주변에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제1회수부(451)는 급수구(355)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나 급수구(355) 주변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와 직접 열교환하여 표면온도가 더 낮아질 수 있으므로 제1회수부(451)의 냉각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한편, 상기 플랜지 관통홀(457)을 통해 상기 수용홈(437)으로 유입된 수분을 상기 관통홀(438)로 안내하기 위해 회수부(45)에는 회수홀(47)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관통홀(438)에서 제1회수부(451)를 향해 돌출되어 회수바디(454)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관(4381)이 수용홈(437)에 구비될 경우, 상기 회수홀(47)은 상기 지지관(438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회수바디(454)가 관통홀(438)의 원주면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라면, 상기 회수홀(47)은 회수바디(45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수용홈(437)의 내주면은 수용홈(437) 내부의 응축수가 회수홀(47)을 향해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회수부(45)가 제1회수부(451) 및 제2회수부(453)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되는 회수부(45)는 관통홀(438)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회수부(451)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관통홀(438)에서 배출된 스팀은 제1회수부(451)의 표면에서 응축된 뒤 자중에 의해 관통홀(438)로 유입될 것이고, 관통홀(438)에서 배출되는 물은 제1회수부(451)의 표면에 접촉한 뒤 자중에 의해 관통홀(438)로 안내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터브 바디(41)와 상기 터브 커버(43)의 결합을 위해, 상기 터브 커버(43)에는 삽입부(439)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제1수용홈(432), 상기 제1수용홈(432)과 상기 삽입부(439) 사이에 위치하는 제2수용홈(4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 바디(41)의 상단은 상기 제2수용홈(433)에 삽입되고, 터브 바디(41)의 원주면에 구비된 체결부(413, 415)는 상기 제1수용홈(4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터브 바디(41)의 원주면에서 터브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체결부 제1바디(413), 상기 체결부 제1바디(413)에서 상기 터브 커버(43)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수용홈(433)에 삽입되는 체결부 제2바디(415)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터브 커버(43)에는 상기 제1수용홈(432)과 상기 제2수용홈(433)을 구분하는 수용홈 격벽(434)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수용홈 격벽(434)은 체결부 제2바디(415)와 상기 터브 바디(41)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터브 바디(41)와 터브 커버(43)의 상술한 결합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터브 바디(41)와 터브 커버(43)의 결합면을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나 스팀이 터브 바디(4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된 체결부(413, 415)는 상기 터브 바디(4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체결부 제2바디(415)의 지름이 터브 바디(41)의 지름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체결부 제2바디(415)는 제2수용홈(433)에 삽입되고, 터브 바디(41)의 상단은 상기 제1수용홈(432)에 삽입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유로를 통해 세탁수를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공급하고, 배수유로를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로는 드로워(3)에 고정된 배출부(F)와 배면패널(23)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공급부(V)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과 드로워(3)에 구비된 급수구(355)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유로와 배수유로가 공급부(V)와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급수관(77, 고정부(771)를 통해 급수구(355)에 고정될 수 있음) 및 배출부(F)와 배면패널(23)을 연결하는 배수관(87)으로 각각 구비되되 캐비닛(2) 내부에 급수관(77)이나 배수관(87)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으로 삽입될 때 급수관(77)이나 배수관(87)이 꼬이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유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7) 및 배수유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수가이더(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F)는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는 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F1),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F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F1)은 하우징 유입부(F3)를 통해 터브 바디(41)에 연결되며, 하우징 제1배출부(F4)를 통해 배수관(87)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F2)에 의해 임펠러가 하우징(F1) 내부에서 회전하면, 터브 바디(41)에 저장된 세탁수는 하우징 유입부(F3)를 통해 하우징(F1)으로 유입된 뒤 하우징 제1배출부(F4)를 통해 배수관(87)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공급부(V)는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캐비닛(2)의 외부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온도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원과 제2급수원이 존재한다면 본 발명에 구비되는 공급부(V)는 각 급수원에 연결된 제1밸브와 제2밸브로 구비될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가이더(6)는 상기 캐비닛(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77)을 지지하는 바디(74), 상기 캐비닛(2)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74)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디 가이더(7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74)는 캐비닛(2) 내부에 직접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에 고정된 지지부(7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72)는 캐비닛(2) 내부 어디에나 고정되어도 무방하지만 드로워(3)가 캐비닛(2)으로 삽입될 때 드로워(3)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바디(74)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베이스(741), 상기 베이스(741)를 상기 지지부(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이스 회전축(743), 상기 베이스(741)에 구비되어 급수관(77)이 수용되는 수용공간(74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745)은 베이스(7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741)의 마주보는 양단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플랜지(747) 및 제2플랜지(748)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수용공간(745) 내부에 위치된 급수관(77)은 커버(749)에 의해 수용공간(745)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도 6은 커버(749)가 제1플랜지(747)의 자유단과 제2플랜지(748)의 자유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가이더(76)는 상기 바디(74)가 베이스 회전축(74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베이스(741)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741)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베이스(741)의 자유단(free end)은 원호(arc) 궤적을 형성하게 될 것이므로 바디 가이더(76) 역시 원호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 가이더(76)는 상기 바디(74)의 하부에 위치하여 베이스(741)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74)의 상부 또는 상기 바디(74)가 위치된 높이와 나란한 높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 가이더(76)가 상기 베이스(74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바디(74)와 상기 바디 가이더(76)를 연결하는 가이더 체결부(781, 783)가 불필요하지만, 상기 바디 가이더(76)가 바디(74)의 상부나 상기 바디가 위치된 높이와 나란한 높이에 구비된다면 상기 가이더(7)에는 가이더 체결부(781, 78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 가이더(76)가 상기 베이스(74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경우, 바디 가이더(76)는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삽입될 때 드로워(3)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 가이더(76)는 지지부(72)에서 상기 베이스(741)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되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 가이더(76)가 상기 바디(74)의 상부나 상기 바디가 위치된 높이와 나란한 높이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바디 가이더(76)는 드로워(3)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한 캐비닛(2) 내부 어느 곳에나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바디 가이더(76)가 캐비닛의 상부패널(25)에 고정되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바디 가이더(76)에는 상기 바디 가이더(76)와 상부패널(25)의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나사 등)이 지지되는 체결플랜지(76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체결부(78)는 상기 바디(74)를 상기 바디 가이더(76)의 안내를 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바디(74)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781), 바디 가이더(76)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78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7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이더(76)가 상기 바디(74)의 자유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체결부(781)는 상기 커버(749)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체결부(783)는 상기 바디 가이더(76)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고리를 지지하는 레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 가이더(76)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 가이더(76)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고리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 가이더(76)는 상기 바디(74)의 자유단 이외의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체결부(781)는 제1플랜지(747)와 제2플랜지(74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783)는 바디(74)의 상부에 위치된 바디 가이더(76)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781)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가이더(7)에 구비된 바디(74)는 드로워 커버(35)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디 가이더(76)는 상기 바디(74)의 상부 또는 상기 바디가 위치된 높이와 나란한 높이에 구비되므로 상기 드로워(3)는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 상기 가이더(7)에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3)가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 급수관(77)이 드로워(3)와 엉키거나 드로워(3)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배수관(87)은 배수가이더(8)에 지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가이더(8)는 상기 드로워(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87)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82), 상기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87)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84), 상기 제1프레임(82)과 상기 제2프레임(84)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프레임 회전축(8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2)은 제1축(821)이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배면에 고정된 제1프레임 지지부(823)에 결합됨으로써 드로워(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84)은 제2축(841)이 캐비닛의 배면패널(23)에 고정된 제2프레임 지지부(843)에 결합됨으로써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프레임(82)의 자유단과 제2프레임(84)의 자유단은 상기 프레임 회전축(8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 지지부(843)에는 배면패널(2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관(845)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관(845)은 하수관(F7)을 통해 하수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관(87)은 하우징 제1배출부(F4)와 상기 배출관(845)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프레임(82)과 제2프레임(84)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제2프레임(84)은 제2축(8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제1프레임(82)은 제1축(82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프레임 회전축(86)을 통해 제2프레임(84)과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 배수관(87)이 드로워(3)나 급수관(77)에 엉키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배출부의 모터(F2)가 작동할 때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가 사이펀(Siphon)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사이펀 현상이 발생되면 터브 바디(41)나 배수관(87)에 세탁수가 잔류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지만, 하수관(F7)을 통해 하수구의 악취가 터브 바디(41)로 유입될 수 있고,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되기 전 터브 바디(41)로 세탁수가 급수되면 터브 바디(41)로 유입되는 세탁수까지 배수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수관(87)에 사이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통관(7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79)은 급수관(77)과 배수관(87)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배출부(F)에 구비된 모터(F2)가 작동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터브 바디(41)로 공급된 세탁수가 배수관(87)을 통해 터브 바디(41)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출관(845)은 터브 바디(41)에 저장 가능한 세탁수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배수관(87)은 배출관(845)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 펌프의 하우징(F1)에서 배출관(845)를 향해 연장되고, 모터(F2)가 임펠러의 작동을 중단시키면 배수관(87)에는 연통관(79)을 통해 드로워(3)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사이펀 현상이 차단되므로, 배수관(87) 내부에는 세탁수가 잔류하게 될 것이다.
배수관(87)에 세탁수가 잔류하면, 배수관(87)을 통해 하수구의 악취가 터브 바디(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지만 겨울에 배수관(87)이 동파될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배수관(87) 내부의 세탁수조차 배수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는 잔수배출부(9)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잔수배출부(9)는 배출부(F)의 하우징(F1)에 연통하되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때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되는 잔수배수관(9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수관(91)의 고정단은 하우징 제2배출부(F5)를 통해 하우징(F1)에 연통하고, 잔수배출관(91)의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수관(91)의 자유단에는 잔수배수관(91)을 개폐하는 배수관 개폐부(911)가 구비된다.
한편, 잔수배수관(91)의 자유단을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잔수배출부(9)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배수관 착탈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착탈부(93)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되 드로워 패널(33)의 후방에 인접한 위치(개방면(2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즉, 배수관 착탈부(93)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어 드로워 패널(33)의 배면과 투입구(353) 사이의 위치되는 고정바디(931), 상기 고정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바디 관통홀(933),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이 고정바디(93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정바디(931)가 절개되어 구비되는 출입구(9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의 지름은 상기 잔수배수관(91)의 지름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935)의 너비는 상기 잔수배수관(91)의 지름보다 작게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출입구(935)를 통해 잔수배수관(91)을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에서 고정바디(93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잔수배수관(91)이 캐비닛(2) 내부에서 엉키거나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잔수배수관(91)이 캐비닛(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관 지지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배수관 지지부(313)가 드로워 바디(31)의 하부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4)로 열풍을 공급하여 드럼(5)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제1처리장치(T)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세탁물을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4, 5)에 투입하려면, 사용자는 드로워 패널(33)을 이용하여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켜야 한다.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바디(74)는 바디 가이더(76)에 지지되어 베이스 회전축(743)을 중심으로 드로워 바디(31)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급수관(77)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제2프레임(84)은 제2축(8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제1프레임(82)은 제1축(82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프레임 회전축(86)을 통해 제2프레임(84)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배수관(87)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투입구(353)는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353) 내부에 위치된 도어(49)를 회전시켜 터브 투입구(435)를 개방함으로써 터브 투입구(435)의 하부에 위치된 드럼(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을 드럼(5)에 투입하면 사용자는 도어(49)로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시킨 뒤 드로워(3)를 캐비닛(2)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 때, 가이더(7) 및 배수가이더(8)는 급수관(77)과 배수관(87)이 캐비닛(2) 내부에 있는 장치들이나 드로워(3)등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패널(331)을 통해 세탁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공급부(V)에 구비된 밸브는 급수관(77)을 개방하게 된다.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급수관(77)으로 유입되면, 세탁수는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급수구(355) 및 터브 커버(43)에 구비된 관통홀(438)을 거쳐 드럼(5)에 공급된다.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부는 드럼(5)을 회전시킨다. 상기 드럼(5)의 회전 시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는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드럼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드럼(5)에 의해 세탁수가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되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는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서 터브 커버(43)를 향해 이동할 수 있지만 터브 커버(43)에는 경사부(439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드럼(5)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세탁수를 드럼(5) 내부로 재유입시킬 수 있다.
세탁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터브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한다.
즉, 제어부는 배출부(F)에 구비된 모터(F2)에 전력을 공급하여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관(87)으로 이동시킨다. 배수관(87)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배출관(845) 및 하수관(F7)을 거쳐 하수구로 이동한다.
배수관(87)은 연통관(79)을 통해 급수관(77)에 연결되어 있고, 급수관(77)은 급수구(355)를 통해 드로워 바디(31) 내부와 연통하므로 제어부가 모터(F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면 배수관(87)에는 공기가 공급되어 사이펀 현상이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배수관(87)은 배수관(87) 내부의 잔수가 하우징(F1)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배수관(87) 내부의 잔수는 대부분이 배출부의 하우징(F1)에 저장될 것이다.
하우징(F1)에 세탁수가 저장되어 있으면, 하수구의 악취가 배수유로를 통해 터브 바디(41)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온도가 낮아질 경우 제1배수관(83)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수배수관(91)이 하우징(F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하우징(F1) 내부의 잔수조차 배출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F1) 내부의 잔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켜야 할 것이다.
한편, 세탁물의 세탁을 위해 공급되는 세탁수가 온수이거나 세탁물의 세탁 후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할 경우, 터브 바디(41) 내부로 공급된 수분(온수의 증기나 스팀 등)은 관통홀(438)을 통해 터브 바디(4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관통홀(438)을 통해 터브 바디(41)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은 관통홀(438)의 상부에 구비된 제1회수부(451)의 표면에서 응축된 뒤 제2회수부(453)로 낙하될 것이므로 본 발명은 터브 바디(41) 내부의 수분이 드로워(3)나 캐비닛(2)으로 누출되는 것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가이더(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가이더(7)는 도 8의 가이더(7)와 비교할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가 하나의 가이더(7)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가이더(7) 역시 지지부(7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74), 상기 바디(74)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디 가이더(76)로 구비된다.
상기 바디(74)는 베이스 회전축(743)을 통해 지지부(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741), 상기 베이스(741) 내부공간을 제1유로(71)와 제2유로(81)로 구분하는 격벽(742), 상기 베이스(741)에 결합하여 상기 제1유로(71)와 제2유로(81)를 밀폐시키는 커버(74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74)는 가이더 체결부(781, 783)를 통해 상기 바디 가이더(76)에 지지되는데, 바디(74)와 바디 가이더(76)의 위치관계, 가이더 체결부(781, 783)의 위치 및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급수유로는 바디(74)에 구비되는 제1유로(71), 제1유로(71)를 공급부(V)에 연결하는 연결관(73), 제1유로(71)를 드로워에 구비된 급수구(355)에 연결하는 급수관(77)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77)은 드로워(3)에 고정된 고정부(771)를 통해 급수구(355)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배수유로는 바디(74)에 구비되는 제2유로(81), 제2유로(81)와 배출부의 하우징(F1)을 연결하는 제1배수관(83), 제2유로(81)와 하수관(F7)을 연결하는 제2배수관(8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85)은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제1배출부(F4)를 통해 하우징(F1)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배수관(83)과 제2배수관(85)은 탄성재질(고무 등)로 구비되거나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에 구비된 바디(74)는 도 10에 도시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드로워(3)의 후방면 상부에 위치하는 바디(74)의 단면이 상기 드로워(3)의 후방면 상단 모서리를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캐비닛(2)의 부피는 최소화하면서 드로워(3)의 부피는 최대화 가능하다.
상기 제1유로(71)는 상기 드로워(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드로워 커버, 35)에 평행하고, 상기 제2유로(81)는 상기 드로워(3)의 후방에 구비되어 드로워(3)의 후방면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자중이나 외력(드로워의 진동 등)에 의해 바디(74)에 처짐이 발생하면, 상기 바디(74)의 영역 중 제1유로(71)가 구비된 영역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35)에 지지 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디(74)의 단면 형상은 가이더(7)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 삽입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바디(74)의 영역 중 제2유로(81)가 구비된 영역은 가이더(7)가 드로워(3)를 향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디(74)의 단면 형상은 외력(드로워의 진동 등)에 의해 바디(74)가 설정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L: 제2처리장치
2: 캐비닛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3: 드로워 패널 35 : 드로워 커버 353: 투입구
355: 급수구 4: 터브 41: 터브 바디
43: 터브 커버 435: 터브 투입구 438: 관통홀
45: 회수부 451: 제1회수부 453: 제2회수부
454: 회수바디 455: 바디 플랜지 456: 바디 관통홀
457: 플랜지 관통홀 47: 회수홀 49: 도어
495: 실링부 5: 드럼 7: 가이더
72: 지지부 74: 바디 741: 베이스
743: 베이스 회전축 745: 수용공간 76: 바디 가이더
78: 가이더 체결부 8: 배수가이더 82: 제1프레임
84: 제2프레임 86: 프레임 회전축 71: 제1유로
73: 연결관 77: 급수관 79: 연통관
81: 제2유로 83: 제1배수관 85: 제2배수관
9: 잔수배출부 91: 잔수배수관 93: 배수관 착탈부
F: 배출부 F1: 하우징

Claims (1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
    상기 캐비닛의 배면,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바디의 회전 시 상기 바디의 처짐을 방지하는 바디 가이더;
    상기 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며,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된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가이더는 상기 바디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바디의 타단은 상기 바디 가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가이더가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레일 또는 상기 바디 가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과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바디의 지지되는 별도의 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바디유로;
    상기 바디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바디유로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배수관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드로워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1배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바디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임펠러;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드로워에 고정된 잔수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0802A 2014-05-30 2016-08-08 의류처리장치 KR102365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891 2014-05-30
KR20140065891 2014-05-30
KR1020150069662A KR102487095B1 (ko) 2014-05-30 2015-05-19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662A Division KR102487095B1 (ko) 2014-05-30 2015-05-1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155A true KR20160098155A (ko) 2016-08-18
KR102365080B1 KR102365080B1 (ko) 2022-02-21

Family

ID=5487384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662A KR102487095B1 (ko) 2014-05-30 2015-05-19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0801A KR102365081B1 (ko) 2014-05-30 2016-08-08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0802A KR102365080B1 (ko) 2014-05-30 2016-08-08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0803A KR102365079B1 (ko) 2014-05-30 2016-08-08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01798A KR20230009997A (ko) 2014-05-30 2023-01-05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662A KR102487095B1 (ko) 2014-05-30 2015-05-19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0801A KR102365081B1 (ko) 2014-05-30 2016-08-08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03A KR102365079B1 (ko) 2014-05-30 2016-08-08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01798A KR20230009997A (ko) 2014-05-30 2023-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64621A3 (ko)
JP (1) JP6126165B2 (ko)
KR (5) KR102487095B1 (ko)
CN (4) CN106120236B (ko)
BR (1) BR102015012669B1 (ko)
RU (1) RU260431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03834B2 (en) 2016-06-08 2019-10-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761306A (zh) * 2016-08-19 2018-03-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三层洗衣机
CN107487580B (zh) * 2016-09-30 2020-06-0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一种物料存储系统
EP3575479B1 (en) * 2018-06-01 2021-04-2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0846848A (zh) * 2018-08-20 2020-02-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抽拉式洗衣机
KR20220049766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6971151A (zh) * 2022-04-21 2023-10-3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814A (ko) * 2007-04-02 200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00048343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110265524A1 (en) * 2010-04-30 2011-11-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KR20110130664A (ko) * 2010-05-28 2011-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311B1 (ja) * 1999-08-05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01157796A (ja) * 1999-12-02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3473574B2 (ja) * 2000-11-27 2003-1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3877540B2 (ja) * 2001-03-30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0413459B1 (ko) * 2001-10-15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세탁기의 유로구조
KR101306712B1 (ko) * 2006-12-08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US8561438B2 (en) * 2006-12-08 2013-10-22 Lg Electronics Inc.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28953B1 (ko) * 2007-01-10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090052458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4980430B2 (ja) * 2007-12-05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1482110B1 (ko) * 2008-05-2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742991B1 (ko)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2949801B1 (en) * 2011-05-02 2017-10-25 Whirlpool EMEA S.p.A Appliance for treating textile items and auxiliary washing device
WO2014030961A1 (en) * 2012-08-23 2014-02-27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814A (ko) * 2007-04-02 200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00048343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110265524A1 (en) * 2010-04-30 2011-11-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KR20110130664A (ko) * 2010-05-28 2011-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081B1 (ko) 2022-02-21
KR20150138016A (ko) 2015-12-09
KR102365080B1 (ko) 2022-02-21
JP2015226772A (ja) 2015-12-17
CN106120237A (zh) 2016-11-16
EP3964621A2 (en) 2022-03-09
JP6126165B2 (ja) 2017-05-10
KR102365079B1 (ko) 2022-02-21
CN105297348A (zh) 2016-02-03
KR20230009997A (ko) 2023-01-17
KR20160098156A (ko) 2016-08-18
KR20160098154A (ko) 2016-08-18
CN106120236A (zh) 2016-11-16
CN106149275A (zh) 2016-11-23
CN105297348B (zh) 2017-08-08
CN106120237B (zh) 2019-08-20
KR102487095B1 (ko) 2023-01-11
CN106149275B (zh) 2018-07-10
RU2604315C1 (ru) 2016-12-10
BR102015012669B1 (pt) 2022-04-12
EP3964621A3 (en) 2022-04-20
BR102015012669A2 (pt) 2017-08-15
CN106120236B (zh)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1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9251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9815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EP3141654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15728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