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71B1 - 저류블럭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저류블럭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571B1
KR101688571B1 KR1020140141001A KR20140141001A KR101688571B1 KR 101688571 B1 KR101688571 B1 KR 101688571B1 KR 1020140141001 A KR1020140141001 A KR 1020140141001A KR 20140141001 A KR20140141001 A KR 20140141001A KR 101688571 B1 KR101688571 B1 KR 10168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dule
wall
support portio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447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14014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저류공간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각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지지부를 이격시켜, 유체가 이동 또는 수용될 수 있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격부를 구비한 지지모듈; 및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류블럭 어셈블리{Block assembly having storage for water}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류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직육면체의 보도 블록(precast pavers)이나, 측면에 물림부가 형성된 인터로킹 블록(Interlocking block)은, 일반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점에서, 인도?공원?광장 및 주차장 등의 보도의 포장 시공의 부재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 블록이나 인터로킹 블록은, 빗물의 흡수력이 낮고 투수기능이 없어, 우천 시, 수해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보도 블록이나 인터로킹 블록은, 블록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외부충격에 약하고 쉽게 마모되어,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48567호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우천시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된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저류공간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각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지지부를 이격시켜, 유체가 이동 또는 수용될 수 있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격부를 구비한 지지모듈; 및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각 지지부는, 상하로 관통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에는 상기 저류공간과 상기 유동공간 사이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의 일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구비된 측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된 측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의 일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측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직 사각 형태로 배치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제3지지부와, 제4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지지부의 각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저류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저류공간은,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제1공간과, 상기 제2지지부에 형성된 제2공간과, 상기 제3지지부에 형성된 제3공간과, 상기 제4지지부에 형성된 제4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부는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2이격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3이격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4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4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이격부재는 각각, 상기 외부벽의 상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외부벽의 하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2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이격부재는 각각,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는 각각, 각 기둥형상이며, 내부에는 상기 저류공간이 형성된 내부벽과, 상기 내부벽 둘레에 배치되는 사각 기둥형상인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벽의 상면은 상기 외부벽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모듈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외각 돌출부와, 상기 지지판의 하면의 내부에서 양단이 상기 외각 돌출부와 연결된 내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투수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유체가 상기 유동공간으로 흘러 내리도록 안내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벽의 상면은 상기 지지판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외부벽의 상면은 상기 외각 돌출부 및 상기 내부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모듈이 상기 지지모듈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모듈의 하면에는 상기 내부벽의 상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고정홈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류블럭 어셈블리에 의하면, 강수 시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수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블럭 어셈블리는, 조립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인도, 공원, 광장 및 주차장 등의 시공 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지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지지모듈의 사시도,
도 4는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지지모듈의 사시도,
도 5는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모듈의 사시도,
도 6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측면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제1지지모듈과 제2지지모듈이 상하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지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지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지지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측면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류블럭 어셈블리(1)는 지지모듈(10)과 플레이트모듈(4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모듈(10)은 지면 또는 구조물의 바닥면 등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상기 지지모듈(10)에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모듈(10)과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서로 결합되어 인도, 공원, 광장 및 주차장 등의 시공 부재로 이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모듈(10)은, 하부가 지면과 접촉되고, 상부 일부가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고정홈(40a)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모듈(10)에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류공간(21a, 22a, 23a, 24a)과 유동공간(31a, 32a, 33a, 3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과 유동공간(31a, 32a, 33a, 34a)은 지면 또는 상수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류블럭 어셈블리(1)는 강수(降水) 시, 지면으로 흡수되기 전 또는 하수도로 흘러가기 전의 빗물 등과 같은 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수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모듈(10)은, 복수의 지지부(20)와 이격부(31, 32, 33, 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20)는 서로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유체, 예컨대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31, 32, 33, 34)는 상기 각 지지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지지부(20)를 이격시켜, 빗물이 이동 또는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20)는, 제1지지부(21), 제2지지부(22), 제3지지부(23) 및 제4지지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는 직 사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는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직 사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는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의 하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의 각 내부에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은, 제1저류공간(21a)과 제2저류공간(22a)과 제3저류공간(23a)과 제4저류공간(24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21)의 내부에는 제1저류공간(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22)의 내부에는 제2저류공간(22a)이 형성되며, 상기 제3지지부(23)의 내부에는 제3저류공간(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4지지부(24)의 내부에는 제4저류공간(24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에는 각각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과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 사이로 빗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체 이동 통로(20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에 상하로 관통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는 각각, 내부벽(201)과 외부벽(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벽(201)은, 사각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벽(201)은 사각 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벽(202)은 상기 내부벽(201) 둘레에 배치되는 사각 관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은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a)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벽(201)의 하면(201b)은 상기 외부벽(202)의 하면(202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각 지지부(20)의 일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02d) 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20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02d)는 외측으로 향할수록 폭(D)이 커지는 형상을 할 수 있고, 상기 삽입홈(202c)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테이퍼(taper)진 형상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202c)은 상기 삽입돌기(202d)의 형상과 대응되며, 복수개의 상기 지지모듈(10)이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삽입돌기(202d)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지지모듈(10)이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삽입돌기(202d)는 상기 삽입홈(202c)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상기 지지모듈(10)이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류블럭 어셈블리(1)는 측면 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모듈(70)의 일면에서는 상기 삽입돌기(202d)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70a)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모듈(70)의 일면에서는 상기 삽입홈(202c)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70b)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모듈(70)에는 상기 지지모듈(10)의 삽입돌기(202d) 및 삽입홈(202c)에 각각 대응하는 고정홈(70a)과 고정돌기(70b)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모듈(10)이 복수개 구비될 때, 상기 측면 모듈(70)은 상기 각 지지모듈(10)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31, 32, 33, 34)는, 제1이격부재(31), 제2이격부재(32), 제3이격부재(33)및 제4이격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부재(31)는 상기 제1지지부(21)와 상기 제2지지부(2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지지부(21)와 상기 제2지지부(22)를 이격시켜,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 중 일부인 제1유동공간(3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격부재(32)는 상기 제2지지부(22)와 상기 제3지지부(23)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지지부(22)와 상기 제3지지부(23)를 이격시켜,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 중 일부인 제2유동공간(32a)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3이격부(33)재는 상기 제3지지부(23)와 상기 제4지지부(24)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3지지부(23)와 상기 제3지지부(23)를 이격시켜,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 중 일부인 제3유동공간(33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4이격부재(34)는 제4지지부(24)와 상기 제1지지부(2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4지지부(24)와 상기 제1지지부(21)를 이격시켜,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 중 일부인 제4유동공간(34a)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유동공간(31a, 32a, 33a, 34a)의 빗물은 상기 유체 이동 통로(20b)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저류공간(21a, 22a, 23a, 24a)으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이격부(31, 32, 33, 34)재는 각각, 제1수평부재(301)와, 제2수평부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301)는 상기 외부벽(202)의 상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제2수평부재(302)는 상기 외부벽(202)의 하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이격부(31, 32, 33, 34)재는 각각, 상기 제1수평부재(301)와 상기 제2수평부재(302)를 연결하는 수직부재(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303)는 상기 플레이트모듈(40)로부터 상기 제1수평부재(301)로 전달된 하중을 상기 제2수평부재(30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상기 지지모듈(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하나의 상기 지지모듈(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모듈(10)이 복수개가 구비될 때,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복수의 상기 지지모듈(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모듈(10)의 상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홈(70a)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지지판(41), 외각 돌출부(42)와, 내부 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1)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41)에는 빗물이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 또는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홀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41)에 형성된 홀은, 빗물 등의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면, 크기, 개수, 형상 등에는 한정이 없다.
예컨대 상기 지지판(41)에는 상하로 관통된 슬릿(41a)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41a)을 통해 빗물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면, 빗물은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저류공간(21a, 22a, 23a, 24a)으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슬릿(41a)은 외부의 빗물을 상기 유동공간(31a, 32a, 33a, 34a)으로 안내하므로 '안내홀'이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41)은 투수성 재료로 만들어져, 상기 지지판(41)을 빗물이 관통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각 돌출부(42)는 상기 지지판(41)의 하면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외각 돌출부(42)는 제1외각 돌출부(421), 제2외각 돌출부(422), 제3외각 돌출부(423) 및 제4외각 돌출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외각 돌출부(421)와 상기 제2외각 돌출부(422)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외각 돌출부(423)와 상기 제4외각 돌출부(424)는 각각 상기 제1외각 돌출부(42)와 상기 제2외각 돌출부(42)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내부 돌출부(43)는 제1내부 돌출부(431)와, 제2내부 돌출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 돌출부(43)의 양단은 상기 제1외각 돌출부(421)의 내측과 상기 제2외각 돌출부(422)의 내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내부 돌출부(432)의 양단은 상기 제3외각 돌출부(423)의 내측과 상기 제4외각 돌출부(424)의 내측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내부 돌출부(431)와 상기 제2내부 돌출부(431)는 일 지점에서 서로 수직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41)의 하면의 외각에 배치되는 제1외각 돌출부(421), 제2외각 돌출부(422), 제3외각 돌출부(423) 및 제4외각 돌출부(424)와, 상기 지지판(41)의 하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내부 돌출부(431)와, 제2내부 돌출부(432)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홈(40a)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은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b)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벽(201)은 상기 하부고정홈(40a)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41)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b)은,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외각 돌출부(42)와 상기 내부 돌출부(43)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21, 22, 23, 24)는, 각각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이 상기 지지판(41)의 하면과 접촉되고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b)은 상기 외각 돌출부(42)와 상기 내부 돌출부(43)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모듈(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상기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저류블럭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지지모듈(11)과, 제2지지모듈(12)을 포함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모듈(10)의 결합은 상기 제1지지모듈(11)의 삽입홈(미도시)과 상기 제2지지모듈(12) 삽입돌기(202d)의 결합에 의해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모듈(11)의 상기 지지부(2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미도시)에 상기 제2지지모듈(12)의 상기 지지부(20)에 형성된 상기 삽입돌기(202d)를 삽입하여 상기 제2지지모듈(12)이 상기 제1지지모듈(12)의 우측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모듈(11)과, 상기 제2지지모듈(12)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 모듈(70)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모듈(70)에는 상기 고정홈(70a) 또는 고정돌기(7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홈(70a) 및 고정돌기(70b)가 상기 삽입돌기(202d) 및 상기 삽입홈(202c)에 삽입되어 결합으로써 상기 측면 모듈(70)은 상기 제1지지모듈(11) 및 상기 제2지지모듈(12)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모듈(70)은 상기 제1지지모듈(11) 및 상기 제2지지모듈(12)을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모듈(10)의 상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홈(70a)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지지모듈(11) 및 상기 제2지지모듈(1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모듈(11) 및 상기 제2지지모듈(12)은 각각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이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a)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벽(201)은 상기 하부고정홈(40a)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41)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b)은,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외각 돌출부(42)와 상기 내부 돌출부(43)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모듈(40)은 상기 제1지지모듈(11) 및 상기 제2지지모듈(12)의 상측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제1지지모듈과 제2지지모듈이 상하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모듈(11)과 상기 제2지지모듈(12)은 상하로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모듈(11)과 상기 제2지지모듈(12)은 각각 상기 내부벽(201)의 상면(201a)이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a)보다 높게 형성되어 조립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벽(201)의 하면(201b)은 상기 외부벽(202)의 하면(202b)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모듈(11)의 내부벽(201)의 하면(201b)은 상기 제2지지모듈(12)의 내부벽(201)의 상면(201a)과 접촉하고, 상기 제1지지모듈(11)의 외부벽(202)의 하면(202b)은 제2지지모듈(12)의 상기 외부벽(202)의 상면(202a)과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모듈(11)과 상기 제2지지모듈(12)이 상하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류블럭 어셈블리(1)의 상기 제1지지모듈(11)과 상기 제2지지모듈(12)은 각각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양하게 조립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인도, 공원, 광장 및 주차장 등의 시공 시 시공부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저류블럭 어셈블리
10:지지모듈
40:플레이트모듈
70:측면모듈

Claims (18)

  1.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안내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모듈; 및
    상기 플레이트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서로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
    각 지지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유체 수용이 가능한 저류공간;
    상기 각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홀로부터 유동된 유체가 이동 또는 수용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이격부; 및
    상기 저류공간과 상기 유동공간 사이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지지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유체 이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저류공간이 형성된 내부벽과, 상기 내부벽의 둘레에 배치된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지지모듈에 구비된 지지부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벽의 상면은 상기 외부벽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조립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벽의 하면은 상기 외부벽의 하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1차적으로 상기 유동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홀은 상기 복수의 이격부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의 일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구비된 저류블럭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된 측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의 일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된 저류블럭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측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직 사각 형태로 배치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를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부는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저류블럭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2이격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3이격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4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를 이격시키는 제4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이격부재는 각각,
    상기 외부벽의 상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외부벽의 하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2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이격부재는 각각,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모듈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외각 돌출부와,
    상기 지지판의 하면의 내부에서 양단이 상기 외각 돌출부와 연결된 내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투수성 재료로 만들어진 저류블럭 어셈블리.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벽의 상면은 상기 지지판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외부벽의 상면은 상기 외각 돌출부 및 상기 내부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모듈이 상기 지지모듈에 안착되는 저류블럭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모듈의 하면에는 상기 내부벽의 상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고정홈 형성된 저류블럭 어셈블리.
KR1020140141001A 2014-10-17 2014-10-17 저류블럭 어셈블리 KR10168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01A KR101688571B1 (ko) 2014-10-17 2014-10-17 저류블럭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01A KR101688571B1 (ko) 2014-10-17 2014-10-17 저류블럭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47A KR20160045447A (ko) 2016-04-27
KR101688571B1 true KR101688571B1 (ko) 2016-12-21

Family

ID=5591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001A KR101688571B1 (ko) 2014-10-17 2014-10-17 저류블럭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51B1 (ko) * 2017-01-18 2018-06-18 주식회사 이도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715A (ja) * 2002-10-07 2004-04-22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弾性マット
KR100435535B1 (ko) * 2003-09-24 2004-06-10 주식회사 군도건설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15B1 (ko) * 2010-12-17 2013-04-15 이호열 호안블럭 및 빗물저류조블럭으로 이용되는 다목적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715A (ja) * 2002-10-07 2004-04-22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弾性マット
KR100435535B1 (ko) * 2003-09-24 2004-06-10 주식회사 군도건설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47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567B2 (en) Water retention cell structures
US20090250369A1 (en) Water holding tank
EA011474B1 (ru) Заглубляемая ливневая система
KR101688571B1 (ko) 저류블럭 어셈블리
JPWO2013136630A1 (ja)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CN204608868U (zh) 一种蓄水模块及包含该模块的蓄水装置
JP2015224450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5759343B2 (ja) 貯水槽用壁ユニット
JP2007016555A (ja)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CN104294881A (zh) 用于搭建水池的模块组件及采用该模块组件搭建的水池
KR101019370B1 (ko) 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KR20160025058A (ko) 대심도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다층드레인 연결구조
CN103669475B (zh) 形成沙漠地下水库治理沙漠绿化系统
KR101157098B1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US20180313065A1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1937191B1 (ko) 조립식 하우스
JP4695449B2 (ja) 地下水槽充填材及び充填構造
EP2909385B1 (en) Subterranean drainage structure and base unit therefor
JP2009249874A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200466359Y1 (ko) 빗물 저류조
JP6069260B2 (ja) 貯留複合体の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貯留槽及び貯留浸透槽
JP5783916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KR200400425Y1 (ko) 수로관과 수로관 거푸집
KR101866751B1 (ko)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9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09

Effective date: 201611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