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376B1 -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376B1
KR101688376B1 KR1020167023015A KR20167023015A KR101688376B1 KR 101688376 B1 KR101688376 B1 KR 101688376B1 KR 1020167023015 A KR1020167023015 A KR 1020167023015A KR 20167023015 A KR20167023015 A KR 20167023015A KR 101688376 B1 KR101688376 B1 KR 10168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sofc
air supply
compresso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179A (ko
Inventor
유키마사 나카모토
가즈노리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02C3/30Adding water, steam or other fluids for influencing combustion, e.g. to obtain clean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1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using a compressor turbine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2Combination of fuel cell with other electric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21)와 연소기(22)와 터빈(23)을 갖는 가스 터빈(11)과, 압축기(21)로 압축한 압축 공기를 연소기(22)에 공급하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과, 공기극 및 연료극을 갖는 SOFC(13)와,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로 압축한 압축 공기를 SOFC(13)에 공급하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설치함으로써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연료 전지를 안정되게 운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발전 시스템{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연료 전지와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을 조합한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체산화물형 연료 전지(Solid Oxide Fuel Cell:이하, SOFC)는 용도가 넓고 고효율인 연료 전지로서 알려져 있다. 이 SOFC는 이온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작동 온도가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이 압축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공기극 측에 공급하는 공기(산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OFC는 이용할 수 없었던 고온의 연료를 가스 터빈의 연소기에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효율 발전을 달성할 수 있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SOFC와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을 조합한 것이 여러 종류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컴바인드 시스템은 SOFC와, 이 SOFC에서 배출된 배(排) 연료 가스와 배출 공기를 연소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와, 공기를 압축하여 SOFC에 공급하는 압축기를 갖는 가스 터빈을 설치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205930 호 공보
상술한 종래 발전 시스템에서, 정상(定常) 운전 시에 가스 터빈 압축기로 압축한 공기는 가스 터빈 연소기에 공급됨과 동시에 그 일부를 SOFC에 공급하여 산화제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압축기로 압축한 공기 압력은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변동함으로, SOFC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도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변동하게 되고, SOFC의 안정된 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가스 터빈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를 작동하고 있지만 이 발전기의 주파수가 변동한 경우, 가스 터빈은 주파수를 소정 주파수로 유지하려고 출력 제어를 행한다. 즉, 가스 터빈은 연료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출력을 조정하지만, 이때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압축 공기 압력이 변동하고, SOFC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도 변동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연료 전지를 안정된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은 압축기와 연소기를 갖는 가스 터빈과, 상기 압축기로 압축된 제 1 압축 공기를 상기 연소기에 공급하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과, 공기극 및 연료극을 갖는 연료 전지와, 제 2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에서 압축한 제 2 압축 공기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스 터빈 압축기와는 별도로 압축 공기 공급부를 설치하고, 가스 터빈 압축기로 압축한 제 1 압축 공기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에 의해 연소기에 공급되고, 압축 공기 공급부에서 압축한 제 2 압축 공기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에 의해 연료 전지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연소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해도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연료 전지의 안정된 운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상기 가스 터빈으로부터의 배(排) 가스에 의해 증기를 생성하는 배(排) 열 회수 보일러와, 상기 배 열 회수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증기 터빈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증기에 의한 구동을 하는 연료 전지용 압축기와, 상기 배 열 회수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기 연료 전지용 압축기에 공급하는 증기 공급 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 열 회수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가 증기 공급 라인에 의해 연료 전지용 압축기에 공급되면, 이 연료 전지용 압축기는 증기에 의해 구동하여 제 2 압축 공기를 생성하고, 이 제 2 압축 공기가 연료 전지에 공급된다. 연료 전지와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을 조합한 발전 시스템으로 하고, 이 시스템 계통 내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연료 전지용 압축기를 구동하여 제 2 압축 공기를 생성하고, 이 제 2 압축 공기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게 되며,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연료 전지용 압축기와 상기 연료 전지용 압축기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에 의해 연료 전지용 압축기를 구동하여 제 2 압축 공기를 생성하고, 이 압축 공기가 연료 전지에 공급된다. 구동 모터와 연료 전지용 압축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가스 터빈에 대해 독립하여 제 2 압축 공기를 연료 전지에 공급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된 연료 전지의 운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개폐 가능한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과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료 전지용 압축기를 구동하여 생성된 제 2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 라인에서 연소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스 터빈이나 연료 전지의 운전 상태에 따라 압축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 및 제 2 개폐 밸브를 개폐 제어 가능한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전지의 정지 시에 상기 제 1 개폐 밸브를 폐지(閉止)하는 한편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료 전지의 정지 시에는, 제 1 개폐 밸브를 폐지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에서 연료 전지로의 제 2 압축 공기 공급을 정지하고, 제 2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에서 가스 터빈 연소기로의 제 2 압축 공기 공급을 개시하게 되며, 가스 터빈에 따른 압축 공기량을 확보하여 가스 터빈을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압축기로 압축한 제 1 압축 공기를 연소기에 공급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압축 공기 공급부에서 압축한 제 2 압축 공기를 연료 전지에 공급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가스 터빈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연료 전지를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한 발전 시스템에 따른 압축 공기의 공급 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한 발전 시스템에 따른 압축 공기의 공급 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한 발전 시스템의 호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실시예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은 고체산화물형 연료 전지(이하, SOFC라고 칭한다)와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을 조합한 트리플 컴바인드 사이클(Triple Combined Cycle:등록상표)이다. 이 트리플 컴바인드 사이클은,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GTCC)의 상류 측에 SOFC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SOFC, 가스 터빈, 증기 터빈의 3단계로 전기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극도로 높은 발전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한 발전 시스템에 따른 압축 공기의 공급 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시스템(10)은 가스 터빈(11) 및 발전기(12)와, SOFC(13)와, 증기 터빈(14) 및 발전기(15)를 갖는다. 이 발전 시스템(10)은 가스 터빈(11)에 의한 발전과, SOFC(13)에 의한 발전과, 증기 터빈(14)에 의한 발전을 조합함으로써, 높은 발전 효율을 얻도록 구성한 것이다.
가스 터빈(11)은 압축기(21), 연소기(22), 터빈(23)을 가지고 있고, 압축기(21)와 터빈(23)은 회전축(24)에 의해 일체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21)는 공기 주입 라인(25)에서 주입한 공기(A)를 압축한다. 연소기(22)는 압축기(21)에서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을 통하여 공급된 압축 공기(제 1 압축 공기)(A1)와, 제 1 연료 가스 공급 라인(27)에서 공급된 연료 가스(L1)를 혼합하여 연소한다. 터빈(23)은 연소기(22)에서 배 가스 공급 라인(28)을 통하여 공급된 배 가스(연소 가스)(G)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터빈(23)은 압축기(21)로 압축된 압축 공기(A1)가 차량 안을 통하여 공급되고, 이 압축 공기(A1)를 냉각 공기로서 날개 등을 냉각한다. 발전기(12)는 터빈(23)과 동일 축(軸) 상에 설치되어 있고, 터빈(23)이 회전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연소기(22)에 공급하는 연료 가스(L1)로서, 예를 들어 액화 천연 가스(LNG)를 사용한다.
SOFC(13)는 환원제로서의 고온 연료 가스와 산화제로서의 고온 공기(산소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소정의 작동 온도에서 반응하여 발전을 행하는 것이다. 이 SOFC(13)는 압력용기 안에 공기극과 고체 전해질과 연료극이 수용되어 구성된다. 공기극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연료극에 연료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발전을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SOFC(13)에 공급하는 연료 가스(L2)로서, 예를 들어 액화 천연 가스(LNG)를 사용한다.
이 SOFC(13)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개재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압축 공기 공급부)(61)가 연결되어 있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가 압축된 압축 공기(제 2 압축 공기)(A2)를 공기극의 도입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은 공급하는 공기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제 1 개폐 밸브)(32)와, 압축 공기(A2)를 승압 가능한 블로워(33)가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SOFC(13)는 공기극에서 사용된 배(排) 공기(A3)를 배출하는 배 공기 라인(34)이 연결되어 있다. 이 배 공기 라인(34)은 공기극에 사용된 배 공기(A3)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 라인(35)과, 연소기(22)에 연결되는 압축 공기 순환 라인(36)으로 분기된다. 배출 라인(35)은 배출하는 공기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37)가 설치되고, 압축 공기 순환 라인(36)은 순환하는 공기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SOFC(13)는, 연료 가스(L2)를 연료극 도입부에 공급하는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은, 공급하는 연료 가스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SOFC(13)는, 연료극에서 사용된 배 연료 가스(L3)를 배출하는 배 연료 라인(43)이 연결되어 있다. 이 배 연료 라인(43)은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 라인(44)과, 연소기(22)에 연결되는 배 연료 가스 공급 라인(45)으로 분기된다. 배출 라인(44)은 배출하는 연료 가스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46)가 설치되고, 배 연료 가스 공급 라인(45)은 공급하는 연료 가스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47)와, 연료를 승압 가능한 블로워(48)가 연료 가스(L3)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SOFC(13)는, 배 연료 라인(43)과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을 연결하는 연료 가스 재순환 라인(49)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 가스 재순환 라인(49)은, 배 연료 라인(43)의 배 연료 가스(L3)를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으로 재순환하는 재순환 블로워(50)가 설치되어 있다.
증기 터빈(14)은 배 열 회수 보일러(HRSG)(51)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터빈(52)을 회전하는 것이다. 이 배 열 회수 보일러(51)는 가스 터빈(11)(터빈(23))으로부터의 배 가스 라인(53)이 연결되어 있고, 공기와 고온의 배 가스(G) 간에 열 교환을 행함으로써, 증기(S)를 생성한다. 증기 터빈(14)(터빈(52))은 배 열 회수 보일러(51) 간에 증기 공급 라인(54)과 급수 라인(5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라인(55)은 복수기(56)와 급수 펌프(57)가 설치되어 있다. 발전기(15)는 터빈(52)과 동일 축 상에 설치되어 있고, 터빈(52)이 회전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열이 회수된 배 가스는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대기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10)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계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1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압축 공기 공급부)(61)와, 이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로 압축한 압축 공기를 SOFC(13)에 공급하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설치하고 있다.
즉, 가스 터빈(11)의 압축기(21)와는 별도로 단독 구동이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를 설치하고, 압축기(21)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에 의해 연소기(22)(터빈(23))에만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 의해 SOFC(13)에만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그러면 압축기(21)로 압축된 압축 공기 전량이 연소기(22)나 터빈(23)에 보내지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로 압축된 압축 공기 전량이 SOFC(13)에 보내진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11)에서의 운전 상태 변동이 SOFC(13)에 전달되지 않고 SOFC(13)를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즉, SOFC(13)는 공기극에 압축 공기(A2)가 공급되고, 연료극에 연료 가스(L2)가 공급됨으로써 발전을 행한다. 이 경우, SOFC(13)는 공기극의 압력과 연료극의 압력을 거의 균일하게 하지 않으면 공기극과 연료극 간에서 압축 공기(A2)나 연료 가스(L2)의 유통이 생기고, 온도가 변동하고 만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1)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A1)가 SOFC(13)에는 공급되지 않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A2)만이 SOFC(13)에 공급되므로 SOFC(13)는 공기극의 압력이 변동하는 일 없이 SOFC(13)를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는 SOFC용 압축기(연료 전지용 압축기)(62)와 SOFC용 증기 터빈(연료 전지용 증기 터빈)(63)이 연결축(64)에 의해 일체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은 일단부가 SOFC용 압축기(62)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SOFC(13)에 접속되어 있으며, SOFC용 압축기(62)는 공기 주입 라인(65)에서 주입한 공기를 압축한다. 또한 SOFC용 압축기(62)는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SOFC용 증기 터빈(63)을 회전함으로써 구동하고, 공기를 압축할 수 있다. 즉, 증기 공급 라인(66)은 일단부가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증기 터빈(14)(터빈(52))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 라인(54)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SOFC용 증기 터빈(63)에 접속되어 있다. 증기 공급 라인(66)은 공급하는 증기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67)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68)는 적어도 제어 밸브(32)와 제어 밸브(67)의 개도(開度)를 조정 가능함과 동시에, 블로워(33)의 구동 및 정지를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어 장치(68)는 SOFC(13)의 정상 운전 시에 제어 밸브(32, 67)를 개방하고,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생성된 증기를 증기 공급 라인(54)에서 SOFC용 증기 터빈(63)에 공급하여 SOFC용 압축기(62)를 구동한다.
또한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과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71)이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 라인(71)에 압축 공기 유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제 2 개폐 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68)는 이 제어 밸브(72)의 개도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68)는 SOFC(13)의 정상 운전 시에 제어 밸브(72)를 폐지함으로써,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A2)는 가스 터빈(11)에는 공급되지 않고 SOFC(13)에만 공급된다. 한편, SOFC(13)의 정지 시에 제어 밸브(72)를 개방하는 한편, 제어 밸브(32)를 폐지함으로써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는 SOFC(13)에는 공급되지 않고 가스 터빈(11)에만 공급된다.
여기서,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전 시스템(10)을 기동할 경우, 가스 터빈(11), 증기 터빈(14), SOFC(13) 순으로 기동한다. 또한 제어 장치(68)는 제어 밸브(32)와 제어 밸브(67)뿐만 아니라 그 외 제어 밸브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먼저 가스 터빈(11)에서 압축기(21)가 공기(A)를 압축하고, 연소기(22)가 압축 공기(A1)와 연료 가스(L1)를 혼합하여 연소하고, 터빈(23)이 배 가스(G)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발전기(12)가 발전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증기 터빈(14)에서,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 의해 생성된 증기(S)에 의해 터빈(52)이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발전기(15)가 발전을 개시한다.
이어서 SOFC(13)에서는 제어 밸브(67)를 개방함으로써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생성된 증기를 증기 공급 라인(66)에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의 SOFC용 증기 터빈(63)에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SOFC용 증기 터빈(63)은 이 공급된 증기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고, SOFC용 압축기(62)가 동기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써 공기 주입 라인(65)에서 주입한 공기(A)를 압축한다. 그리고 이 SOFC용 압축기(62)는 압축 공기(A2)를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서 SOFC(13)에 공급하여 승압을 개시한다.
이때, 배출 라인(35)의 제어 밸브(37)와 압축 공기 순환 라인(36)의 제어 밸브(38)를 폐지하고,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의 블로워(33)를 정지한 상태에서, 제어 밸브(32)를 개방한다. 그렇게 하면,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로 압축한 압축 공기(A2)가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서 SOFC(13) 측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SOFC(13) 측은 압축 공기(A2)가 공급됨으로써 압력이 상승한다.
한편, SOFC(13)에서는 연료극 측에 연료 가스(L2)를 공급하여 승압을 개시한다. 배출 라인(44)의 제어 밸브(46)와 배 연료 가스 공급 라인(45)의 제어 밸브(47)를 폐지하고, 블로워(48)를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의 제어 밸브(42)를 개방함과 동시에, 연료 가스 재순환 라인(49)의 재순환 블로워(50)를 구동한다. 그러면, 연료 가스(L2)가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에서 SOFC(13) 측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배 연료 가스(L3)가 연료 가스 재순환 라인(49)에 의해 재순환한다. 이것에 의해, SOFC(13) 측은 연료 가스(L2)가 공급됨으로써 압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SOFC(13)의 공기극 측의 압력이 소정 압력이 되면, 제어 밸브(32)를 전개(全開)함과 동시에 블로워(33)를 구동한다. 그와 동시에 제어 밸브(37)를 개방하여 SOFC(13)로부터의 배 공기(A3)를 배출 라인(35)에서 배출한다. 그러면, 압축 공기(A2)가 블로워(33)에 의해 SOFC(13) 측으로 공급된다. 그와 동시에 제어 밸브(46)를 개방하여 SOFC(13)로부터의 배 연료(L3)를 배출 라인(44)에서 배출한다. 그리고, SOFC(13)에 따른 공기극 측의 압력과 연료극 측의 압력이 목표 압력에 도달하면 SOFC(13)의 승압이 완료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와 블로워(33)를 설치했으나,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를 제어함으로써 블로워(33)를 없애도 된다. 즉, 제어 밸브(67)의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SOFC용 증기 터빈(63)에의 증기 공급량을 조정하고, SOFC용 압축기(62)가 생성한 압축 공기(A2)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SOFC(13)에의 압축 공기(A2) 공급량을 조정하여 SOFC(13)를 승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블로워(33)를 없앰으로써 제어 밸브(32)의 개폐 제어나 블로워(33)의 기동 제어를 불필요하게 하여 저가격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SOFC(13)의 반응(발전)이 안정되고, 배 공기(A3)와 배 연료 가스(L3)의 성분이 안정되면, 제어 밸브(37)를 폐지하는 한편, 제어 밸브(38)를 개방한다. 그러면, SOFC(13)로부터의 배 공기(A3)가 압축 공기 순환 라인(36)에서 연소기(22)로 공급된다. 또한, 제어 밸브(46)를 폐지하는 한편, 제어 밸브(47)를 개방하여 블로워(48)를 구동한다. 그러면, SOFC(13)로부터의 배 연료 가스(L3)가 배 연료 가스 공급 라인(45)에서 연소기(22)로 공급된다. 이때, 제 1 연료 가스 공급 라인(27)에서 연소기(22)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L1)를 감량한다.
이때, 가스 터빈(11)의 연소기(22)와 터빈(23)은 압축기(21)로 압축한 압축 공기(A1)의 전량이 공급되고, SOFC(13)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로 압축한 압축 공기(A2)의 전량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11)에 출력 변동이 발생하고, 압축기(21)에서 압축한 공기(A1)의 압력이 변동해도 SOFC(13)에 공급되는 공기(A2)의 압력이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SOFC(13)는 공기극의 압력이 변동하는 일 없이 공기극의 압력과 연료극의 압력이 거의 균일하게 되고, 가스 터빈(11)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SOFC(13)가 안정되게 운전된다.
또한 SOFC(13)의 운전이 정지했을 때, 제어 장치(68)는 SOFC(13)의 정지 시에 제어 밸브(72)를 개방하는 한편, 제어 밸브(32)를 폐지함으로써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A2)는 SOFC(13)에는 공급되지 않고 가스 터빈(11)에 공급된다. SOFC(13)의 정상 운전 시,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A2)는 SOFC(13)에 공급되고, 사용 후 배 공기(A3)가 압축 공기 순환 라인(36)에서 가스 터빈(11)의 연소기(22)에 공급되고 있다. 그러므로, SOFC(13)의 운전 정지 시에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A2)를 SOFC(13)에 공급하지 않고 바이패스 라인(71)에서 직접 가스 터빈(11)의 연소기(22)에 공급한다. 따라서, 가스 터빈(11)은 SOFC(13)의 정상 운전 시와 운전 정지 시에서 거의 같은 양의 압축 공기(A2)가 공급되게 되고, 모든 부하 운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SOFC(13)의 운전이 정지했을 때는 가스 터빈(11)의 연소기(22)에 SOFC(13)에서 배 연료 가스가 공급되지 않음으로 제 1 연료 가스 공급 라인(27)에서의 연료 가스량을 증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압축기(21)와 연소기(22)와 터빈(23)을 갖는 가스 터빈(11)과, 압축기(21)로 압축한 압축 공기를 연소기(22)에 공급하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과, 공기극 및 연소극을 갖는 SOFC(13)와,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압축한 압축 공기를 SOFC(13)에 공급하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터빈(11)의 압축기(21)와는 별도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를 설치하고, 압축기(21)에서 압축한 공기(A1)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에 의해 연소기(22)에 공급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압축한 공기(A2)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 의해 SOFC(13)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11)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연소기(22)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해도 SOFC(13)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SOFC(13)는 공기극의 압력이 변동하는 일 없이 공기극의 압력과 연료극의 압력이 거의 균일하게 되고, 가스 터빈(11)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SOFC(13)를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가스 터빈(11)으로부터의 배 가스에 의해 증기를 생성하는 배 열 회수 보일러와,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증기 터빈(14)을 설치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로서 SOFC용 압축기(62)와,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생성된 증기를 SOFC용 증기 터빈(63)에 공급하는 증기 공급 라인(66)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 열 회수 보일러(51)에서 생성된 증기는 증기 공급 라인(66)에 의해 SOFC용 증기 터빈(63)에 공급되면, 이 SOFC용 증기 터빈(63)은 증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SOFC용 압축기(62)를 구동하여 압축 공기(A2)를 생성하고 이 압축 공기(A2)가 SOFC(13)에 공급된다. SOFC(13)와 가스 터빈(11)과 증기 터빈(14)을 조합한 발전 시스템(10)으로 하고, 이 발전 시스템(10)의 계통 내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SOFC용 압축기(62)를 구동하여 압축 공기(A2)를 생성하고, 이 압축 공기(A2)를 SOFC(13)에 공급하게 되며, 전체 시스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개폐 가능한 제어 밸브(32)와,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6)과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71)과, 바이패스 라인(71)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7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SOFC용 압축기(62)를 구동하여 생성된 압축 공기(A2)를 바이패스 라인(71)에서 연소기(22)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스 터빈(11)이나 SOFC(13)의 운전 상태에 따라 압축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 밸브(32)와 제어 밸브(72)를 개폐 제어 가능한 제어 장치(68)를 설치하고, 이 제어 장치(68)는 SOFC(13) 정지 시에 제어 밸브(32)를 폐지하는 한편 제어 밸브(72)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SOFC(13)의 제어 시에는 제어 밸브(32)를 폐지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SOFC(13)에의 압축 공기(A2)의 공급을 정지하고, 제어 밸브(72)를 개방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61)에서 가스 터빈(11)의 연소기(22)에의 압축 공기(A2)의 공급을 개시하게 되고, 가스 터빈(11)에 따른 압축 공기량을 확보하며 가스 터빈(11)을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한 발전 시스템에 따른 압축 공기의 공급 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발전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함과 동시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의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OFC(13)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개재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압축 공기 공급부)(81)가 연결되어 있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가 압축한 압축 공기(A2)를 공기극 도입부에 공급할 수 있다. 즉, 가스 터빈(11)의 압축기(21)와는 별도로 단독 구동이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를 설치하고, 압축기(21)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에 의해 연소기(22)(터빈(23))에만 압축 공기(A1)를 공급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 의해 SOFC(13)에만 압축 공기(A2)를 공급한다. 그러면 압축기(21)로 압축된 압축 공기 전량이 연소기(22)나 터빈(23)에 보내지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로 압축된 압축 공기 전량이 SOFC(13)에 보내진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11)에서의 운전 상태 변동이 SOFC(13)에 전달되지 않고 SOFC(13)를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는 SOFC용 압축기(연료 전지용 압축기)(82)와 구동 모터(83)가 연결축(84)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은 일단부가 SOFC용 압축기(82)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SOFC(13)에 접속되어 있으며, SOFC용 압축기(82)는 공기 주입 라인(85)에서 주입한 공기를 압축한다. 또한 SOFC용 압축기(82)는 구동 모터(83)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구동하고, 공기를 압축할 수 있다.
제어 장치(68)는 적어도 제어 밸브(32)와 제어 밸브(72)의 개도를 조정 가능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83)의 구동 및 정지를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어 장치(68)는 SOFC(13)의 정상 운전 시에 제어 밸브(32, 67)를 개방하고, 구동 모터(83)를 구동하여 SOFC용 압축기(82)를 구동한다.
또한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과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71)이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 라인(71)에 압축 공기 유량을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68)는 SOFC(13)의 정상 운전 시에 제어 밸브(72)를 폐지함으로써,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는 가스 터빈(11)에는 공급되지 않고 SOFC(13)에만 공급된다. 한편, SOFC(13)의 정지 시에 제어 밸브(72)를 개방하는 한편, 제어 밸브(32)를 폐지함으로써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는 SOFC(13)에는 공급되지 않고 가스 터빈(11)에만 공급된다.
상술한 발전 시스템을 기동할 경우, 가스 터빈(11), 증기 터빈(14), SOFC(13)의 순으로 기동하지만, 가스 터빈(11)의 기동보다 먼저 SOFC(13)를 기동해도 된다.
SOFC(13)를 운전할 때, 구동 모터(83)를 구동함으로써 SOFC용 압축기(82)가 회전 구동하고, 공기 주입 라인(85)에서 주입한 공기(A)를 압축한다. 그리고 이 SOFC용 압축기(82)는 압축 공기(A2)를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서 SOFC(13)에 공급한다. 한편,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의 제어 밸브(42)를 개방함으로써 연료 가스(L2)를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41)에서 SOFC(13)로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SOFC(13)에서 압축 공기(A2)와 연료 가스(L2)가 반응하여 발전이 행해진다.
이때, 가스 터빈(11)의 연소기(22)와 터빈(23)은 압축기(21)로 압축한 공기(A1)의 전량이 공급되고, SOFC(13)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로 압축한 압축 공기(A2)의 전량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11)에 출력 변동이 발생하고, 압축기(21)에서 압축한 공기(A1)의 압력이 변동해도 SOFC(13)에 공급되는 공기(A2)의 압력이 변동하지 않고, 가스 터빈(11)의 운전 상태에 상관없이 SOFC(13)가 안정되게 운전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의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압축기(21)와 연소기(22)와 터빈(23)을 갖는 가스 터빈(11)과, 압축기(21)로 압축한 압축 공기를 연소기(22)에 공급하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과, 공기극 및 연소극을 갖는 SOFC(13)와,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에서 압축한 압축 공기를 SOFC(13)에 공급하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터빈(11)의 압축기(21)와는 별도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를 설치하고, 압축기(21)에서 압축한 공기(A1)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에 의해 연소기(22)에 공급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에서 압축한 공기(A2)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31)에 의해 SOFC(13)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11)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연소기(22)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해도 SOFC(13)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가스 터빈(11)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SOFC(13)를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81)로서 SOFC용 압축기(82)와, SOFC용 압축기(82)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83)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83)에 의해 SOFC용 압축기(82)를 구동하여 압축 공기(A2)를 생성하고 이 압축 공기(A2)가 SOFC(13)에 공급된다. 구동 모터(83)와 SOFC용 압축기(82)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가스 터빈(11)에 대해 독립하여 압축 공기(A2)를 SOFC(13)에 공급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SOFC(13)의 안정 운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1 개폐 밸브 및 제 2 개폐 밸브를 유량 조정 가능한 제어 밸브(32, 72)로 했으나, 유량 조정이 불가능한 차단 밸브여도 된다.
10 : 발전 시스템
11 : 가스 터빈
12 : 발전기
13 : 고체산화물형 연료 전지(SOFC)
14 : 증기 터빈
15 : 발전기
21 : 압축기
22 : 연소기
23 : 터빈
26 :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
27 : 제 1 연료 가스 공급 라인
31 :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
32 : 제어 밸브(제 1 개폐 밸브)
33 : 블로워
34 : 배 공기 라인
36 : 압축 공기 순환 라인
41 : 제 2 연료 가스 공급 라인
42 : 제어 밸브
43 : 배 연료 라인
45 : 배 연료 가스 공급 라인
49 : 연료 가스 재순환 라인
61 : 압축 공기 공급 장치(압축 공기 공급부)
62 : SOFC용 압축기(연료 전지용 압축기)
63 : SOFC용 증기 터빈(연료 전지용 증기 터빈)
66 : 증기 공급 라인
67 : 제어 밸브
71 : 바이패스 라인
72 : 제어 밸브(제 2 개폐 밸브)

Claims (3)

  1. 압축기와 연소기를 갖는 가스 터빈과,
    상기 압축기로 압축한 제 1 압축 공기를 상기 연소기에 공급하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과,
    공기극 및 연료극을 갖는 연료 전지와,
    제 2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 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에서 압축한 제 2 압축 공기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갖고,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개폐 가능한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과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 밸브 및 제 2 개폐 밸브를 개폐 제어 가능한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전지의 정지 시에 상기 제 1 개폐 밸브를 폐지(閉止)하는 한편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연료 전지용 압축기와, 상기 연료 전지용 압축기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
KR1020167023015A 2012-10-31 2013-10-28 발전 시스템 KR101688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0726 2012-10-31
JP2012240726A JP6109529B2 (ja) 2012-10-31 2012-10-31 発電システム
PCT/JP2013/079151 WO2014069409A1 (ja) 2012-10-31 2013-10-28 発電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133A Division KR101680503B1 (ko) 2012-10-31 2013-10-28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179A KR20160103179A (ko) 2016-08-31
KR101688376B1 true KR101688376B1 (ko) 2016-12-20

Family

ID=50627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133A KR101680503B1 (ko) 2012-10-31 2013-10-28 발전 시스템
KR1020167023015A KR101688376B1 (ko) 2012-10-31 2013-10-28 발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133A KR101680503B1 (ko) 2012-10-31 2013-10-28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77629B2 (ko)
JP (1) JP6109529B2 (ko)
KR (2) KR101680503B1 (ko)
CN (2) CN104755723B (ko)
DE (1) DE112013005205B4 (ko)
WO (1) WO2014069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9529B2 (ja) * 2012-10-31 2017-04-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
DE112013005578B4 (de) * 2012-11-21 2022-05-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Energieerzeugungssystem, Antriebsverfahren für Energieerzeugungssystem
CN106575780B (zh) * 2014-07-24 2019-12-03 日产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
JP5778369B1 (ja) * 2015-05-13 2015-09-16 隆逸 小林 高密度空気の製造方法及び利用方法
US10907640B2 (en) * 2016-02-16 2021-02-02 Apgn Inc. Gas turbine blower/pump
US11008938B2 (en) 2016-02-16 2021-05-18 Apgn Inc. Gas turbine blower/pump
CN108886153B (zh) * 2016-03-22 2019-11-29 日产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以及燃料电池系统的控制方法
EP3551864A4 (en) * 2016-12-08 2020-08-19 Atlas Copco Comptec, LLC WASTE HEAT RECOVERY SYSTEM
US10724432B2 (en) * 2017-11-07 2020-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fuel cell and engine combustor assembly
AT521209B1 (de) * 2018-05-03 2020-11-15 Avl List Gmbh Brennstoffzellensystem, stationäres Kraftwerk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CN109361000B (zh) * 2018-09-04 2020-11-06 新地能源工程技术有限公司 整体煤气化固体氧化物燃料电池-蒸汽轮机联合发电系统及工艺
EP3881380B1 (en) 2018-11-14 2023-06-07 Precision Combustion, Inc. Integrated power gener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872A (ja) 2001-07-19 2003-0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発電システム
JP2011229961A (ja) 2011-07-13 2011-11-17 Sammy Corp 弾球遊技機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55Y2 (ko) * 1979-09-18 1989-04-11
JPH0789494B2 (ja) 1986-05-23 1995-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合発電プラント
JPH0286926A (ja) * 1988-09-26 1990-03-27 Hitachi Ltd Lngから発生するbogの有効な処理方法、及び、lngを燃料とする複合発電プラント
JPH02172159A (ja) * 1988-12-24 1990-07-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発電方法及び装置
JPH0491324A (ja) * 1990-08-06 1992-03-24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二酸化炭素回収型火力発電システム
JPH1012255A (ja) * 1996-06-17 1998-01-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複合発電プラント
US5968680A (en) * 1997-09-10 1999-10-19 Alliedsignal, Inc. Hybrid electrical power system
JP3072630B2 (ja) * 1997-12-15 2000-07-31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技術研究組合 燃料電池複合発電装置
JP2000123846A (ja) * 1998-10-19 2000-04-28 Aisin Seiki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US6655325B1 (en) * 1999-02-01 2003-12-02 Delphi Technologies, In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exhaust side solid oxide fuel cell
US6230494B1 (en) * 1999-02-01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JP2001052727A (ja) * 1999-08-04 2001-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4508338B2 (ja) * 2000-02-17 2010-07-21 電源開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
US20020100836A1 (en) * 2001-01-31 2002-08-01 Hunt Robert Daniel Hydrogen and oxygen battery, or hudrogen and oxygen to fire a combustion engine and/or for commerce.
US6499303B1 (en) * 2001-04-18 2002-12-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gas turbine power augmentation
JP2003045444A (ja) * 2001-07-31 2003-02-14 Japan Climate Systems Corp 燃料電池の排気活用装置
US6641084B1 (en) * 2002-06-21 2003-11-04 The Boeing Company Solid oxide fuel cell as auxiliary power source installation in transport aircraft
US7410713B2 (en) * 2002-12-23 2008-08-12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fuel cell hybrid power plant with re-circulated air and fuel flow
US7153599B2 (en) * 2002-12-23 2006-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oled turbine integrated fuel cell hybrid power plant
JP4579560B2 (ja) * 2003-06-30 2010-11-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常圧タービン・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US7604883B2 (en) * 2003-07-17 2009-10-20 Chrysler Group Llc Thermal integration of pressurized fuel cell systems with an expander and a heat exchanger coupled to the fuel cell for receiving waste heat from the housing of the fuel cell
US7150143B2 (en) * 2003-07-21 2006-12-19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fuel cell-pulse detonation power system
US7344787B2 (en) * 2003-10-29 2008-03-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wo-stage compression for air supply of a fuel cell system
JP2006114373A (ja) * 2004-10-15 2006-04-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単室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5143427B2 (ja) * 2004-10-19 2013-02-13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複合発電設備
US7184875B2 (en) * 2004-12-14 2007-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temperature protection of hybrid fuel cell system combustor and other components VIA water or water vapor injection
DE102008006953B4 (de) * 2008-01-31 2010-09-02 Airbus Deutschland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Reduktion von Schadstoffen in Triebwerksabgasen
JP5185657B2 (ja) * 2008-02-27 2013-04-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ドシステム
JP2009283178A (ja) * 2008-05-20 2009-12-03 Sanden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146934A (ja) 2008-12-22 2010-07-01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GB2469043B (en) 2009-03-30 2011-02-23 Lotus Car A reheated gas turbine system having a fuel cell
US9083020B2 (en) * 2009-09-04 2015-07-14 Lg Fuel Cell Systems Inc. Reducing gas generators and methods for generating reducing gas
CN102456898B (zh) 2010-10-20 2017-06-30 上海新奥能源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燃气轮机热电联产系统
JP6109529B2 (ja) * 2012-10-31 2017-04-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
DE112013005226T5 (de) * 2012-10-31 2015-08-06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Stromerzeu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Aktivieren von Brennstoffzellen in Stromerzeugungssystemen
JP6071430B2 (ja) * 2012-10-31 2017-02-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DE112013005220B4 (de) * 2012-10-31 2023-02-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tromerzeu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Starten und Betreiben einer Brennstoffzelle in einem Stromerzeugungssystem
JP5896885B2 (ja) * 2012-11-13 2016-03-3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DE112013005578B4 (de) * 2012-11-21 2022-05-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Energieerzeugungssystem, Antriebsverfahren für Energieerzeugungssystem
JP6004915B2 (ja) * 2012-11-22 2016-10-1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769695B2 (ja) * 2012-12-25 2015-08-26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停止方法
JP6125224B2 (ja) * 2012-12-25 2017-05-1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6100012B2 (ja) * 2013-02-06 2017-03-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6053560B2 (ja) * 2013-02-20 2016-12-2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US10622653B2 (en) * 2013-03-14 2020-04-1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High power density solid oxide fuel cell steam reforming system and process for electrical generation
CN105264701B (zh) * 2013-03-15 2018-02-06 埃克森美孚研究工程公司 使用燃料电池的综合发电和碳捕集
US9885283B2 (en) * 2014-06-05 2018-02-06 Rolls-Royce Corporation Gas turbine engine driven by supercritical power generation system
CN105576268B (zh) * 2014-10-08 2019-02-15 通用电气公司 用于控制流量比的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872A (ja) 2001-07-19 2003-0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発電システム
JP2011229961A (ja) 2011-07-13 2011-11-17 Sammy Corp 弾球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5386A1 (en) 2015-12-03
CN106089342B (zh) 2017-10-13
CN104755723A (zh) 2015-07-01
JP6109529B2 (ja) 2017-04-05
JP2014088861A (ja) 2014-05-15
DE112013005205T5 (de) 2015-09-10
KR20150063504A (ko) 2015-06-09
CN106089342A (zh) 2016-11-09
KR20160103179A (ko) 2016-08-31
DE112013005205B4 (de) 2021-09-16
CN104755723B (zh) 2016-06-15
US10533495B2 (en) 2020-01-14
US9777629B2 (en) 2017-10-03
WO2014069409A1 (ja) 2014-05-08
US20170260902A1 (en) 2017-09-14
KR101680503B1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376B1 (ko) 발전 시스템
KR101766555B1 (ko)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의 기동 방법
JP5185657B2 (ja) コンバインドシステム
JP5185659B2 (ja) コンバインドシステム
JP6228752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起動方法
KR101766558B1 (ko)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의 기동 방법 및 운전 방법
KR101701654B1 (ko)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의 운전 방법
KR20150058459A (ko)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의 운전 방법
JP6071428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燃料電池の起動方法
WO2014112210A1 (ja) 発電システム
WO2014073547A1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燃料電池排気の冷却方法
JP6049421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730223B2 (ja) コンバインド発電システム
JP6276880B2 (ja) 発電システム
JP6087591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燃料電池の起動方法
JP2014160631A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6087585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燃料電池の起動方法
JP6057670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燃料電池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