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24B1 -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24B1
KR101686824B1 KR1020150026717A KR20150026717A KR101686824B1 KR 101686824 B1 KR101686824 B1 KR 101686824B1 KR 1020150026717 A KR1020150026717 A KR 1020150026717A KR 20150026717 A KR20150026717 A KR 20150026717A KR 101686824 B1 KR101686824 B1 KR 101686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dy
bracket
support portion
sho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180A (ko
Inventor
강남규
Original Assignee
강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규 filed Critical 강남규
Priority to KR102015002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8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양구조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체가 받는 충격을 분산 및 완화시키는 리브를 가진 복수 개의 브라켓을 사용하며 부력체간의 결합을 이루어 결합상태를 보강하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 우려를 줄여주며, 부력체간 결합구조를 확보하여 외력에 의한 비틀림이나 휨 정도를 줄여주어 높은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하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Marine floating structure using braket relieving shock }
본 발명은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양구조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체가 받는 충격을 분산 및 완화시키는 리브를 가진 복수 개의 브라켓을 사용하며 부력체간의 결합을 이루어 결합상태를 보강하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방파제, 수상건축물, 해상레저시설, 선박계류시설, 부잔교, 수상가옥, 마리나 등 다양한 부유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부유구조물은 하부에 물에 뜨는 부력체가 설치되어 물 위로 부상하는데, 부력체를 고정하며 부유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부력체는 내흡수성, 내충격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의 파이프형태가 주로 사용되는데, 부력체의 고정수단으로 사용되는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은 부력체의 특성과 부유구조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부유구조물은 부력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로서, 부유구조물의 하중이나 요구되는 부력의 크기에 따라 안정성이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좀 더 효율적인 결합구조들이 고안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1450732호에 게시된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는 안정감 있으면서도 시공이 편하고 제조비용이 높지 않은 부잔교를 부양 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는 바람, 파도 등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해 브라켓이 측면을 보호해주는 충격보호대는 있지만 부양파이프가 장착된 하부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시켜 주는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387호에 게시된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은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한 고밀도 부표 교체로 해결되는 스티로폼이 내장된 고밀도 부표를 해상구조물 부유기구로 이용한다.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은 부유기구를 만들기 위한 다수의 형상 금형비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 원가절감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은 블록이 부표를 상부만 감싸주어 하부가 쉽게 부분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부표나 블록이 받는 충격이 해상구조물에 그대로 전달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1099448호에 게시된 부양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부잔교구조물은 조립식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파도나 풍랑 그 밖의 외부에 의한 충격이 부양파이프나 장착판에 그대로 전달되어 안전성이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해상부유구조물들은 상부에서 브라켓이나 블록들의 측면결합으로만 조립되어있어 하부에 장착 또는 설치되는 부력체나 부양파이프에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부분 파손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1450732호 :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1099448호 : 부양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부잔교구조물 대한민국특허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387호 :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부유구조물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충격완화부를 확보하고, 부력체간의 결합구조를 가져 결합상태가 보강된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수단을 확보하여 요구되는 부력에 따라 부력체를 조절할 수 있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관상의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삽입하는 부력체지지부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상면 위로 외부틀을 이루며 내부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측면에 결합부를 구비하는 외부지지부와, 상기 외부지지부의 상부 측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상판지지부와, 상기 외부지지부의 하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외주면에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같은 곡률을 가지는 호형상의 제1,2지지리브와, 상기 외부지지부 내에 상기 상판지지부와 상기 부력체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파도나 외부로부터 받는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부력체지지부보다 적은 곡률을 가지는 제1충격완화리브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상기 제1충격완화리브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같거나 적은 곡률을 가지는 제2충격완화리브와, 상기 제1충격완화리브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충격완화리브와 상기 외부지지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충격완화리브의 양단부는 상기 외부지지부 하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2지지리브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기 상판지지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을 구비하는 상판유닛과,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상기 결합부를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측면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구부에 관통되어 장착되는 관형상의 완충파이프를 가지는 측면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체의 단부 내주면에 장착되는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 상단의 중심에서 원기둥형태로 돌출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보강막대결합부를 구비하는 캡과, 상기 보강막대결합부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이 더 연장 개구된 관통구멍이 있는 유동부를 구비하는 소정길이 연장된 제1결합보강막대와, 상기 제1결합보강막대의 상기 유동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일측 단부가 돌출된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유동부의 관통구멍 내에서 수평방향으로만 진퇴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보강막대결합부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제2관통부가 형성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제2결합보강막대와, 상기 보강막대결합부의 나사선에 결합되는 제1너트와, 상기 유동부에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에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를 가지는 결합보강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과 측면결합한 상기 브라켓의 상기 부력체지지부들 사이에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는 추가부력체장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부력체장착수단은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호 상기 부력체지지부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 만큼 수평으로 연장되고 양단부에는 수직관통부를 가지는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의 상면에는 추가부력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개방된 반원형리브를 구비하는 보조지지부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상기 보조지지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한 보조지지부체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부력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장착되는 부력체연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연결부재는 상기 보강막대결합부에 결합되고 상호 힌지결합 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구를 가지는 힌지결합부재와, 상기 힌지결합부재들의 관통구가 일치되고,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볼트체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체지지부는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관통된 상기 부력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유동없이 장착할 수 있는 탄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체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부력체가 관통되는 방향의 전후방으로 연장현성되어 상기 부력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면이 넓게 형성된 자세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여 파손 우려를 줄여주며, 부력체간 결합구조를 확보하여 외력에 의한 비틀림이나 휨 정도를 줄여주어 높은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하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결합보강부재가 분리된 해상부유구조물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결합보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들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브라켓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결합보강부재가 분리된 해상부유구조물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결합보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1)은 관상의 부력체(10)와, 부력체(10)가 삽입되고 측면에 결합부(33)를 구비하는 브라켓(20)과, 브라켓(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유닛(50)과, 브라켓(20)과 측면결합하는 브라켓을 결합부(33)를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측면결합부재(60)와, 결합부(33)에 장착되어 측면부를 완충하는 측면완충부재(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10)는 물에 뜨는 소재를 사용하여 관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구조물(1)이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주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0)을 구분하면, 부력체지지부(21), 외부지지부(30), 상판지지부(23), 제1,2지지리브(26, 27), 충격완화부(40)로 이루어진다.
부력체지지부(21)는 브라켓(20)의 하부에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개구로 삽입된 부력체(10)를 지지하는 부분이고, 부력체(10)의 외주면의 소정면적을 이격없이 감싼다.
외부지지부(30)는 부력체지지부(21)의 상면 위에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더 연장된 면을 가진 직사각형태인 외부 틀을 이루며 내부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측면에 결합부(33)가 형성된 부분이다.
외부지지부(30)는 상면부(35), 제1측면부(31), 제2측면부(32), 하면부(37)로 구분할 수 있다.
상면부(35)는 외부지지부(30)에서 가로방향으로 더 연장된 상면을 이루는 부분이며, 후술되는 상판지지부(23)가 형성되는 곳이다.
제1측면부(31)는 외부지지부(30)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을 이루며, 가로방향으로 관통구가 있고 외측으로 돌기된 돌출부(34)를 구비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34)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다.
제2측면부(32)는 외부지지부(30)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을 이루며, 가로방향으로 외측은 인입된 홈이 형성되고 인입된 홈에 대향 되는 내측은 돌기가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관통구가 있는 인입부(36)가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부(36)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제1측면부(31)에 형성된 돌출부(34)와, 제2측면부(32)에 형성된 인입부(36)는 같은 수평선상에 형성되며, 돌출부(34)와 인입부(36)에 형성된 관통구는 같은 중심축을 갖는다.
제1측면부(31)와 제2측면부(32)가 구비하는 돌출부(34)와 인입부(36)가 결합부(33)를 이룬다.
하면부(37)는 외부지지부(30)에서 가로방향으로 더 연장된 하면을 이루는 부분이며, 부력체지지부(2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외부지지부(30)는 상면부(35) 내측에서 일정간격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직리브(38)와, 제1,2측면(31, 32)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리브(39)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수직리브(38)와 수평리브(39)는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나누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부(40)는 외부지지부(30) 내에 후술되는 상판지지부(23)와 부력체지지부(21) 사이에 형성되어, 파도나 외부로부터 받는 부력체지지부(21)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충격완화부(40)는 부력체지지부(21)보다 적은 곡률을 가지는 제1충격완화리브(41)와, 부력체지지부(21)와 제1충격완화리브(41) 사이에 형성되고 부력체지지부(21)와 같거나 적은 곡률을 가지는 제2충격완화리브(43)와, 제1충격완화리브(4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충격완화리브(43)와 외부지지부(30)의 하면부(37)를 연결하는 연결리브(4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충격완화리브(41)는 부력체지지부(21) 보다 적은 곡률을 가지는 호형 상의 리브로서, 부력체지지부(21)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고 양단부는 외부지지부(30) 하면 내측에 연결된다.
제1충격완화리브(41)의 외주면은 외부지지부(30)의 상면부(35) 내측에서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리브(38)와 연결되고, 제1,2측면부(31, 32)의 내측에서 연장된 수평리브(39)와 연결된다.
제1충격완화리브(43)의 양단부는 외부지지부(30)의 하면부(37)를 사이에 두고 후술되는 제1,2지지리브(26, 27)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연결리브(44)는 제1충격완화리브(41) 내주면에서 하방으로 외부지지부(30)의 하면부(37)까지 직선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연결리브(44)는 제1연결리브(45), 제2연결리브(47), 제3연결리브(48), 제4연결리브(49)로 이루어진다.
제1, 2연결리브(45, 47)는 하단부가 외부지지부(30)의 하면부 내측과 연결되며, 일측면이 후술되는 제2충격완화리브(43)의 양단부와 연결된다.
제3연결리브(48)는 제1,2연결리브(45, 47) 사이의 중심에 형성되며 외부지지부(30)의 상부의 중심에 형성된 수직리브(38)와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부분으로서, 제1충격완화리브(41)와 후술되는 제2충격완화리브(43)사이에 형성된다.
제4연결리브(49)는 제1,2연결리브(45, 47) 사이의 중심에 형성되며 제3연결리브(48)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후술되는 제2충격완화리브(43)와 외부지지부(30)의 하면부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2충격완화리브(43)는 부력체지지부(21)와 같은 곡률을 가지는 호형 상의 리브로서, 부력체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고 양단부는 제1,2연결리브(45, 47)의 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제2충격완화리브(43)의 외주면은 제3연결리브(48)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내주면은 제4연결리브(49)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제1,2충격완화리브(45, 47)는 부력체지지부(21)와 같거나 적은 곡률을 형성한 호형상으로서, 상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분산하면서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부력체(10)가 하부에서 받는 충격은 부력체지지부(21)와 같은 곡률을 갖는 제2충격완화리브(43)를 통해 충격이 1차 분산되어 완화되고, 제1충격완하리브(41)를 통해 충격이 2차 분산되어 완화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충격완화부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 우려를 줄여주어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판지지부(23)는 외부지지부(30)의 상부 측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부분이다.
상판지지부(23)는 외부지지부(30)의 상면부(35)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판결합돌기(24)와, 상판결합돌기(24)들 사이로 후술되는 상판유닛(50)이 안착되는 공간부(25)가 형성된다.
제1,2지지리브(26, 27)는 외부지지부(30)의 저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부력체지지부(21)의 외주면에 타측이 연결되며 부력체지지부(21)와 같은 곡률을 가지는 호형상 리브이다.
제1지지리브(26)와 제2지지리브(27)는 부력체지지부(2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을 이룬다.
제1지지리브(26)는 상부에 제1충격완화리브(41)의 일측인 좌측 단부에 대향되는 외부지지부(30)의 저면의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26a)와, 제1수직부(26a) 단부에서 연장되고 부력체지지부(21)의 일부와 대칭을 이루고 같은 곡률을 가지는 제1호형부(26b)와, 제1호형부(26b)의 단부에서 부력체지지부(21)의 외주면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26c)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리브(27)는 상부에 제1충격완화리브(41)의 타측인 우측 단부에 대향되는 외부지지부(30)의 저면의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직부(27a)와, 제2수직부(27a) 단부에서 연장되고 부력체지지부(21)의 일부와 대칭을 이루고 같은 곡률을 가지는 제2호형부(27b)와, 제2호형부(27b)의 단부에서 부력체지지부(21)의 외주면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부(27c)로 이루어진다.
제1,2지지리브(26, 27)는 외부지지부(3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측면에서 결합하는 브라켓(20)의 제1,2지지리브(26, 27)와 함께 추가부력체를 수용할 수 있는 추가부력체수용부(55)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2지지리브(26, 27)는 일 예로서 제1,2지지리브의 수직부, 호형부, 수평부가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추가부력체수용부(55)의 수용공간이 달라질 수 있다.
추가부력체수용부(55)에 형성되는 공간에 따라 수용되는 추가부력체의 형상이나 크기가 대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추가부력체수용부(55)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하기는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서 다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 브라켓은 제1,2지지리브(26, 27)가 하면부(37)와 부력체지지부(21)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일측이 외부지지부(30)의 하면부(37)와 연결되고 타측이 부력체지지부(21)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제1,2보조지지리브(28, 29)를 더 구비한다.
제1보조지지리브(28)와 제2보조지지리브(29)는 부력체지지부(2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을 이루며, 본 발명에 따른 외주지지부(30)의 하중을 보조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판유닛(50)은 브라켓(20)의 상판지지부(23)에 설치되는 부분이고, 부력체(10) 길이방향으로 결합 되고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태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형태의 상판(51)들로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상판유닛(50)의 하나를 이루는 상판(51)은 상판지지부(23)의 세 개의 상판결합돌기(24a, 24b, 24c) 사이에 형성된 두 구획의 공간부(25a, 25b)에 설치되며, 가운데 위치한 상판결합돌기(24b)는 상판(51) 내로 삽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판유닛(50)은 상판지지부(23)에 장착되어 브라켓(20)과 함께 볼트결합과 같은 결합수단이 적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결합부재(60)는 제1,2측면부(31, 32)에 형성된 결합부(33)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측면결합볼트(61)와 측면결합너트(63)로 구분된다.
제1측면부(31)에 형성된 돌출부(34)가 측면결합하는 브라켓의 제2측면부(32)에 형성된 인입부(36)에 수용되면, 돌출부(34)와 인입부(36)에 일치 형성된 관통구에 측면결합볼트(61)와 측면결합너트(63)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측면완충부재(70)는 제1,2측면부(31, 32)에 형성된 결합부(33)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홀더(71)와, 홀더(71)의 개구부(73)에 관통되어 장착되는 관 형상의 완충파이프(75)로 이루어진다.
홀더(71)는 완충파이프(75)가 부력체(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는 개구부(73)를 가지며, 외주지지부(30)의 제1,2측면부(31, 32)에 형성된 돌출부(24)나 인입부(25)에 볼트 결합되기 위해 개구부 내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파이프(75)는 내부가 빈 원형파이프형태로서, 빈공간으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예를 들고 있다.
이외에도 완충파이프(75)는 다각형태의 파이프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우레탄과 같은 탄성을 고려한 소재가 빈공간에 충진되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측면완충부재(70)는 별도의 홀더 없이 완충파이프 외주면에 결합부(33)와 결합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측면완충부재(70)는 측면에서 오는 파도나 바람 또는 기타 부유물체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부력체(10)와 브라켓 간의 측면결합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측면에 배열되는 부력체가 별도로 결합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구조물의 결합상태가 보강되는 결합보강부재(80)를 더 구비한다.
결합보강부재(80)를 구분하면, 캡(81), 제1결합보강막대(83), 제2결합보강막대(85), 제1너트(87), 제2너트(89)로 이루어진다.
캡(81)은 부력체(10)의 단부 내주면에 장착되는 캡바디(81a)와, 캡바디(81a)의 상단 중심에서 원기둥형태로 돌출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보강막대결합부(81b)를 구비한다.
캡바디(81a)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부에 완만한 경사부(82)를 가지며, 부력체(10) 내주면에 이격없이 장착되도록 부력체 내경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갖는다.
보강막대결합부(81b)는 캡바디(81a)의 상단인 완만한 경사부(82) 중심에서 캡바디(81a)가 부력체(1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융기된 원기둥이 있는 부분으로서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1결합보강막대(83)는 부력체(10) 중심부터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0)과 브라켓이 측면결합되는 위치 선상 정도의 길이를 갖으며, 양단부가 호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결합보강막대(83)를 구분해보면 제1관통부(83a), 제1연장부(83b), 유동부(83c)로 이루어진다.
제1관통부(83a)는 보강막대결합부(81b)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결합보강막대(83)의 일측 단부에 부력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부분이다.
유동부(83c)는 제1결합보강막대(83)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이 더 연장 개구된 관통구멍이 형성된 부분이다.
제 1결합보강막대(83)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연장부(83b)를 중심에 두고 양단부에 제1관통부(83a)와 유동부(83c)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1연장부(83b)는 제1관통부(83a)와 유동부(83c)가 형성되는 양단부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제1연장부(83b)는 제1관통부(83a)와 유동부(83c)가 연결되는 부분에 계단층이 형성된다.
계단층을 이루는 제1관통부(83a)와 유동부(83c)가 제1연장부(83b)와 만나는 융기부(84)는 오목형태로 인입되어 후술되는 제2결합보강막대(85)의 삽입부(85c)와 제2관통부(85a)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2결합보강막대(85)는 브라켓(20)과 브라켓이 측면결합되는 측면결합부 선상에서 부력체 중심까지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부가 호형상이다.
제2결합보강막대(85)를 구분해보면 제2관통부(85a), 제2연장부(85b), 삽입부(85c)로 이루어진다.
삽입부(85c)는 제1결합보강막대(83)의 유동부(83c)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도록 제2결합보강막대(85)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부분이다.
삽입부(85c)는 유동부(83c) 내에서 수평방향으로만 진퇴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된다.
삽입부(85c)의 중심에는 후술되는 제2너트(89)와 결합할 수 있는 외주면에 나사선을 가진 원기둥형태의 제2너트결합부(86)가 구비된다.
제2관통부(85a)는 보강막대결합부(81b)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제2결합보강막대(85)의 타측 단부에 부력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구명이 형성된 부분이다.
제 2결합보강막대(85)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2연장부(85b)를 중심에 두고 양단부에 제2관통부(85a)와 삽입부(85c)가 형성되는데, 제2연장부(85b)는 제2관통부(85a)와 삽입부(85c)가 형성되는 양단부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제2연장부(85b)는 제2관통부(85a)와 삽입부(85c)가 연결되는 부분에 계단층이 형성된다.
계단층을 이루는 제2관통부(85a)와 삽입부(85c)가 제2연장부(85b)와 만나는 융기부(88)는 오목형태로 인입되어 제1결합보강막대(83)의 유동부(83c)와 제1관통부(83a)가 안착된다.
제2너트(89)는 제2결합보강막대(85)의 삽입부(85c)에 형성된 제2너트결합부(86)에 나사 결합 되는 부분이다.
제1너트(87)는 캡(81)의 보강막대결합부(81b)의 나사선이 형성된 외주면에 나사결합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결합보강부재는 먼저 캡(81)의 캡바디(81a)가 부력체 내주면에 삽입된다.
그리고 캡 상단에 형성된 보강막대결합부(81b)에 제2결합보강막대(85)의 제2관통부(85a)와 제1결합보강막대(83)의 제1관통부(83a)가 순차적으로 관통되고, 보강막대결합부(81b)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제1너트(87)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제2결합보강막대(85)의 삽입부(85c)가 제1결합보강막대(83)의 유동부(83c)에 삽입 결합 된 상태에서 유동부(83c) 밖으로 돌출되는 제2너트결합부(86)에 제2너트(89)가 결합된다.
유동부(83c)에서 삽입부(85c)가 진퇴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은 부력체가 받는 충격이나 어떠한 외력에 의해 제1,2결합보강막대(83,85)가 상호 움직이면서 손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결합보강부재(80)는 부력체간 결합구조를 확보하여 외력에 의한 비틀림이나 휨 정도를 줄여주어 높은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브라켓(120)과 측면결합한 브라켓(120)의 부력체지지부(121)들 사이에 추가부력체(111)를 장착할 수 있는 추가부력체장착수단(190)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지지부(121)의 저면에는 수직상방으로 인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제2지지리브(127)와 측면결합되는 브라켓의 제1지지리브(126)가 추가부력체수용부(155)를 형성하는데, 제1지지리브(126)와 제2지지리브(127)는 부력체지지부(121)와 같은 곡률을 가져 부력체지지부(121)에 삽입되는 같은 직경의 부력체(110)가 수용된다.
추가부력체장착수단(190)은 추가부력체수용부에 수용되는 추가부력체(111)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부력체장착수단(190)을 구분해보면 보조지지부(191)와 보조지지부체결부재(195)로 이루어진다.
보조지지부(191)는 부력체지지부(121)들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으로 연장된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192)와 추가부력체를 지지하는 반원형리브(194)로 이루어진다.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192)는 양단부가 부력체지지부(121)의 저면에 결합되고, 부력체지지부(121)들의 저면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 만큼 수평으로 연장되고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수직관통부(193)를 가진다.
반원형리브(194)는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192)의 상면에 추가부력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개방된 반원형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보조지지부체결부재(195)는 부력체지지부(121)와 보조지지부(191)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가(195) 사용된다.
부력체지지부(121)의 저면에 형성된 홈과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192)의 양단부에 형성된 수직관통부(193)를 일치시키고 볼트(195)가 나사결합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하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부력체(310)와 부력체(3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부력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장착되는 부력체연결부재(352)를 더 구비한다.
부력체연결부재(352)는 해상부유구조물과 해상부유구조물을 부력체가 브라켓에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조립하여 길이방향이 길게 확장되는 해상부유구조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부력체연결부재(352)는 제1힌지(354)와 제2힌지(355)로 이루어지는 힌지결합부재(353), 힌지결합부재(353)를 체결하는 볼트체결부재(356)로 이루어진다.
제1힌지(354)의 하부는 캡(381)의 상단에 형성된 보강막대결합부(381b)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힌지결합 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한 개의 편이 형성된다.
제2힌지(355)의 하부는 보강막대결합부(381b)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제1힌지(354)와 힌지결합 할 수 있도록 같은 중심축을 가지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호 수평을 이루며 소정간격을 이루는 두 개의 편이 형성된다.
볼트체결부재(356)는 제1힌지(354)와 제2힌지(355)가 힌지결합하고 일치되는 관통구에 결합되는 볼트(357)와 너트(358)로 이루어진다.
제1힌지(354)는 부력체(310)의 단부에 장착된 캡에 장착되고, 제2힌지(355)는 부력체(310)의 단부에 마주보는 길이방향 배열된 부력체(310a)의 단부에 장착된 캡에 장착된다..
제1힌지(354)와 제2힌지(355)가 볼트체결부재(356)에 의해 결합되면서 부력체(310)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부력체(310a)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연결부재(352)는 해상부유구조물의 결합상태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해상부유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과 기본 구성은 같으나, 부력체지지부(421)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관통된 부력체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유동없이 장착할 수 있는 탄성부(4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지지부(421)의 내측 하부에 돌출된 탄성부(422)가 있다.
부력체지지부(421)의 하면과 돌출된 탄성부(422) 사이에는 부력체가 삽입되었을 때 탄성부(422)가 일부 함몰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삼각형상의 홀(4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422)는 부력체를 부력체지지부(421) 내측면에 유동없이 지지 되도록 측면을 가압하여 부력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과 기본 구성은 같으나, 부력체지지부(521)의 상부에 형성된 부력체(510)가 관통되는 방향의 전,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부력체(5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면이 넓게 형성되는 자세지지부(5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지지부(522)는 부력체(510)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로 장착되며 유지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여 파손 우려를 줄여주며, 부력체간 결합구조를 확보하여 외력에 의한 비틀림이나 휨 정도를 줄여주어 높은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하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의 부력체지지부는 부력체를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부력체를 기울이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10 : 부력체 20 : 브라켓
21 : 부력체지지부 23 : 상판지지부
24 : 상판결합돌기 25 : 공간부
26 : 제1지지리브 27 : 제2지지리브
28 : 제1보조지지리브 29 : 제2보조지지리브
30 : 외부지지부 31 : 제1측면부
32 : 제2측면부 33 : 결합부
34 : 돌출부 35 : 상면부
36 : 인입부 37 : 하면부
38 : 수직리브 39 : 수평리브
40 : 충격완화부 44 : 연결리브
50 : 상판유닛 51 : 상판
60 : 측면결합부재 70 : 측면완충부재
71 : 홀더 75 : 완충파이프
80 : 결합보강부재 81 : 캡
83 : 제1결합보강막대 85 : 제2결합보강막대
86 : 제2너트결합부
87 : 제1너트 89 : 제2너트

Claims (6)

  1. 관상의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삽입하는 부력체지지부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상면 위로 외부틀을 이루며 내부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측면에 결합부를 구비하는 외부지지부와, 상기 외부지지부의 상부 측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상판지지부와, 상기 외부지지부의 하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외주면에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같은 곡률을 가지는 호형상의 제1,2지지리브와, 상기 외부지지부 내에 상기 상판지지부와 상기 부력체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파도나 외부로부터 받는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기 상판지지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을 구비하는 상판유닛과;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상기 결합부를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측면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구부에 관통되어 장착되는 관형상의 완충파이프를 가지는 측면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부력체지지부보다 적은 곡률을 가지는 제1충격완화리브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상기 제1충격완화리브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같거나 적은 곡률을 가지는 제2충격완화리브와, 상기 제1충격완화리브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충격완화리브와 상기 외부지지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충격완화리브의 양단부는 상기 외부지지부 하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2지지리브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의 단부 내주면에 장착되는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 상단의 중심에서 원기둥형태로 돌출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보강막대결합부를 구비하는 캡과, 상기 보강막대결합부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이 더 연장 개구된 관통구멍이 있는 유동부를 구비하는 소정길이 연장된 제1결합보강막대와, 상기 제1결합보강막대의 상기 유동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일측 단부가 돌출된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유동부의 관통구멍 내에서 수평방향으로만 진퇴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보강막대결합부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제2관통부가 형성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제2결합보강막대와, 상기 보강막대결합부의 나사선에 결합되는 제1너트와, 상기 유동부에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에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를 가지는 결합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측면결합한 상기 브라켓의 상기 부력체지지부들 사이에 추가부력체를 장착할 수 있는 추가부력체장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부력체장착수단은 상기 부력체지지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호 상기 부력체지지부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 만큼 수평으로 연장되고 양단부에는 수직관통부를 가지는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연결리브의 상면에는 추가부력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개방된 반원형리브를 구비하는 보조지지부와,
    상기 부력체지지부와 상기 보조지지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한 보조지지부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지지부는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관통된 상기 부력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유동없이 장착할 수 있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부력체가 관통되는 방향의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부력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면이 넓게 형성된 자세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20150026717A 2015-02-25 2015-02-25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68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17A KR101686824B1 (ko) 2015-02-25 2015-02-25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17A KR101686824B1 (ko) 2015-02-25 2015-02-25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80A KR20160104180A (ko) 2016-09-05
KR101686824B1 true KR101686824B1 (ko) 2016-12-16

Family

ID=5693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17A KR101686824B1 (ko) 2015-02-25 2015-02-25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8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24A (ko) 2017-10-17 2019-04-25 주찬미 조립식 부유체
KR102220041B1 (ko) 2020-08-11 2021-02-24 최연호 부잔교의 유실 방지를 위한 부양파이프용 보호링 구조
KR102324133B1 (ko) * 2020-11-10 2021-11-08 차내윤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RU215329U1 (ru) * 2022-06-22 2022-12-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рговый дом "Базальтовые трубы" Модульный понтон из стеклобазальтопластиковых тру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8040A (zh) * 2018-02-12 2018-07-20 厦门屿点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浮动平台上部设施的防震荡装置
KR102273222B1 (ko) * 2019-10-08 2021-07-08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부력 조립체
KR102273223B1 (ko) * 2019-11-21 2021-07-08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32B1 (ko) * 2013-10-15 2014-10-14 주식회사 혁신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383U (ko) * 2008-05-30 2009-12-03 (주)엠디 가두리 양식장용 이경 브라켓
KR101099448B1 (ko) 2009-12-01 2011-12-27 최연호 부양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부잔교구조물
KR200473387Y1 (ko) 2013-03-24 2014-07-10 김도영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32B1 (ko) * 2013-10-15 2014-10-14 주식회사 혁신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24A (ko) 2017-10-17 2019-04-25 주찬미 조립식 부유체
KR102220041B1 (ko) 2020-08-11 2021-02-24 최연호 부잔교의 유실 방지를 위한 부양파이프용 보호링 구조
KR102324133B1 (ko) * 2020-11-10 2021-11-08 차내윤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KR102324123B1 (ko) * 2020-11-10 2021-11-08 차내윤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RU215329U1 (ru) * 2022-06-22 2022-12-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рговый дом "Базальтовые трубы" Модульный понтон из стеклобазальтопластиковых тру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80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824B1 (ko)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545729B1 (ko) 충격완충기능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브라켓
KR101536278B1 (ko)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083025B1 (ko)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KR200432359Y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KR101986978B1 (ko) 해상부유구조물
KR20120091930A (ko) 완충 및 결속장치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342579B1 (ko) 섬유콘크리트 폰툰
US7393254B1 (en) Marine buoy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KR100951180B1 (ko) 해상 및 내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101203084B1 (ko) 폰툰을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20080032542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위한 선박충돌방호용 프로텍터의충격흡수 지지구조
KR101336647B1 (ko) 부력체 고정장치를 갖는 부유식 태양전지판의 지지구조물
KR102005924B1 (ko)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20110020495A (ko)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KR101815251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밀폐용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한 부력조립체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101193622B1 (ko)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KR102430351B1 (ko)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CN112031197B (zh) 一种新型减震耗能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