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33B1 -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133B1
KR102324133B1 KR1020210025767A KR20210025767A KR102324133B1 KR 102324133 B1 KR102324133 B1 KR 102324133B1 KR 1020210025767 A KR1020210025767 A KR 1020210025767A KR 20210025767 A KR20210025767 A KR 20210025767A KR 102324133 B1 KR102324133 B1 KR 102324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ssembly
bracket
frame
brackets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내윤
Original Assignee
차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내윤 filed Critical 차내윤
Priority to KR102021002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태풍 및 해일과 같은 자연 재해나,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며 보다 향상된 충격 완화의 구조를 가지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부유체용 브라켓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은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를 가지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부력체가 삽입되는 부력체 삽입부를 가지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복수의 브라켓 중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복수의 브라켓 중 나머지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브라켓의 부력체 삽입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 중 서로 인접한 브라켓들의 부력체 삽입부들 사이에 수용된다.

Description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Bracket for floating body and floating device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또는 해수면이나 그 수변 지역을 따라 가두리시설이나 부잔교, 부유식 방파제, 바지선, 선박용 접안시설 등과 같은 부유식 수상 구조물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부유식 수상 구조물은 하부에 물에 뜨는 스티로폼이나, 부력파이프 등의 부력체가 설치되어 물 위로 부상되게 되는데, 이때 부력체를 고정하는 동시에 부력체를 지지하며 상측에 위치되는 물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부력체를 설치되게 된다.
부력체로 스티로폼은 해양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부력체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며, 부력체를 연결하거나 부력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이 사용되며, 브라켓 또는 지지대는 부력체의 형태 또는 부유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라켓의 경우, 부력체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유구조물의 하중이나, 부력과 같은 종방향으로의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 위주로 개발 및 생산되기 때문에, 태풍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 재해나, 횡방향으로의 강한 외력에 의해서는 브라켓이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보다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브라켓의 구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횡방향 외력에 대한 대응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브라켓의 구조가 복잡해져 금형 및 생산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원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가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를 유발하여, 금형 및 생산이 단순하면서 횡방향 외력에 대한 대응 구조가 향상된, 경제성이 높은 브라켓의 제작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풍 및 해일과 같은 자연 재해나,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며 보다 향상된 충격 완화의 구조를 가지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은,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를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부력체가 삽입되는 부력체 삽입부를 가지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 중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브라켓의 부력체 삽입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 중 서로 인접한 브라켓들의 부력체 삽입부들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은, 각각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부력체 삽입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은, 제1 브라켓 조립체;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브라켓 조립체; 및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와 상기 제2 브라켓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에 수용되고, 상기 부력체의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제2 브라켓 조립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강한 외력에 효과적으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브라켓을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부유체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부유 장치를 통해,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하고, 유지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을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의 지지 프레임의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의 지지 프레임의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부력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부력체를 고정시키는 간극 조절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부력체를 고정시키는 간극 조절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의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의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100)은 상하 방향을 따라 구조물(2)과 부력체(200) 사이에 배치되어 구조물(2)과 부력체(2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부유체용 브라켓(100)은 부력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2)을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용 브라켓(100)은 복수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복수로 연결된 부유체용 브라켓들(100)은 부력체(2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2)을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함은 물론, 복수의 부력체(200)를 한 번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용 브라켓(100)은 부력체(200)의 축방향으로 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부유체용 브라켓(100)이 수중에 배치될 경우,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내부로 물의 흐름이 가능하여 파력에 의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내부에는 보강 구조가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유체용 브라켓(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을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부유체용 브라켓(100)은 지지 프레임(110)과, 수용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10)은, 구조물(2)을 지지하고, 타 지지 프레임(110)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루프(loop) 구조의 바디(111)와, 바디(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바디(11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하 방향은 수직방향으로 정의되고, 좌우 방향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디(111)는 제1 프레임(1111), 제2 프레임(1112) 및 제3 프레임(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1)은 구조물(2)의 저면에 배치되어 구조물(2)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1)은 지지돌기(SP)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SP)는 구조물(2)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1111)의 일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돌기(SP)는 제1 프레임(1111)의 길이방향 측 양 단부와, 리브(112)에 지지되지 않는 제1 프레임(111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지지 프레임(110)의 지지력 및 완충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112)은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프레임(111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제3 프레임(1113) 및 리브(112)를 통해 제1 프레임(1111)에 연결되고, 제1 프레임(1111)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2 프레임은 수용 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113)은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제1 프레임(1111)과 제2 프레임(11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113)은 좌우 방향을 따라 타 지지 프레임(110)과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 프레임(110)은 좌우 방향을 따라 타 지지 프레임(110)과 연결되어 하나의 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레임(1113)은 제3 프레임(111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와, 제3 프레임(1113)의 외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G)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P)와 홈부(G)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10)에 마련된 돌출부(P)와, 타 지지 프레임(110)에 마련된 홈부(G)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호 결합 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는 일 측에 배치된 제3 프레임(1113)에 돌출부(P)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에 배치된 제3 프레임(1113)에 홈부(G)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된 제3 프레임들(1113)에 각각 돌출부(P)와 홈부(G)가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113)에 마련된 타 지지 프레임(110)과의 결합 구조는 반드시 돌출부(P)와 홈부(G)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결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의 지지 프레임의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의 지지 프레임의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바디(111)를 지지하여 바디(111)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바디(111)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리브(112)는 바디(111)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지지 프레임(110)이 수중에 배치될 경우 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파력에 의한 지지 프레임(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는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를 통해 형성되는 복수의 허니콤 구조는, 상하 방향으로 꼭짓점이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니콤 구조의 크기, 허니콤 구조의 수량 및 허니콤 구조의 배치 구조 등은 구조물(2)의 무게, 부유체용 브라켓(100)이 배치될 외부 환경, 부유체용 브라켓(100)에 결합될 부력체(200) 및 사용 용도나 목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지 프레임(11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지지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1 프레임(1111)에 집중되지 않고, 상호 연결된 복수의 허니콤 구조와, 복수의 허니콤 구조에 연결된 바디(111)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지지 프레임(11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지지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3 프레임(1113)에 집중되지 않고, 상호 연결된 복수의 허니콤 구조와, 복수의 허니콤 구조에 연결된 바디(111)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즉, 지지 프레임(1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를 통해 형성되는 복수의 허니콤 구조를 통하여,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과, 바람 또는 파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분산 및 흡수하여 완화시키고, 이에 지지 프레임(11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지지 프레임(110)의 변위는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커지고,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10)의 변위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색상을 나열하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연두색, 초록색, 청록색, 하늘색, 파란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부력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용 프레임(120)은 지지 프레임(1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부력체(200)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 프레임(120)은 지지 프레임(110)의 일 측, 즉, 제2 프레임(1112)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부력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원통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프레임(120)의 내경의 크기는 수용 프레임(120)의 내부에 수용된 부력체(200)의 외경의 크기에 대응되거나, 부력체(200)의 외면 오차 또는 크기 오차를 고려하여 부력체(200)의 외경의 크기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용 프레임(120)은 반드시 지지 프레임(1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용 프레임(120)은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리브(112)로부터 연장되어 일부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프레임(120)은 수용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의 방향이 바뀌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 구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용 프레임(120)과 지지 프레임(110) 사이에는, 수용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지지 프레임(110)을 향하여 만곡지게 연장되어, 수용 프레임(120)의 외주면의 굴곡의 방향을 바꾸는 유동 제한 프레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제한 프레임(12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수용 프레임(12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수용 프레임(12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제한 프레임(121)은 수용 프레임(120)의 외주면의 1/4 크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 프레임(120)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지지 프레임(110)이 타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지지 프레임(110)과 결합될 경우, 수용 프레임(120)과 타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수용 프레임(120) 사이에는, 유동 제한 프레임(121)과 타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유동 제한 프레임(121)을 통해 형성된 반원형의 변곡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용 프레임(120), 지지 프레임(110) 및 유동 제한 프레임(121) 사이의 공간에는 수용 프레임(120), 지지 프레임(110) 및 유동 제한 프레임(121)을 서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수용 프레임(120)의 하측에는 수용 프레임(12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면 지지 돌기(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면 지지 돌기(123)는 부유체용 브라켓(100)에 구조물(2) 또는 부력체(200)를 지상에서 조립할 때,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지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면 지지 돌기(123)는 부유체용 브라켓(10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면과,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이물 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독립적으로 지면에 거치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부력체를 고정시키는 간극 조절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에 부력체를 고정시키는 간극 조절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부유체용 브라켓(100)은 수용 프레임(120)과 수용 프레임(120)에 수용된 부력체(200) 사이의 간극을 제어하여 부력체(2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간극 조절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극 조절 부재(130)는 수용 프레임(120)과 부력체(200) 사이에 압입되면서, 수용 프레임(120)과 부력체(200) 사이의 간극을 보완하고, 이에 부력체(200)를 수용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부력체(2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극 조절 부재(130)에 의해 가압되는 부력체(200)는, 수용 프레임(120) 내에 완전히 고정되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수용 프레임(120)에는 간극 조절 부재(130)가 수용되는 부재 수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부재 수용홈(122)은 간극 조절 부재(13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재 수용홈(122)에 수용된 간극 조절 부재(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부재 수용홈(122)은 간극 조절 부재(130)의 유동을 제한하여 간극 조절 부재(1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간극 조절 부재(130)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간극 조절 부재(130)는 제1 조절 부재(131) 및 제2 조절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131)와 제2 조절 부재(132)는 상호 결합 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조절 부재(131)와 제2 조절 부재(132)에는 각각, 부재 수용홈(122)에 수용되고, 부력체(200)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ㄷ'형상의 간극 조절 몸체와, 간극 조절 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조절 부재(131)와 제2 조절 부재(132)의 결합 시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조절 부재(131)와 제2 조절 부재(13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간극 조절 부재(130)는 반드시 탈착 가능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력체(200)의 외면에 부착되어 부력체(200)와 함께 수용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구조 혹은 부력체(200)에 일체로 마련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포함하는 부유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포함하는 부유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포함하는 부유 장치(1)(이하 '부유 장치(1)'라 함)는 다양한 구조물들(2)을 설치하여 해상 시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부력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소파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부유 장치(1)는 제1 브라켓 조립체(10),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브라켓 조립체(10)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브라켓 조립체(20) 및 제1 브라켓 조립체(10)와 제2 브라켓 조립체(2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20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 조립체(10)와, 제2 브라켓 조립체(20)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112)를 가지는 프레임부(110)와, 프레임부(1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부력체(200)가 삽입되는 부력체 삽입부(120)를 가지는 복수의 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부유 장치(1)에서 브라켓(100)은 본 부유체용 브라켓(100)과 동일한 구성이고, 프레임부(110)는 본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지지 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성이며, 부력체 삽입부(120)는 본 부유체용 브라켓(100)의 수용 프레임(12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복수의 브라켓(10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브라켓 어셈블리(10, 2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브라켓(100) 중 일부는 제1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제1 브라켓 조립체(10))를 형성하고, 복수의 브라켓(100) 중 나머지 일부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제2 브라켓 조립체(20))를 형성한다.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은 각각 프레임부(1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브라켓(100)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브라켓들(100)과,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브라켓들(100)은, 각각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돌출부(P)와 홈부(G)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된다. 이에,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는 상하 방향으로 반전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은 부력체 삽입부(12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 구조물을 구비하여 상하 방향으로 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의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장치의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는 상호 직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에 마련된 부력체 삽입부(12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에 마련된 부력체 삽입부(120)에는, 상호 결합 가능한 결합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에 마련된 부력체 삽입부(12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에 마련된 부력체 삽입부(12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가능한 홈부(G)와 돌출부(P)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P)는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부력체 삽입부(120)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홈부(G)는 좌우 방향을 따라 부력체 삽입부(12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된 복수의 유동 제한 프레임(12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호 결합된 돌출부(P)와 홈부(G) 사이에는, 이들을 관통하여 돌출부(P)와 홈부(G)의 체결력을 유지시키는 체결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는 별도의 연결용 구조물을 통해 상호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는 밴드 형태의 연결 브라켓(124)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24)은 복수의 위치에서,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24)은,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브라켓(100)의 부력체 삽입부(12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브라켓(100)의 유동 제한 프레임(121)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브라켓(124)은,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브라켓(100)의 유동 제한 프레임(121)과,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브라켓(100)의 부력체 삽입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24)은 서로 맞닿은 두 부재의 둘레를 감싸 고정시키는 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연결 브라켓(124)은 클립부(1241)와, 커버부(124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1241)는 서로 맞닿은 두 부재(120, 121)를 내부에 수용하고, 서로 맞닿은 두 부재(120, 121)와 결합되어 이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부(1241)는 내부에 서로 맞닿은 두 부재(120, 1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단면이 'ㄷ' 형상인 구조로 형성되고, 열융착을 통해 서로 맞닿은 두 부재(120, 12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242)는 클립부(1241)의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두 부재(120, 121)의 일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242)는 두 부재(120, 121)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클립부(1241)의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할 수 있도록, 단면이 'l' 형상인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242)는 열융착을 통해 서로 맞닿은 두 부재(120, 121)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 및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브라켓(100)의 부력체 삽입부(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 중 서로 인접한 브라켓들(100)의 부력체 삽입부들(120) 사이에 수용된다. 또한,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브라켓(100)의 부력체 삽입부(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100) 중 서로 인접한 브라켓들(100)의 부력체 삽입부들(120) 사이에 수용된다.
즉,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에 마련된 복수의 부력체 삽입부(120) 사이에는,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에 마련된 복수의 부력체 삽입부(120)가 배치되고,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에 마련된 복수의 부력체 삽입부(12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에 마련된 복수의 부력체 삽입부(120)는 일 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 사이에 배치된 부력체들(200)의 일 부분은 제1 브라켓 어셈블리(10)(제1 브라켓 조립체(10))에 수용되고, 부력체들(200)의 다른 일 부분은 제2 브라켓 어셈블리(20)(제2 브라켓 조립체(20))에 수용된다.
또한, 부유 장치(1)는 보조 부력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부력체(30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는 브라켓(100)의 프레임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보조 부력체(300)가 수중에 배치되면, 보조 부력체(300)의 내부로 바닷물이 보조 부력체(300)에 유입되면서 부유 장치(1)에 하중을 부가하게 된다. 그러나, 보조 부력체(30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중을 부여하기 위하여 내부에 별도의 중량물이 더 수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유 장치(1)는 위치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400)는 구조물(2)에 복수로 배치되고, 각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외부기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는 위치센서(4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통해 부유 장치(1)가 배치된 수상의 실시간 상태를 파악하거나, 구조물(2)의 기울이 발생 여부 및 파손 여부를 파악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유 장치(1)는 위치센서(400)와 연결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기는 위치센서(400)가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경보기는 위치센서(4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경보음을 외부로 출력하여 부유 장치(1)가 배치된 수상 주변에 위험상황을 경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유 장치(1)는 위치센서(400) 및 경보기 외에도, 풍향/풍속 센서, 온도측정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강한 외력에 효과적으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브라켓(100)을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부유체용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부유 장치(1)를 통해,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2)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2)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하고, 유지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부유 장치
10. 제1 브라켓 조립체, 제1 브라켓 어셈블리
20. 제2 브라켓 조립체, 제2 브라켓 어셈블리
100. 부유체용 브라켓, 브라켓
110. 지지 프레임, 프레임부
111. 바디
1111. 제1 프레임 SP. 지지돌기
1112. 제2 프레임
1113. 제3 프레임
P. 돌출부 G. 홈부
112. 리브
120. 수용 프레임, 부력체 삽입부
121. 유동 제한 프레임
122. 부재 수용홈
123. 지면 지지 돌기
124. 연결 브라켓
1241. 클립부
1242. 커버부
130. 간극 조절 부재
131. 제1 조절 부재
132. 제2 조절 부재
200. 부력체
300. 보조 부력체
400. 위치센서
2. 구조물

Claims (3)

  1. 적어도 둘 이상의 리브를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부력체가 삽입되는 부력체 삽입부를 가지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 중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브라켓의 부력체 삽입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 중 서로 인접한 브라켓들의 부력체 삽입부들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은, 각각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부력체 삽입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부유 장치.
  2. 삭제
  3. 제1 브라켓 조립체;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브라켓 조립체; 및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와 상기 제2 브라켓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와 상기 제2 브라켓 조립체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부력체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브라켓 조립체에 수용되고, 상기 부력체의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제2 브라켓 조립체에 수용되는, 부유 장치.
KR1020210025767A 2020-11-10 2021-02-25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KR10232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767A KR102324133B1 (ko) 2020-11-10 2021-02-25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348A KR102324123B1 (ko) 2020-11-10 2020-11-10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KR1020210025767A KR102324133B1 (ko) 2020-11-10 2021-02-25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348A Division KR102324123B1 (ko) 2020-11-10 2020-11-10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33B1 true KR102324133B1 (ko) 2021-11-08

Family

ID=784858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348A KR102324123B1 (ko) 2020-11-10 2020-11-10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KR1020210025767A KR102324133B1 (ko) 2020-11-10 2021-02-25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348A KR102324123B1 (ko) 2020-11-10 2020-11-10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41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24B1 (ko) * 2015-02-25 2016-12-16 강남규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2166067B1 (ko) * 2020-04-02 2020-10-15 김난영 강도 보강된 부력 파이프를 구비하는 피이 부잔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455130U (zh) * 2019-08-07 2020-05-05 厦门屿点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浮管支撑架及其连接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24B1 (ko) * 2015-02-25 2016-12-16 강남규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2166067B1 (ko) * 2020-04-02 2020-10-15 김난영 강도 보강된 부력 파이프를 구비하는 피이 부잔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23B1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78B1 (ko)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083025B1 (ko)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KR100944183B1 (ko)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US98291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underwater pipe
KR101686824B1 (ko) 충격완화기능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2324133B1 (ko) 부유체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장치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102107175B1 (ko) 단위부력체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KR101975167B1 (ko)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20150064526A (ko) 부유식 구조물 커넥터
CN110087987B (zh) 具有圆形浮筒的浮式海上结构
KR20190138955A (ko) 부유체
KR20080032542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위한 선박충돌방호용 프로텍터의충격흡수 지지구조
JPS6013085B2 (ja) 防舷材
EP0429519B1 (en) Floatable frame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20210004780A (ko)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KR20130001960U (ko) 액체 화물 탱크용 슬로싱 저감 모듈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101016382B1 (ko) 작업선의 조립식 선체구조
KR102273223B1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