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649B1 -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649B1
KR101686649B1 KR1020160078367A KR20160078367A KR101686649B1 KR 101686649 B1 KR101686649 B1 KR 101686649B1 KR 1020160078367 A KR1020160078367 A KR 1020160078367A KR 20160078367 A KR20160078367 A KR 20160078367A KR 101686649 B1 KR101686649 B1 KR 10168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ethane gas
hydrogen sulfide
dus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양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7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24Hydrocarbons
    • B01D2256/245M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2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m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3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하수, 축산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제1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어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 수분제거부와 제2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장치; 탈황장치와 제3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 및 분진제거부와 가스회수관으로 연결되어 분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가스수거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함에 있어, 황화수소의 제거는 물론, 메탄가스에 포함된 수분과 분진 까지도 제거함으로써, 양질의 메탄가스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Hydrogen sulfide removal system of methane gas}
본 발명은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탄가스를 활용함에 있어 그 메탄가스에 포함되어 금속의 부식을 유발하는 황산화물의 원인물질인 황화수소를 제거함으로써 메탄가스 사용 설비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는 등 양질의 메탄가스를 얻기 위한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석탄 또는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가 고갈되어감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에 태양에너지나 풍력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을 비롯한 신생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체에너지 중 신생에너지는, 음식물, 하수, 축산물 등을 태우거나,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것으로, 특히 음식물, 하수, 축산물 등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메탄가스는 대체에너지로의 활용성이 충분하나 그 메탄가스에는 황산화물의 원인물질인 황화수소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바로 연료로 사용시 금속을 부식시키는 등 설비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이 메탄가스를 활용함에 있어, 먼저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여 양질의 메탄가스를 얻게 된다.
즉, 이러한 메탄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탈황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탈황장치는 통상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면서도 단순히 황화수소만을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인바,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에 수분과 분진이 다량 함유되어 그 메탄가스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09542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함에 있어, 황화수소의 제거는 물론, 메탄가스에 포함된 수분과 분진 까지도 제거함으로써, 양질의 메탄가스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음식물, 하수, 축산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제1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어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
수분제거부와 제2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장치;
탈황장치와 제3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 및
분진제거부와 가스회수관으로 연결되어 분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가스수거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은, 저장조에 저장된 탈황전 메탄가스를 수분제거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건식 탈황장치로의 공급 및 공기필터와 헤파필터로 된 건식 필터링수단을 통해 황화수소의 제거가 가능하게 하며, 연속하여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분진제거부에서 완전 제거함으로, 수분과 분진이 제거된 양질의 메탄가스의 생산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재생에너지로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수분제거부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탈황장치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분진제거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수분제거부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탈황장치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분진제거부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은, 저장조(100)와, 수분제거부(200)와, 탈황장치(300)와, 분진제거부(400)와, 가스수거조(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10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음식물이나, 하수, 축산물 등을 태우거나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면 가능하다.
상기 수분제거부(200)는, 상기 저장조(100)와 제1 가스공급관(10)으로 연결되어 그 저장조(100)에 저장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구성된다.
먼저, 수분제거부(20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먼저, 저장조(100)로부터 수증기 형태의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수분의 제거를 수행하는 몸체(2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몸체(210)는 중공형 원통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몸체(210) 일측에는 상기 제1 가스공급관(10)과 연결되어 몸체(210) 내부로 메탄가스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증기공급구(211)가 구성된다.
또한, 몸체(210)의 타측에는 내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의 배출이 가능한 건조가스 배출구(212)가 구성된다.
또한, 몸체(210)의 상단에는 몸체(210) 내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배출이 가능한 압력조절밸브(213)가 구성된다.
또한, 몸체(210)의 하단에는 내부에서 수증기에서 분리된 수분(응축수)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응축수 배출구(214)가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210)의 내부에는 상기 증기공급구(211)를 통해 공급된 증기가 충돌하여 수분을 분리하는 격판(2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격판(220)은, 증기공급구(211)와 건조가스 배출구(212)를 사이에 두고 수직 형성되며, 그 상부 및 하부는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판(220)에는, 증기공급구(211) 측에서 그 증기공급구(211)의 상부 위치로 다수단을 이루어 상승하는 수증기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다수단을 이루는 다수의 수분분리판(221)(221')이 이격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수분분리판(221)(221')은, 중앙이 상부로 융출되는 만곡한 곡률 형태를 이루고 단부가 증기공급구(211)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인데, 이때 각각의 돌출정도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착적으로 넓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상부로 이동하는 증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수분분리판(221)(221')에 원활한 충돌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수분제거부(200)에서는, 제1 가스공급관(10)을 통해 증기공급구(211)로 유입된 수증기 형태의 메탄가스가 격판(220)에 충돌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응축 분리되어 격판(220)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며, 또한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수분분리판(221)(221')과 충돌하여 분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된 응축수는 몸체체(210)의 하단으로 모아져 응축수 배출구(214)를 통해 수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는 건조가스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탈황장치(300)는, 상기 수분제거부(200)에서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의 원인물질인 황화수소를 제거하게 구성된다.
먼저, 탈황장치(30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수분제거부(200)의 건조가스 배출구(212)와 연결된 제2 가스공급관(20)과 연결되는 내부 중공형 탈황탱크(310)가 구성된다.
또한, 탈황탱크(310)의 일측에는 제2 가스공급관(20)과 연결되어 메탄가스의 유입이 가능한 가스유입구(311)가 구성된다.
또한, 탈황탱크(310)의 타측에는 황화수소가 제거된 순수한 메탄가스의 배출이 가능한 가스배출구(312)가 구성된다.
그리고, 탈황탱크(310)의 내부에는 탈황탱크(310) 내부로 공급된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건식 필터링수단(320)이 구성된다.
이때, 건식 필터링수단(320)은, 프리필터(321)와 헤파필터(322)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가스유입구(311) 측에는 프리필터(321)가 형성되어 메탄가스에 포함된 비교적 큰 이물질의 필터링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배출구(312) 측에는 미세한 이물질을 포함한 황화수소의 흡착 제거가 가능한 헤파필터(322)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리필터(321)와 헤파필터(322)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즉, 탈황장치(300)에서는, 제2 가스공급관(20)을 통해 가스유입구(311)로 유입된 메탄가스가 프리필터(3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이 수행되고, 연속하여 헤파필터(3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황화수소를 포함한 미세한 이물질의 흡착 필터링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필터링된 메탄가스는 가스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분진제거부(400)는, 상기 탈황장치(300)에서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게 구성된다.
먼저, 분진제거부(40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탈황장치(300)의 가스배출구(312)와 연결된 제3 가스공급관(30)과 연결되는 내부 중공형 분진탱크(410)가 구성된다.
또한, 분진탱크(410)의 일측에는 제3 가스공급관(30)과 연결되어 메탄가스의 유입기 가능한 가스유입구(411)가 구성된다.
또한, 분진탱크(410)의 타측에는 분진이 제거된 메탄가스의 배출이 가능한 가스배출구(412)가 구성된다.
그리고, 분진탱크(410)의 내측에는 상기 가스유입구(411)와 가스배출구(412)를 분리하는 미디엄필터(42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저장조(100)와, 수분제거부(200)와, 탈황장치(300)와, 분진제거부(400)와, 가스수거조(500)는, 메탄가스가 순차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바, 이러한 메탄가스의 흐름은 도면중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통상의 블로워 등의 흡입 및 배출 수단을 통해 원활한 흐름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은,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함은 물론, 수분과 분진까지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 양질의 메탄가스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저장조(100)로부터 수분제거부(200)와, 탈황장치(300)와, 분진제거부(400)를 거쳐 가스수거조(50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가능하다.
먼저, 저장조(100)에는, 통상의 음식물이나, 하수, 축산물 등을 태우거나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수증기로 된 메탄가스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저장된 메탄가스는, 수분제거부(200)로 공급되되, 도 2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1 가스공급관(10)와 연결된 증기공급구(211)를 통해 몸체(21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유입된 수증기는 격판(220)에 충돌 및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수분분리판(221)(221')에 순차적으로 충돌하면서 메탄가스와 응축수로 응축 분리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수분분리판(221)(221')은, 중앙이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것인바, 각각의 수분분리판(221)(221')의 저면에 도달한 수증기의 일정 정체가 가능하게 하여 분리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후, 분리된 메탄가스는 격판(220)의 개방된 상부 및 하부를 통해 건조가스 배출구(212) 측으로 이동 및 건조가스 배출구(212)를 통해 제2 가스공급관(20)으로 배출되게되며, 분리된 응축수는 몸체(210)의 하단으로 낙수되어 응축수 배출구(21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는, 다시 탈황장치(300)에서 황산화물의 원인물질인 황화수소를 분리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2 가스공급관(20)과 연결된 가스유입구(311)를 통해 탈황탱크(310) 내부로 공급되게 되며, 공급된 메탄가스는 탈황탱크(310) 내부에 형성된 건식 필터링수단(320)을 통해 필터링되게 된다.
즉, 메탄가스는 먼저 가스유입구(311) 측에 위치된 프리필터(321)를 통해 비교적 큰 입자가 필터링되게 되고, 이후 연속하여 형성된 헤파필터(322)를 통해 황화수소를 포함한 미세한 이물질의 흡착 필터링 및 가스배출구(312)와 연결된 제3 가스공급관(30)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는, 다시 분진제거부(400)에서 메탄가스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3 가스공급관(30)과 연결된 가스유입구(411)를 통해 분진탱크(410) 내부로 공급되게 되며, 공급된 메탄가스는 분진탱크(410) 내부에 형성된 미디엄필터(4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되어 순수한 메탄가스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메탄가스는 가스회수관(40)을 통해 가스수거조(500)에 수거 저장되어 원료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은, 대량의 수분과 황화수소와 분진이 포함된 저질의 메탄가스를 그 메탄가스 사용에 가장 문제시되는 황화수소의 제거는 물론, 수분과 분진까지도 제거시켜줌으로 양질의 메탄가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 저장조
200 : 수분제거부 210 : 몸체
211 : 증기공급구 212 : 건조가스 배출구
213 : 압력조절밸브 214 : 응축수 배출구
220 : 격판 221,221' : 수분분리판
300 : 탈황장치 310 : 탈황탱크
311 : 가스유입구 312 : 가스배출구
320 : 건식 필터링수단 321 : 프리필터
322 : 헤파필터
400 : 분진제거부 410 : 분진탱크
411 : 가스유입구 412 : 가스배출구
420 : 미디엄필터 500 : 가스수거조

Claims (4)

  1. 음식물, 하수, 축산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얻어진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조(100);
    저장조(100)와 제1 가스공급관(10)으로 연결되어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00);
    수분제거부(200)와 제2 가스공급관(20)으로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장치(300);
    탈황장치(300)와 제3 가스공급관(30)으로 연결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그 메탄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400); 및
    분진제거부(400)와 가스회수관(40)으로 연결되어 분진이 제거된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가스수거조(500)를 포함하고,
    수분제거부(200)는,
    양측에는 각각 증기공급구(211)와 건조가스 배출구(212)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압력조절밸브(213)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응축수 배출구(214)가 형성된 중공형 원통 형태의 몸체(210);
    몸체(210) 내부에서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도록 수직 형성되어 증기가 충돌하는 격판(220); 및
    격판(220)의 증기공급구(211)측에서 증기공급구(211)의 상부로 다수단 형성되는 수분분리판(221)(221');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수분분리판(221)(221')은,
    각각 상부로 돌출되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증기공급구(211)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돌출정도는 상부로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은 폭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탈황장치(300)는,
    일측에는 가스유입구(3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스배출구(312)가 형성된 탈황탱크(310); 및
    탈황탱크(310) 내측에 형성되어 탈황탱크 내부로 공급된 메탄가스를 필터링 하는 건식 필터링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건식 필터링수단(320)은,
    가스유입구(311) 측으로부터 프리필터(321)와, 헤파필터(322)가 연속하여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분진제거부(400)는,
    일측에는 가스유입구(4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스배출구(412)가 형성된 분진탱크(410);
    분진탱크(4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미디엄필터(42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KR1020160078367A 2016-06-23 2016-06-23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KR10168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67A KR101686649B1 (ko) 2016-06-23 2016-06-23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67A KR101686649B1 (ko) 2016-06-23 2016-06-23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649B1 true KR101686649B1 (ko) 2016-12-14

Family

ID=5757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67A KR101686649B1 (ko) 2016-06-23 2016-06-23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6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3220A (zh) * 2017-06-02 2017-10-13 罗显平 一种气水分离器
KR102038046B1 (ko) * 2019-05-24 2019-10-29 정재억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CN111760432A (zh) * 2020-07-21 2020-10-13 江西庞泰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氧化还原法脱硫工艺及装置
KR20200135123A (ko) * 2019-05-24 2020-12-02 정재억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592A (ja) * 1994-06-07 1995-12-19 Corona Kogyo Kk 生塵の処理装置
KR100836393B1 (ko) * 2006-12-11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출가스 측정장치의 수분 분리기 구조
KR100870519B1 (ko) * 2007-06-05 2008-11-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건식 탈황기
KR100954230B1 (ko) 2009-09-28 2010-04-2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습식 탈황장치
KR20110115202A (ko) * 2010-04-15 2011-10-21 벽산건설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 및 바이오가스 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592A (ja) * 1994-06-07 1995-12-19 Corona Kogyo Kk 生塵の処理装置
KR100836393B1 (ko) * 2006-12-11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출가스 측정장치의 수분 분리기 구조
KR100870519B1 (ko) * 2007-06-05 2008-11-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건식 탈황기
KR100954230B1 (ko) 2009-09-28 2010-04-2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습식 탈황장치
KR20110115202A (ko) * 2010-04-15 2011-10-21 벽산건설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 및 바이오가스 정제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3220A (zh) * 2017-06-02 2017-10-13 罗显平 一种气水分离器
CN107243220B (zh) * 2017-06-02 2020-03-31 罗显平 一种气水分离器
KR102038046B1 (ko) * 2019-05-24 2019-10-29 정재억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KR20200135123A (ko) * 2019-05-24 2020-12-02 정재억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KR102462959B1 (ko) 2019-05-24 2022-11-02 정재억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CN111760432A (zh) * 2020-07-21 2020-10-13 江西庞泰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氧化还原法脱硫工艺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649B1 (ko) 메탄가스의 황화수소 제거시스템
CN105944542A (zh) 一种高效硫化氢气体吸收装置
RU2415718C1 (ru) Циклон с входным патрубком-сепаратором и обводными трубами для отвода мелких частиц
CN103189127A (zh) 从气流中分离出成分的方法
KR20110117809A (ko) 고순도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 및 바이오가스 정제방법
CN207385107U (zh) 表面工程除锈空气净化装置
CN104909456B (zh) 垃圾渗滤液厌氧沼气净化提纯方法
CN104168982B (zh) 用于湿法烟道气脱硫系统的汞捕捉系统和方法
CN204275745U (zh) 一体式氨气多级除湿过滤器
CN205346840U (zh) 珍贵物品保护用洁净氮气制备系统
CN210021654U (zh) 一种废橡胶脱硫废气回收处理装置
CN105713691B (zh) 一种沼气提纯吸收过滤装置
CN102319536B (zh) 高含尘过饱和异味气体的净化系统及净化方法
CN206375869U (zh) 湿法脱硫装置
CN108570335A (zh) 轻石脑油脱硫脱胺的方法和装置
CN105664624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4073298B (zh) 一种降低褐煤气化合成气中灰分含量的装置与方法
CN210506242U (zh) 天然气净化系统
CN105695016A (zh) 一种高效双级膜法沼气净化提纯工艺及系统
CN206751753U (zh) 一种天然气净化设备
CN206173281U (zh) 一种沼气净化提纯系统
CN112029549B (zh) 一体式天然气气体净化脱水装置
CN105582694B (zh) 一种液体脱硫脱气一体化的装置及方法
CN209287005U (zh) 一种沼气发酵过滤设备
CN209670036U (zh) 油水分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