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392B1 -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392B1
KR101685392B1 KR1020150082829A KR20150082829A KR101685392B1 KR 101685392 B1 KR101685392 B1 KR 101685392B1 KR 1020150082829 A KR1020150082829 A KR 1020150082829A KR 20150082829 A KR20150082829 A KR 20150082829A KR 101685392 B1 KR101685392 B1 KR 10168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motor
gea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택
한승훈
강선일
김명진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5008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8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with electric means, e.g. for controlling the motor or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VCM(Variable Charge Motion)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센서와 자석 간에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면에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M 액추에이터는 홀센서와 자석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레버 및 샤프트부 조립체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VCM Actuator having Rib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VCM(Variable Charge Motion)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센서와 자석 간에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면에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VCM(Variable Charge Motion) 액추에이터는 엔진의 연소실로 흡기를 공급하는 흡기매니폴드의 흡기포트에서 플랩을 회전시킴으로써 흡기매니폴드에 텀블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흡기포트에 이러한 텀블을 발생시킴으로써 신기와 연료의 혼합을 촉진시켜 연소효율을 높여준다.
일반적으로 VCM 액추에이터는 플랩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홀IC가 설치된 PCB, 모터, 복수의 기어, 출력축 및 이들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들은 제품의 내구성, 조립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단순한 구조일 필요가 있으며, 각 구성들이 원활하게 상호작용하도록 효율적인 배치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목적은 홀센서와 자석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하는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가 하우징 내에서 동심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샤프트부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니들베어링 구조를 채용한 VCM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M 액추에이터는 모터실과, 상기 모터실 측방에 형성되는 기어실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에는 자석이 설치된 샤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실과 상기 기어실을 폐쇄하고, 내측면의 상기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센서와 PCB가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터실에 위치하고, 양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어실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부로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실의 외측면에는 상기 레버가 지지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레버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와 상기 레버지지대 사이에는 상기 자석과 상기 홀센서 간에 간극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버를 상기 레버지지대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는 상기 레버지지대의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 상기 레버지지대 및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니들베어링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니들베어링은 외측링과 내측링, 그리고 상기 외측링과 상기 내측링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링은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실 내면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고정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제2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브는 복수 개이되, 상기 복수 개의 제2리브 각각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은 전술한 VCM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엔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M 액추에이터는 홀센서와 자석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레버 및 샤프트부 조립체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모터가 하우징의 모터실에서 동심도를 유지하며 위치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 조립성 및 신뢰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M 액추에이터를 나타낸다.
도 2는 샤프트부와 그 주변의 하우징 내부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모터실 내부에 구동모터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M 액추에이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VCM 액추에이터(1)는 하우징(10), 샤프트부(20), 레버(30), 커버(40), 구동모터(50), 복수의 기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모터실(14)과 기어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실은 모터실(14)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실(14)에는 구동모터(50)가 위치할 수 있다. 기어실에는 복수의 기어(60)가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부(20)는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부(20)의 일단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에는 자석(21)이 설치될 수 있다.
리턴스프링(70)은 샤프트부(2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샤프트부(20)를 일정 회전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레버(30)는 샤프트부(20)의 회전운동을 커넥틱 로드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레버(30)의 일측은 샤프트부(20)에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샤프트부(20)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레버(30)의 타측은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팅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는 흡기포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랩에 액추에이터(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일 수 있다.
커버(40)는 하우징(10)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실(14)과 상기 기어실을 폐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40)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자석(2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홀센서(41)와 PCB(4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샤프트부(20)의 타단에 자석(21)이 설치되고 자석(21)과 홀센서(41)가 마주 보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기어(60)는 상기 구동모터(50)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부(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기어는 제1기어(61), 제2기어(62), 제3기어(63), 제4기어(64), 제5기어(65), 제6기어(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61)는 구동모터(50)의 출력축(5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62)는 제1기어(61)와 치합할 수 있다. 제3기어(63)는 제2기어(62)와 동심이고, 일체로 형성되어 제2기어(62)와 함께 회전하며, 제2기어(62)보다 직경이 작은 기어일 수 있다. 제4기어(64)는 제3기어(63)와 치합할 수 있다. 제5기어(65)는 제4기어(64)와 동심이고, 일체로 형성되어 제4기어(64)와 함께 회전하며, 제4기어(64)보다 직경이 작은 기어일 수 있다. 제6기어(66)는 제5기어(65)와 치합할 수 있다. 제6기어(66)는 잇날이 원주면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샤프트부와 그 주변의 하우징 내부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여, 샤프트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부(20)는 샤프트(22), 기어부(23), 자석(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23)는 전술한 제6기어(66)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22)는 일단은 레버(30)가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기어부(2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기어부(23)의 일면에는 자석(21)이 설치될 수 있다. 자석(21)과 기어부(23)와 샤프트(22)는 동축으로 배치할 수 있다.
기어부(23)에서 자석(21)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는 리턴스프링(70)의 일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23a)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면에는 리턴스프링(70)의 타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리턴스프링(70)은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안착부(23a)와 제2안착부(11)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기어실의 외측면에는 레버(30)가 지지되도록 샤프트부(20)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레버지지대(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레버지지대(12)는 샤프트부(20)의 둘레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레버지지대(12)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레버(30)와 상기 레버지지대(12) 사이에는 상기 자석(21)과 상기 홀센서(41) 간에 간극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버(30)를 상기 레버지지대(12)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리브(13)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리브(13)는 레버지지대(12)의 일단면(12a)으로부터 샤프트부(20)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리브(13)는 레버지지대(12)의 일단면(12a)을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13)는 레버지지대(12)의 일단면(12a) 중에서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리브(13)의 끝단에 레버(30)의 일측면(30a)이 맞닿게 되며 이로써 레버(30)와 샤프트부(20)는 홀센서(41)로부터 상기 제1리브(13)가 돌출된 길이 만큼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제1리브(13)가 없는 구조에서는 레버(30)의 일측면(30a)이 레버지지대(12)에 직접 맞닿게 되므로 마찰이 커지게 되어 원활한 회전이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1리브(13)가 레버지지대(12)와 레버(3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는 레버(30)의 일측면(30a)과 하우징(10) 간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므로 레버(30) 회전시 하우징(10)과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고, 제품의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리브(13)와, 레버지지대(12)와, 하우징(10)은 하나의 피스(Piece)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부(2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니들베어링(8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니들베어링(80)은 외측링(81)과, 내측링(82)과, 외측링(81)과 내측링(82)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외측링(81)은 하우징(10)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내측링(82)은 샤프트(22)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외측링(81)은 하우징(10)에 고정되고, 내측링(82)은 샤프트(2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모터실 내부에 구동모터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리브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50)는 그 외주면의 일부분만 모터실(14) 내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실(14) 내면에는 구동모터(50)가 고정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제2리브(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리브(15)는 구동모터(50)가 모터실(14) 내부에 설치될 때 구동모터(5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리브(15)는 구동모터(50)가 모터실(14) 내부에서 동심도를 유지하면서 위치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50)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리브(15)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리브(15) 각각은 구동모터(50)의 출력축(51)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리브(15) 각각의 길이는 구동모터(50)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아도 무방하다. 복수 개의 제2리브(15)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2리브(15) 각각은 모터실(14)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의 하우징(10)은 보통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라스틱의 변형으로 인하여 구동모터(50)의 위치가 틀어지는 불량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리브(15) 구조는 구동모터(50)가 모터실(14) 내에서 최소한도의 접촉 면적만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플라스틱 변형으로 인한 구동모터(50)의 조립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VCM 액추에이터(1)를 포함할 수 있는 엔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VCM 액추에이터(1)가 설치될 수 있는 엔진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엔진 자체는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VCM 액추에이터 10: 하우징
11: 제2안착부 12: 레버지지대
12a: 레버지지대의 일단면 13: 제1리브
14: 모터실 15: 제2리브
20: 샤프트부 21: 자석
22: 샤프트 23: 기어부
23a: 제1안착부 30: 레버
30a: 레버의 일측면 40: 커버
41: 홀센서 42: PCB
50: 구동모터 51: 출력축
60: 복수의 기어 61: 제1기어
62: 제2기어 63: 제3기어
64: 제4기어 65: 제5기어
66: 제6기어 70: 리턴스프링
80: 니들베어링 81: 외측링
82: 내측링

Claims (9)

  1. 모터실과, 상기 모터실 측방에 형성되는 기어실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에는 자석이 설치된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레버;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실과 상기 기어실을 폐쇄하고, 내측면의 상기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센서와 PCB가 설치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터실에 위치하고, 양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어실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부로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
    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실의 외측면에는 상기 레버가 지지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레버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와 상기 레버지지대 사이에는 상기 자석과 상기 홀센서 간에 간극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버를 상기 레버지지대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상기 레버지지대의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 상기 레버지지대 및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니들베어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어링은 외측링과 내측링과 상기 외측링과 상기 내측링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링은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실 내면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고정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제2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는 복수 개이되, 상기 복수 개의 제2리브 각각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는 복수 개이되, 상기 복수 개의 제2리브 각각은 상기 모터실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액추에이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VCM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
KR1020150082829A 2015-06-11 2015-06-11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KR10168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29A KR101685392B1 (ko) 2015-06-11 2015-06-11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29A KR101685392B1 (ko) 2015-06-11 2015-06-11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392B1 true KR101685392B1 (ko) 2016-12-12

Family

ID=5757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829A KR101685392B1 (ko) 2015-06-11 2015-06-11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3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233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44817B1 (ko) * 2019-05-15 2020-08-1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밸브 및 이의 액추에이터장치
KR20220122376A (ko) * 2021-02-26 2022-09-02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밸브 액추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617A (ko) * 1999-06-23 2001-06-1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부하 조절 장치
JP2005337206A (ja) * 2004-05-31 2005-12-08 Aisan Ind Co Ltd スロットルボデ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617A (ko) * 1999-06-23 2001-06-1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부하 조절 장치
JP2005337206A (ja) * 2004-05-31 2005-12-08 Aisan Ind Co Ltd スロットルボデ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233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41501B1 (ko) * 2018-12-20 2020-08-05 (주)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44817B1 (ko) * 2019-05-15 2020-08-1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밸브 및 이의 액추에이터장치
KR20220122376A (ko) * 2021-02-26 2022-09-02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밸브 액추에이터
KR102490684B1 (ko) * 2021-02-26 2023-01-26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밸브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6505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10088044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actuator
JP681462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379669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7147270B2 (ja) 変速機及びアクチュエータ
KR101685392B1 (ko) 리브 구조를 가지는 vcm 액추에이터
JP5411066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97811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CN105121827A (zh) 用于驱动内燃机阀单元的致动器
JP6338550B2 (ja) 減速機構と該減速機構を用いた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WO2018123564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5138243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回転装置
JP2007285483A (ja) 送りねじ機構を備えるアクチュエータ
JP5719008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WO2015083690A1 (ja) コアレスモータ駆動式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2013172522A (ja) 波動減速機付きモータ
KR101559162B1 (ko) 위치센서가 부착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전기식 엑추에이터
JP5530877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431521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6752663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160104242A (ko) 리턴스프링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vcm 엑추에이터
JP7205405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5993352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ローラ減速機構
US8757117B2 (en) Valve dri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adjustment device
JP5976529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該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に用いられるカバ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