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373B1 -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 Google Patents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373B1
KR101685373B1 KR1020140116655A KR20140116655A KR101685373B1 KR 101685373 B1 KR101685373 B1 KR 101685373B1 KR 1020140116655 A KR1020140116655 A KR 1020140116655A KR 20140116655 A KR20140116655 A KR 20140116655A KR 101685373 B1 KR101685373 B1 KR 10168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sonant
vowel
collection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108A (ko
Inventor
이채림
오종엽
Original Assignee
(주)우리숲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숲에듀 filed Critical (주)우리숲에듀
Priority to KR102014011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을 학습하기 위한 전용의 놀이블록을 구현하기 위해 최소 개수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구성하고,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할 때 글자의 획순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갖추어 올바른 한글표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정사각을 이용한 비율로 자음블록을 제작하여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글학습용 놀이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합자음을 제외한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 중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제외한 9개의 자음기본블록과, 상기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형태의 자음조각블록으로 이루어진 자음블록과; 음을 형성하기 위해 막대형태의 획모음블록과, 획모음블록과 결합되어 모음을 완성하는 모음조각블록으로 이루어진 모음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Play block for korean learning}
본 발명은 한글학습용 놀이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한글을 학습하기 위한 전용의 놀이블록을 구현하기 위해 최소 개수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구성하고,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할 때 글자의 획순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갖추어 올바른 한글표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정사각을 이용한 비율로 자음블록을 제작하여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글학습용 놀이블록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한국 고유의 문자로 그 우수성이 널리 입증되어 있으며, 특히, 다양한 도형의 형태로 된 한글문자의 학습은 성장기 아이들의 지능발달에 대단히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글을 학습하기 위한 교구로 따라쓰기 학습장, 그림에 의해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 출판물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출시되고 있지만, 상당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한글문자를 직접 조합하여 놀이를 하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놀이블록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38873호(문자블록, 이하 선행기술)에는 한글과 영어문자를 조합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기술내용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문자블록은「22종류의 각 블록의 측면부에 결속공과 결속편을 형성하여 각 블록의 측면부가 서로 단차를 이루며 결속되도록 함으로서 간편하게 한글 영어알파벳(대문자, 소문자) 숫자 한자를 구현하는 문자블록」이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자블록은「알파벳 한글 숫자를 구현하는 문자블록으로, 장방형으로 단변의 길이가 같고 장변의 길이가 다른 복수의 평면체과 한글 'ㄱ'자 형으로 모든 변이 직각이며 가로방향 세로방향 두 면의 길이가 다르고 좌측상단 세로변과 우측하단 가로변의 길이가 같은 복수의 평면체과 한글 'ㄱ'자 형으로 가로면 좌측 및 세로면 하측의 각 세 변이 직각이고 우측상단 모서리의 내측 외측변이 원호를 형성하며 가로방향 세로방향 두 면의 길이가 다르고 좌측상단 세로변과 우측하단 가로변의 길이가 같은 복수의 평면체과 알파벳 'V'자 형으로 하단 예각의 내측 외측이 원호를 형성하고 좌우 두 면이 대칭이며 두 면의 상단 가로변이 세로변과 직각을 형성하는 평면체와 알파벳 'U'자 형으로 하단의 내외측 곡선이 원호를 형성하며 좌우 두 면이 대칭이며 두면의 상단 가로변이 수평인 복수의 평면체과 알파벳 'B'자 형의 좌측 'ㅣ' 형을 제외한 형태로서 좌측 6개의 가로변과 3개의 세로변은 수평과 수직이며 우측 상하 내외측 원호는 상하 대칭을 형성하는 평면체와 알파벳 'M'자 형으로 상단 내외측변이 아래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고 좌우두 면이 대칭을 형성하며 두면의 하단 가로변이 수평인 평면체와 등변사다리꼴 평면체와 장방형의 단변 일측이 예각과 둔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사다리꼴 평면체와 정원형 평면체의 모든 측면부에 세로로 같은 두께와 간격를 가진 복수의 결속편을 형성하고 상하 결속편 사이에 등간격의 결속공을 형성한 블록체를 다수 개로 구성하여, 각 블록체가 서로 측부의 임의위치에서 단차를 이루며 결합하되 결합된 블록체의 위치나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자블록은 한글과 영문에 각각 대응하기 위해 1세트 당 대단히 많은 개수의 조각블록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조각블록은 그 자체로 글자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이 이들을 이용하여 글자를 완성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많은 개수의 조각블록은 분실의 우려가 높고, 항상 정해진 조각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의 조각을 분실할 경우 특정의 글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의 문자블록은 단순한 한글의 자음 자체도 다수의 복잡한 조각으로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한글쓰기를 할 때의 아이들이 잘못된 획순서로 학습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문자블록은 다수의 조각으로 형성된 문자마다 대단히 상이한 가로/세로의 비율이 되어 한글을 읽고 이해하기 위한 가독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한글 학습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한글을 학습하기 위한 전용의 놀이블록을 구현하기 위해 최소 개수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구성하고,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조합하여 한글을 형성할 때 글자의 획순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갖추어 올바른 한글표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정사각을 이용한 비율로 자음블록을 제작하여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글학습용 놀이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복합자음을 제외한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 중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제외한 9개의 자음기본블록과, 상기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형태의 자음조각블록으로 이루어진 자음블록과; 음을 형성하기 위해 막대형태의 획모음블록과, 획모음블록과 결합되어 모음을 완성하는 모음조각블록으로 이루어진 모음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음블록은 획모음블록과 모음조각블록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음이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획모음블록의 일측변과 모음조각블록의 적어도 일 끝단에는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한 결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의 표면에는 획순서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획순서표시부는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의 표면에 형성된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숫자표시편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자음기본블록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3개 이상의 가로획이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자음기본블록은 획의 두께만큼 세로로 확장되고, 2개 이상 세로획의 외측으로 벗어난 자음기본블록도 획의 두께만큼 가로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을 전문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기 위한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의 1세트 개수가 최소의 개수가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과 함께 사용자의 입장에서 분실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특정의 자음을 제외한 자음의 대부분이 단일의 조각으로 제공되어 아이들이 한글을 보다 손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높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블록마다 한글의 표현순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수단에 의해 한글을 표현할 때의 정확한 획순서까지 학습할 수 있게 되어 학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글자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자음블록이 정사각의 비율에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되어 아이들의 글자에 대한 가독성을 향상시켜 학습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자음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모음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사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자음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모음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놀이블록은 한글의 기본 구성과 같이 자음블록(10)과 모음블록(20)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예시되는 자음블록(10)과 모음블록(20)은 단면상 사각의 막대가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형태로 하였으며, 이외에도 상기 단면형상은 삼각, 또는 사각이상의 다각형태, 원형태의 막대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자음블록(10)은 자음기본블록(11), 자음조각블록(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음기본블록(11)은 복합자음을 제외한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 중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제외한 9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합자음은 "ㄲ, ㄸ, ㅃ, ㅆ, ㅉ" 등이며, 14개의 기본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이고, 후술될 자음조각블록(12)과 함께 조합되는 단일자음을 제외한 자음은 "ㄱ, ㄷ, ㄹ, ㅁ, ㅂ, ㅇ, ㅌ, ㅋ, ㅍ"의 9개가 된다.
상기 자음조각블록(12)은 상기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표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막대형태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자음조각블록에 의해 조합되는 단일자음은 "ㅈ, ㅊ, ㅎ"이 되며, 상기 기본자음과, 상기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자음을 제외한 "ㄴ, ㅅ"은 자음기본블록(11)인 "ㄱ"을 반대로 또는 경사형성하여 표현하게 된다.
상기 모음블록(20)은 획모음블록(21), 모음조각블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획모음블록(21)은 모음을 형성하기 위해 막대형태의 구성이며, 상기 모음조각블록(22)은 획모음블록(21)과 결합되어 모음을 완성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모음조각블록(22)은 획모음블록(21)과 조합되어 "ㅣ, ㅡ"를 제외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음블록(20)은 2개의 획모음블록(21) 또는 이와 모음조각블록(22)을 조합하여 복합모음인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모음블록(20)은 획모음블록(21)과 모음조각블록(22)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결합부(30)를 갖추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30)는 모음이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획모음블록(21)의 일측변과 모음조각블록(22)의 적어도 일 끝단에는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한 결합부(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음조각블록(22)에는 단일의 결합부(30)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획모음블록(21)에는 " ㅏ, ㅓ, ㅗ, ㅜ"와 "ㅕ, ㅛ, ㅠ"를 모듀 표현하기 위해 3개의 결합부(30)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0)는 일측의 블록에 결합돌기를, 타측의 돌기에 결합홈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각 블록의 수려한 미관을 위해 상기 결합부(30)는 각 블록(10, 20)의 끝단 내측에 결합된 자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자음블록(10)과 모음블록(20)에는 한글을 표현할 때, 각 글자의 표현순서를 학습하도록 하기 위한 획순서표시부(40)가 갖추어져 구성된다.
상기 획순서표시부(40)는 자음블록(10)과 모음블록(20)의 표면에 표시창(41)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창(41)에는 다수의 숫자표시편(42)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창(41)의 일측에는 숫자표시편(42)을 보다 편리하게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투입될 공간이 되는 착탈홈(4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획순서표시부(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외에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이상의 다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한글의 글자에서 그 크기와 서체에 지배적인 영향을 끼치는 자음은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때 아이들의 가독성(문자, 기호 또는 도형이 얼마나 쉽게 읽히는가 하는 능률의 정도를 의미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가독성과 관련하여 시야에서 한점을 집중하여 주시할 때 한점에 대한 인지가 가장 효율적이게 됨을 응용한 것으로, 상기 자음기본블록(11)은 정사각을 한점으로 응용하여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자음기본블록(11)은 기본 적으로 가로(A)와 세로(A)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3개 이상의 가로획이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자음기본블록(11)과, 2개 이상 세로획의 외측으로 벗어난 자음기본블록(11), 즉, "ㅌ, ㅍ"은 정사각 형태로 표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획의 두께(B)만큼 가로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참고적으로, 훈민정음해례본(훈민정음 해설서)에 표현된 한글은 각각의 자음이 최대한 정사각 형태의 돋음체 획형(한글글꼴 용어사전 참조)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표현된 자음기본블록(11)도 훈민정음해례본에 표현된 글자의 형태와 같이 최대한 정사각 형태로 표현될 수 있게 되어 한글을 학습하는 아이들에게 한글의 창제 역사를 보다 자연스럽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한글에 대한 우수성과 자긍심을 갖도록 할 수 있게 된다.
10: 자음블록 11: 자음기본블록
12: 자음조각블록 20: 모음블록
21: 획모음블록 22: 모음조각블록
30: 결합부 40: 획순서표시부

Claims (4)

  1. 복합자음을 제외한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 중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제외한 9개의 자음기본블록(11)과, 상기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자음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형태의 자음조각블록(12)으로 이루어진 자음블록(10);
    모음을 형성하기 위해 막대형태의 획모음블록(21)과, 획모음블록(21)과 결합되어 모음을 완성하는 모음조각블록(22)으로 이루어진 모음블록(20);
    을 포함하고,
    상기 모음블록(20)은 획모음블록(21)과 모음조각블록(22)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음이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획모음블록(21)의 일측변과 모음조각블록(22)의 적어도 일 끝단에는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한 결합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자음블록(10)과 모음블록(20)에는 한글을 표현할 때, 각 글자의 표현순서를 학습하도록 하기 위한 획순서표시부(40)가 갖추어져 구성되되,
    상기 획순서표시부(40)는 자음블록(10)과 모음블록(20)의 표면에 표시창(41)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창(41)에는 다수의 숫자표시편(42)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표시창(41)의 일측에는 숫자표시편(42)을 보다 편리하게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투입될 공간이 되는 착탈홈(43)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기본블록(11)은
    가로(A)와 세로(A)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3개 이상의 가로획이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자음기본블록(11)은 획의 두께만큼 세로로 확장되고, 2개 이상 세로획의 외측으로 벗어난 자음기본블록(11)도 획의 두께(B)만큼 가로로 확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KR1020140116655A 2014-09-03 2014-09-03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KR10168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55A KR101685373B1 (ko) 2014-09-03 2014-09-03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55A KR101685373B1 (ko) 2014-09-03 2014-09-03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08A KR20160028108A (ko) 2016-03-11
KR101685373B1 true KR101685373B1 (ko) 2016-12-12

Family

ID=5558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655A KR101685373B1 (ko) 2014-09-03 2014-09-03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369B (zh) * 2016-11-23 2021-12-28 刘旭峰 毛笔书法拼接玩具及其适用的毛笔书法固定板
CN110444090A (zh) * 2019-09-17 2019-11-12 金莲姬 韩语学习道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24B1 (ko) 2009-02-10 2009-12-01 한재준 자모 조합체계에 의한 한글 구현도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55Y1 (ko) * 1982-12-17 1984-09-13 심재훈 조립식 블록완구를 겸한 한글.숫자.영문 교습구
KR200469803Y1 (ko) * 2011-11-30 2013-11-13 (주)문화예술에이지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24B1 (ko) 2009-02-10 2009-12-01 한재준 자모 조합체계에 의한 한글 구현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08A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67018S1 (en) Font
WO2015119605A8 (en) Ideograms based on sentiment analysis
JP2015523662A5 (ko)
KR200469803Y1 (ko)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101685373B1 (ko)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US8475170B2 (en) Tool for realiz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a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system
KR101777545B1 (ko)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CN104050846B (zh) 玩字、画字、写字练习装置及使用方法
KR101376852B1 (ko)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CN202258004U (zh) 一种格图式教学用具
KR101036877B1 (ko) 아랍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KR20120005639U (ko) 독서용 투시창
KR20150066417A (ko) 문자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402935B1 (ko) 한글 학습 교구와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CN201965790U (zh) 幼教学习模卡
CN203721044U (zh) 一种语文易混字识别教具
CN204375223U (zh) 学生练字板
KR20150132916A (ko) 정통 속성 한글 학습 방법
KR20150124157A (ko)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CN204480519U (zh) 一种拼汉字教具
Chatterjee Designing a New Digital Font for Modi-Script
CN205238947U (zh) 一种多功能黑板盒
Kuin Ash Chest of Sextus Pompeius Lapeius
CN202443589U (zh) 一种组合俄语单词和词组的教具
CN201838217U (zh) 凹印速成儿童书写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