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868B1 -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868B1
KR101684868B1 KR1020140087023A KR20140087023A KR101684868B1 KR 101684868 B1 KR101684868 B1 KR 101684868B1 KR 1020140087023 A KR1020140087023 A KR 1020140087023A KR 20140087023 A KR20140087023 A KR 20140087023A KR 101684868 B1 KR101684868 B1 KR 10168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information
health
user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067A (ko
Inventor
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바일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바일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바일닥터
Priority to KR102014008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868B1/ko
Priority to CN201580032283.0A priority patent/CN106663303A/zh
Priority to US15/324,771 priority patent/US20170262588A1/en
Priority to JP2016574009A priority patent/JP6325696B2/ja
Priority to PCT/KR2015/007155 priority patent/WO2016006954A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7Home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ethics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건강상태 분석부; 및 상기 건강상태 분석부에 의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대응방안 도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HEALTH CARE SYSTEM AND HEALTH CARE METHOD FOR YOUNG CHILD}
본 발명은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소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 운영되는 평일 낮이나 토요일 오전에는, 환자가 몸에 이상을 느끼는 경우 병원에 즉각 방문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의료 공백에 대한 문제가 없다. 그러나, 평일 밤이나 토요일 오후, 일요일에는 응급실을 제외한 병원 시설의 운영이 중단된다. 물론 환자가 응급실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한정된 수의 응급실만 운영되는 실정이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에 응급실이 없거나, 응급실에 가기에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발열로 인해 통증을 느끼는 경우와 같이, 응급실에 가야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명확한 판단이 서지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람들은 대중적인 의료 서적을 참고하거나, 개인 블로그 등의 웹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의학지식 또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되는 의학지식을 참고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일반인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8757호
환자가 성인이라면, 스스로가 자신의 몸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신체적으로 면역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중화된 의학지식 등에 기초하여 대처를 하더라도 건강 상에 큰 무리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소아인 경우, 특히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영ㆍ유아라면, 환자가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표현 및 판단을 하기 어려우며, 비전문가인 부모가 소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 역시 어렵다. 그리고, 소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부모의 판단에 따라 대응하는 경우, 잘못된 대응으로 인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소아에게 해열제를 먹이려고 하더라도, 어떤 종류의 해열제를 먹여야 하는지, 해열제를 어느 정도의 용량으로 복용시켜야 하는지 등에 대하여 판단을 하여야 하므로, 부모가 올바르게 대응하기란 쉽지않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도출할 때, 소아의 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등 다양한 요소(factor)를 더 고려함으로써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의료 전문가에게 제공함으로써, 소아가 소아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해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하거나 추후에 병원에서 진찰을 받을 때, 의료 전문가가 충분한 정보에 근거하여 올바른 의학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건강상태 분석부; 및 상기 건강상태 분석부에 의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대응방안 도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소아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도출할 때, 소아의 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등 다양한 요소(factor)를 더 고려함으로써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의료 전문가에게 제공함으로써, 소아가 소아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해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하거나 추후에 병원에서 진찰을 받을 때, 의료 전문가가 충분한 정보에 근거하여 올바른 의학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의 이용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저장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의 정보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의 이용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고,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저장부(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의 정보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소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과 사용자 단말(100) 사이의 통신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용되는 네트워크는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컨대 이동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PC,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과의 연결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에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을 통해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소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외부 센서(2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연동된 외부 센서(200)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체온계(200a)와 연동된 경우, 체온계(200a)는 소아 또는 부모의 체온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체온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될 수 있는 장치는 체온계(200a) 등의 외부 센서(200)로 제한되지 않으며, 소아의 상태정보 또는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전술한 전용 프로그램(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외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는 것 이외에, 사용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110)는 소아의 상태정보,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및 소아의 신체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10)가 체온계(200a)를 이용하여 소아의 체온을 측정한 후, 측정된 체온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110)가 소아의 증상을 관찰하고 소아의 증상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등은, 사용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외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110)는 예컨대 소아의 부모를 포함하여 소아를 돌보는 보호자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연동된 외부 센서(200) 또는 사용자(1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수신부(10), 저장부(20), 건강상태 분석부(30), 대응방안 도출부(40), 제어부(50) 및 송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구현할 수도 있다.
수신부(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부(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등을 포함하는 소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수신부(1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부(10)는 후술하는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 서버(300) 또는 외부 기기(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부(10)는 예컨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일종의 통신 모듈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장부(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저장부(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신체정보 및 개인건강기록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개인건강기록(PHR), 그리고 소아의 건강상태 분석과 대응방안 도출 시에 참조가 되는 참조자료 등을 더 저장할 수 있지만, 저장부(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20)는 상태정보 저장부(21), 환경정보 저장부(22), 개인건강기록 저장부(24), 신체정보 저장부(23) 및 참조자료 저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저장부(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태정보 저장부(2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소아의 상태정보는 소아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예컨대 소아의 체온정보와 소아의 증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아의 증상정보는 구토, 설사, 기침 등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소아로부터 관찰되는 증상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소아의 상태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소아에 대해 실시한 투약정보 또는 응급처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소아의 체온정보 이외에 소아의 증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소아의 체온정보만을 고려하여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는 것에 비하여 충분한 정보에 근거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이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소아의 체온정보가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체온의 변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는 체온 차트가 생성될 수 있다.
환경정보 저장부(22)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변 환경정보는 소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 관한 정보로서, 예컨대 소아의 부모 중 적어도 하나의 체온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주변의 온도, 습도, 소음의 정도, 시간,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환경정보 저장부(22)에 의해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소아가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소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110)가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통해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 의료 전문가에게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전문가가 객관적인 정보를 통해 소아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저장부(20)가 소아의 체온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소아의 부모의 체온정보를 가지고 있다. 체온은 이용되는 체온계의 특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의 체온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체온계의 특성 또는 이상유무에 대한 판단이 불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아의 부모의 체온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부모의 체온정보와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체온계의 신뢰성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신체정보 저장부(2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신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소아의 신체정보는 예컨대 나이(또는 개월수), 신장 및 체중 등 소아의 신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저장부(20)에 소아의 신체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소아의 신체정보에 따른 건강상태의 분석이나 대응방안의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소아는 나이(또는 개월수)에 따라 신체적인 특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투약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인건강기록 저장부(24)는 도 4를 참조하면, 개인건강기록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개인건강기록은 개인의 모든 건강 정보를 담은 기록으로서, 개인의 병력이나 치료 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건강기록은 이를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버(30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개인건강기록 서버(300)로부터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개인건강기록을 통해 소아의 과거 병력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참조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를 정할 수 있으며, 대응 방안을 도출할 때도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할 수 있다.
참조자료 저장부(25)는 참조자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참조자료는 후술하는 건강상태 분석부(30)에서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거나, 대응방안 도출부(40)에서 소아의 건강상태에 따른 대응방안을 도출할 때 참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참조자료는 소아의 체온 및 증상에 대응하는 소아의 건강상태가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소아의 건강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대응방안 또한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강상태 분석부(30)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저장부(20)에 소아의 신체정보와 소아의 개인건강기록 등이 더 저장된 경우, 건강상태 분석부(30)는 소아의 신체정보와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함께 고려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상태 분석부(30)는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용이하도록 저장된 정보를 가공하거나 배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건강상태 분석부(30)는 소아의 체온정보의 시간대별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아의 체온이 얼마나 변화했는지와 변화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건강상태 분석부(30)는 소아의 체온정보와 함께, 부모의 체온정보 또는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의 주변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것은 저장된 정보 또는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소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의심되는 질환이나 병명을 도출할 수 있고, 응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소아의 건강상태 분석을 위해 참조자료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건강상태 분석부(30)는 저장된 정보 또는 처리된 정보에 대응되는 소아의 건강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단순히 소아의 체온정보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정보가 이용되어 소아가 어떠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지가 고려될 수 있으며, 소아의 신체정보를 통해 소아의 나이, 체중 및 신장 등이 고려될 수 이고,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통해 소아의 과거 병력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한 가지 요소만을 고려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대응방안 도출부(40)는 건강상태 분석부(30)에 의한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대응방안 도출부(40)에서 도출되는 사용자의 대응방안은 소아를 돌보는 사용자(110)가 수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예컨대 해열제 복용방안과 같이 의사의 처방없이 복용할 수 있는 약에 대한 투약방안이거나, 얼음 찜질과 같이 사용자가 소아에 대해 실시할 수 있는 응급처치방안일 수 있다.
해열제 복용 방안을 예로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응방안 도출부(40)는 소아의 신체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정도의 해열제를 투약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물약, 악약 및 좌약 중 어느 종류의 해열제를 소아에게 투약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고, 이 밖에 해열제 복용 간격에 대한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사용자(110)에게 간략한 지침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제공하므로, 사용자(110)가 어렵지 않게 대응방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응방안 도출부(40)는 사용자의 응급실 방문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건강상태 분석부(30)에 의한 분석결과, 응급한 상황으로 판단되어 의료 전문가에 의한 정밀 진단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 대응방안 도출부(40)는 사용자(110)가 응급실에 방문할 것을 대응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대응방안 도출부(40)는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응급실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110)가 응급실에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아의 정보를 제공해달라는 요청이 있다면, 제어부(50)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소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사용자(110)가 지정하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 등의 응급실과 관련된 외부 기기(400)에 소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건강상태 분석부(30)에 의해 분석된 분석결과와, 대응방안 도출부(40)에 의해 도출된 대응방안은,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6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110)는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저장부(20)를 포함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소아에 대한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송신부(60)를 통해 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소아의 체온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50)는 송신부(6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저장된 소아의 체온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되는 소아의 체온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에 따라, 저장부(20)에 저장된 소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지정한 외부 기기(40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병원과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연동이 가능하여 의사에게 진료를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50)는 의료 전문가와 연결된 외부 기기(400)를,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1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50)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소아에 대한 정보를 의료 전문가와 연결된 외부 기기(400)에 제공함으로써, 의료 전문가가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일정시간마다 소아의 체온정보를 포함하여 소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송신수(6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외부 센서(200)에 측정된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거나, 사용자(110)에게 정보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송신부(60)는 예컨대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일종의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의 기술적 특징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사항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의 상태정보 또는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감지할 외부 센서(200)와 연동을 할 수 있다(S10).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는 외부 센서(200)는 제한이 없으며, 연동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110)는 직접 입력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100)에 소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외부 센서(200)는 감지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0에 제공할 수 있다(S20).
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110) 또는 외부 센서(200)로부터 제공된 소아에 대한 정보를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전송할 수 있다(S30).
이어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S40). 다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신체정보 등이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더 저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인건강기록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이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0)에 더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50). 필요에 따라, 소아의 신체정보 또는 개인건강기록이 소아의 건강상태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S60).
이어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의 대응방안이 전송될 수 있다(S70). 다만, 필요에 따라서, 분석된 소아의 건강상태의 분석결과 또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된 대응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소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지정된 외부 기기(40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110).
이에 따라,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저장된 소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지정된 외부 기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건강관리 방법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에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S210).
이어서,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은 지정된 의료 전문가가 연결된 외부 기기(400)에 상담을 요청하고 상담 대상의 소아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20).
이에 따라,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이 사용자 단말(100)과 외부 기기(400) 사이에서 상담 내용을 송수신함으로??(S230). 사용자(110)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1)을 통해 의료 전문가에게 소아의 건강상태 및 대응방안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10: 수신부
20: 저장부 21: 상태정보 저장부
22: 환경정보 저장부 23: 신체정보 저장부
24: 개인건강기록 저장부 25: 참조자료 저장부
30: 건강상태 분석부 40: 대응방안 도출부
50: 제어부 60: 송신부
100: 사용자 단말 110: 사용자
200: 외부 센서 200a: 체온계
300: PHR 서버 400: 외부 기기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소아의 상태정보는 소아의 체온정보 및 소아의 증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아의 상태정보는 소아에 대해 실시된 투약정보 또는 응급처치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아의 증상정보는 소아로부터 관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증상에 관한 정보인,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건강상태 분석부; 및
    상기 건강상태 분석부에 의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대응방안 도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방안 도출부는,
    복용약 종류, 복용약 투약량 및 복용약 투약간격을 도출하여 복용약 투약방안을 제공하고,
    상기 건강상태 분석부의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가 응급상황인 경우, 응급실 방문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부모의 체온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모의 체온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된 장치의 특성 또는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신체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건강상태 분석부는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및 소아의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상기 대응방안 도출부는 소아의 신체정보에 부합하는 상기 복용약 투약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외부의 개인건강기록 서버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더 저장하고,
    상기 건강상태 분석부는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 및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것이며,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소아의 병력정보 및 치료이력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직접 입력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외부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아건강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된 것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9.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소아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소아의 상태정보는 소아의 체온정보 및 소아의 증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아의 상태정보는 소아에 대해 실시된 투약정보 또는 응급처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아의 증상정보는 소아로부터 관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증상에 관한 정보인, 정보저장단계;
    저장된 소아의 상태정보와 소아의 주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소아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방안 도출단계는,
    복용약 종류, 복용약 투약량 및 복용약 투약간격을 도출하여 복용약 투약방안을 제공하고,
    건강상태 분석부의 소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가 응급상황인 경우, 응급실 방문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건강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단계는,
    부모의 체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모의 체온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된 장치의 특성 또는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아건강관리 방법.
KR1020140087023A 2014-07-10 2014-07-10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KR10168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023A KR101684868B1 (ko) 2014-07-10 2014-07-10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CN201580032283.0A CN106663303A (zh) 2014-07-10 2015-07-09 少儿健康管理系统及少儿健康管理方法
US15/324,771 US20170262588A1 (en) 2014-07-10 2015-07-09 Chil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child health management method
JP2016574009A JP6325696B2 (ja) 2014-07-10 2015-07-09 小児の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小児の健康管理方法
PCT/KR2015/007155 WO2016006954A1 (ko) 2014-07-10 2015-07-09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023A KR101684868B1 (ko) 2014-07-10 2014-07-10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67A KR20160007067A (ko) 2016-01-20
KR101684868B1 true KR101684868B1 (ko) 2016-12-20

Family

ID=5506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023A KR101684868B1 (ko) 2014-07-10 2014-07-10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62588A1 (ko)
JP (1) JP6325696B2 (ko)
KR (1) KR101684868B1 (ko)
CN (1) CN106663303A (ko)
WO (1) WO2016006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986B1 (ko) * 2018-11-23 2019-07-31 예다움 주식회사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KR102268304B1 (ko) * 2019-06-11 2021-06-22 김민후 대변 이미지를 이용한 영유아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90833A (ko) 2020-01-13 2021-07-21 알로코리아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57A (ko) 1999-07-03 2001-02-05 김해수 체온 측정 장치
KR100542485B1 (ko) * 2002-10-09 2006-01-20 장병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US7482935B2 (en) * 2003-10-28 2009-01-27 Jung Kook Lee Baby health monitoring system
JP2006107159A (ja) * 2004-10-06 2006-04-20 Aprica Kassai Inc 乳幼児発育診断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163817A (ja) * 2004-12-07 2006-06-22 Nec Fielding Ltd 病院予約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762966B1 (ja) * 2005-07-20 2006-04-05 クオリティ株式会社 体調管理用携帯端末装置および体調管理プログラム
KR100955002B1 (ko) * 2008-10-14 2010-04-27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웹서버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JP2013041479A (ja) * 2011-08-18 2013-02-28 Shining Inc トリアージシステム
KR20130030401A (ko) * 2011-09-19 2013-03-27 김중현 병의원 및 건강관리자 상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5966446B2 (ja) * 2012-03-02 2016-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ンタルケア支援システム、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04905A1 (en) * 2012-06-27 2014-01-03 Ryan Boucher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KR102037416B1 (ko) * 2012-12-17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KR20140102428A (ko) *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토브넷 케어기버와 연계되는 원격 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605911A (zh) * 2013-12-11 2014-02-26 东南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6044A (ja) 2017-09-07
KR20160007067A (ko) 2016-01-20
JP6325696B2 (ja) 2018-05-16
US20170262588A1 (en) 2017-09-14
CN106663303A (zh) 2017-05-10
WO2016006954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45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Evans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for older adults and those with heart failure: adherence and system usability
Latif et al. I-CARES: advancing health diagnosis and medication through IoT
ES2807476T3 (es) Sistema de atención al paciente que informa de la adherencia a un régimen de tratamiento
KR102293340B1 (ko) 생리학적 데이터의 제시
US20140257837A1 (en)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JP7355826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非依存のリアルタイム医療データ表示システム
Eggerth et al. Medication management nee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based approaches, including telehealth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O2015143085A1 (en) Techniques for wellness monitoring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CN111512382A (zh) 患者护理系统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KR101684868B1 (ko)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US20210043302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Mars et al. Electronic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for Healthcare
US20210065856A1 (en) Patient management based on sensed inputs
Pecoraro et al. A conceptual model for integrating social and health care services at home: The H@ H project
Shen et al. Toward a nationwide mobile-based public healthcare service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CN112842302A (zh) 身体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
Collis et al. Telehealth in primary care: what's in it for me?
Latif et al. IoT Based Cloud Based Rx Healthcare Expert System
Cipriano The nation’s 3.4 million registered nurses—a force for health
Donati et al. Exploiting Biomedical Sensors for a Home Monitoring System for Paediatric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Technologies 2021, 9, 56
Khan et al. Applications of 4.0 Technologies in Healthcare
US20200126677A1 (en) Digital patient engagement
Negar Towards mHealth solutions for asthma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