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986B1 -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986B1
KR102005986B1 KR1020180146648A KR20180146648A KR102005986B1 KR 102005986 B1 KR102005986 B1 KR 102005986B1 KR 1020180146648 A KR1020180146648 A KR 1020180146648A KR 20180146648 A KR20180146648 A KR 20180146648A KR 102005986 B1 KR102005986 B1 KR 10200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ease
subject
terminal
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예다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다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다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대상자는 아이 및 산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모 단말 및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MOBILE HEALTH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건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이에 대한 분석정보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가의 의료기기뿐 아니라 일반적인 사용자가 쉽게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나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헬스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통합된 시스템에 기반한 헬스케어 서비스가 제공되기 어려우며, 서로 다른 서비스 간에 호환이 어려워 헬스케어 서비스의 핵심인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개인의 건강정보는 민감한 개인정보인 바, 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통합된 시스템에 기반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수집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3633호, 2017.03.06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은,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대상자는 아이 및 산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모 단말 및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로 전송하는, 대상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모 단말은, 상기 대상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부모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모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상자에 대한 진료 이력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델의 분석 결과로서 상기 대상자의 질병가능성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획득하고,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 및 상기 대상자의 질병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 및 상기 병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부모 단말은, 상기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두 개의 부모 단말이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각각 대응하는 두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획득하고, 상기 두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비교하되, 상기 두 대상자 모두 예방접종을 한 제1 질병, 상기 두 대상자 중 하나만 예방접종을 한 제2 질병 및 상기 두 대상자 모두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제3 질병으로 상기 예방접종 이력을 분류하고,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든 부모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이벤트의 생성 및 결과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생성된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노드들 중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노드들 중 서로 동일한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질병전파 맵을 생성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포함된 제1 부모 단말로부터 상기 제3 질병의 발병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질병전파 맵에서 상기 제1 부모 단말에 대응하는 제1 노드들 및 상기 제1 노드들과 연결된 모든 노드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부모 단말을 제외한 제2 부모 단말들에 상기 제3 질병의 전파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부모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3 질병의 발병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최초 발병자 및 전파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질병전파 맵에 표시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전파방향 및 속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발병가능성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제3 부모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부모 단말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은, 통합된 시스템에 기반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서버에 의하여 시스템 전반의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빅 데이터에 기반하여 개인의 건강상태 및 질병가능성을 예측하고, 예방접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대상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대상자 단말을 포함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병원 단말을 포함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병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술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특정 구성요소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술한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는 필요한 구성만을 예시적으로 제시하며, 본 발명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은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100)를 포함하고, 또한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부모 단말(200)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부모 단말(200)은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대상자는 아이 및 산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모 단말(200)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단말일 수도 있으며, 산모가 이용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산모는 임산부 혹은 출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부모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모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아이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임산부인 경우 부모 단말(200)은 임신중인 아이 및 임산부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모 단말(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산모수첩 혹은 육아일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태아에 대한 기록, 임산부의 건강관리 기록, 혹은 아이의 육아기록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취합되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상기 부모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10에서, 부모 단말(200)은 서버(100)에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건강상태 정보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대상자의 생체정보, 질병정보, 진료정보, 생활정보, 주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수집될 수도 있고, 부모 단말(200)에서 수집되는 위치정보, 검색정보, 부모 단말(200)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등에 기초하여 수집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20에서, 서버(100)는 부모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건강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부모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부모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가 자주 걸리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또한 대상자가 걸릴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빅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대상자가 걸릴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빅 데이터를 분류하고, 이로부터 대상자의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 단말(210)에 대응하는 대상자에 대하여, 다른 부모 단말들에 대응하는 대상자들 중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대상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클러스터링할 수 있고, 같은 그룹에 속하는 다른 대상자들에게 발생하는 질병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서로 유사한 질병의 발병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같은 그룹에 속하는 다른 대상자들에 대한 진료정보, 영양섭취정보, 처방정보 및 예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들에게 적합한 식단이나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특정 부모 단말(210)로부터 수집된 빅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모 단말(210)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건강을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부모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부모 단말(210)로부터 수집된 빅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모 단말(210)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건강검진 혹은 예방주사 일정을 생성하고, 이를 부모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다른 부모 단말(200)들로부터 수집된 빅 데이터를 부모 단말(210)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건강을 분석하거나, 건강검진 혹은 예방주사 일정을 생성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 전염병이 유행하는 경우, 비록 부모 단말(210)에 대응하는 대상자는 해당 전염병에 걸리지 않았어도, 해당 지역의 다른 부모 단말들로부터 해당 전염병에 대한 감염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부모 단말(210)에 해당 질병에 대한 예방주사를 맞을 것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강검진 혹은 예방주사 일정은 일반적인 주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나, 서버(100)는 부모 단말(2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부모 단말(210)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건강 정보로부터 대상자에게 개인화된 건강검진 및 예방주사 일정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서버(100)는 부모 단말(200)에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정보는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와, 자주 걸리는 질병 및 걸릴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예측정보, 그리고 이에 기초한 예방접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대상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은 부모 단말(200) 및 대상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대상자 단말(300)은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대상자 단말(300)은 아이의 손목에 착용되는 키즈워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대상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대상자의 맥박, 호흡, 체온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부모 단말(200)은 대상자 단말(3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부모 단말(200)은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 단말(200)은 대상자 단말(300)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에 대하여 추가적인 정보 혹은 부연설명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모 단말(200)은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대상자의 건강 히스토리 정보는 서버(100)에 의하여 생성되고, 부모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다. 부모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상자 단말을 포함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S210에서, 대상자 단말(300)은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S220에서, 대상자 단말(300)은 부모 단말(200)에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230에서, 부모 단말(200)은 부모 단말(200)의 처리결과 혹은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 단말(300)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은 대상자 단말(300)로 하여금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주기 및 수집하는 생체정보의 종류를 조정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특정 질병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해당 질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생체정보를 더 짧은 주기로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부모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병원 단말을 포함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은 대상자에 대한 진료 이력을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단말(400)은 병원에서 환자의 접수 및 진료이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컴퓨터 혹은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부모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병원 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부모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대상자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대상자의 생체정보, 부모 단말(20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 병원 단말(400)로부터 수집되는, 대상자의 진료정보를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대상자가 자주 걸리는 질병이나, 예측되는 질병에 대한 정보, 건강상 유의사항, 건강을 위한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등)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부모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병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S310에서, 병원 단말(400)은 서버(100)에 환자정보를 제공한다. 환자정보는 대상자의 진료정보 및 대상자의 진료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환자정보는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단계 S320에서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인공지능 모델과 상기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질병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 및 대상자의 질병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200) 및 상기 병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0).
또한, 부모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병원 단말(400)은 부모 단말(200)에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알림은 문자 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부모 단말(200) 들로부터 획득되는 예방접종 이력에 기초하여 전염병의 전파를 예방,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두 개의 부모 단말(200)이 서로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두 개의 부모 단말(200)에 포함된 GPS를 이용하여 두 개의 부모 단말(2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고, 각각의 부모 단말(2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두 부모 단말(200)이 서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두 개의 부모 단말이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벤트는 두 개의 부모 단말이 소정의 거리 내에서 소정의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발생할 수도 있고, 즉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두 부모 단말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각각 대응하는 두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획득하고, 상기 두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비교할 수 있다.
서버(100)는 예방접종이 필요한 질병들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질병들을, 두 개의 부모 단말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두 대상자 모두 예방접종을 한 제1 질병, 상기 두 대상자 중 하나만 예방접종을 한 제2 질병 및 상기 두 대상자 모두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제3 질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3 질병으로 분류된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정보를 두 개의 부모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둘 중 하나라도 예방접종을 하였다면 질병의 전파위험성이 낮으나, 둘 다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질병의 전파확률이 높으므로, 서버(100)는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제2 질병으로 분류된 질병에 대하여, 대상자가 예방주사를 맞지 않은 쪽의 부모 단말에 해당 제2 질병의 예방주사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이벤트 생성시 이에 대응하는 노드를 생성하고, 노드에는 두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와, 두 부모 단말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 및 이를 비교한 결과가 기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노드에는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든 부모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이벤트의 생성 및 결과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생성된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부모 단말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두 부모 단말이 서로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게 되는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를 생성하고, 정보를 기록하며, 또한 서버(100)는 각각의 생성된 노드 및 이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노드들 중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노드들 중 서로 동일한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질병전파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3 질병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노드들의 경우 제3 질병의 전파가 가능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각각의 부모 단말의 이동경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노드들 중 일 측에 동일한 부모 단말이 포함된 노드들을 가지(branch)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노드와 가지를 포함하는 트리 형태 혹은 그래프 형태의 자료구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질병전파 맵이라 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질병전파 맵에 포함된 제1 부모 단말로부터 상기 제3 질병의 발병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질병전파 맵에서 상기 제1 부모 단말에 대응하는 제1 노드들 및 상기 제1 노드들과 연결된 모든 노드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부모 단말을 제외한 제2 부모 단말들에 상기 제3 질병의 전파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질병전파 맵에서 서로 가지로 연결된 노드들은 제3 질병에 대한 전파가 가능한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경로 상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응하는 부모 단말에서 제3 질병에 대한 감염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경로에 포함된 모든 노드에 대응하는 부모 단말의 대상자에게 질병이 전염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질병의 전파가능성 및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경로로 연결된 노드라 하더라도, 동일한 부모 단말에 의하여 모두 연결된 노드들이 있을 수 있고, 특정 노드에서 상대방 부모 단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노드들이 있을 수 있다.
즉, 동일한 부모 단말에 의하여 모두 연결된 노드들의 경로인 경우 해당 부모 단말으로부터 질병감염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경로 상의 부모 단말들에 대응하는 대상자에게 질병감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특정 노드에서 상대방 부모 단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노드들의 경우 질병이 감염된 부모 단말로부터 상대방 부모 단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는 상대적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노드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감염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중간에 거쳐가는 다른 상대방 부모 단말이 많을수록 그 수에 따라 감염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이 발병한 대상자의 부모 단말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부모 단말의 경우 질병여부에 대한 진단을 권유하고, 질병이 발병한 대상자의 부모 단말과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모 단말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한 부모 단말의 경우 중간에 거친 부모 단말의 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단을 권유하거나, 예방주사를 맞도록 권유하거나, 특정한 권유를 하지 않고 단순히 주의, 주시하라는 의견만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질병전파 맵에 포함된 부모 단말들로부터 제3 질병의 발병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최초 발병자 및 전파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질병전파 맵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3 질병 발병여부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발병이 시작된 지점과, 상기 생성된 경로에 따라 질병이 전파된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질병이 전파된 경로에 대한 정보는 질병의 연구 및 질병의 전파원인을 연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질병의 전파를 막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질병이 전파된 경로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경로상에서 아직 질병에 걸리지 않은 대상자의 부모 단말에 진단 혹은 예방접종을 위한 안내메시지를 전달하여 질병의 전파를 늦추거나 막을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상기 질병전파 맵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전파방향 및 속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발병가능성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제3 부모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부모 단말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질병의 전파범위 및 속도는 질병의 전파정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서버
200 : 부모 단말
210 : 부모 단말

Claims (8)

  1.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대상자는 아이 및 산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모 단말; 및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두 개의 부모 단말이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각각 대응하는 두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획득하고, 상기 두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비교하되, 상기 두 대상자 모두 예방접종을 한 제1 질병, 상기 두 대상자 중 하나만 예방접종을 한 제2 질병 및 상기 두 대상자 모두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제3 질병으로 상기 예방접종 이력을 분류하고, 상기 두 개의 부모 단말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로 전송하는, 대상자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모 단말은,
    상기 대상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부모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모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 및 표시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상자에 대한 진료 이력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델의 분석 결과로서 상기 대상자의 질병가능성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상기 부모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을 획득하고,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이력 및 상기 대상자의 질병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예방접종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 및 상기 병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부모 단말은,
    상기 예방접종 시점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든 부모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이벤트의 생성 및 결과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생성된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노드들 중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노드들 중 서로 동일한 부모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질병전파 맵을 생성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포함된 제1 부모 단말로부터 상기 제3 질병의 발병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질병전파 맵에서 상기 제1 부모 단말에 대응하는 제1 노드들 및 상기 제1 노드들과 연결된 모든 노드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부모 단말을 제외한 제2 부모 단말들에 상기 제3 질병의 전파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부모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3 질병의 발병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최초 발병자 및 전파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질병전파 맵에 표시하고,
    상기 질병전파 맵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전파방향 및 속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질병의 발병가능성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제3 부모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부모 단말에 상기 제3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180146648A 2018-11-23 2018-11-23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0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48A KR102005986B1 (ko) 2018-11-23 2018-11-23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48A KR102005986B1 (ko) 2018-11-23 2018-11-23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986B1 true KR102005986B1 (ko) 2019-07-31

Family

ID=6747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648A KR102005986B1 (ko) 2018-11-23 2018-11-23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45B1 (ko) * 2022-01-17 2022-09-16 주식회사 프릭스헬스케어 영유아 건강정보를 이용한 원격진료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527A (ko) * 2011-08-17 2013-02-27 광주광역시 광산구 유아 주민등록증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정보 관리방법
KR20130089989A (ko) * 2012-01-26 2013-08-13 (주)유투바이오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7067A (ko) * 2014-07-10 2016-01-20 주식회사 모바일닥터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KR20170023633A (ko) 2015-08-24 2017-03-06 김윤혁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보상방법
KR20180036229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질병에 대한 발병 확률 예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527A (ko) * 2011-08-17 2013-02-27 광주광역시 광산구 유아 주민등록증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정보 관리방법
KR20130089989A (ko) * 2012-01-26 2013-08-13 (주)유투바이오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7067A (ko) * 2014-07-10 2016-01-20 주식회사 모바일닥터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KR20170023633A (ko) 2015-08-24 2017-03-06 김윤혁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보상방법
KR20180036229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질병에 대한 발병 확률 예측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45B1 (ko) * 2022-01-17 2022-09-16 주식회사 프릭스헬스케어 영유아 건강정보를 이용한 원격진료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20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brain health status
Sujith et al. Systematic review of smart health monitoring using deep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erma et al. Cloud-centric IoT based disease diagnosis healthcare framework
US99558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ealth management services
US20180350455A1 (en) Sensor-enabled mobile health monitoring and diagnosis
Bavaresco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context-aware model based on psychophysiology
JP2016504073A (ja) モバイル対応医療システム
Mayor et al. Targeting pregnant women for malaria surveillance
Bhavnani et al. Virtual care 2.0—a vision for the future of data-driven technology-enabled healthcare
Serhani et al. SME2EM: Smart mobile end-to-end monitoring architecture for life-long diseases
Luna-Perejón et al. IoT garment for remote elderly care network
US20230116079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Pise et al. Enabling ambient intelligence of things (AIoT) healthcare system architectures
KR102005986B1 (ko)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Sani et al. Review on hypertension diagnosis using expert system and wearable devices
Kumar et al. A framework of real-time wandering management for person with dementia
Li et al. Design and partial implementation of health care system for disease detection and behavior analysis by using DM techniques
Nag et al. Cybernetic health
Yfantidou et al. Uncovering Bias in Personal Informatics
WO2017105602A1 (en)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Thielfoldt Internet of medical things cybersecurity vulnerabilities and medical professionals’ cybersecurity awareness: a quantitative study
Baig et al. mHealth monitoring system for hospitalised older adults–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Bocicor et al.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for pervasive home monitoring and assisted living
More et al. AI-Based Diagnostic Test Prediction-An Effective Way to Handle the New Normal Era in Healthcare
US20240074661A1 (en) Wearable monitor an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