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12B1 - 토르티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토르티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812B1
KR101683812B1 KR1020140177820A KR20140177820A KR101683812B1 KR 101683812 B1 KR101683812 B1 KR 101683812B1 KR 1020140177820 A KR1020140177820 A KR 1020140177820A KR 20140177820 A KR20140177820 A KR 20140177820A KR 101683812 B1 KR101683812 B1 KR 10168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ortilla
gear
cut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626A (ko
Inventor
유성호
전영욱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틸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틸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틸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7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4Embossing machines with cutting and embossing rollers or dru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르티야 공급장치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납작하게 압출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가 제1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도록, 제1롤러는 제2롤러보다 큰 표면에너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르티야 공급장치는, 토르티야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롤러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제1롤러에 부착되어 있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를 커팅하여 상기 토르티야를 성형하는 커팅롤러와; 프레임에 고정되며, 성형된 토르티야를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일단부가 제1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판 형상의 스크레이퍼와; 스크레이퍼에 의해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지는 토르티야를 받아서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저렴한 비용으로도 단시간에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토르티야를 공급할 수 있는 토르티야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르티야 공급장치{Tortilla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납작한 토르티야 반죽 시트를 이용하여 토르티야를 성형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토르티야를 저렴하게 그리고 단시간에 용이하게 성형하여 공급 가능한 토르티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르티야는, 주로 멕시코를 비롯한 중앙 아메리카 일대,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즐겨 먹는 음식으로, 일반적으로, 옥수수 가루 또는 밀가루 등의 곡물가루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그리고 적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한 식재료를 일컫는다. 이러한 토르티야는, 그 위에 다른 다양한 식재료를 얹거나 싸서 먹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토르티야를 만드는 경우에, 반죽된 토르티야 반죽 원재료를, 작업자가 직접 납작하게 펴거나 혹은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하여 토르티야 원재료 반죽을 납작하게 성형한 후, 작업자가 적절히 커팅하여 소정의 외곽 형상을 가지는 토르티야를 성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토르티야 성형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성형 작업에 걸리는 시간도 많아지게 되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형된 토르티야를 정해진 위치로 공급하는 작업도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토르티야를 대량으로 생산 현장에서는 많은 양의 토르티야를 단시간에 생산하기 위한 장비가 있으나, 이러한 장비는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그러한 장비의 설치비용이나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장비의 유지보수도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렴하게 토르티야를 공급할 수 있는 토르티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르티야 공급장치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납작하게 압출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로부터 토르티야를 성형하여 공급하는 토르티야 공급장치로서: 상기 토르티야 반죽 시트가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도록,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2롤러보다 큰 표면에너지를 가지며;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외주면에 상기 토르티야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롤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롤러에 부착되어 있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를 상기 칼날에 의해 커팅하여 상기 토르티야를 성형하는 커팅롤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성형된 토르티야를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판 형상의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지는 토르티야를 받아서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1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저렴한 비용으로도 단시간에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토르티야를 공급할 수 있는 토르티야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 및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토르티야 공급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개략적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팅롤러와 지지체 부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프레임과 가동프레임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서의 지지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서의 커팅롤러가 제1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토르티야 반죽 시트가 압출되어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토르티야 반죽 시트를 커팅롤러에 의해 사각형의 외곽형상으로 커팅하여 형성한 토르티야들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제1롤러의 개략적 전개도이다.
도 11은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진 토르티야들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르티야 공급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르티야 공급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서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팅롤러와 지지체 부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프레임과 가동프레임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서의 지지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에서의 커팅롤러가 제1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토르티야 반죽 시트가 압출되어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토르티야 반죽 시트를 커팅롤러에 의해 사각형의 외곽형상으로 커팅하여 형성한 토르티야들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제1롤러의 개략적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르티야 공급장치(1)는, 소정의 간극(토르티야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극)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로 납작하게 압출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TS; 도 9 참조)로부터 토르티야(T; 도 10 참조)를 성형하고, 이를 임의의 위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토르티야 공급장치(1)는, 상기 제1롤러(10) 및 제2롤러(20)와 더불어, 프레임(30)과, 커팅롤러(40)와, 스크레이퍼(38)와, 스프링(60)과, 커팅롤러 이격수단과, 컨베이어(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롤러(10)의 표면(외주면)과 제2롤러(20)의 표면에는 모두, 후술하는 토르티야 반죽과의 부착력 감소를 위하여, 테프론(TEFLON; 상표명)이 코팅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로 압출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TS)가 제1롤러(10)측에 붙은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제1롤러(10)는 제2롤러(20)보다 큰 표면에너지를 가진다. 이처럼, 제1롤러(10)가 제2롤러(20)보다 큰 표면에너지를 가지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제1롤러(10)의 표면 거칠기를 제2롤러(20)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하는 방법, 혹은 제1롤러(10)의 표면에, 제2롤러(20)의 표면에 코팅되는 테프론보다 큰 표면에너지를 가지는 물성치의 테프론을 코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토르티야 공급장치의 기본 틀을 이루는 부분이며, 제1롤러(10) 및 제2롤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0)이, 제1롤러(10)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31)과, 제2롤러(20)를 지지하는 가동프레임(32)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동프레임(32)은 고정프레임(31)에 힌지(35)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그 힌지(35)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1)에 대해 벌어지는 방향(즉, 상기 제2롤러(20)가 제1롤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참조번호 35는, 가동프레임(32)이 일정각도 회전되었을 때 그 가동프레임(32)에 접촉면서 그 가동프레임(32)을 멈춰 세우도록, 가동프레임(32)에 마련된 걸림부이다. 이 걸림부(35)에 의해 고정프레임(31)에 대한 가동프레임(32)의 회동각도가 제한된다. 이처럼, 프레임(30)이 고정프레임(31)과 가동프레임(32)으로 이루어져 있게 되면, 프레임(30) 내부의 부품의 교환이나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가동프레임(32)을 고정프레임(31)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고정프레임(3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지지돌기부(311)와, 가동프레임(32)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너트부(321)와, 한 쌍의 볼트부재(36)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36)는 머리부(361)와 나사부(362)를 가진다. 이 볼트부재(36)의 나사부(362)가 지지돌기부(311)를 관통하여 결합너트부(321)에 나사결합되고, 머리부(361)는 지지돌기부(31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가동프레임(32)이 고정프레임(31)에 대해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팅롤러(40)는 몸체부(41)와, 이 몸체부(41) 양단에 마련된 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커팅롤러(40)의 외주면 즉 몸체부(41)의 외주면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토르티야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43)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형상이 사각형인 토르티야(T; 도 10 참조)를 성형하기 위하여, 커팅롤러(40)의 칼날(43)도 그 사각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43)은 커팅롤러(40)의 몸체부(41)의 양단부 전둘레에 걸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칼날부(431)들과, 이 칼날부들(431) 사이에서 커팅롤러(4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하나의 칼날부(4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칼날(43)이 토르티야 반죽 시트(TS)에 박혀서 제1롤러(10)에 접촉하는 상태로, 커팅롤러(40)가 1회전할 때마다, 사각형상의 토르티야(T)가 하나씩 형성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커팅롤러(40)는 지지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50)는 한 쌍의 지지판(51)과, 이 지지판(51)들이 각각 고정되며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52)과, 양단부가 상기 지지판(51)들에 고정되는 연결봉(53)을 구비하고 있다. 각 지지판(51)에는 커팅롤러(40)의 축부(42)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55)는, 상기 커팅롤러(40)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커팅롤러(40)의 축부(42)를 수용하여 받칠 수 있도록, 위쪽을 향해 열린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체(50)는, 커팅롤러(40)를 제1위치(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0)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와 제2위치(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는 납작한 토르티야 반죽 시트(TS)와 간섭되지 않게 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30)에 대해 제1방향(R1) 및 그 제1방향(R1)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R2)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R1)은, 커팅롤러(40)를 상기 제1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다.
상기 스크레이퍼(38)는,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TS)를 칼날(43)로 커팅하여 성형한 토르티야(T)를,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 스크레이퍼(38)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하단부)는 제1롤러(1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는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60)은, 지지체(50)에 지지되어 있는 커팅롤러(40)에 상기 제1위치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60)으로서, 일단이 지지체(50)의 연결봉(53)에 지지되고 타단이 프레임(30)에 지지되는 인장코일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60)은, 지지체(50)에, 커팅롤러(40)를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방향(R1)으로의, 회전력(탄성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양단을 연결봉(53)과 프레임(30)에 지지시킬 때, 미리 충분히 인장된 상태로 지지시킨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롤러(40)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체(50)에는 상기 제1방향(R1)으로의 탄성 가압력이 제공된다.
상기 커팅롤러 이격수단은, 스프링(6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커팅롤러(40)를, 제2위치로 이동시켜 두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커팅롤러 이격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캠부재(70)와, 스토퍼(3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부재(70)는, 지지체(50)의 지지판(51)들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캠(71)과, 그 한 쌍의 캠(71)이 고정되며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축(72)과, 캠축(72)에 고정되는 손잡이 레버(75)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롤러(40)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 레버(75)를 잡고 캠부재(70)를 일방향(A1)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까지 대략 180도 정도 돌리면, 그 캠부재(70)의 일방향(A1)으로의 회전시에 캠(70)들이 지지판(51)을 밀어서 지지체(50)를 제2방향(R2)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지지체(50)의 지지된 커팅롤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스토퍼(3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50)를 제2방향(R2)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캠부재(70)에 접촉함으로써, 그 캠부재(70)가 일방향(A1)으로 계속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30)에 마련된 것이다.
한편, 캠부재(70)가 일방향(A1)을 따라 도 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면서 캠(71)을 통해 지지체(50)를 밀어서 회동시키는 도중에, 캠(71)과 지지체(50) 간의 접촉점에서부터 캠(71)의 회동중심(캠축(72)의 중심)까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이, 스프링(60)에 의해 지지체(5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나란해지게 될 때의 캠(71)의 위치(이 위치를 '토글 포인트'라고 함)까지는, 스프링(60)에 의해 캠(71)에 상기 일방향(A1)과는 반대방향인 타방향(A2)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며, 캠(71)이 상기 토글 포인트보다 더 회전된 경우에는 반대로, 스프링(60)에 의해 캠(71)에 상기 일방향(A1)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캠(71)이 상기 토글 포인트를 지나게 되면 손잡이 레버(75)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캠부재(70)가, 스토퍼(314)에 걸려서 멈출 때까지(즉, 커팅롤러(4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상기 일방향(A1)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커팅롤러(40)가 제2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스토퍼(314)에 의해 상기 일방향(A1)으로의 회전이 방지된 캠부재(70)에는,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일방향(A1)으로의 회전력이 계속 가해지게 되며, 따라서, 캠부재(70)가 원치않게 타방향(A2)으로 회전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즉, 제2위치로 이동시켜둔 커팅롤러(40)가 원치않게 제1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프레임(30)(구체적으로는, 가동프레임(31))에는 모터(80; 도 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90)는, 제1롤러(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90)는, 스크레이퍼(38)에 의해 제1롤러(10)부터 떼어내지는 토르티야를 받아서 다른 위치(상기 토르티야를 받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베이어(90)는, 한 쌍의 풀리(91)와, 그 풀리(91)들에 감아걸린 이송 벨트(92)와, 이 이송 벨트(92)의 양측에 배치되어 프레임(30)에 고정되며 상기 풀리(91)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9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토르티야 공급장치(1)에는, 상기 모터(8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롤러(10)와 제2롤러(20)와, 컨베이어(90)의 풀리(91)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팅롤러(40)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 그 커팅롤러(40)도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기어(19)와, 제2기어(29)와, 착탈기어(49)와, 제3기어(99)와, 구동기어(8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기어(19)는 제1롤러(10)의 축(10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29)는 제2롤러(20)의 축(20a)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기어(10)에 맞물려 있다. 상기 착탈기어(49)는 커팅롤러(40)의 축부(4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착탈기어(49)는, 커팅롤러(40)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19)와 맞물린다. 그리고, 커팅롤러(4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착탈기어(49)는 제1기어(19)로부터 분리되면서 맞물림이 해제된다. 상기 제3기어(99)는 컨베이어(90)의 풀리(91)의 축(91a)에 고정되어 있으며, 한 쌍의 아이들 기어(199, 999)를 통해 제1기어(19)에 기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89)는 모터(80)의 축(81)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기어(29)에 맞물려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모터(80)가 회전하게 되면, 그 모터(80)의 회전력이, 상기 서로 기어연결된 기어들(89, 29, 19, 199, 999, 99)을 통해서, 제1롤러(10)와 제2롤러(20)와 풀리(91)에 전달되어, 그 제1롤러(10)와 제2롤러(20)와 풀리(9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커팅롤러(40)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커팅롤러(40)도 착탈기어(49)를 통해 제1롤러(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제1롤러(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90)의 풀리(91)의 회전에 의해 이송 벨트(92)도 주행하게 된다.
한편, 이송 벨트(92)의 주행속도가 제1롤러(10)의 선속도(linear velocity; 제1롤러의 외주면 상의 어느 한 점의 선속도)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송 벨트(92)의 주행속도가 제1롤러(10)의 선속도보다 크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롤러(10)의 외경이 그 제1롤러(10)의 축(10a)에 고정된 제1기어(19)의 피치원 지름보다 약간 작고, 풀리(91)의 외경은 그 풀리(91)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제3기어(99)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롤러(10)의 선속도는 제1기어(19)의 피치원(pitch circle)상의 한 점의 선속도보다 작고, 풀리(91)의 선속도(풀리(91)의 외주면 상의 어느 한 점의 선속도이며, 이는 이송 벨트(92)의 주행속도와 같다)는 제3기어(99)의 피치원상의 한 점의 선속도보다 크다. 제1기어(19)는 아이들 기어(199, 999)를 통해 제3기어(99)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기어(19)의 피치원상의 한 점의 선속도는 상기 제3기어(99)의 피치원상의 한 점의 선속도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 풀리(91)의 선속도 즉, 이송 벨트(92)의 주행속도는 상기 제1롤러(10)의 선속도보다 커지게 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199, 999)는, 상기와 같이 풀리(91)의 외경을 제3기어(99)의 피치원보다 크게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토르티야 공급장치(1)에 의해 토르티야를 성형하는 과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커팅롤러(40)가 도 3 및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롤러(10)와 제2롤러(20)의 상방에 토르티야 원재료 반죽(TM; 도 9 참조)을 올려두고, 모터(80; 도 5 참조)를 작동시키면, 상기 기어들(89, 29, 19, 199, 999, 99)을 통해서, 모터(80)에 연결되어 있는 제1롤러(10), 제2롤러(20), 풀리(91)가 그 모터(8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풀리(91)의 화살표(K) 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송 벨트(92)가 화살표(P)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롤러(10)와 제2롤러(20)가 회전함에 따라, 토르티야 원재료 반죽(TM)이 납작하게 압착되어 형성된 토르티야 반죽 시트(TS)가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를 통해서 하방으로 압출되어 나오게 된다. 이 때, 제1롤러(10) 표면에너지가 제2롤러(20)의 표면에너지보다 크므로, 상기 토르티야 반죽 시트(TS)는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나오게 된다.
토르티야 반죽 시트(TS)가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14)에 접촉하고 있던 손잡이 레버(75)를 상기 타방향(A2) 방향으로 도 7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50)에 접촉하고 있는 캠(71)은 상기 타방향(A2)으로 도 8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되고, 그 결과, 캠(71)에 의해 지지체(50)에 가해지던 힘이 없어지게 되어, 지지체(50)는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방향(R1)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체(50)에 지지되어 있는 커팅롤러(40)는,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커팅롤러(40)가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롤러(40)의 축(42)에 고정된 착탈기어(49)가 제1기어(19)에 맞물리게 되므로, 커팅롤러(40)가 제1롤러(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커팅롤러(40)가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제1롤러(10)에 부착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TS)가 커팅롤러(40)의 칼날(43)에 의해 찍혀서 사각형상으로 커팅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토르티야(T)가 연속적으로 성형되게 된다. 성형된 토르티야(T)들은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제1롤러(10)의 화살표(K)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스크레이퍼(38)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토르티야(T)가 이동하는 중에 스크레이퍼(38)와 만나게 되면, 계속되는 제1롤러(10)의 화살표(K) 방향의 회전에 의해 스크레이퍼(38)가 제1롤러(10)와 토르티야(T) 사이로 진입하면서 토르티야(T)를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게 된다.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진 토르티야(T)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P) 방향으로 주행하는 이송 벨트(92) 위로 떨어져서, 그 이송 벨트(92)를 타고 화살표(P)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벨트(92)의 주행속도가 제1롤러(10)의 선속도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롤러(10)에 부착되어 있다가 스크레이퍼(38)에 의해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져서 이송 벨트(92)로 떨어지게 되는 토르티야는, 먼저 떨어지기 시작하는 부분이 이송 벨트(92)에 먼저 닿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 벨트(92)의 주행속도는 제1롤러(10)의 선속도보다 크므로, 스크레이퍼(38)에 의해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지고 있는 토르티야의 각 부분 중에서 먼저 떼어내져서 이송 벨트(92)에 먼저 닿는 부분은, 아직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지지 않은 부분보다, 이송 벨트(92)와 함께 빠른 속도로 이동되며, 그 속도 차이에 의해 토르티야(T)는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떼어내지게 된다. 따라서, 토르티야가 제1롤러(10)로부터 완전히 떼어내져서 이송 벨트(92)로 떨어지게 될 때, 접히거나 하지 않고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 벨트(92)로 떨어져서 그 이송 벨트(92)와 함께 이송되는 토르티야(T)들 사이의 간격도, 제1롤러(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토르티야들간의 간격보다, 상기 이송 벨트의 주행속도와 제1롤러의 선속도간의 차에 대응하여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토르티야(T)들이 이송 벨트(92) 상에서 서로 조금이라도 겹치거나 할 우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이송 벨트(92)를 타고 컨베이어(90)의 하단측까지 이송된 토르티야(T)들은,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어 다른 위치로 옮겨지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서, 그 컨베이어(90)의 이송 벨트(92)로부터 떨어져서 그 위치에서 일정량 적층되어 있게 되거나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온 토르티야 반죽 시트(TS) 중 토르티야(T)로 성형된 부분의 양측에 남아 있게 되는 부분(TB)은 그 제1롤러(10)에 부착된 상태로 다시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위에 놓아 둔 토르티야 원재료 반죽(TM)까지 이동되어 그 원재료 반죽(TM)과 섞여서 다시,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로 시트 형태로 압출되어 나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르티야 공급장치(1)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토르티야를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컨베이어(90)를 이용하여 다른 위치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90)의 길이가 그다지 길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롤러(10)로부터 떼어내진 토르티야(T)를 비교적 먼 위치까지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까지 길게 연장되는 컨베이어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토르티야 성형 작업을 마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80)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그 모터(80)에 의해 회전하던, 제1롤러(10), 제2롤러(20), 커팅롤러(40), 풀리(91)의 회전 및 벨트(92)의 주행이 정지됨으로써, 더 이상의 토르티야 성형 작업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토르티야 성형 작업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 레버(75)를 잡고 캠부재(70)를 일방향(A1)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캠부재(70)를 일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지지체(50)를 밀어서 제2방향(R2)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 결과, 커팅롤러(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되어 있게 된다. 이처럼, 커팅롤러(40)를 제2위치로 이동시켜 두게 되면, 추후 다시 토르티야의 성형 작업을 시작할 때, 그 시작 시점에서는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로 압출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TS)가 커팅롤러(40)에 의해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압출되어 나올 수 있게 된다. 그 토르티야 반죽 시트(TS)의 초기 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팅롤러(40)를 제2위치로 이동시켜 두게 되면, 커팅롤러(40)의 청소나 교체 등을 위하여, 커팅롤러(40)를 지지체(5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36)를 상기 결합너트부(321)에 대한 이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가동프레임(32)이 고정프레임(31)에 대해 약간 회동되고 그 결과, 제2롤러(20)가 제1롤러(10)에 대하여 약간 후퇴하여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의 간극이 약간 커지게 된다. 이처럼,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사이의 간극이 약간 커지게 됨으로써, 성형되는 토르티야(T)의 두께를 그 간극 증가분만큼 두껍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30)이, 제1롤러(10)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31)과 이 고정프레임(32)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제2롤러(20)를 지지하는 가동프레임(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프레임(32)은 볼트부재(36)에 의해 고정프레임(31)에 대해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36)의 체결량을 조절하면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의 간극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두께가 다른 토르티야들을 성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께가 다른 토르티야를 성형하기 위하여,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의 간극이 각각 다른 여러 개의 장치들을 마련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만 마련하면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롤러(10)와 제2롤러(20) 위에 놓이는 토르티야 원재료 반죽(TM)이, 그 제1롤러(10)와 제2롤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거나 전후로 이동되어서 원하는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롤러(10)와 제2롤러(20)의 상방에, 상기 토르티야 원재료 반죽이 있게 될 공간을 한정하는 4각틀 형상의 이동방지체를 설치해 둘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토르티야(T)를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사각형상의 토르티야 성형을 위한 칼날(43)을 가지는 커팅롤러(40)를, 다른 형상의 칼날을 가지는 커팅롤러로 교환해 주기만 하면, 원형이나 그밖의 다른 외곽형상을 가지는 토르티야를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상기 지지체(50)에 형성되어서 커팅롤러(40)의 축부를 지지하는 수용부(55)가, 커팅롤러(40)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팅롤러(40)의 축부(42)를 수용하여 받칠 수 있도록, 위쪽을 향해 열린 형상을 가지도록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팅롤러(40)를 교환하고자 할 때, 예컨대 도 2 및 도 3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롤러(40)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그 커팅롤러(40)를 위로 들어올리면 그 커팅롤러(40)가 지지체(50)의 수용부(55)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고, 새로운 커팅롤러를 다시 상기 수용부(55)의 상방으로부터 그 수용부(55)에 넣어두기만 하면 커팅롤러의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커팅롤러의 교환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의 측벽부에, 상기 제2위치에 있는 상태의 커팅롤러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팅롤러를 교체하거나 혹은 커팅롤러의 청소를 행하거나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80)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89)가 제2기어(29)에 맞물린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동기어(89)가 제1기어(19)에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토르티야 공급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1...토르티야 공급장치
10...제1롤러 19...제1기어
20...제2롤러 29...제2기어
30...프레임 314...스토퍼
38...스크레이퍼 40...커팅롤러
49...착탈기어 50...지지체
60...스프링 70...캠부재
80...모터 89...구동기어
90...컨베이어 91...풀리
92...이송 벨트 99...제3기어
TS...토르티야 반죽 시트 T...토르티야

Claims (4)

  1.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납작하게 압출되어 나오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로부터 토르티야를 성형하는 토르티야 공급장치로서:
    상기 토르티야 반죽 시트가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도록,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2롤러보다 큰 표면에너지를 가지며;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외주면에 상기 토르티야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롤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롤러에 부착되어 있는 토르티야 반죽 시트를 상기 칼날에 의해 커팅하여 상기 토르티야를 성형하는 커팅롤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성형된 토르티야를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판 형상의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제1롤러로부터 떼어내지는 토르티야를 받아서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1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토르티야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풀리들에 감아걸려서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주행하는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풀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티야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에 고정된 제1기어와,
    상기 제2롤러에 고정되며,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린 제2기어와,
    상기 풀리에 고정되며, 상기 제1기어에 기어연결된 제3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하나에 기어 연결된 구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시에,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풀리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티야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의 주행속도는 상기 제1롤러의 선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티야 공급장치.
KR1020140177820A 2014-12-10 2014-12-10 토르티야 공급장치 KR10168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20A KR101683812B1 (ko) 2014-12-10 2014-12-10 토르티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20A KR101683812B1 (ko) 2014-12-10 2014-12-10 토르티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26A KR20160070626A (ko) 2016-06-20
KR101683812B1 true KR101683812B1 (ko) 2016-12-08

Family

ID=5635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820A KR101683812B1 (ko) 2014-12-10 2014-12-10 토르티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42A1 (ko) * 2018-09-18 2020-03-26 이동수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042A (ja) 2000-09-13 2002-03-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層状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54001B1 (ko) 1996-04-24 2004-12-17 가부시키가이샤 기분쇼꾸힝 판형의반죽식품재료를소정간격으로공급하는장치
JP3847588B2 (ja) 2001-08-24 2006-11-2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620B1 (ko) * 1985-02-01 1987-09-17 서충석 각초형 인조 연초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001B1 (ko) 1996-04-24 2004-12-17 가부시키가이샤 기분쇼꾸힝 판형의반죽식품재료를소정간격으로공급하는장치
JP2002085042A (ja) 2000-09-13 2002-03-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層状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847588B2 (ja) 2001-08-24 2006-11-2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42A1 (ko) * 2018-09-18 2020-03-26 이동수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26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381B2 (en) Bread conveying apparatus and bread packaging system
KR101654850B1 (ko) 토르티야 성형장치
KR101683812B1 (ko) 토르티야 공급장치
KR20150032049A (ko) 회전커터부의 자동위치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어류 필렛 머신
CN111002604A (zh) 一种片状模塑模压前处理设备
CN107433663B (zh) 一种自动喂料式芦苇剥皮机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US11259530B2 (en) Device for guiding and supplying dough to a dough processing or transporting means
CN203767496U (zh) 易清理、无残留螺旋输送机送料管
JP5420610B2 (ja) 除糞システム
JP2007185170A (ja) パン生地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KR102000760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0454001B1 (ko) 판형의반죽식품재료를소정간격으로공급하는장치
KR100962359B1 (ko) 베이커리용 정형시스템
CN210445476U (zh) 饼坯制作装置
JP2012223193A (ja) スライス肉片の搬出装置
CN105102095B (zh) 线材输送量调整装置
JP7011436B2 (ja) 棒状食材の供給方法及び棒状食材の供給装置
KR101836178B1 (ko) 떡 절단장치
CN205367153U (zh) 纸箱堆码机的卸货机构
JP6771124B2 (ja) 食品切断装置
JP4297028B2 (ja) ピザソース塗り機及びピザパイ製造システム
CN216722900U (zh) 一种蛋挞面皮下料装置
CN107712227B (zh) 粘性片状物料开条装置
JPH09201178A (ja) ひび入りゆで卵の殻剥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