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95B1 -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695B1
KR101682695B1 KR1020160099948A KR20160099948A KR101682695B1 KR 101682695 B1 KR101682695 B1 KR 101682695B1 KR 1020160099948 A KR1020160099948 A KR 1020160099948A KR 20160099948 A KR20160099948 A KR 20160099948A KR 101682695 B1 KR101682695 B1 KR 10168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tation
screen hole
shutt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권한조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to KR102016009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08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스크린 홀 셔터;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 각각과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는 타자가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을 해도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발사되지 않아 실제 경기에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안전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경기중인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로 투입되어 피칭 머신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예방되어 피칭 머신의 고장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 screen controlling apparatus for screen baseball and a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으로 인해 볼이 임의로 발사되는 것과 타자에 의해 타격된 타구가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피칭 머신을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하는 스크린 골프가 개발되어 인기를 끌게 되면서 스크린 야구 시스템도 개발되게 되었는데,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전방에 빔 프로젝터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뒷면에서 스크린 중앙부에 마련된 스크린 홀을 통해서 공을 투척하는 피칭 머신과, 스크린과 타자석 사이에서 타격된 공의 X, Y좌표를 파악할 수 있는 타격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기술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경우 소정의 영사장치가 스크린의 전면 측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재현하는 것으로, 타격자는 소정의 위치에 골프 공을 고정하여 놓고 스크린에 투영된 가상의 공간으로 타격을 진행함으로써 게임이 진행된다.
그런데, 골프의 경우 타격자만 존재하면 되고 타격되는 공이 정지하여 있기 때문에 경기의 진행이나 영상을 통한 이미지의 구현에 큰 문제가 없으나, 야구의 경우 가상의 야구장 공간을 형성하되 기본적으로 투수와 타자가 존재하여야 하고 투구 또는 타구에 따라 공이 소정의 궤적을 따라 현실적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야구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의 스크린은 피칭 머신 전방에 위치하면서, 소정의 프로젝터를 통하여 선수의 움직임을 보여 주는 야구경기 중계 화면에 준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스크린과 타석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피칭시 동일한 형상의 피처가 피칭 모션을 한다면 타자는 실제 거리에 따른 현실감을 느끼기가 어려울 것이므로, 스크린과 타석간의 거리에 따라 피칭 모션이 현실감 있게 보이도록 피처의 형상이 자유롭게 조절되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흰색의 천을 사용하나, 스크린 후면에 밝은 빛이 있을 경우 영상이 선명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막으로 스크린의 후면 광을 차단하기도 하고, 좀더 밝은 화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스크린의 앞 표면에 반사코팅을 추가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은 스크린 홀이 항상 개방되어 있음으로 인해 배후에 있는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중앙부에 구비된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 타자가 다음 타격을 위하여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으로 인해 볼이 임의로 발사되어 스크린 홀을 통과함으로써 타자를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기중인 타자가 친 강한 타구가 개방되어 있는 스크린 홀을 통과하게 될 경우 피칭 머신에까지 전달되어 피칭 머신의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경기 중인 타자가 투수의 투구 모션으로 타격의 타이밍을 잡도록 유도하여 타자로 하여금 경기의 리얼감을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는 타자가 스크린 홀을 계속 주시하면서 볼이 발사되는 시점에만 신경을 쓰게 되어, 실제 경기와 상이함으로 인해 경기 체험감이 반감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칭 머신에서 볼이 발사될 때에는 스크린의 스크린 홀이 개방되고,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는 타자가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는 피칭 머신이 오동작을 해도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발사되는 것과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홀을 폐쇄시키는 수단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KR 10-1394753 B1
본 발명의 목적은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 타자가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으로 인해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기중인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로 투입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칭 머신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는 스크린 홀 셔터;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 각각과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연동부는 일측이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1 와이어; 및 일측이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의 일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셔터 홀; 및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와이어의 일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셔터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스크린보다 작고 상기 스크린 홀보다 큰 크기를 가진 직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는 원형 스크린 홀 셔터; 상기 스크린 홀 셔터 상부에 위치하면서 회전하는 제3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원주부 일단과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원 궤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 회전축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상기 연동부는 일측이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원주부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3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3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원주부 일단에 상기 제3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셔터 홀; 및 원주부 타단에 상기 반원 궤적 회전의 편심축이 되는 셔터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은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에 연동부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구동부가 회전하는 단계; (b) 일측이 상기 연동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단계; (c)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부가 상기 회전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단계; (d) 상기 연동부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좌우로 이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이 개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은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부 내 제1 모터 회전축에 감겨있던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1 와이어는 풀리고,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2 와이어는 상기 회전부 내 제2 모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제1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개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은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부 내 제2 모터 회전축에 감겨있던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2 와이어는 풀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모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상기 제1 측과 반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은 스크린의 중앙부에 구비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원형 스크린 홀 셔터의 원주부의 일단에 연동부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반원 궤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구동부가 회전하는 단계; (b) 일측이 상기 연동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부가 회전하는 단계; (c)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연동부가 상기 회전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단계; (d) 상기 연동부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반원 궤적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반원 궤적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이 개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은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부인 제3 모터 회전축에 상기 연동부인 제3 와이어가 감기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반원 정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개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은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3 모터 회전축에 상기 제3 와이어가 풀리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반원 역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는 타자가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을 해도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발사되지 않아 실제 경기에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안전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경기중인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로 투입되어 피칭 머신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예방되어 피칭 머신의 고장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평상시 스크린 홀이 폐쇄된 상태(도 1a) 및 볼 피칭시 스크린 홀이 개방된 상태(도 1b)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장치 내 스크린(100), 스크린 홀 셔터(200), 한 쌍의 제1 및 제2 와이어(310, 320), 제1 및 제2 모터(410, 420),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정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장치 내 스크린(100), 스크린 홀 셔터(200'), 제3 와이어(330), 제3 모터(430), 제3 모터 회전축(530) 및 셔터 회전축(2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정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평상시 스크린 홀이 폐쇄된 상태(도 1a) 및 볼 피칭시 스크린 홀이 개방된 상태(도 1b)에 대한 구성도로서, 이러한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는 스크린(100), 스크린 홀 셔터(200), 한 쌍의 제1 및 제2 와이어(310, 320)를 포함하는 연동부(300), 제1 및 제2 모터(410, 420)를 포함하는 구동부(400),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를 포함하는 회전부(5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와 상호 연동하거나 연관성이 있는 신호 수신부(600), 타격 감지 센서(650), 정보 처리부(700), 휠 부(750) 및 모터 제어부(800)가 개시되어 있고, 스크린(100)은 스크린 홀(110)을 포함하며, 스크린 홀 셔터(200)는 2 쌍의 셔터 홀(210, 22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장치 내 스크린(100), 스크린 홀 셔터(200), 한 쌍의 제1 및 제2 와이어(310, 320), 제1 및 제2 모터(410, 420),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크린(100)은 중앙부에 스크린 홀(110)을 구비하고, 소정의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타격 영상 및 시뮬레이션 영상을 전달받아 경기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스크린 홀 셔터(200)는 스크린(100)보다 작은 크기지만 스크린 홀(110)보다 큰 직사각형 커버로서,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셔터 홀(210, 220)을 구비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100)의 스크린 홀(110)을 개폐한다. 이때, 재질은 스크린(100)과 유사한 직포 재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홀 셔터(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셔터 홀(210, 220) 중 한 쌍의 셔터 홀(210)은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홀 셔터(200)의 일측에 위치하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다른 한 쌍의 셔터 홀(220)은 스크린 홀 셔터(200)의 타측에 위치하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다만, 스크린 홀 셔터(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셔터 홀(210, 220)의 형성 위치는 한 쌍의 제1 와이어(310)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320)와의 연결에 따른 스크린 홀 셔터(200)의 원활한 이동이 확보될 수 있다면, 상기한 위치 이외의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와이어(310)는 일측이 스크린 홀 셔터(200) 일측의 한 쌍의 셔터 홀(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모터 회전축(510)에 연결되어 제1 모터(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스크린 홀 셔터(20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한 쌍의 제2 와이어(320)는 일측이 스크린 홀 셔터(200) 타측의 한 쌍의 셔터 홀(2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모터 회전축(520)에 연결되어 제2 모터(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스크린 홀 셔터(20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제1 및 제2 모터(410, 420)는 모터 제어부(800)의 제어에 응답하여 회전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을 각각 정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역방향(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은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에 응답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제1 및 제2 와이어(310, 320)를 각각 감거나 푼다.
신호 수신부(600)는 타석에 위치한 타격용 페달(50)의 밟음으로 발생한 개시 신호를 인가받아 정보 처리부(700)로 전송한다.
이때, 신호 수신부(600)가 인가받는 개시 신호는 일반적으로 타격용 페달(50)과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 처리부에서 인식하여 피칭 머신 및 기타 필요한 장치(예 : 스크린 셔터) 등의 각각 신호 규격에 맞게 처리된 개시 신호이다.
정보 처리부(700)는 신호 수신부(600)로부터 개시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 및 동작 제어용의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다.
모터 제어부(800)는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정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크린 홀 셔터(200)가 스크린 홀(110)을 막은 기 설정된 위치 상태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야구 경기자가 타석에 들어서 타격을 위한 타격용 페달(50)을 밟게 되면 개시 신호가 발생하고(S110), 신호 수신부(600)는 개시 신호를 인가받아 정보 처리부(700)로 전송한다(S120).
스크린(100) 뒤에 있는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110)을 통과할 때까지 스크린 홀 셔터(200)가 열려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모터(410, 420)가 동작되어 스크린 홀 셔터(2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모터 제어부(800)만으로 모터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정보 처리부(700)를 더 포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부(700)는 신호 수신부(600)로부터 개시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 및 동작 제어용의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다(S130, S135).
모터 제어부(800)는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40).
제1 및 제2 모터(410, 420)는 모터 제어부(8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50).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모터 회전축(510)에 감겨있던 한 쌍의 제1 와이어(310) 및 제2 모터 회전축(520)에 감겨있던 한 쌍의 제2 와이어(320)는 감기거나 풀린다(S160).
이에 따라 스크린 홀 셔터(2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S170).
예를 들어,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정방향 신호가 출력된 경우(S130),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 제어부(800)는 정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42).
제1 및 제2 모터(410, 420)는 모터 제어부(8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52).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모터 회전축(510)에 감겨있던 한 쌍의 제1 와이어(310)는 풀리고, 한 쌍의 제2 와이어(320)는 제2 모터 회전축(520)에 감기면서(S162) 스크린 홀 셔터(200)가 우측으로 이동되어(S172) 스크린 홀(110)이 개방된다(S180).
한편, 타격 감지 센서(650)는 타구의 수평과 수직의 좌표 데이터 검출이 가능하므로 타구의 궤도를 판독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S125).
다만, 스크린 홀 셔터(200, 20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술한 타격 감지 센서(650) 이외에 다른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타자의 안전을 위해 타격 감지 센서(650) 대신 타이머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볼이 피칭된 후 기 설정된 지연시간(예를 들어, 1초 내지 3초) 후에 스크린 홀 셔터(200, 200')가 스크린홀(110)을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타격 감지 센서(650)는 편리성을 위해 타이머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스크린 홀 셔터(200, 200')를 동작시켜 스크린홀(110)을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110)을 통과한 후에는 타자가 다음 타격을 위하여 타격용 페달(50)을 밟기 전에는 피칭 머신의 오동작으로 인해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110)을 통과하여 발사되는 것과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110)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홀(110)이 폐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110)을 통과한 후 타격 감지 센서(650)는 타구의 궤도를 판독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S125).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부(700)는 타격 감지 센서(650)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 및 동작 제어용의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다(S135).
모터 제어부(800)는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역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410, 420)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44).
제1 및 제2 모터(410, 420)는 모터 제어부(8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54).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510, 5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모터 회전축(510)에 한 쌍의 제1 와이어(310)는 감기고, 제2 모터 회전축(520)에 감겨있던 한 쌍의 제2 와이어(320)는 풀리면서(S164) 스크린 홀 셔터(20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S174)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스크린 홀(110)이 폐쇄된다(S190).
한편, 피칭 머신에서 볼의 발사 지연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볼이 발사되면 사용자가 위험해지므로, 비용 면이나 편리성 면에서 단순 시간 지연으로 스크린 홀(110)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평상시 스크린 홀이 폐쇄된 상태(도 6a) 및 볼 피칭시 스크린 홀이 개방된 상태(도 6b)에 대한 구성도로서, 이러한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는 스크린(100), 스크린 홀 셔터(200'), 제3 와이어(330)인 연동부, 제3 모터(430) 인 구동부 및 제3 모터 회전축(530)인 회전부를 포함한다.
도 6에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와 상호 연동하거나 연관성이 있는 신호 수신부(600), 타격 감지 센서(650), 정보 처리부(700), 휠 부(750) 및 모터 제어부(800)가 개시되고, 스크린(100)은 스크린 홀(110)을 구비하며, 스크린 홀 셔터(200')는 제1 및 제2 셔터 홀(230, 240) 및 셔터 회전축(250)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장치 내 스크린(100), 스크린 홀 셔터(200'), 제3 와이어(330), 제3 모터(430), 제3 모터 회전축(530) 및 셔터 회전축(2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크린(100)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제어 장치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크린 홀 셔터(200')는 스크린 홀(110)보다 큰 크기의 원형 커버로서, 스크린 홀(110)과 가장 근접한 원주부의 일단에 구비된 제1 셔터 홀(230)에 결합된 셔터 회전축(250)을 편심축으로 하여 반원 궤적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100)의 스크린 홀(110)을 개폐한다.
제3 와이어(330)는 일측이 스크린 홀 셔터(200')의 원주부의 타단에 구비된 제2 셔터 홀(24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3 모터 회전축(530)에 연결되어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스크린 홀 셔터(200')를 반원 궤적으로 이동시킨다.
제3 모터(430)는 모터 제어부(800)의 제어에 응답하여 회전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3 모터 회전축(530)을 각각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3 모터 회전축(530)은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에 응답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 와이어(330)를 감거나 푼다.
신호 수신부(600)는 타격용 페달(50)의 밟음으로 발생한 개시 신호를 인가받아 정보 처리부(700)로 전송한다.
이때, 신호 수신부(600)가 인가받는 개시 신호는 일반적으로 타격용 페달(50)과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 처리부에서 인식하여 피칭 머신 및 기타 필요한 장치(예 : 스크린 셔터) 등의 각각 신호 규격에 맞게 처리된 개시 신호이다.
정보 처리부(700)는 신호 수신부(600)로부터 개시 신호를 전달받아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 및 동작 제어용의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다.
정보 처리부(700)는 신호 수신부(600)로부터 개시 신호를 전달받아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 및 동작 제어용의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다.
모터 제어부(800)는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정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크린 제어 방법의 동작 중 정보 처리부(700)가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크린 홀 셔터(200')가 스크린 홀(110)을 막은 기 설정된 위치 상태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야구 경기자가 타석에 들어서 타격을 위한 타격용 페달(50)을 밟게 되면 개시 신호가 발생하고(S510), 신호 수신부(600)는 개시 신호를 인가받아 정보 처리부(700)로 전송한다(S520).
스크린(100) 뒤에 있는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110)을 통과할 때까지 스크린 홀 셔터(200')가 열려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3 모터(430)가 동작되어 스크린 홀 셔터(200')를 셔터 회전축(250)을 편심축으로 하여 반원 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모터 제어부(800)만으로 모터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정보 처리부(700)를 더 포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부(700)는 신호 수신부(600)로부터 개시 신호를 전달받아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 및 동작 제어용의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출력한다(S530, S535).
모터 제어부(800)는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정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540).
제3 모터(430)는 모터 제어부(8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3 모터 회전축(53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550).
제3 모터 회전축(53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모터 회전축(530)에 감겨있던 제3 와이어(330)가 감기거나 풀린다(S560).
이에 따라 스크린 홀 셔터(200')가 반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된다(S570).
예를 들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부(700)로부터 정방향 신호가 출력된 경우(S530), 모터 제어부(800)는 정방향 신호를 인가받아 제3 모터(430)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542).
제3 모터(430)는 모터 제어부(800)로부터 제3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3 모터 회전축(5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552).
제3 모터(4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3 모터(430)에 감겨 있던 제3 와이어(330)가 감기면서(S562) 스크린 홀 셔터(200')가 반원 정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어(S572) 스크린 홀(110)이 개방된다(S580).
다음으로,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110)을 통과한 후에는 타자가 다음 타격을 위하여 타격용 페달(50)을 밟기 전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칭 머신의 오동작으로 인해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110)을 통과하여 발사되는 것과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110)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홀(110)이 폐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110)을 통과한 후 타격 감지 센서(650)는 타구의 궤도를 판독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S525).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 제어부(800)는 타격 감지 센서(650)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제3 모터 회전축(530)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544).
제3 모터 회전축(530)은 모터 제어부(80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S554), 제3 모터 회전축(530)에 감겨있던 제3 와이어(330)는 제3 모터 회전축(530)에 풀리면서(S564) 스크린 홀 셔터(200')가 셔터 회전축(250)을 편심축으로 하여 반원 역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어(S574)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스크린 홀(110)이 폐쇄된다(S590).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칭 머신에서 볼의 발사 지연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볼이 발사되면 사용자가 위험해지므로, 비용 면이나 편리성 면에서 단순 시간 지연으로 스크린 홀(110)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 타자가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으로 인해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기중인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로 투입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칭 머신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칭 머신에서 볼이 스크린 홀을 통과한 후에는 타자가 타격용 페달을 밟기 전에 피칭 머신의 오동작을 해도 볼이 임의로 스크린 홀을 통과하여 발사되지 않아 실제 경기에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경기중인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스크린 홀로 투입되어 피칭 머신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예방되어 피칭 머신의 고장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스크린
110: 스크린 홀
200, 200': 스크린 홀 셔터
210, 220: 2 쌍의 셔터 홀
310, 320: 한 쌍의 제1 및 제2 와이어
400: 구동부
410, 420: 제1 및 제2 모터
500: 회전부
510, 520: 제1 및 제2 모터 회전축
600: 신호 수신부
650: 타격 감지 센서
700: 정보 처리부
750: 휠 부
800: 모터 제어부

Claims (15)

  1. 스크린 홀 셔터;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 각각과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일측이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1 와이어; 및
    일측이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2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의 일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셔터 홀; 및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와이어의 일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셔터 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스크린보다 작고 상기 스크린 홀보다 큰 크기를 가진 직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6. 원형 스크린 홀 셔터;
    상기 스크린 홀 셔터 상부에 위치하면서 회전하는 제3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원주부 일단과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원 궤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 회전축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일측이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원주부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3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3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는
    원주부 일단에 상기 제3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셔터 홀; 및
    원주부 타단에 상기 반원 궤적 회전의 편심축이 되는 셔터 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10.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스크린 홀 셔터의 양측에 연동부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구동부가 회전하는 단계;
    (b) 일측이 상기 연동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단계;
    (c)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부가 상기 회전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단계;
    (d) 상기 연동부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좌우로 이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이 개폐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부 내 제1 모터 회전축에 감겨있던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1 와이어는 풀리고,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2 와이어는 상기 회전부 내 제2 모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개방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부 내 제2 모터 회전축에 감겨있던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2 와이어는 풀리고, 상기 연동부 내 한 쌍의 제1 와이어는 상기 회전부 내 제1 모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폐쇄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
  13. 스크린의 중앙부에 구비된 스크린 홀을 개폐하는 원형 스크린 홀 셔터의 원주부의 일단에 연동부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홀 셔터를 반원 궤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구동부가 회전하는 단계;
    (b) 일측이 상기 연동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부가 회전하는 단계;
    (c)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연동부가 상기 회전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단계;
    (d) 상기 연동부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반원 궤적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반원 궤적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 홀 셔터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크린 홀이 개폐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부인 제3 모터 회전축에 상기 연동부인 제3 와이어가 감기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반원 정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개방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3 모터 회전축에 상기 제3 와이어가 풀리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홀 셔터가 반원 역회전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홀이 폐쇄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방법.

KR1020160099948A 2016-08-05 2016-08-05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8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48A KR101682695B1 (ko) 2016-08-05 2016-08-05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48A KR101682695B1 (ko) 2016-08-05 2016-08-05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695B1 true KR101682695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48A KR101682695B1 (ko) 2016-08-05 2016-08-05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61B1 (ko) * 2017-03-22 2018-07-30 주식회사 스크린야구왕 피칭머신의 볼 투척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62A (ja) * 1996-03-21 1997-09-30 Toa Sports Mach:Kk 野球練習用投球機のネットカバー
JP2000126351A (ja) * 1998-10-22 2000-05-09 Tcs:Kk ピッチング用の打球直撃防御装置
JP2006087897A (ja) * 2004-01-19 2006-04-06 Sega Corp 野球ゲーム機
KR101394753B1 (ko) 2012-12-28 2014-05-15 고선필 실내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62A (ja) * 1996-03-21 1997-09-30 Toa Sports Mach:Kk 野球練習用投球機のネットカバー
JP2000126351A (ja) * 1998-10-22 2000-05-09 Tcs:Kk ピッチング用の打球直撃防御装置
JP2006087897A (ja) * 2004-01-19 2006-04-06 Sega Corp 野球ゲーム機
KR101394753B1 (ko) 2012-12-28 2014-05-15 고선필 실내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61B1 (ko) * 2017-03-22 2018-07-30 주식회사 스크린야구왕 피칭머신의 볼 투척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449B1 (ko) 가상 테니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65020A1 (en) Screen baseball system including screen shutter
EP1184059B1 (en) Game machine
TWI653082B (zh) 螢幕棒球系統及利用其的左腕投手和右腕投手的實現方法
JP5266513B2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ゴルフ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82695B1 (ko) 스크린 야구용 스크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4097662A (ja) サッカー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および方法
KR100863866B1 (ko) 게임 장치
WO2002089936A1 (fr) Appareil de jeu et procede de controle d'affichage d'image de l'appareil de jeu
JP3619223B2 (ja) ゲーム装置
KR101983899B1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JP6218503B2 (ja) 格闘戦車
JPH08309023A (ja) 標的当てゲーム機
JP5266512B2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ゴルフ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634926B (zh) 螢幕棒球系統、用於該螢幕棒球系統的孔開閉裝置及用於該螢幕棒球系統的發球裝置
KR20190051930A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JP2013039212A (ja) スピン検出装置
KR102082920B1 (ko)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JP5007486B2 (ja) 野球ゲーム機
US20190329112A1 (en) Hockey Partner-Robot
KR101896652B1 (ko)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101071356B1 (ko) 엔터테인먼트 로봇
JP2008237679A (ja) ゲーム装置
JP6218504B2 (ja) 格闘戦車
JP2005296442A (ja) 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