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667B1 -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667B1
KR101681667B1 KR1020140096460A KR20140096460A KR101681667B1 KR 101681667 B1 KR101681667 B1 KR 101681667B1 KR 1020140096460 A KR1020140096460 A KR 1020140096460A KR 20140096460 A KR20140096460 A KR 20140096460A KR 101681667 B1 KR101681667 B1 KR 10168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image
product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411A (ko
Inventor
정혁진
안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가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가온
Priority to KR102014009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6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장치 관리 서버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로서 제공하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는 영상 입력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용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구매 절차를 처리하는 온라인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of goods on sale on real time}
본 발명은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매장 내에 진열된 판매상품에 대하여 온라인으로 판매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공유하여 판매 정보를 구매자 입장에서 실시간 영상이나 다시점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비스되고 있는 가상스토어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경우 대부분 유명 브랜드이름을 가진 가공식품이므로 단면 사진을 가지고도 사용자는 제품에 대한 내용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안의 내용물에 대한 신뢰는 단순히 사진 이미지가 아닌 브랜드 상품에 대한 과거 경험에 기인하게 된다.
최근에, 좀 더 발전된 형태로서 스테레오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가상의 3차원 공간모델에 맵핑하여 현실감 있는 증강현실 기반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 방법은 가상 카메라의 시점(viewpoint)이 변경됨에 따라 영상 취득 카메라의 시점을 트래킹하여 실시간 영상 전체를 3차원 모델에 맵핑한다. 이때, 스테레오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픽셀 단위로 중첩된 3차원 모델에 맵핑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 취득 카메라의 연속된 영상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해서 배경을 분석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영상 취득 카메라의 시점을 트래킹하여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었다.
반면에 농수축산물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경험은 기존 브랜드 상품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므로 실사를 기반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여야만 고객들은 농수축산물에 대한 전체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영상 이미지들은 판매자 입장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매자 입장에서 요구되는 실물 형태의 영상 이미지 또는 구매자가 매장에서 가서 직접 보는 것과 동일하게 확인하고 싶은 시점에서의 영상 이미지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하고 소량 품목의 영세 농수축산물의 생산자가 농수축산물들을 다양하게 상품화시키거나 쇼핑몰을 구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를 보다 자세하고 실물과 같이 상품 정보에 대한 영상 콘텐츠를 만들어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판매 유통에도 어려운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가상 디바이스로서 모바일 단말기나, 랩탑, 데스크탑, 테블릿 PC에서 현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매장 내 CCTV나 특정 용도의 영상입력장치를 선택하여 매장에서 직접 판매되고 있는 상품의 실물, 가격, 생산지 정보 등을 검색한 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장치 관리 서버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로서 제공하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는 영상 입력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용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구매 절차를 처리하는 온라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AR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동시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LBS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동시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뷰어부;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에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장치 관리 서버를 제어 관리하는 제어부;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대한 사용 허락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넷으로 AR서버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AR연동부;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인터넷으로 LBS 서버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LBS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영상 입력 장치를 가상디바이스로서 사용자 단말에서 제어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 제어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가상 디바이스 영상 정보로 수신하고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로서 구동을 위한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는, 상기 장치 관리 서버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동된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송신부;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영상 장치 관리 제어부;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액세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 관리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진열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관심 상품 정보로 등록하는 관심정보 등록부; 및 상기 관심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매칭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매칭정보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디바이스로 사용하기 위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의 제어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퓨터에는, 영상 입력 장치의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 이외의 데이터 전송을 필터링 구동하기 위한 필터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컴퓨터의 필터링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필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퓨터에 연결되는 영상 입력 장치는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는 USB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판매 상품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 위한 실시간 상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장치 관리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장치 관리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하도록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인증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장치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진열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관심 상품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영상으로 보여지는 상품을 구매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판매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은 상품에 대한 전체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장에 직접 가지않아도 마치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직접 보거나 고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 운영 측면에서 사진이 아닌 실물의 상태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상품을 직접 확인하므로 실제 품질과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상 스토어에서 사용자는 실사형태의 상품을 돌려보면서 실제 상품을 손으로 돌려보듯 간접체험이 가능하게 되어 오프라인 상품을 온라인 가상 스토어에 제공하게 되어 판매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장치관리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영상 입력 장치로 USB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온라인 서버(200), 사용자 단말(100)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장치관리서버(300), 장치관리서버(300)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제어를 받게 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영상 입력 장치(600, 7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을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가상 디바이스로 구동될 수 있는 것들로서 스마트폰, PDA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랩탑, 테스크탑, 테블릿 PC와 같이 현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농수축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상품의 매장 내 CCTV나 특별한 목적의 영상 입력 또는 저장 장치를 선택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판매되고 있는 농수축산물의 실물, 가격, 생산지 정보 등의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장치 관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를 제어 관리한다.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600, 700)는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로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영상 입력 장치(600, 700)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IP 카메라, 또는 USB 카메라, CCTV 카메라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은 사용가능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800은 USB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컴퓨터이다.
또한, 온라인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용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구매 절차를 처리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로서 내 집 데스크 탑이나 랩탑에서, 혹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현재 각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농수축산물 또는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의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농수축산물 또는 상품의 실물, 가격, 생산지 정보 등을 검색한 후 직접 매장에 가지 않아도 마치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농수축산물 또는 상품을 직접 보거나 고르는 것처럼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공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라인 서버(200)로 상품 구매를 요청하게 된다.
또한, AR(Augumented Reality)서버(400)를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시켜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600, 700)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또한, LBS(Location Based Service)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100)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100)과 인터넷으로 연동시켜 포함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여 액세스한 후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의하여 제어 관리 되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취득하여 공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한 블록 구성을 포함한다.
도2에서 도시된 것처럼,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뷰어부(110), 관리제어부(120), AR연동부(130), LBS연동부(140), 인증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뷰어부(110)는 일종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온라인 서버(200) 등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 모듈이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부(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를 제어 관리하는 구성 모듈이다.
또한, 상기 AR연동부(130)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600, 700)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넷으로 AR서버(400)를 연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LBS 연동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100)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인터넷으로 LBS 서버(500)를 연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대한 사용 허락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부(150)를 포함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에서 도시된 것처럼,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뷰어부(110), 관리제어부(120), AR연동부(130), LBS연동부(140), 인증부(150)를 포함하고, 또한 가상 디바이스로 구동하기 위한 가상디바이스 제어부(160), 가상디바이스드라이버(170)를 포함한다.
상기 뷰어부(110)는 일종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온라인 서버(200) 등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 모듈이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부(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를 제어 관리하는 구성 모듈이다.
또한, 상기 AR연동부(130)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600, 700)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넷으로 AR서버(400)를 연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LBS 연동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100)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인터넷으로 LBS 서버(500)를 연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대한 사용 허락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은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공유하기 위해서 가상 디바이스 장치로 구동될 수 있도록 가상디바이스 제어부(160), 가상디바이스드라이버(1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가상디바이스제어부(16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영상 입력 장치를 가상디바이스로서 사용자 단말에서 제어하기 위한 구성 모듈이다.
또한, 상기 가상디바이스드라이버(17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가상 디바이스 영상 정보로 수신하고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로서 구동을 위한 구성 모듈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장치관리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장치 관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를 제어 관리하기 위해 영상수신부(310), 영상송신부(320), 영상장치관리제어부(330), 단말관리부(340), 관심정보등록부(350), 매칭정보송출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수신부(310)는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영상 입력 장치(600, 7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영상송신부(320)는 상기 영상수신부(310)로 수신된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장치 관리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600, 700)를 제어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관리부(340)는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액세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처리한다.
관심정보 등록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진열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면 특정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관심 상품 정보로 등록하여 LBS 서버(500)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매칭 정보 송출부(360)는 LBS 서버(500)와 연동하여 상기 관심정보 등록부(350)에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매칭 상품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관심정보 등록부(350)에 등록된 상품이 진열된 오프라인 매장 근처로 사용자 단말(100)이 지나가는 경우에는 LBS 서버(500)와 연동하여 매칭정보 송출부(360)에서 관심정보 등록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이 근처에 위치하고 있음을 예를들면, 경고음 또는 진동음, 발광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600, 700)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IP 카메라, 또는 USB 카메라, CCTV 카메라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은 사용가능한 것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에서 영상 입력 장치로 USB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1에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700)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상 디바이스로 사용하기 위해서, 영상 입력 장치(700)를 제어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의 제어 컴퓨터(800)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컴퓨터(800)에 포함되는 필터 드라이버(820)는 영상 입력 장치인 USB카메라의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 이외의 데이터 전송을 필터링 구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컴퓨터(800)에 포함되는 필터 제어부(810)는 상기 제어 컴퓨터(800)의 필터링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이 판매 상품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 위한 실시간 상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이다(S10).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대한 실시간 영상과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에이전트로서 처리할 수도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장치 관리 서버(30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S20).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으로 연동된 장치 관리 서버(300)에 액세스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다음에,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하도록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이다(S30).
다음으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40).
이때, 상기 장치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진열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관심 상품 정보로 등록한다(S50).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온라인 서버(200)에 접속하여 영상으로 보여지는 상품을 구매 요청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0).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농수축산물 또는 상품의 실물, 가격, 생산지 정보 등을 검색한 후 직접 매장에 간 것처럼 직접 보면서 고르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매장 운영면에서 사진이 아닌 실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실제 품질과 가격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뷰어부
120 : 관리제어부 130 : AR연동부
140 : LBS 연동부 150 : 인증부
160 : 가상디바이스제어부 170 : 가상디바이스드라이버
200 : 온라인서버 300 : 장치관리서버
310 : 영상수신부 320 : 영상송신부
330 : 영상장치관리제어부 340 : 단말관리부
350: 관심정보등록부 360 : 매칭정보송출부
400 : AR서버 500 : LBS 서버
600, 700 : 영상입력장치 800 : 제어컴퓨터
810 : 필터제어부 820 : 필터드라이버

Claims (8)

  1. 인터넷을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동되고 상기 장치 관리 서버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로서 제공하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는 영상 입력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용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구매 절차를 처리하는 온라인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영상 입력 장치를 가상디바이스로서 사용자 단말에서 제어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 제어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가상 디바이스 영상 정보로 수신하고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로서 구동을 위한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디바이스로 사용하기 위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의 제어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에는,
    영상 입력 장치의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 이외의 데이터 전송을 필터링 구동하기 위한 필터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컴퓨터의 필터링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필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AR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동시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LBS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동시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뷰어부;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에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장치 관리 서버를 제어 관리하는 관리 제어부;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대한 사용 허락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영상 입력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3차원 또는 다시점 영상의 증강현실 영상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넷으로 AR서버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AR연동부;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관심 지정된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매칭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주고 사용자 단말에 위치정보와 네이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인터넷으로 LBS 서버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LBS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는,
    상기 장치 관리 서버의 관리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동된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상품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송신부;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영상 입력 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영상 장치 관리 제어부;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액세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 관리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진열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관심 상품 정보로 등록하는 관심정보 등록부; 및
    상기 관심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 상품이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과의 설정된 거리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매칭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매칭정보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96460A 2014-07-29 2014-07-29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68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460A KR101681667B1 (ko) 2014-07-29 2014-07-29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460A KR101681667B1 (ko) 2014-07-29 2014-07-29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11A KR20160015411A (ko) 2016-02-15
KR101681667B1 true KR101681667B1 (ko) 2016-12-05

Family

ID=5535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460A KR101681667B1 (ko) 2014-07-29 2014-07-29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46A (ko)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아이티엘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KR102323222B1 (ko) * 2020-10-06 2021-11-08 주식회사 엑스티 비대면 방식의 제품 정보 제공 및 판매 시스템
KR20210157132A (ko) 2020-06-19 2021-12-28 최승환 매장 상품 판매 지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278B1 (ko) * 2018-10-18 202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유닛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ar 영상 표시 방법
KR102463558B1 (ko) * 2020-08-05 2022-11-04 이인숙 Cctv와 연동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88B1 (ko) 2013-05-03 2013-12-09 홍정화 영상주문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45A (ko) * 2001-03-27 2002-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20000709A (ko) * 2010-06-28 2012-0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076509A (ko) * 2010-11-29 2012-07-0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88B1 (ko) 2013-05-03 2013-12-09 홍정화 영상주문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46A (ko)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아이티엘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KR20210157132A (ko) 2020-06-19 2021-12-28 최승환 매장 상품 판매 지원 방법
KR102323222B1 (ko) * 2020-10-06 2021-11-08 주식회사 엑스티 비대면 방식의 제품 정보 제공 및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11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67B1 (ko)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419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ndering 3d visualizations over a network
CN105069644A (zh) 基于增强现实的购物客户端、服务器及系统
US9538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tention using captured image
KR20190005082A (ko)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191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쿠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20129976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2139348B1 (ko) 실시간 상품 정보 제공 방법
US20200301572A1 (en) System for designing and configuring a home improvement installation
KR101505090B1 (ko) 증강현실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을 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64400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WO2018068161A1 (zh) 一种跨界互动交易系统及其方法
JP2014228916A (ja) 体験型電子商取引サイトシステム
KR102298101B1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107316B1 (ko) 작품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표시 방법
KR20160145961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KR20210127690A (ko) 영상 내에서의 판매 방법 및 촬영 장치
JP2005184624A (ja) 商品販売・管理方法、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20150028381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다채널 야외 생중계용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공 방법
US20210390615A1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JP2017151572A (ja) 移動販売店舗位置情報等システム
CN107978070A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和云管理的自动售货机管理系统
JP7464027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利用者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RU115101U1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приобретения товаров
JP2001306945A (ja) 3次元モデル電子カタログ提供システムおよび3次元モデル電子カタログ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