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088B1 - 영상주문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주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088B1
KR101339088B1 KR1020130049925A KR20130049925A KR101339088B1 KR 101339088 B1 KR101339088 B1 KR 101339088B1 KR 1020130049925 A KR1020130049925 A KR 1020130049925A KR 20130049925 A KR20130049925 A KR 20130049925A KR 101339088 B1 KR101339088 B1 KR 101339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er
store
terminal
camer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화
Original Assignee
홍정화
주식회사 스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화, 주식회사 스필 filed Critical 홍정화
Priority to KR102013004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점의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품 주문자의 실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영상주문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상점 서버; 주문자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는 상점 단말기; 및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기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점 단말기에 전화 연결하는 주문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단말기가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기 상점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주문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면 해당 주문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인접 상점 정보를 제공받고, 주문자는 원하는 상점을 선택하여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보고 주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주문시스템{ORDERING SYSTEM U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각가정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나 주문자 단말기를 통하여 아파트에 인접한 상점의 상품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상품을 주문하는 영상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통신수단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온라인 쇼핑이 성업 중이다. 온라인 쇼핑의 경우 상품 주문자는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 과정을 거쳐서 상품의 사진이나 이미지 등을 보고 해당 상품을 신용카드 거래나 무통장 입금 등을 통해 구매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쿠팡, 위메프, 티몬 등의 소셜 커머스 사이트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는 경우, 주문자는 상품의 정지 사진을 보고 구매를 하게 되며, 상품을 발송하는 장소도 상품의 주문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이틀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일이나 육류와 같이 상품의 신선도가 중요한 경우도 상품의 상태를 직접 보고 주문하지 못하므로 상품의 상태에 신뢰가 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이가 있는 어르신들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여 로그인 과정을 거치고 신용카드가 무통장 입금 등으로 거래하는 경우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문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한번의 터치만으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의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자는 상점을 선택하여 상점의 상품을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고, 상점 주인과 통화하면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는 영상주문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주문시스템은 상점의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품 주문자의 실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영상주문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상점 서버; 주문자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는 상점 단말기; 및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기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점 단말기에 전화 연결하는 주문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단말기가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기 상점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주문시스템은 상점의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품 주문자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주문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점 서버; 및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는 상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기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점 단말기에 전화 연결하며, 상기 상점 단말기가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기 상점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주문시스템에 의하면, 상품의 주문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면 해당 주문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인접 상점 정보를 제공받고, 주문자는 원하는 상점을 선택하여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보고 주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품의 주문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면 상점의 점원과 대화하면서 상품을 실시간으로 보고 주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용카드나 무통장입금을 통한 방식이 아닌 스마트폰이나 TV 등을 통해 주문자가 잘 아는 동네 마트의 상품을 실시간으로 보고 점원과 대화하면서 주문하면, 상품이 집으로 배달된 뒤 배달원을 통하여 계산하므로, 남녀 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품의 주문자가 보기를 원하는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지정하면, 상점에서 해당 카메라를 선택하여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고, 카메라의 줌인, 줌아웃 기능을 이용하여 상품의 확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주문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점에 설치된 카메라와 가정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상점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서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버에접속할 때 인증과정에 입력되는 주문자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주문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상점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상품과 상품의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을 영상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주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주문시스템(100)은 카메라(30), 상점 서버(10), 상점 단말기(20), 주문자 단말기(70) 및 디스플레이장치(60)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서버(80), 채널전환장치(61), 화면분할장치(31), 적외선 카메라(40), 침입자 감지센서(50) 및 경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는 상점 내에 설치되며, CCTV, 네트웍 카메라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30)는 상점의 상품을 촬영하며, 상점의 다양한 코너마다 카메라(30)가 한대씩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60)는 상품 주문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아파트의 각 가정에 설치된다. 상점의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장치(60)에 전송된다.
상점 서버(10)는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디스플레이장치(60)로 전송한다.
상점 단말기(20)는 주문자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한다.
주문자 단말기(70)는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점 서버(10)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단말기(20)에 전화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주문자 단말기(70)는 스마트 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 폰의 앱(APP)을 실행하여 원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점 서버(10)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전화 연결 기능을 이용하여 상점 단말기(20)에 전화 연결이 가능하다.
상점 단말기(20)가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점 서버(10)는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6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주문자의 정보는 주문자의 주소 및 계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주문자의 주소가 '서울 신길동 삼양아파트 401동 301호'인 경우, 상점 서버(10)는 수신한 주문자의 주소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6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중앙 서버(80)는 회원 정보 및 회원 인증을 관리하고, 주문자 단말기(70)가 접속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10)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서버(10)로부터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주문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6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도 1에서는 상점 서버(10)는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여러 개의 상점 서버(10)가 중앙 서버(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60) 역시 여러 개가 중앙 서버(8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앱을 실행하여 중앙 서버(80)에 최초 접속하면 사용자 등록 과정을 거치고, 중앙 서버(80)는 데이터베이스(81)에 사용자 정보, 즉 주소 및 계정을 저장한다. 중앙 서버(80)에는 전국의 많은 상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선택된 상점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상점 서버(10)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주문자의 주소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주소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6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중앙 서버(80)는, 주문자 단말기(70)가 접속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1)에서 검색하여 주문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81)에는 각 지역별로 실시간 영상주문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주문자의 주소를 기초로 주문자의 지역에 있는 상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1)에서 검색하여 주문자 단말기(7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인접한 상점 정보는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포함하고, 주문자 단말기(70)는 앱(AP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앙 서버(80)에 접속하며,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다. 주문자는 주변의 상점 정보 뿐만 아니라, 어느 상점에서 어떤 상품을 할인하는지 또는 상품의 떨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주문할 수 있고, 주변 상점 또한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80)는 주문자 단말기(70)가 로그 아웃 등에 의해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10)로 접속 종료를 알린다.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10)에서는 접속 종료를 수신하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한다.
한편, 상점 서버(10)는 상점 단말기(20)와 주문자 단말기(70)의 전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한다.
카메라(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점 서버(10)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디스플레이장치(60)로 전송 가능하며, 선택된 카메라(30)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할 수 있다. 매장이 큰 경우, 매장의 각 위치마다 카메라(30)가 설치될 수 있고, 상점 서버(10)는 특정 위치의 카메라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30)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여 확대 또는 축소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화면분할장치(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하나의 화면에 4화면 내지 16화면으로 분할하여 상점 서버(10)로 전송한다. 상점에 카메라(30)가 16개가 있는 경우, 화면분할장치(31)는 하나의 화면을 16화면으로 분할하여 16개의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60)는 TV를 포함하고, 채널전환장치(61)는 TV의 채널을 특정 채널로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주문자 단말기(70)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중앙 서버(80)에 접속 후, 채널전환장치(61)가 TV를 특정 채널로 전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채널전환장치(61)로 전송한다. 특정 채널은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을 말하며, 앱을 실행하여 중앙 서버(80)에 접속한 후, TV를 특정 채널로 전환시켜 해당 채널을 통하여 카메라(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TV의 채널이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로 되어 있는 경우는 카메라(30)로부터 영상이 수신되어도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또한,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실행되는 앱(APP) 프로그램은 PIP(Picture In Picture) 기능 제어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TV(60)로 전송한 후, 채널전환장치(61)가 TV(60)를 특정 채널로 전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채널전환장치(61)로 전송하면, TV(60) 내의 부화면에서 특정 채널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PIP 기능 제어신호가 TV(60)로 전송되면 큰 화면의 한쪽에 작은 부화면이 생긴다. 그런 다음, 채널전환장치(61)가 TV(60)를 특정 채널, 즉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채널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부화면에서 상점의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볼 수 있다.
한편, 상점 내부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40) 및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경보부(90)를 더 포함하고, 상점 서버(10)는 적외선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중앙 서버(80)로 전송하면, 중앙 서버(80)는 적외선 영상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을 분석하여 침입자 발생 또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부(90)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는 외부 경비업체, 경찰서, 소방서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점의 침입자를 감지하면 침입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침입자 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하고, 상점 서버(10)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중앙 서버(80)로 전송하면, 중앙 서버(80)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자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부(90)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점에 설치된 카메라와 가정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상점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서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할 때 인증과정에 입력되는 주문자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점에는 각 상품 진열대마다 카메라(30)가 설치되어 있다. 아파트의 가정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60)를 통하여 상점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점 내에 4단 진열대를 촬영하는 카메라(30), 냉동/조리 식품을 촬영하는 카메라(30) 등 다양한 카메라가 설치된 상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실행된 앱의 모습을 나타내며, 앱을 통하여 주문자의 단지정보, 세대정보 및 이름을 중앙 서버(80)로 전송하여 인증 과정을 거치고 접속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주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주문시스템(200)은 카메라(30), 상점 서버(10), 상점 단말기(20) 및 주문자 단말기(70)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서버(80), 디스플레이장치(60), 적외선 카메라(40), 침입자 감지센서(50) 및 경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점 서버(10)는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주문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상점 단말기(20)는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한다.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점 서버(10)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단말기(20)에 전화 연결하며, 상점 단말기(20)가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점 서버(10)는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주문자 단말기(7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주문자의 정보는 주문자의 주소, 계정 및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상점 서버(10)는 수신한 주문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주문자 단말기(70)에 전송한다.
제1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면 디스플레이장치(60)에 디스플레이 되었으나, 제2 실시 예에서는 영상이 주문자 단말기(70)에 디스플레이 된다. 물론, 주문자 단말기(70)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장치(60)로 전송 가능하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중앙 서버(80)는 회원 정보 및 회원 인증을 관리하고, 주문자 단말기(70)가 접속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70)에서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10)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서버(10)로부터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주문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주문자 단말기(7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중앙 서버(80)는 주문자 단말기(70)가 접속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1)에서 검색하여 주문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인접한 상점 정보는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포함하고, 주문자 단말기(70)는 앱(AP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앙 서버(80)에 접속하며,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다.
또한, 중앙 서버(80)는 주문자 단말기(70)가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10)로 접속 종료를 알린다.
한편, 상점 서버(10)는 상점 단말기(20)와 주문자 단말기(70)의 전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한다.
카메라(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점 서버(10)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주문자 단말기(70)로 전송 가능하며, 선택된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할 수 있다.
한편, 상점 내부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40) 및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경보부(90)를 더 포함하고, 상점 서버(10)는 적외선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중앙 서버(80)로 전송하면, 중앙 서버(80)는 적외선 영상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을 분석하여 침입자 발생 또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부(90)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는 외부 경비업체, 경찰서, 소방서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점의 침입자를 감지하면 침입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침입자 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하고, 상점 서버(10)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중앙 서버(80)로 전송하면, 중앙 서버(80)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자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부(90)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주문자 단말기(70)는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 중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인식하여 상점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앱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중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상품의 정보(가격, 용량, 원산지, 유통기간 등)를 화면에 표시한다. 주문자 단말기(70)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물론, 카메라(30)가 상품 진열대의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촬영 후 전송한다.
한편, 주문자 단말기(70)는 영상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60)에 주문자 단말기(7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가정에서 이용 시, HDMI 케이블이나 무선 영상 수신 장치(62)를 이용하여 주문자 단말기(7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60)에 전송함으로써, 온가족이 TV 화면을 보고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상점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상품과 상품의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을 영상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70)는 상점의 카메라(3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70)에 설치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앱을 이용하여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품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70)에 나타난 영상을 HDMI 케이블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TV(60)로 영상 공유할 수 있다.
그 밖에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주문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면 해당 주문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인접 상점 정보를 제공받고, 주문자는 원하는 상점을 선택하여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보고 주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 상점 서버 20: 상점 단말기
30: 카메라 31: 화면분할장치
40: 적외선 카메라 50: 침입자 감지센서
60: 디스플레이장치 61: 채널전환장치
70: 주문자 단말기 80: 중앙 서버
81: DB, 데이터베이스 90: 경보부
100, 200: 영상주문시스템

Claims (25)

  1. 상점의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품 주문자의 실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영상주문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상점 서버;
    주문자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는 상점 단말기; 및
    주문자의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를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점 정보 중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기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점 단말기에 전화 연결하는 주문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단말기가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기 상점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 인증을 관리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에 제공된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 중 주문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서버로부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주문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를 각 지역 별 상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TV를 포함하고,
    상기 TV의 채널을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시키는 채널전환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 접속 후, 상기 채널전환장치가 TV를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전환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점의 상품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APP) 프로그램은 PIP(Picture In Picture) 기능 제어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TV로 전송한 후, 상기 채널전환장치가 TV를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채널전환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TV 내의 부화면에서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하여 부화면을 통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점의 상품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로 접속 종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상점 정보는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앱(AP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 접속하며,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의 정보는 주문자의 주소 및 계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 서버는 상점 단말기와 주문자 단말기의 전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점 서버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하며, 선택된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하나의 화면에 4화면 내지 16화면으로 분할하여 상기 상점 서버로 전송하는 화면분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점 내부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점 서버는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 서버는 적외선 영상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을 분석하여 침입자 발생 또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점의 침입자를 감지하면 침입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침입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점 서버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 서버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자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14. 상점의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품 주문자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주문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점 서버; 및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는 상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를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점 정보 중 주문자 단말기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상점을 선택하면, 상기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점 단말기에 전화 연결하며,
    상기 상점 단말기가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연결을 수신하면, 상기 상점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 인증을 관리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에 제공된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 중 주문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로 주문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서버로부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주문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주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자의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를 각 지역 별 상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주문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TV를 더 포함하고,
    상기 TV의 채널을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시키는 채널전환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영상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TV에 주문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되,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 접속 후, 상기 채널전환장치가 TV를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전환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APP) 프로그램은 PIP(Picture In Picture) 기능 제어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TV로 전송한 후, 상기 채널전환장치가 TV를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채널전환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TV 내의 부화면에서 실시간 영상주문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채널로 전환하여 부화면을 통해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상점의 상점 서버로 접속 종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상점 정보는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앱(AP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 접속하며, 해당 주문자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상점 정보, 할인 정보 및 떨이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의 정보는 주문자의 주소, 계정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 서버는 상점 단말기와 주문자 단말기의 전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점 서버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 후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 전송 가능하며, 선택된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점 내부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점 서버는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 서버는 적외선 영상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을 분석하여 침입자 발생 또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점의 침입자를 감지하면 침입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침입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점 서버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 서버는 침입자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자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인식하여 상점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주문시스템.
  25. 삭제
KR1020130049925A 2013-05-03 2013-05-03 영상주문시스템 KR101339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25A KR101339088B1 (ko) 2013-05-03 2013-05-03 영상주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25A KR101339088B1 (ko) 2013-05-03 2013-05-03 영상주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088B1 true KR101339088B1 (ko) 2013-12-09

Family

ID=4998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925A KR101339088B1 (ko) 2013-05-03 2013-05-03 영상주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411A (ko) * 2014-07-29 2016-02-15 주식회사 세가온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320B1 (ko) * 2015-07-23 2016-06-3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티커머스의 상품 구매를 위한 tv로 보는 실시간 주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15A (ko) * 2000-10-27 2001-01-05 황경수 웹카메라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3932A (ko) * 2000-10-31 2002-05-08 유흥렬 도난방지 시스템에 연계되고 제품정보가 종합네트워크화된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스템
KR20120000709A (ko) * 2010-06-28 2012-0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110853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티 Soip 단말 및 상기 soip 단말을 이용한 가격 공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15A (ko) * 2000-10-27 2001-01-05 황경수 웹카메라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3932A (ko) * 2000-10-31 2002-05-08 유흥렬 도난방지 시스템에 연계되고 제품정보가 종합네트워크화된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스템
KR20120000709A (ko) * 2010-06-28 2012-0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110853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티 Soip 단말 및 상기 soip 단말을 이용한 가격 공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411A (ko) * 2014-07-29 2016-02-15 주식회사 세가온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681667B1 (ko) 2014-07-29 2016-12-05 주식회사 세가온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320B1 (ko) * 2015-07-23 2016-06-3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티커머스의 상품 구매를 위한 tv로 보는 실시간 주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55B1 (ko)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25233A1 (en) Image-capturing device, recording device, and video output control device
KR100468590B1 (ko) Pos 데이터를 이용한 디지털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9538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tention using captured image
US11095803B2 (en) Camera linked with POS apparatus and surveillance method using the same
CN207965909U (zh) 一种货架系统
KR20110136029A (ko) 가상 진열대를 이용한 증강현실 매장 운영 시스템
KR101339088B1 (ko) 영상주문시스템
US20140002646A1 (en) Bottom of the basket surveillance system for shopping carts
KR20160008389A (ko) 온라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60145961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JP2019164803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1600635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photography
JP2018092455A (ja) 店頭商品ecシステム
KR20120105885A (ko) 매장 감시 시스템
JP2017102497A (ja) 購入支援プログラム、庫内画像サーバおよび購入支援システム
WO2019205734A1 (zh) 一种商品热力分析方法、装置、系统及终端设备
KR100777350B1 (ko) 카메라로 작동되는 거울과 그에 의한 제품 판매 시스템 및제품 판매 방법
JP7464027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利用者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445327B1 (ko) 실시간 동영상을 이용한 통신망에서의 상품 판매 방법 및그 판매 시스템
WO2018155821A1 (ko) 사용자와 관련한 이미지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5190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804628B1 (ko) 라이브 쇼핑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6300A (ko) 네트웍을 통한 원격 영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95601B2 (en) Delivery attempt tracking using automated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