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961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961A
KR20160145961A KR1020150082384A KR20150082384A KR20160145961A KR 20160145961 A KR20160145961 A KR 20160145961A KR 1020150082384 A KR1020150082384 A KR 1020150082384A KR 20150082384 A KR20150082384 A KR 20150082384A KR 20160145961 A KR20160145961 A KR 2016014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e
smart device
information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이상성
Original Assignee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961A/ko
Priority to PCT/KR2016/004234 priority patent/WO2016200044A1/ko
Publication of KR2016014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에서 패션 관련 상품을 착용한 모습의 사진들을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유저앱 내의 SNS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어 즐거운 매장 나들이를 할 수 있고, 유저앱 내에서 사진들을 보다가 곧바로 매장관리자에게 문의 및 주문을 할 수 있어 매장까지 되돌아가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마음에 드는 상품을 쇼핑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매장을 돌아다니며 착용, 체험해본 상품들을 촬영한 사진들을 나중에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한꺼번에 비교해 보며 최선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 후회하지 않을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온라인 쇼핑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매장은 비콘 및 거울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해 주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해 줄 수 있어 매장으로 더 많은 내방객을 끌어들일 수 있으며, 매장은 유저앱을 사용하는 내방객들과 SNS 친구 관계를 맺고 계속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한번 내방한 사람들을 단골로 만들 수 있고, 유저앱을 기반으로 하는 상거래는 사용자가 자기 사진들을 보고 결정한 다음 제 발로 찾아와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므로 매장 입장에서는 판매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반품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A METHOD FOR CONNECTING LOCATION BASED USER CONTENTS TO E-COMMERCE IN SOCIAL NETWORK SERVICE(SNS)}
본 발명은 매장에서 패션 관련 상품을 착용한 모습의 사진들을 사용자 스마트기기(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유저앱(User App)에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기능을 가진 유저앱 내에서 SNS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어 즐거운 매장 나들이를 할 수 있고, 유저앱 내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보다가 곧바로 매장관리자에게 상품에 관한 문의 및 주문을 할 수 있어 매장까지 되돌아가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마음에 드는 상품을 쇼핑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매장을 돌아다니며 착용, 체험해본 상품들을 촬영한 사진들을 나중에 스마트기기로 한꺼번에 비교해 보며 최선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 후회하지 않을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온라인 쇼핑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매장은 비콘 및 거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해 주고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해 줄 수 있어 매장으로 더 많은 내방객을 끌어들일 수 있으며, 매장은 유저앱을 사용하는 내방객들과 SNS 친구 관계를 맺고 계속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한번 내방한 사람들을 단골로 만들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기기에서 자기의 사진들을 보고 상품을 선택한 다음 제 발로 찾아와 구매하는 것이므로 매장 입장에서는 판매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반품률을 낮출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에 올린 사진 및 동영상 정보를 기점으로 전자상거래의 프로세스가 연결된다는, 국내외에서 상용화된 적이 없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카카오스토리(Kakaostory) 등처럼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들에 올라오는 사진 및 동영상의 상당한 분량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에 관련된 것들이다. 특히 의류, 가방, 구두, 액세서리, 헤어, 뷰티 등 패션과 관련된 상품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매장들을 방문해, 마음에 드는 상품을 찜하거나, 착용한 모습을 남기기 위해서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고 있으며, 이를 친구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운영업체들이, 사용자들이 올리는 관심상품들을 매개로 전자상거래(e-Commerce)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SNS의 서비스 영역을 전자상거래 분야로까지 급속히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촬영해 올린 사진으로부터 SNS 운영업체들은 해당 상품 및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해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올린 사진 속의 상품을 매개로 판매자를 연결시켜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했다.
따라서 이제까지는 SNS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판매자의 전자상거래 프로세스까지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운영업체들은 전자상거래시장에 진출할 때, 온라인 판매업체들을 모아 SNS 메뉴 하나에 입점시키는 것 이외의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 입점업체들이 SNS에 올리는 상품정보들은 사용자들이 올리는 정보들과 성격이 달라서 사용자들이 광고성 정보로 인식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입점업체들이 올린 상품정보를 친구들과 공유하는 일은 좀처럼 발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의 호응을 불러올 수 없었기 때문에 SNS에 입점한 판매업체들은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
또한, 이러한 입점방식은 기존의 인터넷쇼핑몰이나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이 시행하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은 동일한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어 모으는데 성공하지 못했으며, SNS 운영업체들은 전자상거래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사용자들이 자기 자신의 정보를 저장하고, 친구를 포함한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인터넷 공간이다. 모든 정보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된다는 특성 때문에 사용자들은 SNS에 대해 충성심을 발휘할 수밖에 없으며, 포털이나 상거래 등의 다른 공간들에 비해 더 자주 방문할 수밖에 없다. SNS는 이와 같이 이용자의 충성심과 방문빈도라는 유리한 위상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까지 포괄할 수 있다면, SNS 운영업체들은 전자상거래시장의 승자로 등극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KR 20-2008-0006142(2008. 5. 9)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매장에서 패션 관련 상품을 착용한 모습의 사진들을 사용자 스마트기기(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유저앱(User App)에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능을 가진 유저앱에서 사진들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어 즐거운 매장 나들이를 할 수 있는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앱 내에서 사진들을 보다가 곧바로 매장관리자의 스마트기기로 상품에 관한 문의 및 주문을 전송할 수 있어 매장까지 되돌아가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찜한 상품을 쇼핑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는 매장을 돌아다니며 착용, 체험해본 상품들을 촬영한 사진들을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나중에 한꺼번에 비교하면서 최선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 후회하지 않을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온라인 쇼핑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해 주고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해 줄 수 있어 매장으로 더 많은 내방객을 끌어 모을 수 있는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장은 유저앱을 사용하는 내방객들과 SNS 친구 관계를 맺고 계속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한번 내방한 사람들을 단골로 만들 수 있는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앱을 기반으로 하는 상거래는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자기 사진들을 보고 상품을 선택한 다음 제 발로 찾아와 구매하는 것이므로 매장 입장에서는 판매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반품률을 낮출 수 있는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올린 사진 및 동영상 정보를 기점으로 전자상거래의 프로세스가 연동되는, 국내외에서 상용화된 적이 없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인 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에서, 매장의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는 매장 관리자가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미러앱(Mirror App)을 동작시키는 스마트기기 앱을 시작하는 단계(a)와; 매장 내의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면, 유저앱은 매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Beacon)을 통해 매장의 ID를 인식하고, 서버에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전송하는 유저앱 시작 및 사용자 인식 단계(b)와; 상기 사용자가 거울 앞에서 서면, 미러앱(Mirror App)이 스마트기기를 가동시켜 상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연속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 정보와 매장 정보를 결합시켜 서버로 전송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c)와; 서버에서 사진과 매장 ID를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d)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서 사진들을 전송받으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자동 등록하는 단계(e)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의 머천트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f)와; 상기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는 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판매자용 머천트앱(Merchant App)에서 상품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과 연결시키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g)와; 상기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상품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와 문의(Q&A)하거나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h)와; 사용자가 유저앱에서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i);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에서, 매장에서 유저가 직접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는 비콘(Beacon)이 설치된 매장에 입장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는 단계(a)와; 매장에서 사용자가 유저앱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b)와; 상기 촬영된 사진을 매장정보와 함께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 저장하고 서버에도 저장하는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c)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 사진들이 저장되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하는 친구를 등록하는 단계(d)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해당상품을 판매하는 매장관리자의 스마트기기의 머천트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e)와; 상기 매장관리자는 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판매자용 머천트앱(Merchant App)에서 상품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과 연결시키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f)와; 상기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상품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와 곧바로 문의(Q&A)하거나 상품을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g)와; 상기 사용자가 유저앱에서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h);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저앱 시작과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b)에서, 미러앱(Mirror App)은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부터 매장내의 미러앱에 접근했음을 인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저앱을 시작하는 단계(a)에서, 유저앱은 매장내의 비콘으로부터 받은 매장ID를 서버에 보내 매장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g) 또는 단계(f)에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h) 또는 단계(g)에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는 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색상, 사이즈 및 가격정보의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이후 사용자 스마트기기는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매장에서 패션 관련 상품을 착용한 모습의 사진들을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을 구현한 유저앱 내의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어 즐거운 매장 나들이를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저앱 내에서 사진들을 보다가 곧바로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로 문의 및 주문을 할 수 있어 매장까지 되돌아가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마음에 드는 상품을 쇼핑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는 매장을 돌아다니며 착용, 체험해본 상품들을 촬영한 사진들을 나중에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한꺼번에 비교해 보며 최선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 후회하지 않을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온라인 쇼핑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해 주고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해 줄 수 있어 매장으로 더 많은 내방객을 끌어들일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매장은 유저앱을 사용하는 내방객들과 SNS 친구 관계를 맺고 온라인에서 계속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한번 내방한 사람들을 단골로 만들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유저앱을 기반으로 하는 상거래는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자기 사진들을 보고 상품을 선택한 다음 제 발로 찾아와 구매하는 것이므로 매장 입장에서는 판매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반품률을 낮출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올린 사진 및 동영상 정보를 기점으로 전자상거래의 프로세스가 연동되는 국내외에서 상용화된 적이 없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세부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세부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 거울 스마트기기(200),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 운영서버(4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도 2와 도 4를 연관시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면 매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Beacon)을 통해 매장의 ID를 인식하고, 운영서버(400)에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에서 사진들을 전송받으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사진을 찍었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의 머천트 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게 하는 기능과,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와 문의(Q&A)를 주고 받거나 바로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기능과,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상품에 관한 세부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에서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기능에서 서술한 부분을 제외하고 기술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는 비콘(Beacon)이 설치된 매장에 입장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는 기능과, 유저앱은 매장내의 비콘으로부터 받은 매장ID를 운영서버(400)에 보내 매장정보를 획득하는 기능과, 매장에서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기능과, 촬영된 사진을 매장정보와 함께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에 저장하고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에 사진들이 저장되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하는 기능을 더 갖는다.
이하에서 기술한 거울 스마트기기(200)와,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와, 운영서버(400)의 기능은 매장의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와, 매장에서 유저가 직접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서 모두 동일한 것이다.
상기 거울 스마트기기(200)은 사용자가 거울 앞에서 서면, 미러앱이 거울 스마트기기(200)을 가동시켜 매장상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연속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정보와 매장정보를 결합시켜 운영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는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200)에 탑재되어 있는 미러앱(Mirror App)을 동작시키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에서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사진을 촬영했던 매장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의 머천트 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기능과, 매장관리자가 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머천트 앱(Merchant App)에서 상품 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들어온 상품문의에 대하여 상품 관련 답변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운영서버(400)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매장 ID를 전송받고 비콘과 동기화해 매장정보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사진과 매장 ID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으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세부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흐름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매장의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이다.
첫째로는, 거울 스마트기기의 앱을 시작하는 단계(a)로서, 매장 관리자가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200)에 탑재되어 있는 미러앱(Mirror App)을 동작시켜 거울 스마트기기(200)의 앱을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울 스마트기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둘째로는, 유저앱 시작과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b)로서, 매장 내의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면, 유저앱은 매장 내에 부착되어 있는 비콘(Beacon)을 통해 매장의 ID를 인식하고, 운영서버(400)에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전송하여 유저앱 시작과 사용자정보 전송을 승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러앱은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매장 내의 거울 스마트기기(200)에 접근했음을 인지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c)로서, 상기 사용자가 거울 앞에서 서면, 미러앱이 거울 스마트기기(200)의 카메라를 가동시켜 매장상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연속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정보와 매장정보를 결합시켜 운영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넷째로는,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d)로서,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사진들을 운영서버(400)로 전송한 후 운영서버(400)에서 사진과 매장 ID를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다섯째로는, 친구를 등록하는 단계(e)로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에서 사진들을 전송받으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할 것을 추천하여 친구를 등록하는 것이다.
여섯째로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f)로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사진을 촬영했던 해당 매장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의 머천트 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것이다.
일곱째로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g)로서, 상기 매장관리자는 스마트기기(300)의 머천트 앱(Merchant App)을 통해 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머천트 앱에서 상품 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과 연결시켜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다.
여덟째로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h)로서, 상기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사용자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와 문의(Q&A)를 주고 받거나 바로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품의 세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는 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색상, 사이즈 및 가격 등의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이후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는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아홉째로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i)로서,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에서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것이다. 이후에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주문 알림과 함께 상품배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과정을 시스템과 연관되게 나타낸 세부 흐름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흐름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매장에서 유저가 직접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이다.
첫째로는, 사용자가 유저앱을 시작하는 단계(a)로서, 비콘(Beacon)이 설치된 매장에 입장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저앱은 매장내의 비콘으로부터 받은 매장ID를 운영서버(400)에 보내 매장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b)로서, 매장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c)로서, 상기 촬영된 사진을 매장정보와 함께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에 저장하고 운영서버(400)에도 저장하는 것이다.
넷째로는, 친구를 등록하는 단계(d)로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의 유저앱에 사진들이 저장되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할 것을 추천하여 친구를 등록하는 것이다.
다섯째로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e)로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사진을 찍었던 매장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의 머천트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것이다.
여섯째로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f)로서, 매장관리자는 매장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판매자용 머천트앱(Merchant App)에서 상품 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과 연결시켜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다.
일곱째로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g)로서, 상기 세부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300)와 문의(Q&A)를 주고 하거나 바로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품 세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는 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색상, 사이즈 및 가격 등의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이후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는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여덟째로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h)로서,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부터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것이다. 이후에 사용자 스마트기기(100)로 주문 알림을 함과 동시에 상품배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가 거리의 매장에서 판매 중인 상품을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촬영하여 올린 사진 또는 친구들이 상품을 촬영해서 올려놓은 사진을 열람하다가 찜(Selection)을 하면, 해당상품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로 곧바로 연결되어 매장관리자로부터 상품에 관한 세부정보를 얻고, 해당상품을 즉시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정이 운용되기 위해서는 3가지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앱)이 작동되어야 하는데, 첫째는, 매장 관리자는 거울 등에 비콘과 연결된 스마트기기를 부착하고, 이 기기에 미러앱(Mirror App)을 설치해야 하고, 둘째는, 매장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매장관리자용 머천트 앱(Merchant App)을 설치해야 하며, 셋째는, 사용자는 SNS 기능과 전자상거래 기능이 통합된 유저 앱(User App)을 스마트폰에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3가지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앱)이 작동되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실현될 수 있는데, 첫째는, 사용자들이 매장 내에서 자신의 유저앱으로 상품을 촬영해 친구들과 공유하거나, 매장 내의 거울 스마트기기의 미러앱이 상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해 사용자의 유저앱으로 전송해주면 사용자는 이를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고, 둘째는, 미러앱 및 유저앱, 그리고 운영서버 간에 사용자가 올린 사진 및 동영상 데이터 속에 해당 매장 및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으며, 셋째는, 유저앱 내에서 매장 및 상품정보가 포함된 사진 및 동영상들을 열람하다 사용자가 찜(Selection)을 선택하면, 그 즉시 해당매장의 매장관리자의 머천트 앱(Merchant App)으로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하고, 넷째는, 매장 관리자는 머천트 앱을 이용해 매장에 입고된 상품에 관한 색상, 가격, 수량 등과 같은 세부정보를 입력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야 하며, 다섯째는, 알림 메시지를 받은 매장 관리자는 사진 속의 상품을 확인한 후 상품정보 DB에서 해당상품정보를 연결시켜야 하며, 여섯째는, 상품정보가 연결되는 순간, 실시간으로 유저앱의 해당사진 아래 편에 상품정보 링크 버튼이 생성되어야 하고, 일곱째는, 사용자가 상품정보 링크 버튼을 누르면, 해당상품을 주문할 수 있는 상품 세부정보 페이지로 이동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이전까지 국내외에서 상용화된 적이 없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으로써, 판매자가 올린 상품정보를 기점으로 전자상거래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기기로 올린 사진 및 동영상 정보를 기점으로 전자상거래의 프로세스가 창출되는 획기적인 방법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은 의류나 미용을 포함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그 적용범위가 광범위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스마트기기 200 : 거울 스마트기기
300 :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 400 : 운영서버

Claims (6)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의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는 매장 관리자가 거울에 부착된 스마트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미러앱(Mirror App)을 동작시키는 스마트기기 앱을 시작하는 단계(a)와;
    매장 내의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면, 유저앱은 매장 내에 부착되어 있는 비콘(Beacon)을 통해 매장의 ID를 인식하고, 서버에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전송하는 유저앱 시작 및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b)와;
    상기 사용자가 거울 앞에서 서면, 미러앱이 거울 스마트기기를 가동시켜 매장상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연속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 정보와 매장 정보를 결합시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c)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사진들을 운영서버로 전송한 후 운영서버에서 사진과 매장 ID를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d)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서 사진들을 전송받으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하는 단계(e)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사진을 찍었던 매장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의 머천트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f)와;
    상기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는 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판매자용 머천트앱(Merchant App)에서 상품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과 연결시키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g)와;
    상기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와 문의(Q&A)를 주고 받거나 바로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 세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h)와;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i);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에서 유저가 직접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는 비콘(Beacon)이 설치된 매장에 입장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유저앱(User App)을 시작하는 단계(a)와;
    매장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b)와;
    상기 촬영된 사진을 매장정보와 함께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 저장하고 운영서버에도 저장하는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c)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유저앱에 사진들이 저장되면 해당매장을 유저앱 내의 SNS 친구로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친구를 등록하는 단계(d)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특정사진을 찜(Selection)하면, 사진을 찍었던 매장의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의 머천트앱(Merchant App)에 알림 메시지가 뜨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e)와;
    상기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는 사용자가 찜한 사진 속에 포함된 상품을 확인하고, 판매자용 머천트앱(Merchant App)에서 상품DB를 불러 사용자의 사진과 연결시키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f)와;
    상기 상품정보가 연결되면, 유저앱의 해당사진 바로 밑에 상품정보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상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고, 매장관리자 스마트기기와 문의(Q&A)를 주고 받거나 바로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g)와;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해당상품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h);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앱 시작과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b)에서, 미러앱은 사용자정보 및 매장ID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기기를 휴대한 채 매장내의 미러앱에 접근했음을 인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앱을 시작하는 단계(a)에서, 유저앱은 매장 내의 비콘으로부터 받은 매장ID를 운영서버에 보내 매장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단계(g) 또는 단계(f)에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과 상품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h) 또는 단계(g)에서, 상품 DB가 없는 경우는 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색상, 사이즈 및 가격 등의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이후 사용자 스마트기기는 주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KR1020150082384A 2015-06-11 2015-06-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KR20160145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84A KR20160145961A (ko) 2015-06-11 2015-06-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PCT/KR2016/004234 WO2016200044A1 (ko) 2015-06-11 2016-04-2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84A KR20160145961A (ko) 2015-06-11 2015-06-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961A true KR20160145961A (ko) 2016-12-21

Family

ID=5750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84A KR20160145961A (ko) 2015-06-11 2015-06-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5961A (ko)
WO (1) WO20162000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9744A (zh) * 2017-08-14 2019-02-26 上海仁基互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基于视觉方法生成订单的自助终端
KR20220022396A (ko) * 2020-08-18 2022-02-25 (주)이스트소프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2510A (zh) * 2020-12-17 2021-04-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信息发布方法、控制装置及系统、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142U (ko) 2007-06-08 2008-12-11 김유경 조립식 팔레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76B1 (ko) * 2005-05-17 2007-06-25 (주)인터랙티비 양방향 트랜잭션이 가능한 가상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장치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130082966A (ko) * 2011-12-26 2013-07-22 (주)트리포스 매장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매장
KR20140056962A (ko) * 2012-11-02 2014-05-12 시너지브라더스 주식회사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127421A (ko) * 2013-04-24 2014-11-04 핑거터치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142U (ko) 2007-06-08 2008-12-11 김유경 조립식 팔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9744A (zh) * 2017-08-14 2019-02-26 上海仁基互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基于视觉方法生成订单的自助终端
KR20220022396A (ko) * 2020-08-18 2022-02-25 (주)이스트소프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044A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873B1 (ko) 구매를 위한 증강 현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881939B1 (ko)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US9996861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personalization based on automotive identifiers
JP6051323B1 (ja) 拡張現実基盤のショッピング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10559019B1 (en) System for centralized E-commerce overhaul
US2010026531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KR101692755B1 (ko)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WO2019007416A1 (zh) 一种线下导购方法和装置
US2013034623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ching of Shopping Items
US2011010663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facilitating use of wireless smart devices to purchase goods or services
KR20220128620A (ko) 시청각 콘텐츠 내에서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US20150307279A1 (en) Retail automation platform
KR102139348B1 (ko) 실시간 상품 정보 제공 방법
US20150058870A1 (en) Facilitating purchase from video advertisements
KR101606675B1 (ko) Sns상의 사용자별 가상 옷장을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7091A (ko)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KR20160145961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WO2016033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photography
KR101770189B1 (ko) 제어 가능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정보와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927078B1 (ko) 사용자와 관련한 이미지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50119979A (ko)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가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688521B1 (ko) 증강 현실을 활용한 옴니 채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0097415A (zh) 一种在线购买货品的方法、系统及装置
KR20170135055A (ko) 핏팅 모델 기반 온라인 쇼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