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962A -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962A
KR20140056962A KR1020120123481A KR20120123481A KR20140056962A KR 20140056962 A KR20140056962 A KR 20140056962A KR 1020120123481 A KR1020120123481 A KR 1020120123481A KR 20120123481 A KR20120123481 A KR 20120123481A KR 20140056962 A KR20140056962 A KR 2014005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mobile terminal
article
information
phot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박형국
Original Assignee
시너지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너지브라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너지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962A/ko
Publication of KR2014005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여 패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캡쳐 및 저장하여, 패션 물품의 사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부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패션 물품에 대한 패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션 정보 제공 서버; 및 패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패션 물품의 판매 정보를 패션 정보 제공 서버를 경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취향에 따른 다양한 패션 물품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ASHION INFORMATION BASED ON SEARCHING FOR TARGET}
본 발명은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여 패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패션 물품의 사진을 찍어서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하고 서버에 업로드하면,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찍어서 업로드 한 패션 물품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찍어서 업로드 한 패션 물품에 대한 판매 정보까지 전송해주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하루가 멀다하고 빠르게 변모하는 유행 즉, 패션 트렌드(fashion trend)의 경우, 과거에는 LG 패션이나 제일 모직과 같은 대형 물품 제조 업체들에 의해 유행이 일방적으로 선도되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인디 패션쇼, 개인 패션 디자이너 또는 개인 쇼핑몰 운영 업체들에 의해 유행이 선도되는바, 패션 트렌드의 선도 주체가 다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이러한 경향은 다양한 패션을 접하고 싶고, 일반화되고 통일화된 패션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독특한 개성을 살리고자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층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자기만의 독특한 개성을 살리고 싶은 젊은층은 패션 잡지, 패션에 관한 케이블 방송뿐만 아니라, 홍대, 이대 등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물품 판매 업체를 찾거나, 길거리 패션 또는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서 최신의 패션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마음에 드는 패션 스타일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젊은층은 Facebook이나 twitter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해 자신이 구매하거나 평소에 관심있던 물품 및 의류, 길거리 패션이나 연예인들의 평상복 패션 등을 공유하고, 공유한 패션 물품(의류, 미용 용품, 소형 가전 또는 휴대형 IT 기기)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SNS에 포스팅한 패션 물품 사진에 올라오는 댓글이나 추천은 주로 친분이 있는 사람들끼리 주고 받는 의견이나 추천인바, 사실상 패션 물품 자체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SNS 등에 업로드한 패션 물품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만한 단체나 개인으로부터 취득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인데, 대표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출원 번호: 10-2001-0035394;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한다)'를 들 수 있다.
인용발명1은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패션 역사, 패션 트랜드, 패션의 마케팅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패션 관련 사용자들의 각 직업군에 따라 패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패션 서비스 제공 비지니스 모델 발명이다.
그러나 인용발명1은 각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하는 개인이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일방적으로 패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패션 정보 서비스 제공 기술인바, 다양한 개인들이 자신이 업로드한 패션 물품 사진을 타인과 공유하면서 의견을 주고 받고, 이에 대한 전문가의 추천과 패션 물품에 자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맞게 패션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여 개인의 신체적인 스타일에 맞게 패션 코디를 해주는 기술도 등장하였다. 대표적으로는 '매칭 가능성에 기반한 타겟 탐색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출원 번호: 10-2010-0111181; 이하 '인용발명2'라고 한다)'를 들 수 있다.
인용발명2는 전처리기(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 팔, 다리 등을 인식하여, 신체의 계산된 비율에 따라 체형을 분류 한 후 타겟 매칭을 통하여, 패션 스타일 등을 코디할 수 있도록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2는 개인의 체형에 맞도록 물품의 비율과 사이즈를 적용할 수 있을 뿐, 실제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패션 물품을 개인이 직업 입어보지 않아도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의 패션 물품인지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는 '가상 의류 착용 방법(출원 번호: 10-2007-0044886; 이하 '인용발명3'이라 한다)'을 들 수 있는데, 이 방법은 소비자는 모바일 환경 하에서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옷을 가상으로 입어 볼 수 있도록, 의류의 제품번호를 이동단말기에 입력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사의 서버로 상기 의류의 제품번호를 전달하는 단계; 분석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요청 제품번호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참고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3은 특정 업체에서 제공하는 의류의 범위 내에서만 개인이 패션 의류를 고를 수만 있는바, 개인이 길거리 패션, 홍대나 이대 앞의 인디 패션 등을 실시간으로 서버에 업로드하여, 이에 대해 타인과 공유할 수 없으며, 전문가로부터 이들 패션 의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사진으로 촬영하여 업로드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는데, 이에 대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객체 인식시스템 및 이를 갖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출원 번호: 10-2008-0083926; 이하 '인용발명4'라고 한다)'을 들 수 있다.
인용발명4의 객체 인식 시스템은 실물객체의 속성값을 포함하는 속성 데이터세트 및 실물객체와 관련된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세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상객체들이 저장된 가상객체 데이터베이스; 및 단말기에 의해 프리뷰(preview)된 타깃실물객체(target real object)의 실물객체 인식데이터를 전송받아 타깃실물객체의 속성값(attribute)을 산정(compute)하고, 가상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가상객체 중에서 산정된 타깃실물객체의 속성값과 매칭하는 속성값을 갖는 가상객체를 타깃가상객체(target virtual object)로 결정하는 타깃가상객체 결정부를 포함하여, 타깃가상객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타깃가상객체의 서비스 데이터세트에 포함된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인용발명4는 단말기에서 촬영된 객체를 인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실물 객체 정보와 속성값의 매칭으로 타깃 가상 객체가 무엇인지를 판별해 내는 기술만 제시할 뿐, 단말기 사용자가 촬영한 패션 물품을 타인과 공유하고, 이에 대한 평가 및 패션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마음에 드는 패션 물품을 직접 촬영하여 업로드하면, 촬영된 패션 물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패션 물품의 사진을 서버에 업로드하여, 타인과 이를 공유함으로써, 제3자로부터 자신이 업로드한 패션 물품에 대한 평가를 받아볼 수 있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캡쳐 및 저장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부터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에 대한 패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션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패션 물품에 대한 사진을 캡쳐하는 포토 캡쳐부;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저장하는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소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포토 캡쳐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패션 물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패션 물품의 화면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부터 수신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베이스부; 패션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타깃 검색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패션 정보를 추출하는 타깃 검색부; 상기 타깃 검색부로부터 상기 패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상기 패션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을 '추천 물품'이라 한다)을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 및 상기 패턴 추출부가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상기 추천 물품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천 물품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패션 정보는, 상기 패션 물품의 브랜드 및 상기 패션 물품의 상품 분류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패션 물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매장 정보; 및 상기 패션 물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매장 정보는 온라인 매장의 사이트 주소 및 상기 패션 물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 지도 상의 위치, 상기 패션 물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캡쳐하고 저장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업로드하는 SNS 업로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팅부는, 상기 SNS 업로드부가 업로드한 상기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호응도에 따라 상기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호응도는, 상기 SNS 서버에 상기 패션 물품 사진이 포스팅된 웹 페이지에 기재된 댓글수 또는 추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부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캡쳐 및 저장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패션 물품 사진 촬영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는, 인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패션 물품을 판매하고 있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찍어서 업로드한 패션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바, 다양한 취향에 따른 다양한 패션 물품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찍어서 업로드한 패션 물품을 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제 3 자의 객관적인 평가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찍어서 업로드한 패션 물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얻을 수 있는바, 온 오프라인 매장을 통하여 최저 가격을 고려하여 실제 구매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의 최신 취향과 패션 트렌드의 흐름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바, 최신 유행에 맞추어 발빠르게 패션 아이템을 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의 상호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초기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패션 물품 사진을 캡쳐하고 저장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가격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캡쳐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션 정보 제공 서버가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과 동일 유사한 패션 물품을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션 정보 제공 서버가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과 동일 유사한 패션 물품을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에 업로드한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호응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에 업로드한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호응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의 상호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초기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패션 물품 사진을 캡쳐하고 저장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가격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캡쳐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션 정보 제공 서버가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과 동일 유사한 패션 물품을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션 정보 제공 서버가 모바일 단말기로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과 동일 유사한 패션 물품을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에 업로드한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호응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에 업로드한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호응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여 패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00);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를 포함한다(도 1 참조).
모바일 단말기(100)의 예로는 현재 시중에 널리 판매되고 있는 iOS(미국 애플사 제품) 기반의 아이폰 시리즈(아이폰4s, 아이폰5; 미국 애플사 제품), 아이패드 시리즈(아이패드2, 아이패드, 아이패드 미니; 미국 애플사 제품), 안드로이드(미국 구글사 제품) 기반의 구글 넥서스, 삼성 갤럭시 시리즈(갤럭시S3, 갤럭시 노트2, 갤럭시 탭), LG 옵티머스G 등의 스마트폰을 들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길거리 등에서 패션 물품 등을 직접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어야하므로, 기본적으로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야함은 물론이며, 모바일 단말기(100)는 웹 브라우저 등에 표시된 패션 물품 사진을 캡쳐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패션 물품의 사진을 캡쳐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캡쳐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도 3 참조).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는 후술할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연동되어, 캡쳐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물품'이란 패션 의류, 패션 소품, 미용 용품, 소형 가전, 휴대용 IT 기기 등 유행을 타면서 평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물품을 총 망라하는 개념이며, 이하 도면 등에서는 패션 의류를 물품의 일 예시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캡쳐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패션 물품에 대한 패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해준다.
패션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캡쳐한 패션 물품의 브랜드 및 상품 분류 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 분류 번호는 상기 패션 물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 내부적으로 분류한 상품 코드 번호 등을 의미한다.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는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며, 패션 물품의 판매 정보를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며 이후, 패션 정보 제공 서버는 패션 물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는 다음, 네이버의 온라인 포털 사이트를 통해 중개하는 쇼핑몰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와 제휴가 되어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총 망라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판매 정보란, 모바일 단말기(100)가 캡쳐한 패션 물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매장 및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매장 정보의 경우, 온라인 매장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와 패션 물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며,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 지도 상의 위치, 패션 물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패션 물품과 이에 대한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포토 캡쳐부;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 및 소팅(sorting)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캡쳐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패션 물품의 사진을 캡쳐하도록 하는 구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패션 물품을 촬용하는 카메라부; 및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패션 물품의 화면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 메모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패션 물품의 사진을 캡쳐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즉,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이후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소팅부는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카테고리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투(outer), 상의(top), 하의(bottoms) 등으로 의상 분류를 의미한다.
패션 정보 제공 서버(20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데이터 베이스부; 제 2 데이터 베이스부; 타깃 검색부; 패턴 추출부; 및 추천 패션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 베이스부는 패션 정보 제공 서버 내부의 메모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저장한다.
제 1 데이터 베이스부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캡쳐 및 저장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 2 데이터 베이스부는 패션 트렌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패션 트렌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란, 과거 또는 현재까지 시판 중인 모든 패션 물품의 정보를 의미하는데, 패션 물품의 사진, 사이즈, 색상, 브랜드, 가격, 판매 업체, 유통 업체 등을 의미한다.
제 2 데이터 베이스부는 제 1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패션 물품의 사진과 이미지와 연관성을 가지는 패션 물품을 추출해야하는 데이터 베이스인바, 제 2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는 패션 물품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양은 막대하고 방대한 용량일 것이다.
타깃 검색부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객체 인식 시스템(출원 번호: 10-2008-0083926) 등의 기술을 이용하거나, 구글 이미지 검색과 같은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로서, 여기서 타깃은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캡쳐한 패션 물품이며, 타깃 검색부는 제 1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패션 물품의 사진을 타깃 검색한다.
여기서 타깃 검색이란, 패션 물품의 외형을 추출하고, 색상과 외부에 표시된 브랜드를 추출하여, 제 2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패션 트렌드 정보와 이미지 매칭시킨 후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을 찾는 검색이다.
타깃 검색에 대한 기술은 상술한 객체 인식 시스템이나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기술인바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타깃 검색 후, 패턴 추출부는 타깃 검색부로부터 패션 정보를 추출하고, 제 2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패션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상기 패션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을 '추천 물품'라 한다)을 추출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는 프릴 블라우스를 캡쳐하여 패션 물품의 사진으로 저장한 경우이며, 이에 따라 프릴 블라우스와 유사한, 즉 추천 물품을 도 9와 같이 수신한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추천 패션 전송부는 상기 패션 추출부가 추출한, 추천 물품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은 SNS 업로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NS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로서,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의미하며, 이 외에도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가 타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와 포스팅을 통해 정보 및 대화를 교감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포함한다고 볼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SNS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을 알 수 있고, 이후 업로드 된 경우, 도 7 및 8과 같은 포스팅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SNS 업로드부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캡쳐하고 저장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SNS 서버에 업로드한다.
이 경우,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이 경우 소팅부는 SNS 업로드부가 업로드한 패션 물품 사진의 호응도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패션 물품의 사진을 분류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좋아요(하트 모양), 싫어요(동그란 모양의 싫은 표정의 이모티콘), 또는 다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댓글(말풍선 모양)이 첨부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들 호응도에 따라, 소팅부는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패션 사진을 분류 즉, 우선 순위를 매겨서 제일 좋은 호응도를 보인 패션 물품 사진을 가장 위에 배치하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모바일 단말기(100) 내부에 위치 인식 기능 즉, GPS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가 패션 물품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패션 물품 사진 촬영시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 경우, 온라인 쇼핑몰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인식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이내에 위치한 패션 물품을 판매하고 있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소정의 반경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며, 반경을 1km 이내, 또는 3km이내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모바일 단말기가 캡쳐한 패션 물품 사진 전송
2: 패션 정보 전송 및 판매 정보 전송
3: 모바일 단말기가 캡쳐한 패션 물품 사진 전송
4: 판매 정보 전송
100: 모바일 단말기
200: 패션 정보 제공 서버
300: 온라인 쇼핑몰 서버

Claims (10)

  1.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패션 물품의 사진을 캡쳐 및 저장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부터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에 대한 패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션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패션 물품에 대한 사진을 캡쳐하는 포토 캡쳐부;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저장하는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소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캡쳐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패션 물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패션 물품의 화면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부터 수신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베이스부;
    패션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타깃 검색하여, 상기 패션 물품의 패션 정보를 추출하는 타깃 검색부;
    상기 타깃 검색부로부터 상기 패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패션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상기 패션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을 '추천 물품'라 한다)을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 및
    상기 패턴 추출부가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상기 추천 물품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천 물품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정보는,
    상기 패션 물품의 브랜드 및 상기 패션 물품의 상품 분류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패션 물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매장 정보; 및
    상기 패션 물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매장 정보는 온라인 매장의 사이트 주소 및 상기 패션 물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 지도 상의 위치, 상기 패션 물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캡쳐하고 저장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업로드하는 SNS 업로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팅부는,
    상기 SNS 업로드부가 업로드한 상기 패션 물품 사진에 대한 호응도에 따라 상기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응도는,
    상기 SNS 서버에 상기 패션 물품 사진이 포스팅된 웹 페이지에 기재된 댓글수 또는 추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부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캡쳐 및 저장한 패션 물품의 사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패션 물품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패션 물품 사진 촬영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는,
    인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패션 물품을 판매하고 있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20123481A 2012-11-02 2012-11-02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056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481A KR20140056962A (ko) 2012-11-02 2012-11-02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481A KR20140056962A (ko) 2012-11-02 2012-11-02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62A true KR20140056962A (ko) 2014-05-12

Family

ID=5088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481A KR20140056962A (ko) 2012-11-02 2012-11-02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696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821A (ko) * 2015-05-08 2016-11-16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WO2016182223A1 (ko) * 2015-05-08 2016-11-17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WO2016200044A1 (ko) * 2015-06-11 2016-12-15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WO2017126789A1 (ko) * 2016-01-22 2017-07-27 장윤수 위치 기반 상품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WO2017142361A1 (ko) * 2016-02-17 2017-08-24 옴니어스 주식회사 스타일 특징을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WO2018093116A1 (ko) * 2016-11-16 2018-05-24 주식회사 랄라코스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패션정보 제공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20210123797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신사유람단 사용자 체형 정보를 이용한 의류 추천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821A (ko) * 2015-05-08 2016-11-16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WO2016182223A1 (ko) * 2015-05-08 2016-11-17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WO2016200044A1 (ko) * 2015-06-11 2016-12-15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WO2017126789A1 (ko) * 2016-01-22 2017-07-27 장윤수 위치 기반 상품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WO2017142361A1 (ko) * 2016-02-17 2017-08-24 옴니어스 주식회사 스타일 특징을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WO2018093116A1 (ko) * 2016-11-16 2018-05-24 주식회사 랄라코스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패션정보 제공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20210123797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신사유람단 사용자 체형 정보를 이용한 의류 추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1696B2 (ja) 検索支援システム、検索支援方法及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JP6806127B2 (ja)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56962A (ko) 타깃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TW201907350A (zh) 線下導購方法和裝置
US202102872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all-in-one personal fashion coaching and assist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er-to-peer network databases
US8645230B2 (en) Virtual closet for storing and accessing virtual representations of items
KR20160013496A (ko) 이미지 검색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패션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10366447B2 (en) Providing a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for an item
US20140180864A1 (en) 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KR101443158B1 (ko) 사용자 관심 기반의 상품정보 추천 시스템
CN108292425A (zh) 自动引导的图像捕获和展示
CN107909443A (zh) 信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KR102102571B1 (ko)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2890A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CN109416693A (zh) 服务器装置、终端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CN111582979A (zh) 服饰搭配推荐方法和装置及电子设备
KR20170091402A (ko) 패션 아이템 검색 시스템
US10346901B1 (en) Computer generation of composite images
KR102102572B1 (ko)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905615B1 (ja) 拡張現実システム
Cha Smart Commerce Case Study Us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AI, VR
JP2005133228A (ja) モバイルコーディネートサービス方法、モバイルコーディネート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
KR20230059476A (ko) 날씨 기반 패션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95084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业务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