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96A -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396A
KR20220022396A KR1020200103520A KR20200103520A KR20220022396A KR 20220022396 A KR20220022396 A KR 20220022396A KR 1020200103520 A KR1020200103520 A KR 1020200103520A KR 20200103520 A KR20200103520 A KR 20200103520A KR 20220022396 A KR20220022396 A KR 2022002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face
tex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468B1 (ko
Inventor
별 손
김선국
김혜란
김승현
김충환
윤수지
전태경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이스트소프트
주식회사 라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트소프트, 주식회사 라운즈 filed Critical (주)이스트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10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타면이 유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거울부와, 상기 타면 측에서 상기 일면 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일면 측을 대향하여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거울부의 상기 일면 중 적어도 일부에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제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product worn by users,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제품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 예컨대 안경과 같은 착용형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과 같은 착용형 제품은 사용자가 실제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06438호 2016년 09월 12일 공개 (명칭: 전신거울을 이용한 3차원 코디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제품을 착용하고 거울을 바로 볼 때 거울에 비친 제품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타면이 유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거울부와, 상기 타면 측에서 상기 일면 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일면 측을 대향하여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거울부의 상기 일면 중 적어도 일부에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제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 중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인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영역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추출하는 데에 성공하면,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 후,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면, 상기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텍스트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효성이 인증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지 않으면,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지 혹은 얼굴이 기 설정된 거리 밖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얼굴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얼굴이 기 설정된 거리 밖에 있으면, 거울로 접근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상황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황분석부는 상기 텍스트를 추출하는 데에 실패하거나,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품을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카메라부가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타면이 유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거울부의 상기 타면 측에서 상기 일면 측을 지향하여 상기 일면 측을 대향하여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제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 중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인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후, 텍스트검출부가 상기 제품영역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검출부가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검출부가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면, 상기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후, 데이터처리부가 서비스서버로 상기 유효성이 인증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별다른 행동을 하지 않아도 제품을 착용한 상태를 거울을 통해 확인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제공시스템은 거울장치(100) 및 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정보제공시스템은 거울장치(100) 및 서비스서버(300) 외에 매장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는 복수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며, 거울장치(100) 혹은 매장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거울장치(100)는 거울을 포함하며, 거울을 매개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거울장치(100)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가 거울에 비춰지면,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울장치(100)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가 거울에 비춰지면, 거울에 비친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하여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상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매장장치(200)는 매장에 구비된 컴퓨팅 연산 장치이며, 대표적으로, 데스크톱 컴퓨터를 예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장치(200)는 거울장치(100)로부터 거울에 비친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면, 매장장치(200)는 거울에 비친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하여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상품 정보를 거울장치(1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거울장치(100)는 매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거울부(110), 카메라부(120), 표시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울장치(100)는 거울부(110), 카메라부(120), 표시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울장치(100)는 거울부(110), 카메라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며, 매장장치(200)는 통신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거울부(110)는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타면이 유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반투명거울(Semi-transparent mirror)이 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부(120)는 거울부(110)의 타면 측에서 일면 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되며, 일면 측을 대향하여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20)는 거울부(110)의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되어, 거울부(110)의 전면을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부(120)는 렌즈,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CCD(Charged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디지털 수열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은 후술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다.
표시부(130)는 거울장치(100) 혹은 매장장치(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0)는 거울장치(100) 혹은 매장장치(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130)는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표시부(130)는 거울부(110)의 거울 영역 내부에 배치되거나, 혹은 거울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서비스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거울장치(100) 및 매장장치(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예컨대, 제품영역이미지, 상품 정보 등을 저장하는 영역이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장치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기본적으로, 이미지추출부(161), 텍스트검출부(163) 및 데이터처리부(165)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이미지추출부(161), 텍스트검출부(163) 및 데이터처리부(165) 외에 상황처리부(167)를 더 포함한다.
이미지추출부(161)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제품을 식별하고, 제품이 차지하는 영역의 이미지인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추출부(161)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신경망은 MTCNN(Multi-task Cascaded Convolutional Networks)을 예시할 수 있다.
텍스트검출부(163)는 이미지추출부(161)로부터 제품영역이미지(FA)가 입력되면, 제품영역이미지(FA)에서 텍스트를 추출한다. 이러한 텍스트 추출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한다. 특히, 텍스트검출부(163)는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검출부(163)는, "상품의 브랜드 코드"(2자리 알파벳) + "상품 번호"(숫자 7자리) + "mod(상품번호 각 자리 숫자의 합, 10)"(여기서, mod는 상품번호 각 자리 숫자의 합을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하는 함수로서, 결과값으로 1자리 숫자를 반환함)을 포함하는 총 10자리 조합으로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성 검사는 단순히 상품 번호로만 텍스트를 인식한 경우의 오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처리부(165)는 통신부(140)를 통해 서비스서버(300)에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통해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 정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품 정보를 검색할 때, 데이터처리부(165)는 검색어로 텍스트검출부(163)가 검출한 텍스트를 이용한다. 서비스서버(300)는 상품의 실시간 재고, 가격 정보, 제품 리뷰 정보, 회원 정보(조회 이력), 기타 제품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한다. 특히, 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통해 품절 여부, 상품 예약, 재입고 알림 등의 온오프라인 연동된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통해 온오프라인 가격, 온라인 프로모션 여부, 기획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통해 오프라인에서 예컨대, 제품 리뷰, "좋아요"의 수 등의 온라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통해 로그인 시 오프라인에서 탐색했던 내용 기반으로 온오프라인 회원정보 조회 연동이 가능하다. 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통해 예컨대, 사이즈, 기타 연관 상품, 연예인 착용 여부 등의 해당 제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황분석부(167)는 현재 상황을 인식하고, 해당 상황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황분석부(167)는 제품영역이미지(FA)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얼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이면, 표시부(130)의 화면을 대기 화면으로 변경한다. 또한, 상황분석부(167)는 제품영역이미지(FA) 추출에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얼굴이 기 설정된 크기 미만이면, 표시부(130)를 거울로 접근하도록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황분석부(167)는 텍스트 추출에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면, 표시부(130)를 제품 착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황분석부(167)는 텍스트 추출에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텍스트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이면, 표시부(130)를 통해 제품 착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전술한 모든 상황이 아닌 경우, 상황분석부(167)는 표시부(130)를 제품 정보 화면으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거울부(110)는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타면이 유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제품을 착용하고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는 일면 측을 대향하여 자신이 제품을 착용한 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
이때, 거울부(110)의 타면 측에서 일면 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부(120)는 S110 단계에서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S120 단계에서 카메라부(120)가 촬영한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제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품이 차지하는 영역이 포함된 이미지인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S130 단계에서 제품영역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S140 단계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하여 서비스서버(300)에서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상품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상품 정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면, 전술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5는 전술한 S12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의 이미지추출부(161)는 S210 단계에서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이 입력되면, S220 단계에서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이미지추출부(161)는 인공신경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얼굴을 검출한 후, 검출된 얼굴이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신경망은 MTCNN(Multi-task Cascaded Convolutional Networks)을 예시할 수 있다.
S220 단계의 확인 결과,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면, 이미지추출부(161)는 S270 단계에서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추출 실패 상황을 리포트한다. 여기서, 추출 실패의 이유는 얼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및 얼굴이 기 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를 포함한다. 이때, 상황분석부(167)가 존재하는 경우, 이미지추출부(161)는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추출 실패 상황을 상황분석부(167)에 제공한다.
반면, S220 단계의 확인 결과,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면, 이미지추출부(161)는 S24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얼굴 중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이미지추출부(161)는 S250 단계에서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S250 단계의 확인 결과,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미지추출부(161)는 S270 단계에서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추출 실패 상황을 리턴한다. 여기서, 추출 실패의 이유는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 상황분석부(167)가 존재하는 경우, 이미지추출부(161)는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추출 실패 상황을 상황분석부(167)에 제공한다.
반면, S250 단계의 판별 결과,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면, 이미지추출부(161)는 S260 단계에서 선택된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인 제품영역이미지(FA)를 추출한다. 앞서(S220 단계) 이미지추출부(161)가 인공신경망을 통해 얼굴을 검출하면, 원본 영상, 즉,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박스의 좌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추출부(161)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제품영역이미지(FA)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제품영역이미지(FA)는 텍스트검출부(163)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6은 전술한 S13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의 텍스트검출부(163)는 이미지추출부(161)로부터 제품영역이미지(FA)가 입력되면, S310 단계에서 제품영역이미지(FA)에서 텍스트를 추출한다. 이러한 텍스트 추출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한다. 그런 다음, 텍스트검출부(163)는 S320 단계에서 텍스트의 검출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S320 단계의 판별 결과, 텍스트 검출에 실패한 경우, 텍스트검출부(163)는 S360 단계에서 텍스트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텍스트 추출 실패 상황을 리턴한다. 여기서, 텍스트 추출 실패의 이유는 텍스트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이다. 이때, 상황분석부(167)가 존재하는 경우, 텍스트검출부(163)는 텍스트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텍스트 추출 실패 상황을 상황분석부(167)에 제공한다.
반면,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텍스트 검출에 성공한 경우, 텍스트검출부(163)는 S340 단계에서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검출부(163)는 상품의 브랜드 코드(2자리 알파벳) + 상품 번호(숫자 7자리) + mod(상품번호 각 자리 숫자의 합, 10)(1자리 숫자)을 포함하는 총 10자리 조합으로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성 검사는 단순히 상품 번호로만 텍스트를 인식한 경우의 오류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S340 단계의 유효성 검사 결과,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텍스트검출부(163)는 S360 단계에서 텍스트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텍스트 추출 실패 상황을 리턴한다. 여기서, 텍스트 추출 실패의 이유는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때, 상황분석부(167)가 존재하는 경우, 텍스트검출부(163)는 텍스트 추출 실패의 이유와 함께 텍스트 추출 실패 상황을 상황분석부(167)에 제공한다.
반면, S340 단계의 유효성 검사 결과,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면, 텍스트검출부(163)는 S350 단계에서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추출된 텍스트를 데이터처리부(165)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7은 전술한 S14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부(165)는 S410 단계에서 통신부(140)를 통해 서비스서버(300)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검색요청 메시지는 검색어로 유효성이 인증된 텍스트를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65)는 S420 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처리부(165)는 S430 단계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각 종 에러 상황에서 상황분석부(167)는 각 상황에 맞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60)의 상황분석부(167)는 S510 단계에서 상황 및 그 상황에 대한 이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황분석부(167)는 S520 단계에서 제품영역이미지(FA)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얼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 결과, 제품영역이미지(FA)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얼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이면, 상황분석부(167)는 S530 단계에서 표시부(130)의 화면을 대기 화면으로 변경한다.
한편, 상황분석부(167)는 S540 단계에서 제품영역이미지(FA)를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얼굴이 기 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 결과, 제품영역이미지(FA)를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얼굴이 기 설정된 크기 미만이면, 상황분석부(167)는 S550 단계에서 표시부(130)를 거울로 접근하도록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황분석부(167)는 S560 단계에서 텍스트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 결과, 텍스트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면, 상황분석부(167)는 S570 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품 착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황분석부(167)는 S580 단계에서 텍스트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텍스트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러한 확인 결과, 텍스트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텍스트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이면, 상황분석부(167)는 S570 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품 착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반면, S580 단계의 확인 결과, 상황분석부(167)는 텍스트 추출을 실패한 상황의 이유가 텍스트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면, 상황분석부(167)는 S590 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품 정보 화면으로 변경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거울장치
200: 매장장치
300: 서비스서버

Claims (10)

  1.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는 거울부;
    상기 거울부의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거울부의 전면을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거울부의 내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제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 중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인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영역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추출하는 데에 성공하면,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 후,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면,
    상기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텍스트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효성이 인증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지 않으면,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지 혹은 얼굴이 기 설정된 거리 밖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얼굴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얼굴이 기 설정된 거리 밖에 있으면,
    거울로 접근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상황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분석부는
    상기 텍스트를 추출하는 데에 실패하거나,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품을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7.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부가 일면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는 거울부의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의 전면을 바라보는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제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영상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 중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추출부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선택된 얼굴에 제품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가장 큰 면적의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인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영역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후,
    텍스트검출부가 상기 제품영역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검출부가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검출부가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규칙을 만족하면, 상기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후,
    데이터처리부가 서비스서버로 상기 유효성이 인증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200103520A 2020-08-18 2020-08-18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48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20A KR102480468B1 (ko) 2020-08-18 2020-08-18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20A KR102480468B1 (ko) 2020-08-18 2020-08-18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96A true KR20220022396A (ko) 2022-02-25
KR102480468B1 KR102480468B1 (ko) 2022-12-22

Family

ID=804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20A KR102480468B1 (ko) 2020-08-18 2020-08-18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074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거울을 구비한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6438A (ko)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신거울을 이용한 3차원 코디시스템
KR20160145961A (ko) * 2015-06-11 2016-12-21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JP2018022126A (ja) * 2016-07-22 2018-02-08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作成ゲーム機および撮影方法
JP2020095581A (ja) * 2018-12-14 2020-06-18 株式会社ジンズホールディングス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店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074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거울을 구비한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6438A (ko)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신거울을 이용한 3차원 코디시스템
KR20160145961A (ko) * 2015-06-11 2016-12-21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JP2018022126A (ja) * 2016-07-22 2018-02-08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作成ゲーム機および撮影方法
JP2020095581A (ja) * 2018-12-14 2020-06-18 株式会社ジンズホールディングス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店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68B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6991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108961B2 (en) Image analysis for user authentication
US11501614B2 (en) Skip-scanning identif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and system
CN103324280B (zh) 互动白板会话的自动终止
US10339416B2 (en) Database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dynamic and interactive mobile imag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US10078867B1 (en) Augmented reality virtual banker
CN110809187B (zh) 视频选择方法、视频选择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US11463533B1 (en) Action-based content filtering
US117101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lecting and releasing virtual objects between disparat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KR20230015272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무인 정보 단말기, 주문 관리 서버 및 주문 정보 제공방법
US112005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checkout
CN112818733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458052B (zh) 基于增强现实的目标对象识别方法、装置、设备、介质
KR102480468B1 (ko) 사용자가 착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210264487A1 (en) Managing Suspended Customer Transactions in a Retail Environment
CN10420501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CN110705439B (zh) 一种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11481507B2 (en) Augmented reality document redaction
US20220027866A1 (en) Digital virtual currency issued by being matched with biometric authentication signal, and transaction method therefor
KR20210073720A (ko) 안면인식 pos시스템
KR20080090035A (ko) 웹 서비스를 이용한 방문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2426071B1 (ko) 인공지능 기반 시선 인식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인 정보 단말기
KR102451492B1 (ko)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버의 제어 방법
US11250242B2 (en) Eye tracking method and user terminal performing same
KR20230049904A (ko) 3d 출력물에 포함된 식별자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