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646A -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646A
KR20200092646A KR1020190009794A KR20190009794A KR20200092646A KR 20200092646 A KR20200092646 A KR 20200092646A KR 1020190009794 A KR1020190009794 A KR 1020190009794A KR 20190009794 A KR20190009794 A KR 20190009794A KR 20200092646 A KR20200092646 A KR 20200092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e
location
produc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차동
진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9000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646A/ko
Publication of KR2020009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확인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의해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실시간으로 공유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Location-based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terminal and location-based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system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빌려 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로서, 클라우드로 표현되는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데이터 저장,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영화, 사진, 음악 등의 미디어 파일 및 문서, 주소록 등 사용자의 컨텐츠를 서버에 저장해 두고 스마트 기기 등의 단말 장치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는 접근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인터넷만 가능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저장소 용량의 한계를 넘는 대용량 자료 저장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신뢰성 높은 서버에 보관함으로써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681667호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확인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의해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실시간으로 공유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를 처리하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과,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해 작성된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를 처리하는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는, 판매할 상품, 상품 판매 시간, 할인 가격, 그리고 판매 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된 화면 상에서 해당 상품을 예약할 수 있는 찜 기능을 제공하며, 구매자에 의해 상품 예약이 되면 판매 수량을 차감 처리하고 잔여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잔여량이 작은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상품 판매 시간의 마감 시간이 가까운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판매자가 입력한 전체 판매 수량 대비 잔여 판매 수량을 수치화하고, 판매자가 입력한 전체 판매 시간 대비 잔여 판매 시간을 수치화하여, 높은 값을 갖는 타임세일정보 순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를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복수의 타임세일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와 매칭되는 타임세일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사용자 별로 관심 상품,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상품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타임세일 대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관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공유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고 상기 공유정보를 상기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며, 상기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주변 지역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공유정보가 저장되는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영역을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구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에 의해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공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저장된 공유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공유정보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기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기이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공유정보는 판매자에 의해 작성된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인 타임세일정보이고, 상기 타임세일정보는, 판매할 상품, 상품 판매 시간, 할인 가격, 그리고 판매 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는 사용자 별로 관심 상품,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상품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타임세일 대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관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실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므로, 동일한 지역의 주민들 간에 생생한 고급정보를 언제든지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정보는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패턴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즉, 현 위치를 기점으로 반경 500m, 1km, 2km, 5km, 10km 등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서 맛집, 할인정보, 가격정보, 교육, 각종 이벤트 등 현재 지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역 내 실제 거주자나 현재 그 지역에 있는 사람이 작성하는 정보인 만큼, 인터넷 상에도 공개되지 않는 희소성을 지닌 스팟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스팟성 할인정보(타임세일정보)를 동일 지역의 구매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매출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알짜 할인 혜택을 챙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관리서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관리서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관리서버(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저장 공간인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정보를 업로드하거나, 타인에 의해 업로드된 공유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정보는, 일상 생활정보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품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상품 판매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위치 기반의 가상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공유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주변의 다른 사용자가 공유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한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 및 공유정보를 수신하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공유정보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공유정보를 해당 위치의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주변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관리서버(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위치확인부(150),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미리 탑재되거나, 또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스토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관리서버(200)와 위치 기반의정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관리서버(200)와 통신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공유정보를 업로드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공유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공유정보를 업로드/다운로드하기 위한 입력정보, 특정 공유정보에 대한 선택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위치 기반의 정보 공유를 위한 서비스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실시간 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수신된 공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위치확인부(150)는 GPS 통신을 수행하는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와, 상품 판매를 위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임세일정보를 처리한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 (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17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위치확인부(150) 및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관리서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서버 제어부(210), 서버 통신부(220) 및 서버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10)는 서비스 관리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동작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고, 해당 공유정보를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10)는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주변 지역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공유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21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211)과 공유정보 관리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211)은 서버 저장부(230)에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한다.
공유정보 관리 모듈(212)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211)에 의해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공유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지역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공유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공유정보 관리 모듈(212)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시간 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요청 또는 요청과 무관하게 일방향으로 공유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유정보 관리 모듈(212)은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공유정보를 삭제 처리하여 불필요한 데이터로 인한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저장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위치 기반의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서버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서버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 및 공유정보를 수신하고, 서버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버 저장부(230)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 저장부(230)는 공유정보가 업로드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영역(231)이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영역(231)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와 매핑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공유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서버 저장부(230)는 공유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을 위치 별로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영역(23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에 대해 상세한 설명한다.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와, 상품 판매를 위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임세일정보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161)과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을 포함한다. (도 2 참조)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161)은 일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를 위치 기반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전송하거나, 또는 위치 기반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전송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16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GPS을 켜고,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된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를 구동하면, 도 4a와 같이, 현재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기저장된 공유정보를 전송받아서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화면에는 현재의 위치에 대한 정보(N1)와 현재 위치 주변에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들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직접 공유정보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글쓰기 아이콘(N2)을 선택하여 도 4b와 같이 알리고자 하는 공유정보를 작성하고 ‘게시하기’를 선택하면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161)은 작성된 공유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고, 해당 공유정보를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공유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유정보를 선택하면, 도 4c와 같이, 해당 공유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표시 화면에는 해당 공유정보에 대한 거리정보(N3)가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는 공유정보의 대한 거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거리정보(N3)를 선택하면, 도 4d와 같이 지도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해당 공유정보의 실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e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지역 검색 범위를 설정하여 현재 위치 주변의 공유정보 수신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사용자(판매자)에 의해 작성된 타임세일정보를 위치 기반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수신하여 통상의 공유정보와 구분되도록 분류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타임세일정보는 상품/서비스(이하 ‘상품’으로 통칭함)를 판매/제공(이하 ‘판매’로 통칭함)하는 사용자(판매자라고도 함)에 의해 작성된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간별로 차별화된 가격정보를 의미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된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를 실행시, 판매자는 판매자 회원으로, 일반 유저는 일반 회원으로 등록될 수 있다.
먼저, 판매자 입장에서 타임세일 대상인 상품의 업로드 과정을 설명한다. 판매자는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에서 제공되는 도 5a와 같은 인터페이스에서 타임세일정보를 입력한다. 즉, 도 5b와 같이 판매할 상품, 상품 판매 시간, 할인 가격, 판매 수량 등을 입력하고, 이를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판매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타임세일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고, 해당 타임세일정보를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일반 회원 사용자 단말기(구매자 단말기라 함)에서 ‘타임세일’ 카테고리(도 4a 참조)를 선택하면, 판매자가 업로드한 타임세일정보들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타임세일정보들은 사용자가 설정한 검색 범위 내에 있는 판매자의 타임세일정보일 수 있다.
도 5c는 도 5b에서 판매자가 업로드한 타임세일정보가 구매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 예를 예시하고 있다. 표시 화면에는 판매자가 입력한 판매정보들(판매할 상품, 상품 판매 시간, 할인 가격, 판매 수량 등)이 표시된다. 이때,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타임세일 상품이 표시된 화면 상에서 해당 상품을 예약할 수 있는 ‘찜’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 회원인 구매자는 해당 상품을 예약하기를 원하는 경우, 찜 아이콘(H)을 선택하여 예약할 수 있다. 구매자가 찜 아이콘(H)을 선택하여 상품 예약을 하면, 판매 수량은 하나씩 차감되고, 잔여량이 표시된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에는 도 5d와 같이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판매자가 입력한 판매 수량이 차감되는 과정을 표시함으로써, 구매자의 구매 심리를 촉진하여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한편, 판매자는 도 5e와 같이 본인이 업로드한 타임세일 상품에 대한 예약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판매자가 “예약상황 보러가기”를 선택하면 도 5f와 같이 본인의 상품을 예약한 일반 회원 리스트가 표시된다.
또한,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판매자가 입력한 판매 수량의 잔여량이 작은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잔여량이 작다는 것은 다른 구매자의 선호도가 높음을 반증하는 것이므로, 간접적으로 판매 상품의 인기도를 반영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의 구매 심리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판매자가 입력한 상품 판매 시간의 마감 시간이 가까운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특정 상품의 구매 시기가 얼마 남지 않음을 알려주어 구매자의 구매 심리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판매자가 입력한 판매 수량의 잔여량 및 상품 판매 시간의 마감 시간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판매자가 입력한 전체 판매 수량 대비 잔여 판매 수량을 수치화하고, 판매자가 입력한 전체 판매 시간 대비 잔여 판매 시간을 수치화하여, 높은 값을 갖는 타임세일정보 순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잔여 판매 수량이 작을수록 잔여 판매 시간이 작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한편, 타임세일정보에 다양한 상품들이 표시되는 경우, 구매자는 본인의 관심 상품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할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하게 데이터를 소모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구매자에게 맞춤형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관리서버(200)의 서버 저장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구매자) 별로 관심 상품,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32, 이하 “사용자 DB”라고도 함)와, 상품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타임세일 대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233, 이하 “상품 DB”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은 사용자 DB에 저장된 사용자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DB에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정보 추출모듈(213)과 상품 추출모듈(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 추출모듈(213)은 서버 저장부(230)에 있는 사용자 DB(232)로부터 사용자 관심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사용자 관심정보는 사용자의 관심 상품, 관심 키워드, 관심 서비스 등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무형의 상품/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 관심정보는 각종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검색어, 연관 검색어, 사용자가 접속한 사이트 주소 등이 수집된 빅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아이디, 이메일 주소 등으로부터 사용자 동일성을 판단하고, 각각의 사용자 별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검색어, 연관 검색어, 웹 사이트 주소 등을 수집하여 이를 사용자 관심정보로 처리하고 사용자 DB(232)에 사용자 별로 저장한다.
사용자정보 추출모듈(213)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접속한 아이디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등으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DB(232)에 저장된 사용자 관심정보들 중에서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사용자 관심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정보 추출모듈(213)은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를 카테고리화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사용자정보 추출모듈(213)은 분류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대해 사용자 관심 정도의 상대적인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 관심정보 지수를 산출한다. 관심정보 지수는 사용자 DB에서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들을 이루는 각 항목들(키워드, 검색어, 연관 검색어, 웹 사이트 주소 등) 중에서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된 개별 데이터의 개수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DB(232)에 저장된 어느 사용자의 관심정보가 “야구공, 배트, 글러브, 스마트폰, LPGA, 월척”인 경우, “야구공/배트/글러브”로부터 “야구”이라는 카테고리를, “골프존/LPGA”로부터 “골프”라는 카테고리를, “월척”으로부터 “낚시”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분류할 수 있고,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항목의 개수가 야구는 3개, 골프는 2개, 낚시는 1개 이므로 해당 사용자는 야구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관심정보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키워드가 반복되어 있는 경우, 반복된 숫자만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공이라는 키워드가 3회 입력된 경우, 이를 3개로 카운트한다.
사용자정보 추출모듈(213)은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 중에서 관심정보 지수가 큰 순서대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상품 추출모듈(2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품 추출모듈(214)은 상품 DB(233)을 검색하여 상기에서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의 예에서 사용자 관심정보는 “야구/골프/낚시”가 될 수 있으며, 상품 추출모듈(214)는 상품 DB(233)에서 이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한다.
만약, 사용자 관심정보에 해당하는 카테고리가 많은 경우, 상기 관심정보 지수를 이용하여 추출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의 예에서 추출된 카테고리는 “야구”일 수 있으며, 상품 추출모듈(214)는 상품 DB(233)에서 “야구”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한다.
서비스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20)은 추출된 “야구” 상품정보를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162)은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를 이용하여 타임세일 상품 중에서 이와 매칭되는 상품을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GPS를 켜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 구동)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정보가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S110)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전송된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한다. (S120)
제1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공유정보가 전송(S130)되면,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전송된 공유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S140)
여기서, S110 단계와 S130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S120 단계와 S140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수행’이라 함은 반드시 같은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작은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GPS를 켜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160) 구동)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위치정보가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S210)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검색한다. (S220) 이때,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설정된 검색 범위도 함께 전송되고,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설정된 검색 범위 내에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검색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공유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102)로 제공한다. (S230)
상기 S110 ~ S140 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공유정보를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경우이고, 상기 S210 ~ S230 단계는 사용자가 공유정보를 다운로드하여 확인하는 경우이다.
상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101)는 판매자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102)는 구매자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단말기(판매자 단말기와 구매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실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므로, 동일한 지역의 주민들 간에 생생한 고급정보를 언제든지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정보는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패턴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즉, 현 위치를 기점으로 반경 500m, 1km, 2km, 5km, 10km 등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서 맛집, 할인정보, 가격정보, 교육, 각종 이벤트 등 현재 지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역 내 실제 거주자나 현재 그 지역에 있는 사람이 작성하는 정보인 만큼, 인터넷 상에도 공개되지 않는 희소성을 지닌 스팟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스팟성 할인정보(타임세일정보)를 동일 지역의 구매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매출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알짜 할인 혜택을 챙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위치확인부
160 :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 170 : 제어부
200 : 서비스 관리서버 210 : 서버 제어부
220 : 서버 통신부 230 : 서버 저장부

Claims (13)

  1.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확인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의해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실시간으로 공유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부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공유정보를 처리하는 실시간 공유정보 처리모듈과,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해 작성된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를 처리하는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는,
    판매할 상품, 상품 판매 시간, 할인 가격, 그리고 판매 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된 화면 상에서 해당 상품을 예약할 수 있는 찜 기능을 제공하며, 구매자에 의해 상품 예약이 되면 판매 수량을 차감 처리하고 잔여량이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잔여량이 작은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상품 판매 시간의 마감 시간이 가까운 순서대로 타임세일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판매자가 입력한 전체 판매 수량 대비 잔여 판매 수량을 수치화하고, 판매자가 입력한 전체 판매 시간 대비 잔여 판매 시간을 수치화하여, 높은 값을 갖는 타임세일정보 순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를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타임세일정보 처리모듈은 복수의 타임세일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와 매칭되는 타임세일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사용자 별로 관심 상품,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상품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타임세일 대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관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10.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공유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고 상기 공유정보를 상기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며, 상기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주변 지역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공유정보가 저장되는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영역을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위치 기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구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공유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할당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모듈에 의해 할당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공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저장된 공유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공유정보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기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기이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공유정보는 판매자에 의해 작성된 시간별 상품 판매정보인 타임세일정보이고,
    상기 타임세일정보는, 판매할 상품, 상품 판매 시간, 할인 가격, 그리고 판매 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는 사용자 별로 관심 상품,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상품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타임세일 대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관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정보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KR1020190009794A 2019-01-25 2019-01-25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KR20200092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94A KR20200092646A (ko) 2019-01-25 2019-01-25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94A KR20200092646A (ko) 2019-01-25 2019-01-25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46A true KR20200092646A (ko) 2020-08-04

Family

ID=7204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94A KR20200092646A (ko) 2019-01-25 2019-01-25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26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281A (ko) * 2021-08-05 2023-02-14 문희태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KR102562937B1 (ko) * 2022-04-08 2023-08-04 주식회사 아이티엘 폐기 예정상품 실시간 할인거래 플랫폼
KR102641607B1 (ko) 2023-05-16 2024-02-29 이규형 실시간으로 시간 및 위치 속성을 갖는 위치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67B1 (ko) 2014-07-29 2016-12-05 주식회사 세가온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67B1 (ko) 2014-07-29 2016-12-05 주식회사 세가온 판매 상품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281A (ko) * 2021-08-05 2023-02-14 문희태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KR102562937B1 (ko) * 2022-04-08 2023-08-04 주식회사 아이티엘 폐기 예정상품 실시간 할인거래 플랫폼
KR102641607B1 (ko) 2023-05-16 2024-02-29 이규형 실시간으로 시간 및 위치 속성을 갖는 위치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0221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163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tribution-type app store service
JP6279756B2 (ja) 通信セッションの状態の保存
US20180232743A1 (en) Online collectable commerce platform using online exhibition roo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5279672A (zh) 线索推荐
JP200511584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CN107004020B (zh) 终端设备及其数据处理方法
KR20160088307A (ko) 지불 승인 네트워크 내의 판매자 식별을 얻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009070A (zh) 计算机应用促进
KR101799755B1 (ko) 신뢰도 평가기반의 차량 직거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20200092646A (ko)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US202101829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media recommendations engines
KR20170141151A (ko) 저작권 콘텐츠 판매 장치 및 방법
US202300924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00003102A (ko)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880716B (zh) 被识别实体的相关任务的主动交付
US10467237B1 (en) Object relationships and similarities based on user context
CN106030641A (zh) 对于用户生成的游戏内容的微支付补偿
CN111429171B (zh) 一种信息展示方法、服务器、装置及系统
US20200273085A1 (en) Joint gift registry
KR20190091957A (ko) 이모티콘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서비스 시스템
US20170365014A1 (en) System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for tracking and evaluating predictions regarding relationships
JP201718792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23091736A1 (en) Techniques for transactions associated with non-fungible tokens (nf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chine learning (ml)
JP6998354B2 (ja) 検索に基づく収集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