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281A -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281A
KR20230021281A KR1020210102937A KR20210102937A KR20230021281A KR 20230021281 A KR20230021281 A KR 20230021281A KR 1020210102937 A KR1020210102937 A KR 1020210102937A KR 20210102937 A KR20210102937 A KR 20210102937A KR 20230021281 A KR20230021281 A KR 2023002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user interface
information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969B1 (ko
Inventor
문희태
Original Assignee
문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태 filed Critical 문희태
Priority to KR102021010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역의 주민 또는 해당 지역이 생활권역인 직장인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거나 실행되고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사용자위치정보관리모듈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생활권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에 관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정보입력활성화관리모듈과; 사용자가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상품정보를 획득하여 입력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입력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상품정보입력모듈을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User interface for sharing local-based product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the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지역 주민 및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람들이 해당 지역의 상품정보를 쉽고도 오류가 없게 수집하여 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수집수단을 제공하고, 수집한 상품정보를 지역주민 및 해당 지역의 소비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을 통해서 상품 가격을 포함한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가격비교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검색하면, 가격비교서비스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를 노출시켜주는 방법이 있다. 온라인을 이용한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생산자 또는 판매자들이 상기 가격비교서비스 서버에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검색하면 그 상품정보가 노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이나, 해당 지역에 기반을 둔 직장인들은 그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상거래를 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 지역의 주민이나 직장인들이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없으므로,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찾아야 하고, 이들 매장들의 상품정보를 비교하여 보여주지 못하고 해당 정보의 품질을 인지하는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중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산책 중에 커피를 마시고 싶을 경우 그 주민의 산책 경로에 있는 커피숍 중, 선호하는 맛과 저렴한 가격의 커피를 판매하는 커피숍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면, 그 주민은 본인에게 최적화된 커피를 산책 중에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역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731016호(등록일: 2007년06월15일)의 최적의 상품구입처 제공방법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을 기본으로 하여 특정 지역 단위 내에 존재하는 여러 상점 중에서 상품 구입에 최소 자원(최소 비용, 최소 시간 및 최소 에너지)이 소요되는 상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가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상점들의 위치와 상기 상점들의 판매품들에 대한 가격을 포함하는 상점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 등록한 이동통신망의 이동전화기로부터 특정 판매품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서버가 상기 상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판매품을 판매하는 상점들 중에서 상기 요청된 판매품을 구입하는데 소요되는 자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점에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판매품을 판매하는 상점들을 상기 정해진 우선 순위로 정렬시킨 상점 리스트를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발명이다.
상기 특허발명은 서비스 지역의 상품정보를 상점들이 등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그 상품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1-0001491호(공개일: 2021년01월06일)의 소비자 참여형 가격 리서치 시스템 및 방법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소비자 단말기가 가격을 포함한 상품정보 촬영 이미지 및 상품정보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1차 상품정보 데이터를 상품가격 분석서버에 전송하는 상품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상품가격 분석서버가 수신한 상품정보 촬영 이미지로부터 2차 상품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1차 상품정보 데이터를 검증한 다음으로, 가격을 기본으로 하는 상품정보를 위치, 시간, 품목, 품종, 중량, 부피, 브랜드 및 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류하는 상품정보 분류단계와; 상기 상품가격 분석서버가 분류된 상품정보로부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일정 범위 내 최저가 상품 및 해당 상품정보 촬영 이미지를 소비자 단말기로 추천하는 최저가 상품 추천단계와; 추천된 최저가 상품 판매처의 위치를 소비자 단말기로 안내하기 위한 상품 판매처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비자 참여형 가격 리서치 방법의 발명이다.
상기 공개발명은, 소비자가 상품 가격 리서치에 직접 참여하게 하여, 분석된 상품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상기 공개발명은 소비자가 제공한 가격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고, 또한 특정 지역 주민 중심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지역의 주민 및 직장인들에게 지역의 최적 상품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역 주민 및 해당 지역의 직장인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수집한 해당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상품 정보를 수집하되, 사용자가 같은 지역 또는 타 지역에 있는 지인들의 단말기로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달 또는 소개하여 지인들이 지역 기반 상품정보 수집에의 사용자로서 참여시키고, 지역 주민 및 소비자들이 해당 지역에서 상품정보를 품질이 높은 상태이면서, 수집이 용이하게 하여 지역 주민 및 소비자들의 공유를 위한 상품정보의 수집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731016호(등록일: 2007년06월1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1-0001491호(공개일: 2021년01월06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 주민 및 해당 지역의 직장인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수집한 해당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상품 정보를 수집하되, 사용자가 같은 지역 또는 타 지역에 있는 지인들의 단말기로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달 또는 소개하여 지인들이 지역 기반 상품정보 수집과 검증의 사용자로서 참여시키고, 사용자들이 해당 지역의 품질이 높은 상품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지역의 주민 또는 해당 지역이 생활권역인 직장인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거나 실행되고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사용자위치정보관리모듈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생활권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에 관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정보입력활성화관리모듈과;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상품정보를 획득하여 입력시키는 상품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가 소비자로서 해당 지역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상품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검색어를 선택하거나 입력시키는 검색수단을 제공하는 상품정보검색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에서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여 타인이 등록한 상품정보의 품질을 검증하는 검증자인 경우에 상품정보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품정보품질관리모듈과;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후기를 입력할 경우에 사용되는 상품리뷰입력모듈과; 사용자 및 소비자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연락처 중에서 선택된 연락처나 신규로 입력한 연락처에 사용자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또는 접속 유알엘(URL)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유알엘정보전송관리모듈과; 사용자가 상품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적립된 이익보상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보상정보관리모듈과; 사용자가 상품정보 제공과 활용 정보를 지인 등에게 소개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소셜정보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제시된다.
또한,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매장 위치로 이동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 또는 매장 명칭이 포함된 매장 이미지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품정보관리컴퓨터에 저장된 매장 명칭이 자동으로 출력)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가격 및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매장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상품정보관리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으로,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입력된 매장의 전단지 촬영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촬영된 매장의 전단지 이미지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의 전단지 등록 영역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정보, 매장의 전단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상품정보관리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으로,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입력된 매장에서의 상품구매 영수증 촬영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촬영된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의 구매 영수증 등록 영역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정보,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상품정보관리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발명의 제5 관점으로,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매장의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위치 정보에 관한 확인 또는 수정 입력을 수신하여 확인 또는 수정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의 위치 및 명칭을 포함하는 매장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상품정보관리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관점으로,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앱정보 전달 버튼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메시지 전달수단으로 전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선택된 메지시 전달수단 및 상대방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접속 유알엘(URL)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대방의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접속 유알엘(URL) 정보에 접속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관점 내지 제5 관점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상품정보관리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주민 및 해당 지역의 직장인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수집한 해당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상품 정보를 수집하되, 사용자가 같은 지역 또는 타 지역에 있는 지인들의 단말기로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달 또는 소개하여 지인들이 지역 기반 상품정보 수집과 검증의 사용자로서 참여시키고, 사용자들이 해당 지역의 품질이 높은 상품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지역 주민 및 해당 지역을 생활권역으로 하는 소비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관리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주요부인 상품정보입력모듈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해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용자단말기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웹프로그램을 출력시킬 수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구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제어로 실행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 사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용어들, '~부', '~모듈', '~수단' 또는 ~유니트' 등의 용어는 동일한 구성의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의 작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어들이다. 상기 용어들은 컴퓨터 또는 단말기들의 하드웨어 구성일 수 있고 컴퓨터 및 단말기의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실행되는 웹프로그램 또는 컴퓨터프로그램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사용자와 소비자는 서로 다른 사람일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사람일 수 있다. 판매자는 상품의 생산자, 제조자, 제공자, 판매자를 통칭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어들이 웹프로그램 또는 컴퓨터프로그램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용어로 주로 사용된다.
그 밖에 여기서 정의하지 않는 용어 또는 표현은 그 용어나 표현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고, 나타내는 구성요소의 작용이나 기능의 내용에 더 큰 의미가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관리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관리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로부터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을 포함하는 매장의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검증, 가격, 상태 등의 정보를 기초로 순위가 정해진 지역 기반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품정보의 순위에 따른 사용자에의 보상 규정을 관리하고, 지역 기반 상품정보 검색에 대응하여 해당 지역의 순위화된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와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들이 제공하여 검증한 상품정보 데이터, 상품의 생산자, 제조자 및 판매자들의 운영컴퓨터로부터 수집한 상품정보 데이터, 사회관계망(SNS)에서 수집한 상품정보 관련 데이터 및 지리정보제공컴퓨터에서 제공한 지리정보 데이터 등을 저장시키고 관리하는 데이터저장장치(200)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와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특정 지역의 거주자 및 해당 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사용하고, 해당 지역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고,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지역의 최적화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제1 사용자단말기(300a)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300a)에 입력되는 상품정보를 수집한 해당 지역의 마트, 샵 등의 제1 오프라인 매장(400a) 및 상품정보를 수집한 매체인 해당 지역의 광고전단지, 매장메뉴영상 등을 포함하는 제1 지역 홍보매체(500a)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300a)로부터 전달받거나 소개받아 출력시킨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의 주거 또는 직장 인근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로 전송하고,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지역의 최적화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단말기(300b)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300b)에 입력되는 상품정보를 수집한 해당 지역의 마트, 샵 등의 제2 오프라인 매장(400b) 및 상품정보를 수집한 매체인 해당 지역의 광고전단지, 매장메뉴영상 등을 포함하는 제2 지역 홍보매체(500b)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가 접속하여 상품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300a)가 지역 기반 상품정보 수집관련 인터페이스의 소개글을 올리고, 제2 사용자단말기(300b)가 접속하여 제1 사용자단말기(300a)가 등록한 정보를 수취하는 사회관계망(SNS: Social Network Services)(600)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가 접속하여 상품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생산자, 제조자, 제공자 및 판매가가 사용하는 판매자컴퓨터(700)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 접속하여 지역의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지역의 최적화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소비자단말기(800)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 접속되어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가 요청하는 지역 기반 및 상품정보 기반의 지리정보(GIS)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제공컴퓨터(9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웹프로그램 또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장치(200)는,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 통신 접속되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00a)(300b) 및 소비자단말기(800)는 유무선 통신 수단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웹프로그램 또는 컴퓨터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을 출력시키거나 저장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PC, 노트북, 태블릿컴퓨터, 스마트폰,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각종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회관계망(SNS)(600)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매자단말기(700)는, 상품의 생산자, 제조자, 제공자 및 판매자가 관리하고 상품정보를 등록시키고 업데이트하고, 상품정보를 노출시키는 웹사이트 또는 앱을 관리하는 서버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리정보제공컴퓨터(900)는, 상기 사용자 및 소비자들에게 가상 저장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의 요청에 의해 지역의 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GIS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서버컴퓨터 또는 분산 지향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300a)(300b) 및 소비자단말기(800)에 출력되거나 탑재되어 실행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300a)(300b)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사용자위치정보관리모듈(310)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생활권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에 관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정보입력활성화관리모듈(320)과; 사용자가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상품정보를 획득하여 입력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상품정보입력모듈(330)와; 사용자가 소비자로서 지역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해당 상품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검색어를 선택하거나 입력시키는 검색수단을 제공하는 상품정보검색모듈(340)과;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서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여 타인이 등록한 상품정보의 품질을 검증하는 검증자인 경우에 상품정보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품정보품질관리모듈(350)과; 사용자 및 소비자가 구매 상품의 후기를 입력할 경우에 사용되는 상품리뷰입력모듈(360)과; 사용자 및 소비자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연락처 중에서 선택된 연락처나 신규로 입력한 연락처에 사용자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또는 접속 유알엘(URL)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유알엘정보전송관리모듈(370)과; 사용자가 상품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적립된 이익보상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보상정보관리모듈(380)과;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상품정보 제공과 활용 정보를 지인 등에게 소개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소셜정보관리모듈(39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주요부인 상품정보입력모듈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정보입력모듈(320)은, 사용자단말기 또는 소비자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가 지역의 상품광고 전단지, 상품구매 영수증 또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정보를 취득한 후 사용자단말기의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면, 매장명을 입력하는 매장명입력부(321)와; 매장위치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매장위치정보입력부(322)와; 매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수동으로 등록시키거나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매장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매장 사진이 등록되도록 하는 매장이미지등록부(323)와; 상품정보를 이미지로 등록하기 위해 터치하면 상품의 카테고리 목록이 표시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상품종류선택부(324)와; 상품정보의 이미지를 광고전단지, 상품 구매 영수증 또는 매장의 상품 POP를 이미지로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등록시키거나 해당 등록부의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피사체를 촬영하면 광고전단지, 상품구매 영수증 또는 매장의 상품 POP의 사진이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상품영상등록부(325)와; 상품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품명, 상품가격 및 상품이미지를 입력하고, 추가로 생산일자 및 입고일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정보입력부(326)와; 상품정보를 더 입력하기 위해 상품정보입력부(326)를 추가로 표시하기 위한 추가버튼부(327)와; 상품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어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로 전송하기 위한 등록버튼부(328)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정보입력활성화관리모듈(320)에서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생활권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의 매칭 여부에 관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가 불일치로 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33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시키고,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매장명입력부(321)에 입력되는 매장명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면,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로 전송되고,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가 저장된 지도정보데이터에서 수신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와 매칭되는 매장명을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매장명을 상기 매장명입력부(321)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장위치정보입력부(322)에 입력되는 매장의 위치정보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면,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로 전송되고,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100)가 저장된 지도정보데이터에서 수신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와 매칭되는 매장의 주소 또는 지도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매장의 주소 또는 지도데이터를 상기 매장위치정보입력부(322)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장이미지등록부(323)에 입력되는 매장의 이미지는, 매장이미지등록부(323)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기로 촬영하여 저장된 매장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의 촬영 사진 저장소로 전환되어 매장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매장이미지등록부(323)에 등록되거나, 매장이미지등록부(323)에 표시된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기가 촬영모드로 전화되고 매장이미지를 촬영하면 촬영된 매장이미지가 상기 매장이미지등록부(323)에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영상등록부(325)에의 상품정보 이미지 등록은, 사용자단말기가 매장에 위치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320)에 표시된 상품종류선택부(324)에서 수집하고자 하는 상품종류(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품 POP 이미지등록부를 선택하여 표시된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모드로 전환되어 촬영된 상품 POP 이미지가 상기 상품 POP 이미지등록부에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정보입력모듈(320)의 전단지 이미지등록부를 선택하여 표시된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모드로 전환되어 특정 매장의 광고용 전단지를 촬영하면 촬영된 전단지 이미지가 상기 전단지 이미지등록부에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정보입력모듈(320)의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등록부를 선택하여 표시된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모드로 전환되어 상품구매 영수증을 촬영하면 촬영된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가 상기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등록부에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정보입력부(326)에의 상품정보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명 및 상품이미지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품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품명 및 상품가격을 입력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촬영모드를 이용하여 상품이미지를 촬영하여 입력하고,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생산일자 및 입고일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정보공유방법은,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매장 위치로 이동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S10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S11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 또는 매장 명칭이 포함된 매장 이미지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13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가격 및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14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매장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정보공유방법은,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S20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S21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22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23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입력된 매장의 전단지 촬영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24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촬영된 매장의 전단지 이미지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의 전단지 등록 영역에 출력시키는 단계(S25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정보, 매장의 전단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정보공유방법은,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S30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S31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32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33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입력된 매장에서의 상품구매 영수증 촬영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34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촬영된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의 구매 영수증 등록 영역에 출력시키는 단계(S35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정보,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3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정보공유방법은,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S40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S41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42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43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44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매장의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위치 정보에 관한 확인 또는 수정 입력을 수신하여 확인 또는 수정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45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S46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의 위치 및 명칭을 포함하는 매장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4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정보공유방법은,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S50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앱정보 전달 버튼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메시지 전달수단으로 전화시키는 단계(S51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선택된 메지시 전달수단 및 상대방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접속 유알엘(URL)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20)와; 상대방의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접속 유알엘(URL) 정보에 접속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출력시키는 단계(S53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S540)와;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단계(S55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지역 거주자, 지역 소비자, 지역 직장인들이 중심이 되어 해당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정보를 매장 방문, 광고전단지, 구매영수증 등의 다양한 상품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친사용자 환경의 구성으로 취득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매장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등록하여, 해당지역의 주민 및 해당지역에 생활권역을 가지고 있는 직장인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된다 하겠다.
100: 상품정보관리컴퓨터
200: 데이터저장장치
300a, 300b: 사용자단말기
310: 사용자위치정보관리모듈
320: 상품정보입력모듈
330: 상품정보검색모듈
340: 상품정보품질관리모듈
350: 상품리뷰입력모듈
360: 유알엘정보전송관리모듈
370: 보상정보관리모듈
380: 소셜정보관리모듈

Claims (10)

  1. 지역의 주민 또는 해당 지역이 생활권역인 직장인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거나 실행되고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사용자위치정보관리모듈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생활권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에 관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신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정보입력활성화관리모듈과; 사용자가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상품정보를 획득하여 입력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상품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입력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상품정보입력모듈을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정보입력활성화관리모듈에서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생활권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의 매칭 여부에 관한 위치 정보 결과데이터가 불일치로 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정보를 입력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시키고,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활성화시키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은 매장명, 매장 위치, 상품명, 상품가격 및 상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수단은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와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은, 사용자 및 소비자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연락처 중에서 선택된 연락처나 신규로 입력한 연락처에 사용자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또는 접속 유알엘(URL)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유알엘정보전송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은, 매장명을 입력하는 매장명입력부와; 매장위치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매장위치정보입력부와; 매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수동으로 등록시키거나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매장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매장 사진이 등록되도록 하는 매장이미지등록부와; 상품정보를 이미지로 등록하기 위해 터치하면 상품의 카테고리 목록이 표시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상품종류선택부와; 상품정보의 이미지를 광고전단지, 상품 구매 영수증 또는 매장의 상품 POP를 이미지로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등록시키거나 해당 등록부의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기의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피사체를 촬영하면 광고전단지, 상품구매 영수증 또는 매장의 상품 POP의 사진이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상품영상등록부와; 상품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품명, 상품가격 및 상품이미지를 입력하고, 추가로 생산일자 및 입고일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정보입력부와; 상품정보를 더 입력하기 위해 상품정보입력부를 추가로 표시하기 위한 추가버튼부와; 상품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어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등록버튼부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6.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매장 위치로 이동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 또는 매장 명칭이 포함된 매장 이미지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가격 및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매장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공유방법.
  7.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입력된 매장의 전단지 촬영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촬영된 매장의 전단지 이미지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의 전단지 등록 영역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정보, 매장의 전단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공유방법.
  8.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입력된 매장에서의 상품구매 영수증 촬영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촬영된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의 구매 영수증 등록 영역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 명칭 정보, 상품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공유방법.
  9. 지역의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상품정보입력모듈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명칭을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매장의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위치 정보에 관한 확인 또는 수정 입력을 수신하여 확인 또는 수정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입력된 매장 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정보입력모듈에 출력된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매장의 위치 및 명칭을 포함하는 매장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상품정보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공유방법.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품정보관리컴퓨터와 통신 접속되는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앱정보 전달 버튼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메시지 전달수단으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선택된 메지시 전달수단 및 상대방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접속 유알엘(URL)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공유방법.
KR1020210102937A 2021-08-05 2021-08-05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KR10261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37A KR102619969B1 (ko) 2021-08-05 2021-08-05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37A KR102619969B1 (ko) 2021-08-05 2021-08-05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81A true KR20230021281A (ko) 2023-02-14
KR102619969B1 KR102619969B1 (ko) 2023-12-29

Family

ID=8522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937A KR102619969B1 (ko) 2021-08-05 2021-08-05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16B1 (ko) 2001-01-11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적의 상품 구입처 제공 방법
KR20160052028A (ko) * 2014-10-31 2016-05-12 뉴21커뮤니티(주) Lbs 기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지역 축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170019087A (ko)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쿼리젯 영수증으로부터 가격정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90075254A (ko) * 2017-12-21 2019-07-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단정보 관리 및 공유 시스템
KR20200092646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아이티엘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KR20210001491A (ko) 2019-06-28 2021-01-06 이은경 소비자 참여형 가격 리서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16B1 (ko) 2001-01-11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적의 상품 구입처 제공 방법
KR20160052028A (ko) * 2014-10-31 2016-05-12 뉴21커뮤니티(주) Lbs 기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지역 축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170019087A (ko)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쿼리젯 영수증으로부터 가격정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90075254A (ko) * 2017-12-21 2019-07-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단정보 관리 및 공유 시스템
KR20200092646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아이티엘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
KR20210001491A (ko) 2019-06-28 2021-01-06 이은경 소비자 참여형 가격 리서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969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65635A1 (en) Social network recommendation polling
KR20130089716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천 서버 및 단말,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추천 방법
US20130268405A1 (en) Information integratio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JP2017162377A (ja) 広告動画管理装置、広告動画管理システム、広告動画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動画管理方法
WO20140896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ve interactive video connections
JP2009265744A (ja) オークション処理装置、オークション処理方法、オークション処理プログラム及び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KR101469898B1 (ko) 온라인 통합 쇼핑서비스 시스템 및 온라인 통합 쇼핑서비스방법
TW201407523A (zh) 購物資訊處理方法與其系統
US20160267575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Item Listing Notifications
KR20220116764A (ko)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상권 통합형 개인 맞춤 추천 키오스크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US9672548B2 (en) Reput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7221614B2 (ja) 物件情報処理装置及び物件情報処理方法、物件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物件情報処理システム
JP6615953B1 (ja) 物件情報提示装置、物件情報提示プログラム、物件情報提示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40105059A (ko) 통합 위시리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206860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KR102619969B1 (ko) 지역 기반의 상품정보 공유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공유방법
JP2009259208A (ja) 商品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商品情報収集プログラム
JP6914317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12561272B (zh) 电子签到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产品
KR101751976B1 (ko) 글로벌 플랫폼 기반의 체험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방법
JP2015056131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サーバ及び情報管理端末
KR20220050744A (ko) 이사 준비 단계부터 이사 이후 단계까지의 전 주기를 포괄하는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549482B1 (ko) 위치 기반의 부동산 중개 의뢰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2002216020A (ja) オンラインモール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モールのショップサイト更新方法並びにオンラインモールのショップサイト更新用プログラム
KR20230028895A (ko) 지역 기반 상품정보의 품질관리를 위한 상품정보관리컴퓨터, 및 상품정보관리컴퓨터를 이용한 상품정보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