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82A -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82A
KR20190005082A KR1020170085661A KR20170085661A KR20190005082A KR 20190005082 A KR20190005082 A KR 20190005082A KR 1020170085661 A KR1020170085661 A KR 1020170085661A KR 20170085661 A KR20170085661 A KR 20170085661A KR 20190005082 A KR20190005082 A KR 2019000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offline
onlin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주현
나상일
이수빈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082A/ko
Priority to US16/026,434 priority patent/US20190012717A1/en
Priority to CN201810731465.2A priority patent/CN109214881A/zh
Publication of KR2019000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품을 단말 장치가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를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면, 상기 서버에서 촬영된 상품과 동일 유사한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의 판매 정보를 단말 장치로 송신하고, 단말 장치는 상기 정보를 증강현실을 통해 오프라인 상품과 직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통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사진 촬영이라는 동작을 통해 제품에 관한 가격 등의 정보를 증강현실 형태로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장바구니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 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OFFLINE MERCHANDISE TO SALES ON ONLINE THROUGH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품을 단말 장치가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를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면, 상기 서버에서 촬영된 상품과 동일 유사한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의 판매 정보를 단말 장치로 송신하고, 단말 장치는 상기 정보를 증강현실을 통해 오프라인 상품과 직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통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현실 환경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 현실은 현실세계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 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강 현실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에 접목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용자 서비스 이용 욕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기능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이나, 주변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특정 상품에 대해 관심이 있어 제품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하나하나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정보를 검색하여야 했다.
이러한 경우 제품에 대한 구입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물을 낱낱이 살펴보기 곤란할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일일이 제품에 관한 정보를 물어보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이라는 동작을 통해 제품에 관한 가격 등의 정보를 증강현실 형태로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장바구니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능 및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여 오프라인 상품을 촬영하고,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온라인 상품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온라인 상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오프라인 상품의 촬영 화면에 증강현실로 결합하여 상기 온라인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의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를 검색하여,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검색부,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서 단말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검색부에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 기반의 검색을 지시하고, 상기 서비스 검색부에서 추출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 중 하나의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고, 상기 서비스 검색부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서 추출되는 상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상표 정보, 오프라인 상품의 판매 가격 정보, 오프라인 상품의 색상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오프라인 상품 정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판매되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검색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판매되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고, 이를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상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유사하거나 동일한 온라인 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해당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 명령에 따라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와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증강 현실로 출력할 때, 촬영 화면 내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특정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선택된 온라인 상품이 포함된 장바구니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상품 제공 서버에 의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를 검색하여, 각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판매되며 상기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와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되도록 상기 추출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통신망을 상품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단말 장치에 의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에 판매되며 상기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되는 촬영 화면에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와 상기 수신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단계에서, 표시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특정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 촬영이라는 동작을 통해 동일, 유사한 상품을 검색하여 정보를 손쉽게 확인 할 수 있고, 검색된 상품 정보를 촬영한 사진 위에 증강현실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판매되는 상품과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동일 화면내에서 직관적으로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색다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더하여, 본 발명은 증강 현실 형태로 출력된 상품 정보 제공 화면 상에서 특정 온라인 상품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상품의 구매 페이지 또는 선택된 온라인 상품이 포함된 장바구니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오프라인 상품 촬영 예시도이다.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정보 출력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선택 시 제공되는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 되어야만 한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네트워크(100), 단말 장치(300),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 전자 상거래 서버(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된 부호는 200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의 기준이 되는 오프라인 상품을 나타낸다.
이 때 네트워크(100)는 상기 장치들, 즉, 단말 장치(300),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 전자 상거래 서버(5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100)는 단말 장치(300)의 카메라로 촬영된 상품의 외형 이미지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단말 장치(300)가 요청한 상품정보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시 단말 장치로 전송할 경우의 전송 매체 역할을 하는데, 종류는 특별히 제한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00)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네트워크(600)는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00)은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100)를 통해서 단말 장치(300),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 전자 상거래 서버(5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200)은 온라인 판매 정보를 비교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제 촬영하는 실제 제품에 해당하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품 정보 제공 서버에 저장하고자 하는 서비스업자에게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소스(source)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품(200)은 길거리에서 다른 사람들이 착용하고 있는 상품일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상에 진열된 상품일 수도 있다.
상품(200)은, 상품 그 자체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오프라인 매장 상에 진열된 상품인 경우 별도의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300)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품(200)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400)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여, 촬영한 상품 이미지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 전송하여 촬영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며,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가 제공하는 상품(200)에 관한 온라인 판매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장치(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카메라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300)는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3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상품 정보 제공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 장치(300)로 적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단말장치(300)는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 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단말 장치(300)만을 도시하였으나,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300)는 복수 개 존재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단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즉,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500)에 의해 판매되는 온라인 판매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300)를 통해 오프라인 상의 상품(200)을 촬영하여 정보를 요청하기 이전에 미리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에서의 판매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상품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상품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이와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의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단말 장치(300)의 카메라를 통해 상품을 촬영하여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상품의 이미지(2차원 혹은 3차원), 상품의 제조 또는 생산 정보, 상품의 가격, 상품의 사이즈, 상품의 색상, 상품의 재질 상품의 사용 설명서, 상품의 이력정보, 상품의 평균 배송 기간, 상품의 남은 수량 등을 포함한 상품의 상세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없이 전자 상거래 서버(500)가 제공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온라인 쇼핑몰, 오픈 마켓 등에서 운용하는 서버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서버와 연계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서버 형태로 존재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품 구매 처리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단말 장치(300)와 정보 제공 서버(400)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중개해주는 서버,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목적에 맞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배포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미도시)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단말 장치(3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미도시)에 접속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 상거래 서버(500)는 네트워크(100)를 기반으로 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예를 들면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오픈 마켓, 판매자에 의해 구성된 온라인 쇼핑몰, 공동 구매형 소셜 커머스 서비스, 오픈 마켓 서비스 등을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 장치로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제공된 온라인 상품을 판매하는 장치이다.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에는, 상품에 대한 가격비교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를 선택하여 접속할 경우, 전자 상거래 서버(500)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포함된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하거나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 장치(300) 및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한다(s301, s302).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배포하는 것으로, 전자 상거래 서버(500)와 연동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품 구매 처리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구매 처리는, 상품 조회, 선택, 주문 및 결제 절차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동시에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S303).
그리고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는 카메라가 활성화된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품을 촬영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오프라인 상품(200)의 촬영이란, 카메라의 일정 프레임 내로 오프라인 상품(200) 위치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카메라의 프레임 내로 오프라인 상품(200)이 위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활성화된 카메라 상에 표시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프레임 내로 식별 코드가 들어올 수 있도록 단말 장치(300)를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프라인 상품(200)이 촬영되면, 단말 장치(300)는 오프라인 상품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한 오프라인 상품의 이미지를 상품 제공 서버(400)에 전송한다(S305). 여기서, 오프라인 상품의 인식은 상품 이미지 자체를 인식하는 경우는 물론, 상품에 부착된 상표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도 있고, 매장에 진열된 상품인 경우 상품에 부착된 태그(Tag)를 인식하여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단말 장치(300)는 촬영한 상품의 이미지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 전송하면서, 오프라인 상품에 대응하는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단말 장치(3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상품을 인식함으로써,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306, S307). 여기서, 오프라인 상품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 인식은, 오프라인 상품의 이미지 특징 정보 추출, 상품에 부착된 상표 검출, 상품에 부착된 태그 정보 검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렇게 검출된 정보들 상품 정보로서 이용한다.
이 때,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는 미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다양한 상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가 구비된 시스루(see-through) 형태의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3차원 기하학적 구조, 길이, 모양, 색상 등을 획득하는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획득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에는, 상품의 이미지, 상품의 사이즈, 색상, 재질 등이 해당한다.
이 후, 단말 장치(300)로부터 상품 정보 제공 요청을 받은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상기 추출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의 상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오프라인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image exact matching 기술이나, NDID(Near Duplicate Image Detection)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mage matching(영상접합)'은, 좌·우 영상에서 공액점의 영상좌표를 자동으로 추출하고자 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영역기준영상정합의 상관계수 영상정합법은 좌 · 우 영상의 밝기 값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공액점을 찾는 기법으로 가장 기본적인 영상정합법이고, 최소제곱법은 영상소 단위의 정확도를 갖는 기존의 영상정합법에 대해 부영상소 단위의 정합결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영상정합을 수행하고자 하는 정합점의 위치가 2~3 영상소 내에 존재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관계수법의 결과를 이용하여 좀 더 높은 정확도를 얻고자 할 때 이용된다.
형상기준영상정합은 점을 이용하는 방법, 선을 이용하는 방법, 도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점을 이용하는 방법은 여러 연산자(operator)를 통한 특징점을 추출해 이를 초기점(seed point)로 하여 상관계수 영상정합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Forstner, Moravec 등의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을 이용하는 방법은 영상에서 각종 경계를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영상정합을 수행하는 것으로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미분연산자가 많이 이용되며 특히 2차 미분연산자인 LoG(Laplacian of Gaussian) 연산자가 많이 이용된다.
또한, 도형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각형(polygon)을 영상에서 추출하여 영상정합을 수행한다. 관계기준영상정합으로는 트리(tree)구조를 통한 방법이 있는데, 영상에서 점, 선, 도형 등의 특징을 추출하여 이들을 자료기반화하고 좌측 영상에 해당하는 특징을 선택하면 자료기반을 검색하여 해당 특징의 우측영상상의 위치를 알 수 있다. DEM생성은 수치지도를 이용한 DEM생성,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DEM생성, 해석도화기를 이용한 DEM생성 등이 있다.
수치지도를 이용한 DEM생성은 1/5,000 혹은 1/1,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Vertex를 추출하고 이를 보간하여 DEM을 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쉽게 DEM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며 정확도 역시 어느 정도 보장된다.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DEM생성은 영상정합을 통하여 DEM을 생성하는 기법으로 중복부에 한해서만 DEM추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해석도화기를 이용한 DEM생성은 해석도화기로 3차원 좌표를 관측 · 수집하여 보간을 통해 DEM을 제작한다.
'Near Duplicate Image Detection'기술은 많은 양의 디지털 이미지를 스캔하고 스캔 된 이미지를 함께 그룹화하도록 설계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중복 감지 기능을 통해 중복 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제거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이미지들에 특징 결정 함수를 적용하는 단계 - 상기 특징은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특징들을 정의하는 상기 기하학적 형상들의 특성을 적어도 상기 적어도 2 개의 이미지들의 상기 특징들의 소정 비율이 매칭되면, 상기 다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적어도 2 개를 거의 중복 매칭으로 특징 짓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비교 될 이미지의 내용을 분석하고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컬러 및 텍스처 히스토그램 기술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이미지는 색상 및 텍스처 히스토그램 설명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되어 이미지가 중복 이미지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컨텐츠 - 기반 이미지 서명 데이터는 또한 컬러 및 텍스처 히스토그램 기술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생성 될 수 있다. 그 다음, 이미지 서명 데이터는 대응하는 이미지가 복제 이미지 근처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비교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에 대한 인식이 완료되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인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판매되는 상품의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쿼리로 비교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업로드 되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전자 상거래 서버(500)에 상기 검출된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을 요청한다(S308).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상기 S308단계를 통해 전자 상거래 서버(500)로부터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정보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게 된다(S309). 이 때, 전송하게 되는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는 상품명, 상품 색상, 상품 크기, 판매 중인 온라인 쇼핑몰 정보, 상품 가격, 재고 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300)는 상기 검색을 통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정보를 오프라인 상품의 촬영 이미지와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한다(S310). 이 때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는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함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신한 온라인 판매 정보에 대해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색상 정보, 상품 크기 등을 입력하여 방대한 상품 정보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취사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이 후,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는 전송 받은 상품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거나, 상기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리스트로 제공된 온라인 쇼핑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311). 이 때, 사용자가 쇼핑몰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페이지를 제공 할 수 있고,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페이지 혹은 장바구니 페이지로의 이동도 가능하다(S31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품에 관한 내용을 하나하나 입력하지 않고 직관적인 사진 촬영이라는 동작을 통해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증강현실 형태로 출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내용을 사실적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서비스 통신부(410), 서비스 검색부(420), 서비스 제어부(430), 서비스 저장부(440)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필요에 따라서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10), 서비스 검색부(420), 서비스 제어부(430), 서비스 저장부(440)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서비스 통신부(41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서 단말 장치(300), 전자 상거래 서버(5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등의 연계 서버와 연동하여 상품 정보 제공에 따른 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 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상기에 제시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검색부(420)는 단말 장치(300)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품의 이미지 특징 정보, 상품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표(브랜드) 정보, 오프라인 상품의 판매 가격 정보, 오프라인 상품의 색상 정보 등의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품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image matching 혹은 NDID(Near Duplicate Image Detection)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검색부(420)는 전자 상거래 서버(500)에서 네트워크(100)를 통해 판매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저장부(440)는, 전자 상거래 서버(500)에서 통신망 네트워크(100)를 통해 판매되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검색부(420)는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상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라인 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전자 상거래 서버(500)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4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체제 및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송 받은 오프라인 상의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을 특징을 분석, 검색하고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4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오프라인 상품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고 추출하여 전자 상거래 서버(500)에 추출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430)는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 또는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쇼핑몰과의 연계를 통해 상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정보 페이지, 상품 구매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수행 할 수 있다. 더하여, 서비스 제어부(430)는 오프라인 상품이 인식되면 서비스 저장부(4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품의 종류와 관련된 상품정보(2차원 이미지, 3차원 이미지, 상품의 제조 또는 생산 정보, 상품의 가격, 상품의 사이즈, 상품의 색상, 상품의 재질, 상품의 사용 설명서, 상품의 이력정보, 상품의 평균 배송 기간, 상품의 남은 수량 등)를 추출하여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전자상거래 서버(500)서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비스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가 전자 상거래 서버(500)와의 연동을 통해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정보 제공 서버(400)의 동작 설명을 통해서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단말 장치(300)가 촬영한 오프라인 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S401).
상기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촬영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고(S402), 수신 받은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403).
이 때, 이미지를 분석함에 있어서, 상품의 외형 이미지 만이 아니라, 상기 상품에 부착된 상표(브랜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상품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진열되고 판매되는 상품인 경우, 상품에 부착된 태그(Tag)등을 인식하여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언급한 image exact matching 기술 또는 NDID(Near Duplicate Image Detection)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전자상거래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쿼리로 비교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업로드 되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추출한 상품 정보는, 상품의 상세 정보(명칭, 상표, 제조사, 제품 번호, 색상, 사이즈 등)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는 전자 상거래 서버(500)와 통신하여 S403과정에서 추출한 상품 정보를 전자 상거래 서버(500)에서 판매하는 정보와 비교하여 추출한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를 추출한다(S404).
이 후, S404과정을 거쳐 추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관한 판매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S405). 이 때, 전송하는 상품 판매 정보는 상품명, 제조사, 제품 번호, 상품 색상, 상품 크기, 상기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10), 카메라부(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저장부(350), 제어부(360)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300)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단말 장치(300)는 필요에 따라서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통신부(310)은 네트워크(10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네트워크(100)를 통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와 통신하여, 촬영된 오프라인 상품의 이미지의 전송,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품에 관한 정보의 전송 등과 같은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 장치(300)가 무선통신을 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망(100)에 접속하여,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320)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의 상품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이 때, 촬영되는 사진상에서 상품의 외형 또는 상표(브랜드) 등을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해, 프레임 내로 상품의 외형 또는 상표(브랜드)가 위치하도록 가이드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프레임 내에 상품의 외형 또는 상표(브랜드)가 위치하게 되면 상품 또는 상표(브랜드)를 인식 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320)는 전면부 카메라와 후면부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품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고, 단말 장치(300)가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해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고, 제공 받은 정보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특징들을 기준으로 필터링 하기 위한 입력을 받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3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30)는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수단은, 키 조작에 따라서 해당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키패드, 키보드가 해당된다. 터치 입력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동작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를 들 수 있다. 제스처 입력 수단은,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단말 장치를 흔들거나 움직이는 동작, 단말 장치에 접근하는 동작, 눈을 깜빡이는 동작 등 지정된 특정 동작을 특정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으로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카메라, 고도계,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단말 장치(3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오프라인 상에서 촬영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증강현실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340)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36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이 때, 출력부(34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부(340)는 입력부(3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단말 장치(300)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증강현실로 제공한다. 이 때, 단말 장치(300)는 오프라인 상의 상품을 촬영하고 정보를 수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320)을 통해서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전송 받아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3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350)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가 배포하여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이미지 분석을 위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등과 같은 프로그램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350)는, 램(RAM, Read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CD-ROM, DVD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접근 스토리지(NAS, Network Access Storage)와 같이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60)는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와 연동을 통해 상품 판매 정보를 단말 장치(300)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의 판매 정보 를 촬영한 이미지에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카메라부(320)로부터 촬영된 오프라인 상의 상품 이미지가 전달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360)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데이터 목록을 상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데이터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증강현실 형태로 제공 되는 정보를 회전 또는 변형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는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35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의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단말 장치(300)가 오프라인 상의 상품을 촬영한다(S321). 이 때 기존에 설치 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카메라부(320)가 작동 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오프라인 상의 상품은 길거리에서 다른 사람들이 착용하고 있는 상품이 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상에 진열된 상품 일 수 있다.
이 후, 단말 장치(3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촬영한 상품 이미지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에(400) 송신하고, 촬영한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322).
이에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image exact matching, NDID(Near Duplicate Image Detection)기술 등을 이용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술들을 이용해 검색된 상품과 전자 상거래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상품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상품 정보를 결정한다.
이에 단말 장치(300)는 상품 판매 정보 서버(400)로부터 상기 기술들을 이용하여 검색 된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의 판매 정보를 수신한다(S323). 이 때, 수신한 정보는 상품에 대한 가격, 색상 등이 될 수 있고, 검색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오픈 마켓 등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 가격, 상품 색상, 상품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제공 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 중 원하는 정보만을 취사 선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300)는 수신한 정보를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와 실시간으로 결합하여 증강 현실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상품과 온라인 상품을 비교 가능하도록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상품 판매 정보를 비교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품에 대해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하거나,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가 있는 경우, 단말 장치(300)를 조작하여 상기 상품 정보 서버(400)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 중 특정 온라인 쇼핑몰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이와 같이 증강현실로 출력된 온라인 쇼핑몰 리스트 중 특징 온라인 쇼핑몰이 선택되며(S325), 해당 온라인 쇼핑몰을 운용하는 전자상거래 서버(500)의 상품에 대한 상세 설명이 포함된 페이지 혹은 구매/장바구니 페이지로 연결한다(S326).
이를 위해서, 상기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정보는, 각 온라인 쇼핑몰의 해당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오프라인 상품을 촬영한 예시도이다.
도 7(a)의 경우,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단말 장치(300)의 카메라부(320)를 이용하여 길거리에서 다른 사람이 착용하고 있는 상품을 촬영한 것에 대한 예시이다.
이 때, 카메라의 일정 프레임 내로 상품이 위치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라인(301)을 활성화 된 카메라 상에 표시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프레임 내로 식별 코드가 들어올 수 있도록 단말 장치(300)를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품에 대한 가이드 라인 외에도, 상표(브랜드)를 인식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될 수 있다.
도 7(b)의 경우,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을 촬영한 것에 대한 예시도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 상표(브랜드)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 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매장에 나열된 상품에 대한 태그를 인식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 할 수도 있다.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정보 출력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촬영한 오프라인 상의 상품 이미지와 결합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를 증강 현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정보로는 상품명, 상품 색상, 상품 크기, 상품 판매 중인 온라인 쇼핑몰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거나,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 제공되는 온라인 쇼핑몰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촬영한 상품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을 목록으로 제공하거나, 상표(브랜드)를 분석하여 상기 상표(브랜드)에서 만들어진 촬영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제공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취사 선택하여 원하는 정보만 확인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선택 시 제공되는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전송 받은 상품에 관한 정보 중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상세 페이지 또는 구매/장바구니로 이동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상품에 대한 상세 페이지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상세 페이지일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서버(500)와 연계하여 온라인 쇼핑몰이 제공하는 상세페이지를 제공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이미지 입력 센서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단말 장치(3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상품 정보 제공 서버(4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단말 장치(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 및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2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품 특징을 하나하나 입력하여 검색할 필요 없이 사진촬영이라는 직관적인 동작을 통해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을 검색하여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를 증강현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품 정보를 보다 사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00: 네트워크 200: 상품
300: 단말 장치 310: 통신부
320: 카메라부 330: 입력부
340: 출력부 350: 저장부
360: 제어부 410: 서비스 통신부
420: 서비스 검색부 430: 서비스 제어부
440: 서비스 저장부 500: 전자상거래 서버

Claims (14)

  1. 무선 통신 기능 및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여 오프라인 상품을 촬영하고,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상품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온라인 상품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온라인 상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오프라인 상품의 촬영 화면에 증강현실로 결합하여 상기 온라인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판매되는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에 포함된 하나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온라인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시스템.
  3. 통신망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를 검색하여,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검색부;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서 단말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검색부에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 기반의 검색을 지시하고, 상기 검색부에서 추출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포함된 하나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온라인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검색부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서 추출되는 상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상표 정보, 오프라인 상품의 판매 가격 정보, 오프라인 상품의 색상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오프라인 상품 정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판매되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검색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판매되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고, 이를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상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유사하거나 동일한 온라인 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해당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
  7.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 명령에 따라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와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증강 현실로 출력할 때, 촬영 화면 내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온라인 상품의 판매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특정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장바구니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통신망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상품 제공 서버에 의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를 검색하여, 각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판매되며 상기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와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되도록 상기 추출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11. 통신망을 상품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단말 장치에 의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켜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전자상거래 서버에 판매되며 상기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되는 촬영 화면에 상기 오프라인 상품 이미지와 상기 수신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를 결합하여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단계에서, 판매 정보가 표시된 온라인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특정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온라인 상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구매 페이지 또는 선택된 온라인 상품이 포함된 장바구니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강 현실 기반의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70085661A 2017-07-05 2017-07-05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05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61A KR20190005082A (ko) 2017-07-05 2017-07-05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6/026,434 US20190012717A1 (en) 2017-07-05 2018-07-03 App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sales information of offline product in augmented reality
CN201810731465.2A CN109214881A (zh) 2017-07-05 2018-07-05 以增强现实提供线下产品的线上销售信息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61A KR20190005082A (ko) 2017-07-05 2017-07-05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82A true KR20190005082A (ko) 2019-01-15

Family

ID=6490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661A KR20190005082A (ko) 2017-07-05 2017-07-05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12717A1 (ko)
KR (1) KR20190005082A (ko)
CN (1) CN10921488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58B1 (ko) * 2019-01-31 2020-01-28 김형익 Ar 스캔엔진을 이용한 ar 커머스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48121A (ko) * 2019-10-23 2021-05-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제품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3296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젤리펀치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KR20220017785A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이니랩스 Cctv와 연동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469244B1 (ko) * 2022-01-27 2022-12-07 주식회사 미스터그룹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광고 성과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KR102480928B1 (ko) 2022-07-08 2022-12-27 주식회사 바이럴픽 메타버스 및 빅데이터 기반의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499686B1 (ko) 2022-07-08 2023-02-15 주식회사 바이럴픽 메타버스 및 빅데이터 기반의 백화점 운용 서버 및 방법
KR102533362B1 (ko) * 2022-10-26 2023-05-17 주식회사 투스페이스 증강 현실 기반의 판매 물품 미리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0233A1 (en) * 2016-05-13 2017-11-16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services across platforms based on selectively shared information
US11276153B2 (en) * 2020-01-14 2022-03-15 Adobe Inc. Auto-complete image suggestions for image editing
KR20210119112A (ko) * 2020-03-24 2021-10-0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제품의 공통된 특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4172958A4 (en) 2020-06-29 2024-02-21 Snap Inc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PRODUCT DAT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9104B1 (en) * 2009-03-31 2014-05-06 Amazon Technologies, Inc. Acquiring multiple items in an image
US10127606B2 (en) * 2010-10-13 2018-11-13 Ebay In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an item
US9846708B2 (en) * 2013-12-20 2017-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rching of images based upon visual similarity
US10027884B2 (en) * 2014-03-05 2018-07-17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for capturing photographs and videos on a handheld client device without continually observing the device's screen
US10269055B2 (en) * 2015-05-12 2019-04-23 Pinterest, Inc. Matching user provided representations of items with sellers of those item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58B1 (ko) * 2019-01-31 2020-01-28 김형익 Ar 스캔엔진을 이용한 ar 커머스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48121A (ko) * 2019-10-23 2021-05-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제품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3296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젤리펀치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KR20220017785A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이니랩스 Cctv와 연동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469244B1 (ko) * 2022-01-27 2022-12-07 주식회사 미스터그룹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광고 성과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KR102480928B1 (ko) 2022-07-08 2022-12-27 주식회사 바이럴픽 메타버스 및 빅데이터 기반의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499686B1 (ko) 2022-07-08 2023-02-15 주식회사 바이럴픽 메타버스 및 빅데이터 기반의 백화점 운용 서버 및 방법
KR102533362B1 (ko) * 2022-10-26 2023-05-17 주식회사 투스페이스 증강 현실 기반의 판매 물품 미리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2717A1 (en) 2019-01-10
CN109214881A (zh)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082A (ko)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27326B2 (en) Augmented reality recommendations
US10528991B2 (en) Augmented reality view of product instructions
JP5951759B2 (ja) ライブビューの拡張
US9262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real-time product and vendor identification
US104382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a virtual browsing experience
JP5395920B2 (ja) 検索装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10877649B2 (en) Browsing system, brow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4524062A5 (ko)
US9600720B1 (en) Using available data to assist in object recognition
US9990665B1 (en) Interfaces for item search
US10282904B1 (en) Providing augmented reality view of objects
CN109815409A (zh) 一种信息的推送方法、装置、穿戴设备及存储介质
JP2019530932A (ja) クロスオーバー相互作用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10125866A (ko) 증강현실을 통한 정보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89957B1 (ko)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8160225A (ja) 閲覧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1700525B1 (ko) 모바일 단말 원격 체험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모바일 단말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N115086774B (zh) 资源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1906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7464027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利用者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CN112135164A (zh) 线上内容立体显示方法与系统
CN113311938A (zh) 引导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及程序
CN118158481A (zh) 资源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