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296A -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296A
KR20220013296A KR1020210013990A KR20210013990A KR20220013296A KR 20220013296 A KR20220013296 A KR 20220013296A KR 1020210013990 A KR1020210013990 A KR 1020210013990A KR 20210013990 A KR20210013990 A KR 20210013990A KR 20220013296 A KR20220013296 A KR 20220013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face
offline stor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573B1 (ko
Inventor
송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리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리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리펀치
Publication of KR2022001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7
    • H04N5/23206
    • H04N5/23299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선택적으로 지정받으며,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할당된 카메라에 접속하는 타깃 지정 유닛; 접속된 카메라를 통하여,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접근하고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미리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투어링 유닛; 및 투어링 유닛이 이동시킨 카메라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Online system for purchasing merchandize by recognizing image of goods from remote area}
본 발명은 비대면의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원격지의 오프라인 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이미지를 원격으로 획득하여 확인한 후,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통해 상품 구매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언택트 방식의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ICT 통계정보 연구실의 레포트(2020년 10월 발간)에 따르면, 2020년 온라인쇼핑 전체 거래액은 전년인 2019년 1분기 대비 16.6%, 2분기 대비 1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군별로 보면, 코로나19발생 초기인 올해 1분기의 전년대비 거래액 증가율은 '음식서비스'가 76.7%로 전체 상품군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 '식품', '생활용품'순으로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여행 및 문화생활이 제한됨에 따라 '여행 및 교통서비스', '문화 및 레저서비스'의 거래액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기술을 통하여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기술 혹은 상품 판매의 촉진 혹은 상품 판매의 정교함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인 시도는 코로나19 발병 기간은 물론 이 전에도 존재하여 왔다.
예컨대,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등록번호 제 10-1533199호, 특허문헌1)", "원격으로 영상신호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등록번호 제 10-1021315호, 특허문헌2)",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공개번호 제 10-2019-0005082호, 특허문헌3)"등이 존재한다.
이들 기술은 단순한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의 광고 마케팅이나 기타 온라인 결제와 관련된 기술들에 비하여 다른 각도의 접근인 점에서는 높이 평가할 수 있으나, 이들은 온라인 상품 판매가 가지는 맹점이면서 오프라인 상품 판매시의 장점인 상품의 직접 육안 확인을 현실적인 감각을 부여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접근이 전무한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 10-1533199호 등록번호 제 10-1021315호 공개번호 제 10-2019-0005082호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온라인 상품 판매와 오프라인 상품 판매의 장점이 취합된 온라인 상품 판매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둘째, 원격지 상에서 현실 상품의 이미지를 현실적으로 획득하고 확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선택적으로 지정받으며, 상기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할당된 카메라에 접속하는 타깃 지정 유닛; 접속된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접근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미리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투어링 유닛; 및 상기 투어링 유닛이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타깃 지정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지정받는 상품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타깃 지정 유닛은, 상기 상품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지정받는 장소 지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투어링 유닛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상기 미리 설정된 경로를 개념적으로 설정하는 패스 유동부; 및 상기 패스 유동부가 설정한 상기 미리 설정된 경로 내 교차 포인트(cross point)를 설정하고, 상기 교차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카메라를 유동되도록 하는 구간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구간 지정부는, 상기 교차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슈팅 존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슈팅 존 상에 상기 카메라를 유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투어링 유닛은,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서 상기 카메라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홀딩시키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액션이 있으면,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 놓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상기 슈팅 존 상에 상기 카메라를 유동시키는 레스트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상부에 상기 카메라를 배치시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촬영 영역 설정부;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 배치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을 정의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을 탐색하는 주의 스팟 확인부; 및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 배치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품 이미지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주의 스팟 확인부가 탐색한 상기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의 이미지를 확장하여 획득하는 주의 스팟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코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는, 상기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발급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선택적으로 개별 할당하는 코드 발생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획득하면, 상기 소정의 코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코드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오프라인에서 실제 판매하는 상품의 실제 영상을 원격지의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오프라인에서 실제 판매하는 상품의 실제 영상 확인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실제 판매하는 상품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그대로 구매하도록 한다.
셋째,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서 오프라인에서 실제 판매하는 제품의 영상을 획득되도록 함은 물론, 보다 자세하게 관찰이 필요한 영상은 별도로 획득시켜 상품 확인 및 상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다.
넷째, 온라인 상에서 선택한 상품을 그대로 구매하되, 해당 선택 제품의 영상을 동반 제공하여, 상품을 받아본 후에도 온라인 상에서 선택한 제품과 실제 배송된 제품이 동일한 것인지 확인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이 적용되는 각 주체과 이들간의 연계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투어링 유닛을 통하여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중, 투어링 유닛을 통해 개별 상품의 무빙 패스와 미리 결정된 가변 촬영 구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을 통해 주의 스팟을 확인하고 확장 개시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타깃 지정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투어링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상품 주문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코드 확인부와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중 코드와 그 유효 기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이 적용되는 각 주체과 이들간의 연계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투어링 유닛을 통하여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중, 투어링 유닛을 통해 개별 상품의 무빙 패스와 미리 결정된 가변 촬영 구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을 통해 주의 스팟을 확인하고 확장 개시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타깃 지정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투어링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상품 주문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코드 확인부와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중 코드와 그 유효 기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1)가 구매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20) 상에 실제 판매하는 상품(2)을 카메라를 통하여 원격으로 확인하고, 카메라를 통해 확인한 실제 상품(2)을 온라인으로 주문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상품(2)은 오프라인 매장(20) 상에서 실제 판매하는 상품인 만큼, 오프라인 매장에서 타인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로 확인하는 중에도 해당 상품(2)의 재고량이나 혹은 기타 완판, 절판, 재고 소진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매자 단말기(10)의 경우, 스마트폰(11)이나 구매자(1)가 사용하는 PC 예컨대, 랩톱 PC(12) 등일 수 있다.
카메라(camera)는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계되는데, 오프라인 매장(20)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용 모듈을 의미하게 된다.
카메라(camera)는 현장 즉, 오프라인 매장(20)에 설치, 혹은 거치된 각종의 레일, 와이어 등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은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콘트롤을 통하여 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지정 유닛(100); 투어링 유닛(touring unit, 200) 및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지정 유닛(1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선택적으로 지정받으며,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할당된 카메라에 접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1)는 구매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 혹은 상품 혹은 이들 오프라인 매장 및 상품을 동시에 지정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2)에 대한 지정은 물론 해당 상품(2)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20)까지 함께 지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오프라인 매장(20)의 판매대(21)에 카메라가 설치되고, 이러한 카메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투어링 유닛(200)의 경우, 접속된 카메라를 통하여,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접근하고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미리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투어링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대(21) 상에 미리 설정된 경로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리 설정된 경로는 상품(2)의 크기, 배치 위치, 배치관계, 상품의 입체적 형상, 상품 상호간의 겹침의 정도에 따라 개념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경로에 해당한다.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카메라는 유동되는데, 투어링 유닛(200)은 위와 같은 기능의 발현을 위하여 위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카메라가 이동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콘트롤 하는 구성이다.
미리 설정된 경로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2)들 상의 경로를 x, y 축으로 나누고, 해당 x축에서는 x+, x-, 그리고 y축에서는 y-, y+의 경로로 나누어 카메라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경로들의 경우, 도 3(b)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들 xy축의 교차점은 상품(2)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품(2)의 중앙부 혹은 상품(2)을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투어링 유닛(200)이 이동시킨 카메라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20)-상품(2)을 모니터링 하는 구성이다.
즉, 모니터링 유닛(300)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2) 상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상품(2)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구매자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타깃 지정 유닛(10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지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지정부(110)의 경우, 구매자 단말기(10)를 통하여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지정받는 구성이다.
상품 지정부(110)는 구매자 단말기(10) 상에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혹은 구매자가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의 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상품의 카메라 모니터링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품 지정부(110)는 구매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소고기", "한우", "안심" 등과 같은 키워드를 기입받을 수 있다.
타깃 지정 유닛(10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소 지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소 지정부(120)의 경우, 상품 지정부(110)에 의해 지정된 상품(2)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20)을 구매자 단말기(10)로부터 지정받는 구성이다.
장소 지정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지정부(110)가 지정받은 상품(2)의 판매를 진행하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을 구매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성이다. 따라서, 장소 지정부(120)는 "코스트코", "이마트", "하나로 마트" 등과 같은 입력을 획득하게 된다.
투어링 유닛(20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path) 유동부(210), 구간 지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패스 유동부(210)의 경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상품상에 미리 설정된 경로를 개념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ving path x-1, moving path y-1의 경로는 상품(1)의 배치, 형상 등에 따라 개념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경로에 해당하며, 이러한 경로는 카메라의 유동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도 3(b) 혹은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이들 경로는 오프라인 매장(20)을 방문하는 타 고객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경로이며, 이러한 경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유동된 후에나 인지될 수 있는 개념적인 경로에 해당한다. 물론, 카메라가 이와 같이 유동되기 위해서는 상품(2)의 상부에서 이들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레일, 스트링이 형성되거나 혹은 1점에서 다양한 각도로 카메라의 앵글이 조절될 수 있는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레일, 스트링 등으로 카메라를 유동시키는 것 역시, 오프라인 매장(20) 내에서는 고객들의 키높이 보다 훨씬 높은 곳에 배치되어, 해당 유동 경로는 오프라인 매장(20) 내 타 고객들이 인지하기 힘들도록 하는 것이다.
구간 지정부(220)의 경우, 패스 유동부(210)가 설정한 미리 설정된 경로 내 교차 포인트(cross point, 도 4 참조)를 설정하고, 교차 포인트(cross point)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매장(20)-상품(2) 상의 카메라를 유동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카메라는 미리 설정된 경로 상을 유동하다가, 교차 포인트 상에서 상품(2)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나아가, 구간 지정부(220)의 경우, 교차 포인트(cross point)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매장(20)의 상품(2) 상의 슈팅 존(shooting zone, 도 4(b) 참조)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슈팅 존 상에 상기 카메라를 유동 시키게 된다.
슈팅 존(shooting zone)의 경우, 해당 교차 포인트(cross point)에 위치한 상품(2)의 형상을 다양한 각도, 관점으로 촬영하기 위하여 지정되는 영역인데, 해당 상품(2)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위치, 구매자(1)가 통상적으로 해당 상품(2)의 구매시 가장 많이 혹은 가장 흔히 관찰하는 부위, 상품(2)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 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품(2)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상품(2)의 단편적인 평면 촬영에서 나아가, 슈팅 존(shooting zone)의 위치 선택은 상품(2) 별 다양한 촬영 각도와 촬영 포인트를 둠으로써, 해당 상품(2)의 오프라인 매장 상에서 구매자(1)가 직접 상품(2)을 관찰하고 검토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투어링 유닛(200)의 경우, 레스트 설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스트(rest) 설정부(230)의 경우, 교차 포인트 상에서 카메라를 미리 설정된 시간(pre-determined time) 예컨대, 2~3초 동안 홀딩시키며, 미리 설정된 시간(pre-determined time) 내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액션 예컨대, 구매자의 터치, 혹은 클릭 등의 행위가 있으면, 교차 포인트(cross point) 상에 놓은 오프라인 매장(20) 상품(2) 상의 슈팅 존(shooting zone) 상에 카메라를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모니터링 유닛(20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 설정부(310), 주의 스팟 확인부(330) 및 상품 이미지 촬영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촬영 영역 설정부(310)의 경우, 교차 포인트 상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상부에 카메라를 배치시켜,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슈팅 존(shooting zone)을 상품(2)마다 개별적으로 달리 설정하게 되는데, 촬영 영역 설정부(310)는 이러한 슈팅 존의 설정을 위하여 촬영 영역을 실제 설정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촬영하는 상품(2)의 부위는 해당 상품(2)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위치, 구매자(1)가 통상적으로 해당 상품(2)의 구매시 가장 많이 혹은 가장 흔히 관찰하는 부위, 상품(2)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 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품(2)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슈팅 존(shooting zone)의 경우, 상품(2)이 등심이라면, 해당 등심 중, 힘줄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해당 등심 중 마블링은 전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는지, 해당 등심이 윗등심인지, 꽃등심인지, 아래 등심인지, 채끝 등심인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관찰 포인트를 제공하게 된다.
촬영 영역 설정부(310)는 실제 촬영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라면, 상술한 구간 지정부(220)는 이러한 촬영 영역 설정부(310)가 작동되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포지셔닝 하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주의 스팟 확인부(330)의 경우, 교차 포인트(cross point) 상에 배치된 오프라인 매장(20) 상품(2)의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predetermined caution spot)을 정의하고,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을 탐색하는 구성이다.
슈팅 존(shooting zone)이 상품(2)의 일반적인 범위 내에서 품질을 결정할 수 있는 영역이고, 통상적으로 형성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이란, 해당 상품(2)에서 발생되면 안되는 영역이거나, 품질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은 상품(2)이 고기인 경우, 해당 고기의 부패의 흔적 등일 수 있고, 상품(2)이 과일인 경우 벌레 먹은 부위, 썩은 부위, 일부 부분이 괴사한 범위, 상품(2)이 계란인 경우 깨진 상태 등일 수 있다.
상품 이미지 촬영부(350)는 해당 상품을 구매자(1)가 구매시, 해당 상품(2)을 직접 수령하였을때, 구매자(1) 스스로 온라인에서 카메라로 확인한 상품(2)과 직접 수령한 상품(2)이 동일한 것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품(2) 전체를 평면적으로 촬영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품 이미지 촬영부(350)가 촬영한 이미지는 구매자 단말기(10)로 제공되거나, 구매자(1)의 주소로 상품(2)이 배송되면, 배송 박스 내에 해당 상품 이미지 촬영부(350)가 촬영한 이미지가 동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주의 스팟 확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의 스팟 확장부(340)는 주의 스팟 확인부(330)가 탐색한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의 이미지를 확장하여 획득하는 구성이다. 즉, 주의 스팟으로 인지된 영역을 확장하여 구매자(1)로 하여금 해당 상품(2)의 심각한 문제인지 여부를 온라인 상에서 오프라인에서 확인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코드 인식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인식부(320)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20) 상품(2) 상에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고 해당 소정의 코드를 통해 상품(2)의 유효성을 검토하는 구성이다.
나아가, 코드 인식부(320)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식별부(321) 및 코드 검증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식별부(321)의 경우, 상품(2)에 표시된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식별하여 추출하여 획득하는 구성이다.
소정의 코드의 경우, 상품(2)의 유통기한 그 자체와는 상이한 것이다.
소정의 코드는 상품(2)의 유통기한과 해당 상품(2)이 고객에게 배송되는 기한 등을 고려하여 상품(2)의 표면에 발급된 라벨에 표기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코드에는 상품(2)의 종류와 상품(2)의 이름 그리고, 상품(2)의 유통기한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소정의 코드의 인식과 검증을 통하여 해당 상품(2)에 대한 결제 진행 자체를 막게되는 기술적인 기능을 발현시킨다.
코드 식별부(321)의 경우, 상품(2)에 표시된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식별하여 추출 획득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20) 상품(2) 상에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획득하면, 소정의 코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주문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주문 유닛(400)의 경우, 코드 확인부(410), 배송 처리부(420), 비용 결제부(430), 주의 스팟 제공부(440), 및 상품 이미지 제공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확인부(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결제가 진행되거나 진행되지 않는 결정을 하게 된다.
배송 처리부(420)는 외부의 서버 예컨대, 배송 업체가 운영하는 서버 등에 해당 상품(2)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고, 운송장 번호 등을 발급받으며, 해당 상품의 배송을 위한 구매자(2)의 정보 등을 전달하게 된다.
비용 결제부(430)는 외부의 결제 서버 예컨대, 이니시스, 페이팔과 같은 결제 서버를 통하여, 해당 상품(2)의 구매에 따른 비용 결제를 진행하게 된다.
주의 스팟 제공부(44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주의 스팟을 촬영하여 해당 주의 스팟의 영상을 배송시 혹은 구매자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된다.
상품 이미지 제공부(450)의 경우, 온라인 상에서 카메라를 통해 구매 결정한 상품(2)과 실제 배송이 이루어진 상품(2)이 동일한 것인지 영상으로 식별 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 구매 결정시에 해당 상품(2)을 영상을 취득하고 제공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구매자 2: 상품(식품)
10: 구매자 단말기 11: 스마트폰
12: 랩톱 PC 20: 오프라인 매장
21: 판매대 100: 타깃 지정 유닛
110: 상품 지정부 120: 장소 지정부
200: 투어링 유닛 210: 패스 유동부
220: 구간 지정부 230: 레스트 설정부
300: 모니터링 유닛 310: 촬영 영역 설정부
320: 코드 인식부 330: 주의 스팟 확인부
340: 주의 스팟 확장부 350: 상품 이미지 촬영부
400: 상품 주문 유닛 410: 코드 확인부
420: 배송 처리부 430: 비용 결제부
440: 주의 스팟 제공부 450: 상품 이미지 제공부

Claims (10)

  1.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선택적으로 지정받으며, 상기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할당된 카메라에 접속하는 타깃 지정 유닛;
    접속된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지정받은 오프라인 매장-상품에 접근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미리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투어링 유닛; 및
    상기 투어링 유닛이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정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지정받는 상품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정 유닛은,
    상기 상품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지정받는 장소 지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어링 유닛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상기 미리 설정된 경로를 개념적으로 설정하는 패스 유동부; 및
    상기 패스 유동부가 설정한 상기 미리 설정된 경로 내 교차 포인트(cross point)를 설정하고, 상기 교차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카메라를 유동되도록 하는 구간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지정부는,
    상기 교차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슈팅 존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슈팅 존 상에 상기 카메라를 유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어링 유닛은,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서 상기 카메라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홀딩시키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액션이 있으면,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 놓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의 상기 슈팅 존 상에 상기 카메라를 유동시키는 레스트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상부에 상기 카메라를 배치시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촬영 영역 설정부;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 배치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을 정의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을 탐색하는 주의 스팟 확인부; 및
    상기 교차 포인트 상에 배치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품 이미지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주의 스팟 확인부가 탐색한 상기 미리 설정된 주의 스팟의 이미지를 확장하여 획득하는 주의 스팟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코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부는,
    상기 상품에 표시된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식별하여 추출 획득하는 코드 식별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상품 상에 미리 발급된 소정의 코드를 획득하면, 상기 소정의 코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코드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KR1020210013990A 2020-07-24 2021-02-01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KR102515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98 2020-07-24
KR20200091998 2020-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96A true KR20220013296A (ko) 2022-02-04
KR102515573B1 KR102515573B1 (ko) 2023-03-29

Family

ID=8026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990A KR102515573B1 (ko) 2020-07-24 2021-02-01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5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676A (ko) * 2005-08-27 2005-09-15 (주)인베스트클럽 카메라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KR20060100540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화신 오프라인 매장과의 연계를 통한 상품 판매 중개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021315B1 (ko) 2009-11-17 2011-03-11 (주)네스테크놀로지 원격으로 영상신호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078064A (ko) * 2012-12-14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어 가능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정보와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533199B1 (ko) 2014-10-29 2015-07-03 김기동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KR20180088698A (ko) * 2015-12-31 2018-08-06 이베이 인크. 이미지들의 결함 분석
KR20190005082A (ko) 2017-07-05 2019-01-15 십일번가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540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화신 오프라인 매장과의 연계를 통한 상품 판매 중개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91676A (ko) * 2005-08-27 2005-09-15 (주)인베스트클럽 카메라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KR101021315B1 (ko) 2009-11-17 2011-03-11 (주)네스테크놀로지 원격으로 영상신호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078064A (ko) * 2012-12-14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어 가능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정보와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533199B1 (ko) 2014-10-29 2015-07-03 김기동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KR20180088698A (ko) * 2015-12-31 2018-08-06 이베이 인크. 이미지들의 결함 분석
KR20190005082A (ko) 2017-07-05 2019-01-15 십일번가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573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247A (zh) 集成的自动零售系统和方法
JP2006350751A (ja) 店舗内の販売分析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724999B1 (ko) 가상 쇼핑 방문자 단말기와 가상 쇼핑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쇼핑 시스템
CN109727097A (zh) 一种配镜方法、装置与系统
KR20010093589A (ko) 전자 상거래에서 어울림테스트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04256A (ko) 아트 아카이브 시스템
KR102170092B1 (ko)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7228A (ko) 온라인 지육 판매 절차 및 시스템
KR20220013296A (ko) 원격지 상품 영상의 식별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US20150127434A1 (en) Ev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07909451A (zh) 一种线上购物后即可线下取货的自动售货系统及方法
KR101865521B1 (ko)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결정방법
KR20210115713A (ko) 소매사업자를 위한 상품 자동 주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7716A (ko) 소셜 커머스를 이용한 농산물 직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770189B1 (ko) 제어 가능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정보와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거래 방법 및 장치
CN109118251A (zh) 一种基于电子秤的食品追溯方法
KR102329237B1 (ko) 도매 거래 중계 시스템
JP2012146214A (ja) 写真画像データの作成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接続環境における商品販売促進システム
KR20210071807A (ko)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물류 서버
KR20210093553A (ko) 상호 신뢰성 기반 중고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 거래 방법
KR20200047903A (ko) 증강현실로 창작된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US20230360115A1 (en) Cloud-based cyber trade show system
KR20130104809A (ko) 상품연계식 티켓판매방법
US202400960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70109512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