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957B1 -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957B1
KR101589957B1 KR1020150002592A KR20150002592A KR101589957B1 KR 101589957 B1 KR101589957 B1 KR 101589957B1 KR 1020150002592 A KR1020150002592 A KR 1020150002592A KR 20150002592 A KR20150002592 A KR 20150002592A KR 101589957 B1 KR101589957 B1 KR 10158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server
meta informa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련
Original Assignee
박세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련 filed Critical 박세련
Priority to KR102015000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은, 상기 상품의 특징정보를 분석하고, 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매칭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0); 상기 제1컨텐츠에 상기 제1메타정보를 결합하여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상기 서버가 유저에게 상기 제2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하는 단계(S300);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유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의 화면의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명령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저들은 본인이 관심 있는 연예인이 착용한 상품을 직접 검색하지 않아도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바로 파악 및 구입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METHOD AND PROGRAM FOR SELLING PRODUCTS LINKED TO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서버 내 영상 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등장인물 및 상품에 메타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보는 유저에게 상기 메타정보 제공 및 쇼핑몰로 유인하는 온라인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온라인 쇼핑몰은 판매 물품의 광고를 위해 오프라인광고 또는 포털 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하였다. 그러나 이는 비용이 비싸고,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람들은 매체에 연예인이 입고 나온 물품에 대한 정보를 궁금해하며, 해당 물품을 구입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람들이 해당 물품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포털 사이트에 여러 단계의 검색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반대로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은 해당 물품을 어떠한 연예인이 사용하였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한류열풍 등에 의해 외국인들의 한국 연예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관심을 한국 의류 등의 물품 판매로 연계하는 방법이 없다. 즉, 한국 연예인들의 사진을 보러 컨텐츠를 많이 보유한 사이트에 방문한 외국인 사용자가 해당 연예인이 착용한 아이템을 구입하도록 유인할 방법이 없어, 한류의 인기를 온라인 쇼핑 산업의 수익 증가까지 연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예인들의 패션에 관심이 있는 젊은 연령층이 간편하게 연예인 사진 등의 컨텐츠를 보면서 연예인이 사용하는 상품의 정보를 파악하고, 쇼핑까지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상거래 방법이 필요하다.
컨텐츠 내에서 유저가 관심을 갖는 등장인물이 착용한 상품에 대한 메타정보를 유저에게 노출하고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간편하게 이동하게 하여, 유저들의 상품 구매 의욕을 고취하고 판매자의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등장인물의 얼굴이미지를 분석하고 서버에 저장된 등장인물정보와 매칭하여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특징정보를 분석하고, 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매칭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에 상기 제2메타정보와 상기 제1메타정보를 결합하여,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유저에게 상기 제2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유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의 화면의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유저 또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업로드받거나 상기 서버가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징정보는, 상기 상품의 종류, 디자인, 색상, 부착된 조형물의 형상 또는 위치, 무늬 형상 또는 색상, 단추의 형상 또는 부착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작이 상기 이미지의 특정한 상품에 커서를 위치하는 조작인 경우,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상품의 클릭 또는 더블클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는, 상기 제1조작이 적용되는 상기 제2컨텐츠의 위치에 상응하는 아이템의 가격, 세일정보, 브랜드, 출시연도, 재고유무, 사이즈정보, 타인의 상기 아이템 착용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가 타인의 상기 아이템 착용이미지인 경우, 상기 유저가 탐색한 상기 제2컨텐츠의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템을 착용한 다른 등장인물의 제2컨텐츠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상기 제1메타정보 항목을 상기 유저로부터 선택 또는 상기 유저의 쇼핑패턴 분석을 통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방식은, 상기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미니창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 상기 제1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팝업창에 표시하는 방식, 상기 상품의 특정위치에서 시작되는 말풍선 내에 표시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타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언어로 상기 제1메타정보를 번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인식은, 상기 유저가 접속한 IP주소, 상기 클라이언트가 무선통신신호를 통해 인식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한 위치정보, 유저의 가입정보상의 주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상품 판매자의 입장에서 보면, 연예인 사진과 같은 컨텐츠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해당 연예인이 착용한 상품에 관한 정보 제공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의 상세페이지로 바로 연결을 수행하여, 상품의 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유저 입장에서 보면, 상기 유저들은 본인이 관심 있는 연예인이 착용한 상품을 직접 검색하지 않아도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바로 정보를 파악하고 구입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다.
셋째, 상기 서버가 유저의 쇼핑성향, 쇼핑패턴, 관심을 갖는 등장인물(예를 들어, 연예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품정보(제1메타정보)를 제공할 상품을 결정하므로, 유저 별로 적절한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에 부합하는 언어로 상기 제1 및 제2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유저의 사용 편의성을 높여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유저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별로 적합하거나 간편한 제1조작 및 제2조작을 적용하여, 유저가 간편하게 상품정보 확인 및 상기 쇼핑몰의 상기 상품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간편한 쇼핑몰 이동에 따른 판매자의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는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은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유저의 제1조작에 따라 제1메타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는 유저들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말한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테블릿 PC, 스마트워치,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스마트카메라, 스마트TV 등의 다양한 통신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으로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통신기능을 보유한 메모리 칩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가 기본적으로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나 통신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칩을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컨텐츠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등장인물은 상기 제1컨텐츠에 등장하는 연예인 등의 인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메타정보는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상품(예를 들어, 옷, 액세서리, 가방 등)에 관한 정보로, 가격, 브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2메타정보는, 상기 제1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로, 상기 등장인물의 성명, 소속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컨텐츠는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제1컨텐츠에 결합한 컨텐츠 형태이다. 상기 제2컨텐츠는 상기 제1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유저에게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는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은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유저의 제1조작에 따라 제1메타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서버(100); 클라이언트(200); 제2컨텐츠(300); 등장인물(310)이 도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시스템은,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등장인물(310)이 착용한 상품의 특징정보 추출을 통해 상기 상품을 파악하여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상품 인식 시에 비교 수행할 상품의 특징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1메타정보에 포함될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에 결합하여 제2컨텐츠(300)를 생성하고,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의 후술하는 제1조작, 제2조작을 인식하여 이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을 명령하며, 상기 제2조작 입력 시에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얼굴인식을 통해 상기 제1컨텐츠 내 등장인물(310)을 인식하여 상기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얼굴인식 수행 시에 비교 수행할 인물의 얼굴특징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메타정보에 포함될 등장인물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유저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하며,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2컨텐츠(300)를 수신하여 상기 제1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유저의 사용자입력을 획득하여 상기 서버(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버(100)를 대신하여, 상기 제1조작 또는 상기 제2조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상기 제1조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2컨텐츠 내의 제1 또는 제2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2조작에 상응하는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 정보 제공을 상기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버(100)를 대신하여, 상기 서버의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제1컨텐츠를 유저의 요청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제1컨텐츠 내 상품 또는 등장인물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서버에 존재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영상 또는 이미지)를 탐색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메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제1 또는 제2메타정보를 상기 수신한 제1컨텐츠에 결합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은, 상기 상품의 특징정보를 분석하고, 서버(100)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매칭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0); 상기 제1컨텐츠에 상기 제1메타정보를 결합하여, 제2컨텐츠(300)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상기 서버(100)가 유저에게 상기 제2컨텐츠(300)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300)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하는 단계(S300); 상기 서버(100)가 상기 제1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유저의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의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명령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컨텐츠에서 상기 상품의 특징정보를 분석하고, 서버(100)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매칭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한다(S100).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제1메타정보 생성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상품의 특징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으로, 상기 상품의 이미지를 상기 제1컨텐츠에서 추출하고, 상기 상품 이미지에서 상기 상품의 특징정보을 추출한다(S101). 예를 들어, 상기 특징정보는, 상기 상품이 의류인 경우, 상기 상품의 종류, 디자인, 색상, 부착된 조형물의 형상 또는 위치, 무늬 형상 또는 색상, 단추의 형상 또는 부착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이미지 내 상기 특징정보 추출은,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와 동일한 특징을 포함한 상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상품 특징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서버(100) 내에 저장된 상품을 파악하고, 상기 상품의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에 매칭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한다(S102). 상기 상품정보는, 상품의 이미지, 가격, 세일정보, 브랜드, 출시연도, 재고유무정보, 상기 상품을 착용한 타인의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텐츠에 상기 제1메타정보를 결합하여, 제2컨텐츠(300)를 생성한다(S200).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컨텐츠 내의 상품정보에 해당하는 제1메타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에 결합하여 상기 제2컨텐츠(300)를 생성한다.
상기 서버(100)가 유저에게 상기 제2컨텐츠(300)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300)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한다(S300).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에게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유저가 요청하는 상기 제2컨텐츠(300)를 제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유저의 사용자입력부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조작을 획득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클라이언트(200)에서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종류에 따라 마우스,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스크린,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은, 상기 유저로부터 정보 획득을 원하는 대상을 선택받는 상기 사용자입력부 조작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PC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가 마우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유저가 정보를 획득하고 싶은 상품에 마우스 커서(Curser)가 위치하게 하는 것을 제1조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유저가 상기 클라이언트(200) 상에 상기 등장인물(310)이 착용하고 있는 특정한 상품을 터치하는 조작을 상기 제1조작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조작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구비한 사용자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조작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가 상기 제1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유저의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S400).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조작 인식을 통해 상기 제1컨텐츠 내 어떠한 등장인물(310) 또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지를 인식하고, 상기 서버(10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조작에 해당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미니창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 상기 제1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팝업창에 표시하는 방식, 상기 상품의 특정위치에서 시작되는 말풍선 내에 표시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는, 상기 제1조작이 적용되는 상기 제2컨텐츠(300)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품의 가격, 세일정보, 브랜드, 출시연도, 재고유무, 사이즈정보, 타인의 상기 아이템 착용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의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명령한다(S500). 상기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는 상기 유저가 요청한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페이지에 해당한다. 상기 제2조작은,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가 입력하는 조작으로, 상기 제1조작에 대응하여 다양한 조작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가 정보를 획득하고 싶은 상품에 마우스 커서(Curser)가 위치하게 하는 것을 제1조작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제1조작을 입력한 위치(즉,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클릭 또는 더블클릭 하는 조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터치스크린 내 표시된 특정한 상품을 터치하는 조작을 상기 제1조작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상품을 길게 터치하거나 두 번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조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타정보가 표시되면서 쇼핑몰로 연결할 수 있는 링크 또는 연결아이콘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2조작은 상기 링크 또는 연결아이콘의 클릭 또는 터치가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조작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구비한 사용자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제1조작과 구별되는 다양한 조작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상기 등장인물(310)의 얼굴이미지를 분석하고 서버(100)에 저장된 등장인물정보와 매칭하여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텐츠는 상기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또는 이미지로, 연예인 등의 등장인물(310)을 포함하고 있는 메타정보가 부가되지 않은 컨텐츠를 의미한다.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컨텐츠의 촬영대상물인 상기 등장인물(310)의 얼굴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등장인물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제2메타정보를 생성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제2메타정보 생성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등장인물(310)의 얼굴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컨텐츠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한다(S601). 얼굴 추출(또는 검출)이란, 주어진 임의의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인간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만약 존재한다면 각각의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위치와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얼굴 추출방법에는, 인간에 대한 사전지식으로부터 유추된 사람 요소간의 규칙을 이용하여 사람을 검출하는 지식 기반 방법 (Knowledge-based method), 인간의 포즈, 관찰시점이나 조명의 변화에도 무관한 사람 형태의 구조적인 특징치(Facial Features, Texture, Skin, Multiple Features 등)를 사전에 추출하고 입력영상에 존재하는 특징치를 검색 및 분류하여 작업을 통해 얼굴을 검출하는 불변 특징 접근법(Feature invariant approach), 사람을 형성하는 표준 패턴을 기술한 후 입력 영상과의 상관관계를 추출하여 이용한 템플릿 정합법(템플레이트 매칭 기법; Template matching method), 및 여러 개의 사람 형태의 학습 영상으로부터 얼굴 형태의 표현 방식을 추출하여 이용한 외형기반 얼굴인식방법(Appearance-based method) 등과 같이 다양한 기법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들이 적용되어 얼굴이미지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얼굴이미지 추출방법은 기 제시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의 다양한 기법 및 여러 기법 간 상호 보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00)는 상기 등장인물(310)의 얼굴이미지에서 얼굴인식을 위해 얼굴특징정보를 추출한다(S602). 상기 얼굴인식은 상기 추출된 얼굴이미지로부터 상기 얼굴특징정보를 추출하여 누구의 얼굴인지 감별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이 발달해왔다. 여기서, 상기 얼굴특징정보는 얼굴의 영상 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의 얼굴에 대한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얼굴특징정보 추출에는 주성분분석법(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Linear Discriminate Analysis(LDA) 등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2차원의 영상 행렬을 기반으로 얼굴영상의 얼굴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2-Dimens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2D-PCA)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2D-PCA 기법은 일반적인 PCA 기법에 비하여 프로젝션 행렬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이로 인하여 연산량 및 필요 메모리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기에 휴대용 장치, 저사양의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시간 내에 얼굴 인식이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얼굴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얼굴영상의 얼굴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얼굴특징정보 추출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00)는 상기 추출된 얼굴이미지 내 얼굴특징정보와 상기 서버(100) 내에 저장된 인물의 얼굴특징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등장인물(310)이 누구인지 인식한다(S603). 상기 서버(100)는 추출된 얼굴특징정보와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등장인물(310)의 얼굴이미지의 얼굴특징정보 사이에서의 거리차가 임계치 내인 경우에 상기 추출된 얼굴이미지와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인물의 얼굴을 동일인의 얼굴로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00)는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등장인물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제2메타정보를 생성한다(S604). 상기 등장인물정보는 얼굴인식을 통해 파악된 상기 등장인물(310)의 신상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등장인물(310)이 연예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등장인물정보는 상기 서버(100)가 저장하고 있는 상기 연예인의 성명 또는 소속 등의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등장인물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에 부가할 상기 제2메타정보로 결정한다.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1컨텐츠 내의 등장인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조작이 상기 등장인물정보 요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200)에 상기 등장인물정보를 제공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유저에게 상기 제2컨텐츠(300)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2메타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가 상기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상기 제2컨텐츠(300)를 전송하여 표시하면서 상기 제2메타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상기 유저가 상기 등장인물정보를 바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메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미니창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 제2컨텐츠(300)의 특정위치에서 발생하는 팝업창에 표시하는 방식, 상기 등장인물(310)의 특정위치에서 시작되는 말풍선 내에 표시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서버(100)가 유저 또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업로드받거나 상기 서버(100)가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는 본인이 획득한 연예인 등의 인물이 포함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기 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의 관리자는 연예인 등의 인물이 포함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기사형태로 작성하면서 이미지를 함께 업로드)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직접 온라인상의 영상 또는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여 수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가 크롤링을 통해 온라인 상에 분산되어 있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가 타인의 상기 상품 착용이미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가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품을 착용한 타인의 이미지를 탐색하여 상기 제1메타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가 타인의 상기 상품 착용이미지인 경우, 상기 서버(100)가 상기 유저가 탐색한 상기 제2컨텐츠(300)의 누적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을 착용한 다른 등장인물(310)의 제2컨텐츠(300)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가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았던 상기 제2컨텐츠(300)를 저장하여 누적 히스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누적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가 관심을 갖는 등장인물(310)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가 관심을 갖는 등장인물(310) 중에서 상기 상품을 착용한 적이 있는 등장인물(310)을 탐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상기 유저의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할 상기 제1메타정보 항목을 상기 유저로부터 선택 또는 상기 유저의 쇼핑패턴 분석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로부터 상품 유형을 선택받아 상기 제1메타정보 제공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상기 유저가 주로 구입하는 상품, 브랜드, 가격대 등의 쇼핑성향 또는 쇼핑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상품의 상기 제1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가 원하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트래픽 양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상기 제2컨텐츠 누적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상기 유저의 관심 등장인물을 파악하고, 상기 제1컨텐츠 내 상품과 동일 범주에 속하는 상기 관심 등장인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메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심 등장인물은, 상기 유저의 상기 제2컨텐츠 탐색에 대한 상기 서버의 누적 히스토리상 많이 탐색되어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단된 등장인물을 의미한다. 상기 유저는 상기 제2컨텐츠에 포함된 상품보다 관심 등장인물이 착용한 동일 범주 내의 상품에 더 관심이 있으며, 구매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가 탐색한 누적 히스토리를 분석하여 탐색한 횟수, 빈도 등을 통해 상기 관심 등장인물을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관심 등장인물이 포함된 제2컨텐츠 내 상품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관심 등장인물과 관련된 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의 상기 제1컨텐츠 요청 시에 상기 관심 등장인물과 관련된 상품정보(예를 들어, 상기 상품의 이미지 또는 상기 관심 등장인물의 상품 착용 이미지 등)를 각 상품 분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메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타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서버(100)가 상기 유저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언어로 상기 제1메타정보를 번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유저가 접속하는 위치 정보 인식을 통해 사용하는 언어를 파악하여, 상기 유저의 이용에 적합한 언어로 번역한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제2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식은, 상기 유저가 접속한 IP주소,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무선통신신호를 통해 인식하여 상기 서버(100)로 제공한 위치정보, 유저의 가입정보상의 주소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에 이용되는 무선통신신호는, GPS신호 또는 무선인터넷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GPS신호는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정보 신호에 해당하여, 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가 GPS모듈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치인식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가 GPS신호를 통해 인식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무선인터넷신호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프로그램은,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프로그램 내에 구현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은, 유저에 의해 요청된 제1컨텐츠에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결합한 제2컨텐츠를 상기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로부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상기 상품의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유저에 의해 요청된 제1컨텐츠에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결합한 제2컨텐츠를 상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유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획득하여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컨텐츠에 상응하는 상기 서버(100)가 생성한 상기 제2컨텐츠를 수신한다.
그 후,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제1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유저가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상품을 파악한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상품에 대한 제1메타정보를 상기 제2컨텐츠에서 추출하여 제공한다.
그 후,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유저로부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상기 상품의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표시한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제2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내 상기 상품의 상세페이지 제공을 상기 서버(100)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상세페이지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고, 웹브라우저에서 표시할 수 없는 다양한 형식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형식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클라이언트(200)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프로그램은, 상품의 특징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서버(100) 내에 저장되거나 검색을 통해 파악된 상품정보와 매칭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유저에 의해 요청된 제1컨텐츠 내 등장인물의 얼굴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서버(100) 내에 저장되거나 검색을 통해 파악된 등장인물정보 탐색 및 매칭하여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에 상기 제1메타정보 또는 상기 제2메타정보를 결합하여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제1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로부터 제2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상기 상품의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상품 판매자의 입장에서 보면, 연예인 사진과 같은 컨텐츠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해당 연예인이 착용한 상품에 관한 정보 제공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의 상세페이지로 바로 연결을 수행하여, 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유저 입장에서 보면, 상기 유저들은 본인이 관심 있는 연예인이 착용한 상품을 직접 검색하지 않아도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바로 파악 및 구입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다.
셋째, 상기 서버가 유저의 쇼핑성향, 쇼핑패턴, 관심을 갖는 등장인물(예를 들어, 연예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품정보(제1메타정보)를 제공할 상품을 결정하므로, 유저 별로 적절한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에 부합하는 언어로 상기 제1 및 제1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유저의 사용 편의성을 높여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유저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별로 적합하거나 간편한 제1조작 및 제2조작을 적용하여, 유저가 간편하게 상품정보 확인 및 상기 쇼핑몰의 상기 상품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간편한 쇼핑몰 이동에 따른 판매자의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서버 200 : 클라이언트
300 : 제2컨텐츠 310 : 등장인물

Claims (12)

  1. 서버 내 제1컨텐츠에 포함된 등장인물 또는 상품에 메타정보를 부여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컨텐츠 내 특정한 상품의 분석을 통해 상품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상품특징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서버 내에 저장된 상품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탐색된 상품에 부합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여 제1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컨텐츠 내 등장인물정보를 제2메타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컨텐츠 내 상기 특정한 상품에 상기 제1메타정보를 결합하고, 상기 등장인물에 상기 제2메타정보를 결합하여,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클라이언트로 제공된 상기 제2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누적하여 누적히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누적히스토리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관심등장인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컨텐츠를 제공하되, 상기 제공컨텐츠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이 요청된 제2컨텐츠인,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공컨텐츠에 대한 제1조작을 수신하되, 상기 제1조작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1메타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조작에 대응하는 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컨텐츠 중에서 추출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출컨텐츠는 상기 추출된 관심등장인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컨텐츠 탐색단계;
    상기 제1조작에 대응하는 상품의 제1메타정보에 상기 추출컨텐츠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제1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1메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입력된 제2조작을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상품의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을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컨텐츠 탐색단계는,
    상기 제1조작에 대응하는 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컨텐츠 중에서 상기 추출된 관심등장인물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조작에 대응하는 상품과 동일 범주에 속하는 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컨텐츠 중에서 상기 추출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내 제1컨텐츠는,
    상기 서버가 온라인 상에서 직접 탐색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특징정보는,
    상기 상품의 종류, 디자인, 색상, 부착된 조형물의 형상 또는 위치, 무늬 형상 또는 색상, 단추의 형상 또는 부착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타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등장인물의 얼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컨텐츠 내의 특정한 상기 상품을 착용한 등장인물의 얼굴이미지에서 얼굴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이미지 내 얼굴특징정보와 상기 서버 내에 저장된 인물의 얼굴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등장인물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등장인물에 대응하는 등장인물정보로 제2메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타정보가 상품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메타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유저의 쇼핑패턴을 분석하여 제1메타정보 제공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메타정보 제공범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제1메타정보의 범위로서, 상기 상품에 관한 복수의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인,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방식은,
    상기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미니창에 상기 제1메타정보를 표시하는 방식, 상기 제1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팝업창에 표시하는 방식, 상기 상품의 특정위치에서 시작되는 말풍선 내에 표시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02592A 2015-01-08 2015-01-08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58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592A KR101589957B1 (ko) 2015-01-08 2015-01-08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592A KR101589957B1 (ko) 2015-01-08 2015-01-08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957B1 true KR101589957B1 (ko) 2016-02-01

Family

ID=5535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592A KR101589957B1 (ko) 2015-01-08 2015-01-08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418A1 (ko) * 2016-02-24 2017-08-31 (주)핑거플러스 영상 컨텐츠의 정지영상을 이용하여 커머스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0257569B2 (en) 2017-01-1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061A (ko) * 2000-11-29 2002-06-05 강민수 네트워크 사용자의 접속 위치 관련 정보 활용한 사용자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080025958A (ko) * 2006-09-19 2008-03-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KR20120036697A (ko) * 2010-10-08 2012-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구매가 연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1352A (ko) * 2014-02-05 2014-03-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tv 환경에서 tv 콘텐츠에 상품 메타 정보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061A (ko) * 2000-11-29 2002-06-05 강민수 네트워크 사용자의 접속 위치 관련 정보 활용한 사용자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080025958A (ko) * 2006-09-19 2008-03-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KR20120036697A (ko) * 2010-10-08 2012-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구매가 연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1352A (ko) * 2014-02-05 2014-03-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tv 환경에서 tv 콘텐츠에 상품 메타 정보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418A1 (ko) * 2016-02-24 2017-08-31 (주)핑거플러스 영상 컨텐츠의 정지영상을 이용하여 커머스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0257569B2 (en) 2017-01-1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70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target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KR102220273B1 (ko) 상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US20200311126A1 (en) Methods to present search keywords for image-based queries
US9607010B1 (en) Techniques for shape-based search of content
JP6345872B2 (ja) 商品推奨装置、商品推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95920B2 (ja) 検索装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200045668A (ko) 스타일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05082A (ko) 증강 현실을 통한 오프라인 상품의 온라인 판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815404B (zh) 虚拟物品分享方法及装置
JP6114706B2 (ja) 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195227B2 (en) Visual search, discovery and attribu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579172A1 (en) System and methods of searching for a product using hyper-local location techniques
JP2022110057A (ja) ビジュアルサーチのためのデジタル補足関連付けおよび検索
KR20170013369A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672436B1 (en) Interfaces for item search
KR20220039697A (ko) 코디네이션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KR101589957B1 (ko)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TW201523305A (zh) 檢索系統、檢索條件設定裝置、檢索條件設定裝置之控制方法、電腦程式產品、及資訊記憶媒體
WO2019134501A1 (zh) 模拟用户试装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230044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products
KR100730288B1 (ko) 통신망을 이용하여 의상 정보를 제공하는 의상 정보 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의상 정보 제공시스템
KR101701952B1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2002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target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230111817A1 (en) Fingerprinted media triggering virtual reposi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