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958A -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958A
KR20080025958A KR1020060090791A KR20060090791A KR20080025958A KR 20080025958 A KR20080025958 A KR 20080025958A KR 1020060090791 A KR1020060090791 A KR 1020060090791A KR 20060090791 A KR20060090791 A KR 20060090791A KR 20080025958 A KR20080025958 A KR 2008002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image
view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일
안경관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5958A/ko
Publication of KR200800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에게 전송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관한 정보인 제품정보를 전송받는 제품정보생성단계; 제품정보가 영상정보에 결합된 영상인 컨텐츠영상을 생성하여 시청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영상생성단계; 시청자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영상에 포함된 제품을 선택받은 제품선택단계; 선택받은 제품의 판매처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정보제공단계; 및 시청자로부터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판매처정보에 해당하는 소정의 판매처 웹페이지가 연결되어 출력되는 판매처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방송과 인터넷 쇼핑몰이 상호 연계됨으로써 방송 중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대한 실시간 구매가 가능하여 쇼핑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쇼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영상매체, 컨텐츠, 엔터테인먼트, 웹페이지, 쇼핑업체

Description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offering real time shopping service using multimed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제품정보제공단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영상매체 화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영상제공업체 110...컨텐츠업체
120...DB가공업체 130...엔터테인먼트사
140...쇼핑업체 150...인터페이스창
본 발명은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매체에 표시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관한 실시간 쇼핑이 가능한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쇼핑은 일반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쇼핑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인터넷 보급이 활성화되고 쇼핑의 편의성에 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 됨에 따라 상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수요가 점차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온라인 쇼핑을 운용하는 판매자는 인터넷 쇼핑몰이라는 온라인 시장을 구축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물건을 손쉽게 구매 가능토록 하고 쇼핑 시간이 단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발현되는 쇼핑 편리성에 의해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시장 규모가 증대되고 있고 그 종류도 점차로 다양화되고 실정이다.
그런데,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상에 진열된 제품 이외에도, 방송을 통해 접하게 되는 연예인 의상, 소품 등과 같은 방송출현 제품에 대한 구매를 원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상기 방송출현 제품에 관해서는 제품의 표제 또는 상세정보란에 소정 문구(예, '○○드라마 중 ○○○의 착용의상')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해당 제품이 방송출현 제품임을 홍보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연예인의 인지도와 연예인이 실제 착용하고 있는 모습에 대한 광고를 통해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송출현 제품의 홍보는 모든 인터넷 쇼핑몰에서 활용되고 있지도 않으며, 또한, 구매자는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홍보를 보는 시점과 영상정보 속에 등장한 제품을 보는 시점이 일치되지 않아 앞서 기 술된 연예인을 통한 제품홍보가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영상정보에 노출된 제품을 보고 구매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와 같은 방송출현 제품의 구매를 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방송 중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확실히 기억하여 주지한 후 다양한 인터넷 쇼핑몰을 일일이 방문하고 탐색하여야 하므로 해당 제품을 탐색하는 데에만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주지한 상품을 기억해내지 못하고 제품 구매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송매체를 통한 제품구매의 매체로는, 방송을 통한 실시간 구매가 이루어지는 홈쇼핑 등이 있으나, 이러한 홈쇼핑은 양방향성의 멀티적 실시간 구매라기보다는 단방향성 실시간 구매로 한정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쇼핑만을 위한 전문채널을 시청자가 시청하여야만 하며, 시청자가 구매할 수 있는 것은 쇼핑채널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품에만 한정되므로 구매물을 선택함에 있어 제한적이며, 전문채널을 시청해야만 하는 점에서 시청자의 멀티미디어 활용성이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기술산업은 휴대성, 이동성, 실시간 접근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유비퀴터스(Ubiquitous) 환경이 구현되는 산업이 집중 육성되고 있고, 또한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보다는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주축이 되어가고 있는 현재의 환경을 고려하면, 시청자의 멀티미디어 활용분야를 보장함과 동시에 실시간 제품 구매가 가능한 유비퀴터스적인 새로운 서비스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방송 등의 영상에 등장하는 연예인 등을 통한 광고효과와 유비퀴터스적인 실시간 구매제도가 효과적으로 결합된 방법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송과 인터넷 쇼핑몰이 상호 연계되어 방송 중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대한 실시간 구매가 가능한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은, 시청자에게 전송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관한 정보인 제품정보를 전송받는 제품정보생성단계; 상기 제품정보가 영상정보에 결합된 영상인 컨텐츠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영상생성단계;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전송된 컨텐츠영상에 포함된 제품을 선택받은 제품선택단계; 상기 선택받은 제품의 판매처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판매처정보에 해당하는 소정의 판매처 웹페이지가 연결되어 출력되는 판매처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품정보는, 상기 컨텐츠영상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관한 정보,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의 제품명, 제조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판매처정보, 제품의 카탈로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판매처정보는, 상기 제품의 판매처별 가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영상생성단계는, 시청자로부터 제품이 선택되는 경우 소정의 인터페이스창에 상기 제품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품정보에 포함된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판매처 웹페이지를 연결하여 출력하는 컨텐츠를 소정의 컨텐츠업체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컨텐츠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정보생성단계는, 소정의 DB가공업체가 소정의 엔터테인먼트사로부터 상기 영상정보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관한 인적정보 및 스케줄에 관한 계획정보를 제공받는 인물정보제공단계; 상기 소정의 DB가공업체가 상기 인적정보, 상기 계획정보 및 소정의 쇼핑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물품정보 및 판매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정보를 생성하는 제품정보구축단계; 및 상기 DB가공업체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품정보를 전송받는 제품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제품정보제공단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영상매체 화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방송국과 같은 소정 영상제공업체(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지털 텔레비젼(DTV;Digital Television),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휴대형 단말기, 핸드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영상매체에 제공되는 방송은 인터넷TV,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브로(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유무선 방송일 수 있다.
상기 영상제공업체(100)은 디지털방송, 인터넷 방송 등 양방향성 디지털 데이터를 운용하는 주체라면 공중파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업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는 시청자에게 전송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관한 정보인 제품정보를 전송받는다(S200).
즉, 상기 제품정보전송단계(S200)는 상기 영상매체를 통하여 시청자에게 전송될 수 있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미디어매체를 통하여 시청자에게 전달되는 영상정보에 상기 영상정보에 등장하는 다양한 소품, 착용 의류, 악세사리 등에 관한 물품, 제품의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전제로서 제품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물론, 상기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가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쇼핑서비스를 운용하는 주체라면 논리적으로 동일 주체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업체로부터 상기 제품정보를 전송받는 구성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제품정보에 관한 정보를 본 발명의 실시간 쇼핑서비스를 운용하는 주체(서비스 제공 서버, 영상사업체 등)가 자체 제작하여 원 영상정보에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품정보생성단계(S200)는 다음과 같이 인물정보제공단계(S201), 제품정보구축단계(S202) 및 제품정보전송단계(S203)로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소정의 DB가공업체(120)가 소정의 엔터테인먼트사(130)로부터 상기 영상정보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관한 인적정보 및 스케줄에 관한 계획정보를 제공받 는다(S201).
여기서, 상기 엔터테인먼트사(130)는 상기 등장인물 즉, 연예인을 포함한 방송인이 소속된 회사로서, 각 등장인물에 관한 상기 인적정보 및 계획정보가 관리 및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김하나"라는 가수가 소속된 엔터테인먼트사인 "A"사로부터 김하나의 방송출연 스케줄 정보와 스케줄에 따른 시간대별 김하나의 출연시 착용하는 의류, 소품, 악세사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방송에 출연하는 등장인물의 사전 정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A사는 이러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제공에 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와 가수 김하나의 인물에 대한 광고효과 또한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물정보제공단계(S201) 이후에는, 상기 소정의 DB가공업체(120)가 상기 인적정보, 상기 계획정보 및 소정의 쇼핑업체(140)로부터 제공받은 물품정보 및 판매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정보를 생성하여 제품정보를 구축하게 된다(S202).
즉, 상기 DB가공업체(120)는 엔터테인먼트사(130)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제품 등에 관한 정보를 쇼핑업체(140)에 문의하여 상기 제품에 관한 물품정보 또는 판매처 정보 등을 전송받아 최종적으로 영상정보에 포함된 제품정보를 생성, 구축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품에 관한 물품정보와 판매처 정보는 반드시 쇼핑업체에 문의하여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DB 가공업체가 직접 시장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쇼핑업체(140)는 온라인 판매처를 운영하는 업체이고, 상기 쇼핑업체(14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판매처정보에는 상기 온라인 판매처에 관한 판매처 웹페이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제품정보는 등장인물에 관한 정보,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의 제품명, 제조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판매처정보, 제품의 카탈로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에는 의상 이외에도 모자, 신발, 장갑, 가방, 액세서리 등의 소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품정보가 구축된 이후,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는 상기 DB가공업체(120)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품정보를 전송받는다(S203).
상기 제품정보생성단계(S200) 이후에는, 상기 제품정보가 영상정보에 결합된 영상인 컨텐츠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영상매체를 통해 상기 시청자에게 전송한다(S210).
여기서, 상기 제품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영상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관한 정보,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의 제품명, 제조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판매처정보, 제품의 카탈로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판매처정보는 추후 가격 비교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품 의 판매처별 가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컨텐츠영상생성단계(S210)는, 시청자로부터 제품이 선택되는 경우 소정의 인터페이스창(150)에 상기 제품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품정보에 포함된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판매처 웹페이지를 연결하여 출력하는 컨텐츠를 소정의 컨텐츠업체(11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컨텐츠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문성의 강화와 수익사업의 창출 등을 위하여 상기 소정의 DB가공업체(120)로부터 전송받은 제품정보를 소정의 컨텐츠업체(110)가 전송받아, 영상정보에 믹싱되기 위한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컨텐츠를 가공, 생성토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텐츠업체(1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컨텐츠에 의하면, 도 3과 같이 등장인물이 착용한 점퍼(10) 제품이 시청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점퍼(10)에 대한 제품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창(15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업체(110)는 상기 인터페이스창(150)에 표시된 제품정보 중 판매처 정보에 해당되는 'http://puma.co.kr' 또는 'http://nawacloth.co.kr'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판매처 웹페이지를 연결하여 출력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연결된 웹페이지를 통한 해당 제품의 실시간 쇼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영상생성단계(S210)에서 상기 제품정보가 영상정보에 결합된 영상인 컨텐츠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전송하게 되면,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전송된 컨텐츠영상에 포함된 제품을 선택받는다(S220).
이러한 상기 제품선택단계(S220)는 시청자로부터 상기 영상매체의 소정 화면을 통해 나타나는 컨텐츠영상 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받는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품의 선택은 터치스크린, 상기 영상매체와 연결된 마우스, 영상매체와 통신가능한 무선 단말기 등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양방성이 구현된 다양한 실시 응용례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품선택단계(S200) 이후에는, 상기 선택받은 제품의 판매처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한다(S230).
이러한 상기 제품정보제공단계(S230)는, 도 3과 같이 소정의 인터페이스창(150)을 통하여 상기 선택받은 제품에 대한 판매처 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된 제품정보 중 상기 온라인 판매처정보는, 상기 선택받은 제품의 판매처별 가격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원하는 제품에 대한 판매처별 가격 비교가 한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쇼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선택받은 제품에 대한 제품정보량이 방대하여 출력되는 제품정보가 상기 영상매체의 지정된 화면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창(150)은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해 표시화면의 이동이 가능한 스크롤바를 구비한 축소된 창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품정보제공단계(S230) 이후,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판매 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판매처정보에 해당하는 소정의 판매처 웹페이지가 연결되어 출력된다(S240).
물론, 이러한 판매처정보출력단계(S240)에서 상기 판매처정보의 선택 또한 상기 제품선택단계(S220)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기 영상매체와 연결된 마우스, 영상매체와 통신가능한 무선 단말기 등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기 인터페이스창(150)에 표시된 판매처정보( 'http://puma.co.kr' 또는 'http://nawacloth.co.kr')가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에 의해 상기 시청자로부터 선택되는 즉시, 상기 판매처정보에 해당하는 판매처 웹페이지로 이동되면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대한 실시간 구매가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매체와 상기 제품의 판매처 웹페이지 간이 상호 연계되도록 하여 상기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 중 원하는 제품에 대한 즉각적인 쇼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쇼핑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쇼핑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하여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는 상기 엔터테인먼트사(130)에서 제공되는 등장인물의 인적정보 및 계획정보와, 상기 쇼핑업체(140)에서 제공되는 물품정보를 통하여 구축된 제품정보를 상기 DB가공업체(120)로부터 전송받는다(S200).
다음으로, 영상매체에 방영될 영상정보에 상기 전송된 제품정보를 결합하여 컨텐츠영상을 생성한 후 영상매체에 전송하고(S210), 시청자로부터 상기 영상매체에서 방영되는 컨텐츠영상에 포함된 제품을 선택받는 경우(S220) 상기 제품의 판매처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하고(S230), 시청자로부터 상기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판매처의 웹페이지가 연결 및 출력될 수 있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엔터테인먼트사(130)와 쇼핑업체(140)에서 제공받은 정보에 의해 구축된 제품정보를 DB가공업체(12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제품정보를 영상정보에 결합한 컨텐츠영상을 생성하여, 컨텐츠영상에 포함된 제품의 선택만으로 판매처 웹페이지가 즉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방송 중에 나타나는 제품에 대한 실시간 구매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기업체 간의 비용 청구 또는 지불을 통하여 기업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는 상기 컨텐츠영상 및 제품정보를 제공받는 대가로 상기 컨텐츠업체(110) 및 DB가공업체(120)에 소정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업체(110)와 DB가공업체(120)는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로부터 소정 비용을 지급받음으로써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DB가공업체(120)는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로부터 상기 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엔터테인먼트사(130) 등에서 제공된 정보를 통하여 제품정보를 구축하게 되므로, 상기 엔터테인먼트사(130)의 경우 이러한 정보 제공의 대가로 수익이 창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는 상기 영상매체를 이용하는 시청자로부터 시청료 및 쇼핑서비스의 대가로 소정 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시청자는 추가적인 비용을 부담하여 양질의 쇼핑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비용창출의 이익모델에서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물품에 대한 광고를 할 수 있는 쇼핑몰에 직접적인 이익이 창출되므로, 상기 영상제공업체(100)는 쇼핑몰로부터 광고이익을 회수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익을 소비자에게 돌려 본 발명에 의한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가 구현된 서비스를 추가 비용없이 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앞서 기술된 행위주체들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개별적인 행위주체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수행주체가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행위주체가 논리적으로 각각의 단계를 구분지어 수행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영상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관한 실시간 쇼핑이 가능하도 록, 상기 영상매체와 상기 제품의 판매처 웹페이지 간이 상호 연계되도록 하여 상기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 중 원하는 제품에 대한 즉각적인 쇼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쇼핑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쇼핑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홍보, 판매경로를 계층화시켜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쇼핑서비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행위주체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각 주체의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정보의 이용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시청자에게 전송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제품에 관한 정보인 제품정보를 전송받는 제품정보생성단계;
    상기 제품정보가 영상정보에 결합된 영상인 컨텐츠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영상생성단계;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전송된 컨텐츠영상에 포함된 제품을 선택받은 제품선택단계;
    상기 선택받은 제품의 판매처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판매처정보에 해당하는 소정의 판매처 웹페이지가 연결되어 출력되는 판매처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는,
    상기 컨텐츠영상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관한 정보,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의 제품명, 제조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판매처정보, 제품의 카탈로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판매처정보는,
    상기 제품의 판매처별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영상생성단계는,
    시청자로부터 제품이 선택되는 경우 소정의 인터페이스창에 상기 제품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품정보에 포함된 판매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판매처 웹페이지를 연결하여 출력하는 컨텐츠를 소정의 컨텐츠업체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컨텐츠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생성단계는,
    소정의 DB가공업체가 소정의 엔터테인먼트사로부터 상기 영상정보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관한 인적정보 및 스케줄에 관한 계획정보를 제공받는 인물정보제공단계;
    상기 소정의 DB가공업체가 상기 인적정보, 상기 계획정보 및 소정의 쇼핑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물품정보 및 판매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장인물이 착용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정보를 생성하는 제품정보구축단계; 및
    상기 DB가공업체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품정보를 전송받는 제품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60090791A 2006-09-19 2006-09-19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KR20080025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791A KR20080025958A (ko) 2006-09-19 2006-09-19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791A KR20080025958A (ko) 2006-09-19 2006-09-19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958A true KR20080025958A (ko) 2008-03-24

Family

ID=3941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791A KR20080025958A (ko) 2006-09-19 2006-09-19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9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08B1 (ko) * 2008-10-27 201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589957B1 (ko) * 2015-01-08 2016-02-01 박세련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US10257569B2 (en) 2017-01-1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08B1 (ko) * 2008-10-27 201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589957B1 (ko) * 2015-01-08 2016-02-01 박세련 컨텐츠가 연계된 상거래 방법 및 프로그램
US10257569B2 (en) 2017-01-1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362B2 (en) Virtual group shopping mall
KR101803138B1 (ko) 콘텐츠 배달 시스템에서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거래들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AU769724B2 (en) Printed medium activated interactive communicat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including advertising
US9532110B2 (en) User commentary systems and methods
US7890380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sales of products using a trace of an object
US20080052750A1 (en) Direct-point on-demand information exchanges
US200600205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on products featured in entertainment productions
US20110321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 of Cable Television Devices and Other Devices
KR101753160B1 (ko) 인터넷 홈쇼핑 시스템 장치
JP2023113953A (ja) データ連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7636B1 (ko) 개인화 홈쇼핑 프로그램 제공 장치
US20060059053A1 (en) Method to identify, discover, and/or sell products via a web site on the internet
KR20080025958A (ko)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57184A (ko) 웹드라마 제작을 위한 콘텐츠 및 소품의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9196A (ko) Ip-tv에서의 지역 광고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30274337A1 (en) Method for supporting online purchase of product displayed at offline location, and management server used therefor
CN116433310A (zh) 商品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11659A (ko) 실시간으로 상품이미지를 데이터화 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캡쳐 이미지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92002B (zh) 一种用于共享设备的促销方法和系统
KR100928354B1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8147149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JP2006217216A (ja) 画像コードの使用による商品の販売促進方法
US20240147021A1 (en) Media Content Embedded Code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KR20090098374A (ko)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 그 시스템 및 서버
KR20040101739A (ko) 핫넘버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 상품 판매 광고 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