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354B1 -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354B1
KR100928354B1 KR1020090029102A KR20090029102A KR100928354B1 KR 100928354 B1 KR100928354 B1 KR 100928354B1 KR 1020090029102 A KR1020090029102 A KR 1020090029102A KR 20090029102 A KR20090029102 A KR 20090029102A KR 100928354 B1 KR100928354 B1 KR 10092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홍 filed Critical 김진홍
Priority to KR102009002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54B1/ko
Priority to PCT/KR2010/002038 priority patent/WO201011432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38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where lower stations, e.g. receivers, interact with th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22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pe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이와 같이 제공된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요금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과금 시스템에 통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들에 대한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과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양방향 디지털 방송, 정보형 광고, 양방향 서비스

Description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ASSOCIATED WITH CONTENTS ON BIDIRECTION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상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상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이란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방송 콘텐츠(또는 프로그램)를 부호화 및 압축하여 내보내는 텔레비전 방송을 말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하나의 전파 상에 하나의 영상밖에 전송할 수 없었고, 음성은 다른 전파로 전송해야 했으나,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전파 상에 복수의 영상이나 음성 등을 변조 및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방송 콘텐츠를 압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의 1채널에 할당되었던 주파수대역에 약 4∼8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는 압축 기술과 여러 신호를 변조하는 다중변조기술을 사 용하므로,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컴퓨터와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방송 콘텐츠의 양방향 전송, 재생,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하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디지털화된 다른 통신 서비스와 접속하여 연계 사용이 용이하므로, 디지털 방송 콘텐츠와 인터넷 상의 콘텐츠 등을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중에 각종 생활 정보를 볼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아울러, 디지털 방송 TV 서비스에 리턴 채널을 연결하여 TV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 및 전자 상거래 등 다양한 양방향 또는 대화형(Interactive) 서비스의 이용도 가능하다. 양방향 서비스 또는 대화형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 콘텐츠 이외에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나 서비스, 예를 들어, 생활 정보, 인터넷 접속, 전자상거래, 양방향 엔터테인먼트 등을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로 규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는, 기존 방송사에서 미리 표준화된 규격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가 결합된 콘텐츠를 제작 및 방송하고, 서비스 운영사(또는 플랫폼 사업자)는 방송사에서 제작한 콘텐츠가 전송되는 네트워크의 운영을 담당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시청자는, 서비스 운영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하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 변경, 추가, 검색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다. 즉, 기존의 양방향 서비스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일부 전형화된 서비스(예를 들어, 메뉴를 통해 선택하지만, 방송 콘텐츠와는 직접 관련 없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불과하여,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의 시청 중에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없었다. 또 한, 기존의 디지털 방송 및 양방향 서비스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가 엔터테인먼트, 광고 및 정보 등의 부가 콘텐츠와 함께 동일 매체를 통해서 전달되지만, 이들 콘텐츠들 간의 관련성이 없이 각각 별개의 콘텐츠로서 제공되어,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의 방송 콘텐츠와 엔터테인먼트, 광고, 정보 간의 관련성을 적극 활용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정보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이와 같이 제공된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요금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과금 시스템에 통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유사 상품에 대한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과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양방향 서비스의 연계는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웹페이지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방향 서비스는 메일, 채팅, 영상 통화, 경매, 입찰,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를 제공하는 정보 광고 시스템, 정보형 광고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에이전트,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 시스템, 및 요청된 양방향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형 광고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유사 상품에 대한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로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웹페이지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회원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 인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서비스는 메일, 채팅, 영상 통화, 경매, 입찰,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제공된다. 시청자는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들을 보다 자유롭게 선택, 변경, 추가, 검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운영사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와 양방향 서비스 간의 관련성을 활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서비스 이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디지털 방송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제작 및 제공 되는 방송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방송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양방향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은,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 xPG(x Program Guide) 시스템(130) 및 통합 관리 시스템(14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콘텐츠(또는 프로그램) 및/또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의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240)과 정보 광고 시스템(230)으로부터 각각 방송 콘텐츠 및/또는 광고 콘텐츠("정보형 광고"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형 광고"는 정보 또는 광고를 포함함)를 제공받을 수 있다.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의 화면 구성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콘텐츠의 화면 구성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화면 구성을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이 송출하는 콘텐츠의 화면 구성 상에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와 연계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화면 구성 상의 아이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 의 사용자는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화면 구성 상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 또는 그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사전에 설정된 콘텐츠 제공자(즉,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의 운영자)의 홈 페이지의 URL 정보 또는 IP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방송 콘텐츠 및/또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할 때 함께 수신되는 IP 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IP 정보가 상호 부합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300)에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이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의 종류 및 내용은, xPG 시스템(130)이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또는 메뉴)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이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 및/또는 광고 콘텐츠의 화면 구성 상에 제공되는 별도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화면 구성 상의 아이콘)를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의 데이터 에이전트(250)로부터 메일, 채팅, 경매, 쇼핑 등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양방향 서비스 시스 템(12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양방향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방향 서비스의 종류, 내용,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xPG(x Program Guide) 시스템(130)은 방송 콘텐츠, 광고 콘텐츠,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안내 정보(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 등의 종류 및 내용) 등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xPG 시스템(13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의 데이터 에이전트(250)로부터 방송 콘텐츠, 광고 콘텐츠, 양방향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xPG 시스템(13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츠, 광고 콘텐츠,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안내 정보, 양방향 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 등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xPG 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안내 정보/메뉴 등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방송 콘텐츠, 광고 콘텐츠 및 양방향 서비스를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시스템(140)은 사용자 인증, 서비스 이용료의 과금, 방송 콘텐츠 등의 관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시스템(140)은 양방향 서비스를 접근하려고 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에 대해 과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 및 그에 따른 구매 비용 결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합 관리 시스템(140)은 사용자의 상품 결제 대금을 양방향 디지털 방송의 이용료, 기타 유료 서비스의 이용료 등과 통합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 관리되는 서비스 비용들에 대해서는 통합된 형태의 청구서가 발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화면 구성 상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으로써, 방송 콘텐츠 또는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방송 콘텐츠 등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검색 및 이용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인터넷 연결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통합 관리 시스템(140)은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추가 정보 입력을 할 필요 없이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자동으로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시스템(140)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인증 관련 정보는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의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서 관리되는 회원 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통합 관리 시스템(140)과 회원 관리 시스템(220)은 인증 관련 정보 및 회원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상호 송수신하거나(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 그러한 정보를 데이터 에이전트(250) 등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시스템(140)은 사용자가 이용 중인 방송 콘텐츠 또는 유료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료를 지불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유료 양방향 서비스 등을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은,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디지털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될 방송 콘텐츠, 광고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은,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 회원 관리 시스템(220), 정보 광고 시스템(230),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240) 및 데이터 에이전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은 사용자 단말(300)에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메일 기능을 이용하고, 채팅(영상 채팅 및 영상 통화 포함)을 하며, 인터넷 쇼핑을 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입찰 및 경매 절차에 참여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은 콘텐츠 제공자(즉,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정보를 회원 관리 시스템(22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사용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웹페이지 등(예컨대, 광고주 운영 시스템(410))에 연결하여 회원이 제공하는 개인 정보, 광고 정보 등의 추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은 추가로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추가 정보를 활용하여 쇼핑 등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 한다.
회원 관리 시스템(220)은 콘텐츠 제공자의 양방향 서비스(예를 들어, 메일, 쇼핑, 경매, 입찰, 채팅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원 관리 시스템(220)은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에서 제공하는 메일, 경매, 입찰, 쇼핑, 채팅 서비스 등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패스 워드, 전자 메일 주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원 관리 시스템(220)은 정보 광고 시스템(230)이 제공하는 광고 콘텐츠의 광고주(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의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제조 업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회원 관리 시스템(220)은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이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의 대상 제품, 쇼핑 서비스에 있어서 경매 방식 쇼핑의 대상 제품, 일반 쇼핑의 대상이 되는 제품(또는 서비스)의 판매자, 제조자, 제공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 시스템(220)은 회원의 개인 정보 외에도 그 회원이 운영하는 홈 페이지 관련 정보(URL 및 IP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홈 페이지 관련 정보 또한 관리할 수 있다.
정보 광고 시스템(230)은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이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될 광고 콘텐츠("정보형 광고"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형 광고"는 정보 또는 광고를 포함함)를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보 광고 시스템(230)은 광고 콘텐츠 및 광고가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예컨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정보 광고 시스템(230)으로부터 제공된 화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광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광고 시스템(230)은 "정보형 광고"를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형 광고의 제공은, 특정 제품에 대한 광고뿐만이 아니라 그와 관련된 제품(예컨대, 우유제품을 광고하는 경우, 그 업체의 유사 제품, 다른 제조사의 동종 제품 등)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의 제공은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일련의 정보(예컨대,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단체/개인의 연관 기사, 관련 콘텐츠 및 웹 정보 등)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240)은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이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를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240)이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으로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해서는, 사전에 관련 정보(예컨대, 방송 콘텐츠의 제목, 주제 및 내용 등)가 광고주 등(예컨대, 기업, 단체, 개인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은 광고주 등은 자신이 광고하거나 정보를 제공하고 싶은 내용(제품 또는 서비스 정보)이 방송 콘텐츠와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방송 콘텐츠와 함께 방송될 광고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주 등이 광고하고 싶은 내용과 관련된 방송 콘텐츠가 제작되도록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의 제작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는, 엔터테인먼트(방송 콘텐츠의 내용과 관련됨), 광고, 정보의 관련성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주 등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광고 경매 서비스 등을 통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240)과 정보 광고 시스템(230)은, 상호 관련성이 있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양방향 서비스(예컨대, 메일, 채팅, 영상 채팅, 영상 통화, 경매, 입찰, 쇼핑 등)의 제공을 구현하는 데이터의 생성, 가공, 송신, 수신, 처리,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의 제공을 구현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 서비스의 제공을 구현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 및 xPG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 및 xPG 시스템(130)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 및 xPG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 및 회원 관리 시스템(2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할 대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콘텐츠 제 공자 시스템(200)(즉, 양방향 서비스 제공자)과 사용자 단말(300)(즉, 양방향 서비스 사용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에이전트(250)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 및/또는 회원 관리 시스템(220)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개인정보, 서비스 이용 성향,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 서비스별 이용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별 서비스 이용 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별 서비스 이용 특성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서로 상이한 정보 및/또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영화에 관한 방송 콘텐츠나 관련 양방향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새로 출시된 영화에 관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 관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연령대를 고려하여 자동차의 모델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이 제작 및 제공하여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양방향 디지털 콘텐츠의 시청이 가능한 임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이 도시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이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텔레비전(310), 셋톱박스(Set Top Box: STB)(3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330)를 포함하는 IP TV 단말기일 수 있다. UI(330)는 리모콘, PC, 휴대폰, 전자북, 전자사전, 기타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의 한 예로써 STB를 포함하는 IP TV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300)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등 양방향 디지털 방송 및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임의의 단말(예컨대, PC, 휴대폰, 전자북, 전자사전, 기타 모바일 단말 등)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는 시스템들 간의 연결 네트워크는 유/무선 및 휴대 인터넷, 케이블 TV 네트워크, 위성 통신,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등 디지털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과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을 별개의 사업자가 운영하는 별개의 시스템인 것과 같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사업을 동시에 운영하는 하나의 사업자 시스템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은 메일 관리 시스템(212), 채팅 관리 시스템(214), 경매 관리 시스템(216) 및 쇼핑 관리 시스템(218)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일 관리 시스템(212)은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 일 관리 시스템(212)은 회원 가입시 등록한 기존의 메일 계정(예컨대, 특정 포털 사이트의 전자 메일 계정 등) 및 회원 가입시 새롭게 부여한 메일 계정(예컨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부여한 새로운 전자 메일 계정) 중 사용자가 선택한 계정을 이용하여 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일 관리 시스템(212)은 메일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컴퓨터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는 TV(310) 또는 UI(330)를 통해 xPG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메일 서비스 기능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통해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일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방법에는, 예컨대 화면상에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등의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또는 사용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메뉴의 제공은 TV(310) 화면 구성의 일부로 제공되며, 화면 구성의 표시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서 관리하는 콘텐츠 제공자의 웹페이지 또는 회원 가입시 함께 등록된 전자 메일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TV(310) 화면 또는 UI(330) 단말에서 전자 메일의 수신 및 발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메일의 수신 및 발신 시에, 전자 메일에 스틸 사진, 동영상, 오디오 등의 시청각 파일을 포함하는 다양한 파일을 첨부, 확인 및 시청할 수 있다.
채팅 관리 시스템(214)은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채팅(영상 채팅 및 영상 통화 포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채팅 관리 시스템(214)은 채팅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컴퓨터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는 TV(310) 또는 UI(330)를 통해 xPG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통해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팅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화면상에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등의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또는 사용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메뉴의 제공은 TV(310) 화면 구성의 일부로 제공되며, 화면 구성의 표시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여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스스로 해당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채팅에의 참여 요청 메시지 등을 수신함으로써 해당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채팅 서비스는 한 회원이 다른 회원을 지정 또는 사전 등록하여 1:N의 형태로 채팅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기업 회원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고객 집단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 을 통한 가상 공간에서의 고객 센터를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채팅 서비스는 영상 채팅 및 영상 통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 카메라와 같은 화상 입력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화상을 입력 받아 송신할 수 있으며,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간의 대화는 문자 입력을 통한 채팅일 수도 있으며,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음성을 송수신하면서 통화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매 관리 시스템(216)은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의 판매 서비스(경매 또는 입찰을 통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은,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또는 개인),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정보형 광고를 포함)를 통해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의 정보 제공을 희망하는 업체(또는 개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경매 관리 시스템(216)은,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의 판매를 희망하는 업체들이 경매 또는 입찰을 통한 판매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의 판매 서비스에 가입을 희망하는 업체들은, 경매 관리 시스템(216)이 제공하는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하여, 판매 영업 대행 계약을 체결하고, 경매 또는 입찰을 통한 판매 서비스의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매 관리 시스템(216)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된 업체들 은,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과 관련된 정보를 경매 관리 시스템(216)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과 관련된 정보에는, 경매 또는 입찰에 대한 다양한 조건(시간대, 방송 콘텐츠, 분량, 시급, 기간, 지면, 활자 등)과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원/비회원 및 광고(제작/수탁)사들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웹페이지로 접속함으로써, 경매 관리 시스템(216)이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경쟁 가격을 상호 공개하는 경매뿐만이 아니라, 경쟁 가격을 상호 공개하지 않는 입찰을 포함함)에 참여할 수 있다. 경매 관리 시스템(216)은 경매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컴퓨터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TV(310) 또는 UI(330)를 통해 xPG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통해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매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화면상에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등의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또는 사용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메뉴의 제공은 TV(310) 화면 구성의 일부로 제공되며, 화면 구성의 표시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경매 관리 시스템(216)이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는 특정 회원의 사용자 단말(300)들만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참가 정보를 알리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경매 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경매에 대한 추가 정보를 희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경매 의뢰 회원(사)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추가 정보를 취득하고, 그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Q&A 등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직접 경매 또는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경매 현황 및 결과는 의뢰 광고주 및 회원(사)에게 실시간 조회 및 통보가 가능하며, 경매 결과 결재는 일정 금액을 기준으로 통합 관리 시스템(140)에서 관리되는 요금 납부 청구서에 통합하여 과금·청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경매 관리 시스템(216)은 경쟁 가격이 상호 공개되는 경매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경쟁 가격이 상호 공개되지 않는 입찰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쇼핑 관리 시스템(218)은 회원 관리 시스템(220)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관리 시스템(218)은 상품 판매를 희망하는 회원으로부터 판매 영업 대행 계약을 체결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 쇼핑 관리 시스템(218)은 쇼핑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컴퓨터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TV(310) 또는 UI(330)를 통해 xPG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통해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핑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TV(3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별도의 접속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화면상에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등의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또는 사용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메뉴의 제공은 TV(310) 화면 구성의 일부로 제공되며, 화면 구성의 표시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희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판매 영업 대행 의뢰 회원(사)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추가 정보를 취득하고, 그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Q&A 등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TV(310) 화면상에 제공되는 사용 메뉴를 통해 상품 구매도 가능하며, 회원사의 쇼핑몰 웹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 후기와 같은 의견을 회원사의 쇼핑몰 웹페이지 등에 등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쇼핑 후 상품 구매 대금은 통합 관리 시스템(140)에서 관리되는 요금 납부 청구서에 통합하여 과금·청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형 광고가 제공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송출 시스템(110)은 방송 콘텐츠 및 광고의 화면 구성을 관리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및 광고의 화면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 일부에 정보형 광고가 제공되고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정보형 광고는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a는 방송 콘텐츠(310a)의 하단에 복수의 광고(320a)가 제공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 콘텐츠(310a)의 방영 중에 제공되는 광고(320a)는 방송 콘텐츠(310a)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광고(320a)는 상호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예컨대, 방송 콘텐츠에 등장하는 소품과 관련된 복수의 제품 광고). 도 3b는 방송 콘텐츠(310b)의 하단에 정보형 광고(320b)가 제공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310b)는 골프 경기 중계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형 광고(320b)는 골프 경기에 등장하는 선수와 관련하여 각 선수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320b)는 각 선수의 사진을 포함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각 선수의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320c)는 방송 콘텐츠(310c)의 화면상 일부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예컨대, 사용자 단말(300)의 TV(310) 화면)을 분할하여, 방송 콘텐츠(310d)와 광고(320d)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410a, 410b) 화면상에 광고 아이콘(420a, 420b)이 제공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방송 콘텐츠(410a, 410b) 시청 중에 화면 의 일부에 제공되는 광고 아이콘(420a, 420b)을 선택할 수 있으며, 광고 아이콘(420a, 420b)을 선택함으로써 관련 정보형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형 광고의 제공은 관련된 정보형 광고의 내용이 텍스트로 제공되는 형태, 관련 인터넷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 방영 중에 제공되는 정보형 광고는 방송 콘텐츠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방송 콘텐츠의 내용 중에 등장하는 상품에 관한 광고, 방송 콘텐츠의 내용과 연관된 기업, 단체, 개인 등에 대한 추가 정보, 방송 콘텐츠의 내용 중에 등장하는 기업, 단체, 개인의 연관 있는 상품을 비교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형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 콘텐츠 시청 중에 방송 콘텐츠의 내용과 관련되어 있는 상품이나 기업, 단체, 개인 등에 대한 추가 정보에 대해서 보다 손쉽게 검색이 가능하며, 상품 구매, Q&A, 관련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 수집, 채팅, 메일 발송 및 확인, 영상 통화 등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 방영 중에 제공되는 정보형 광고는 회원 중 일부에게만 제공될 수 있으며,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에 대한 일부 내용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 및 서비스 이용 형태에 대하여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 별로 상이한 내용의 정보형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일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복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나이, 성별 등)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별로 제공하는 정보형 광고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젊은 여성인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에 등장하는 여자 배우가 사용하고 있는 액세서리에 대한 정보형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중년 남성인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에 등장하는 남자 배우가 타고 있는 자동차에 대한 정보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형 광고의 제공은 관련된 정보 또는 광고의 내용이 있는 관련 인터넷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DAL(Dedicated Advertisement Location)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적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510)에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 및/또는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유사 상품에 대한 비교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등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410a, 410b) 화면상에 표시되는 광고 아이콘(420a, 420b)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계(530)에서,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요청 데이터를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사용자 요청 데이터가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에 전송되면,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의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120))은 사용자 요청 데이터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관련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의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관련 웹페이지의 인터넷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웹페이지로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관련 웹페이지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 또는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의 회원 관리 시스템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는 메일 서비스, 채팅 서비스(영상 채팅 및 영상 통화 포함), 경매 서비스(입찰 포함), 쇼핑 서비스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의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의 데이터 에 이전트(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에이전트(250))에 전송한다. 데이터 에이전트는 사용자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 운영 시스템(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운영 시스템(210))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양방향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서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의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형 광고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여 (예컨대, 경매 서비스 또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를 하는 경우) 대금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540)에서 결제 대금은 플랫폼 사업자의 과금 시스템에 통합되어 청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제 대금은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의 통합 관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리 시스템(140))에서 통합 관리되어 일괄 청구될 수 있으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과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되는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에 따른 대금을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일괄 관리하고 청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보형 광고, 정보, 광고 등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특정 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는 문자 채팅, 영상 채팅, 영상 통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경매 서비스는 경매를 통한 판매 대행 서비스, 경매에의 참가를 통한 상품(제품, 서비스, 기술, 광고 등을 포함함) 구매 서비스를 포함하며, 경쟁 가격을 공개하지 않는 입찰 방식의 서비스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300)은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호 상이한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은 사용자 단말의 유형에 따라 각 단말에 적합하게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의 화면 크기에 따라 서비스 제공 메뉴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기능적 컴포넌트들이 기술되었으나, 실시예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시스템, 서브시스템,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서브컴포넌트에서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코드 세그먼트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캐리어 웨이브로 구체화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또는 캐리어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의해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 일부에 정보형 광고가 제공되고 있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 화면상에 광고 아이콘이 제공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
110: 콘텐츠 송출 시스템
120: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130: xPG 시스템
140: 통합 관리 시스템
200: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
210: 서비스 운영 시스템
220: 회원 관리 시스템
230: 정보 광고 시스템
240: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
250: 데이터 에이전트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광고 콘텐츠가 결합된 방송 콘텐츠를 관리 및 전송하는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에서,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도록 화면 구성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면 구성을 갖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 데이터를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요금은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의 과금 시스템에 통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유사 상품에 대한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과 연계되어 있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웹페이지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은 사전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는 메일, 채팅, 영상 통화, 경매, 입찰,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7.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제공 시스템,
    상기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는 화면 구성에 관한 정보와,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되며 상기 방송 콘텐츠와 결합 가능한 정보형 광고를 제공하는 정보 광고 시스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에이전트,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의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유사 상품에 대한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있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관련 웹페이지로 연결시키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웹페이지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상기 회원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 절차가 수행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는 메일, 채팅, 영상 통화, 경매, 입찰,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방송 콘텐츠,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광고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
    상기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도록 화면 구성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 및
    상기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 데이터를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은, 상기 제공된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요금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광고,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기업,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유사 상품에 대한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과 연계되어 있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연계된 양방향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사업자 시스템은, 상기 웹페이지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사전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는 메일, 채팅, 영상 통화, 경매, 입찰,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형 광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정지되거나 이동하는 아이콘, 텍스트, 동영상, 간헐적인 깜박거림, 그림, 캐릭터, 로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90029102A 2009-04-03 2009-04-03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02A KR100928354B1 (ko) 2009-04-03 2009-04-03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0/002038 WO2010114329A2 (ko) 2009-04-03 2010-04-02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02A KR100928354B1 (ko) 2009-04-03 2009-04-03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354B1 true KR100928354B1 (ko) 2009-11-23

Family

ID=4160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02A KR100928354B1 (ko) 2009-04-03 2009-04-03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8354B1 (ko)
WO (1) WO201011432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971B1 (ko) * 2010-01-07 2017-08-14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미디어 스트림에서 식별된 항목의 제안
KR101968847B1 (ko) 2017-12-05 2019-04-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방송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294A (ko) * 2006-01-26 2006-03-09 강학석 데이터방송 등을 수신하는 보조화면이 추가된 두화면 디지털 디스플레이어
KR20070019921A (ko) * 2005-08-13 2007-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70043095A (ko) * 2005-10-20 2007-04-25 엠코르셋 주식회사 양방향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0579A (ko) * 2007-02-27 2009-01-08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의 실시간 문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6260A1 (en) * 2005-06-07 2007-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921A (ko) * 2005-08-13 2007-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70043095A (ko) * 2005-10-20 2007-04-25 엠코르셋 주식회사 양방향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2294A (ko) * 2006-01-26 2006-03-09 강학석 데이터방송 등을 수신하는 보조화면이 추가된 두화면 디지털 디스플레이어
KR20090000579A (ko) * 2007-02-27 2009-01-08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의 실시간 문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971B1 (ko) * 2010-01-07 2017-08-14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미디어 스트림에서 식별된 항목의 제안
US10219015B2 (en) 2010-01-07 2019-02-26 Amazon Technologies, Inc. Offering items identified in a media stream
KR101968847B1 (ko) 2017-12-05 2019-04-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방송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4329A3 (ko) 2010-12-23
WO2010114329A2 (ko)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6314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application across smartphone platforms to enable consumer connectivity and control of media
US7725362B2 (en) Virtual group shopping mall
US8386304B2 (en) Methods for interactive television and mobile device
US20110321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 of Cable Television Devices and Other Devices
US20090254633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tributing profile-based advertisement content and user identification-tagged media content
KR102040473B1 (ko) 인터넷 방송에 대한 광고 후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100277A (ko) 통신망을 통한 위치 기반의 통합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KR20190130182A (ko)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KR101753160B1 (ko) 인터넷 홈쇼핑 시스템 장치
KR10170815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JP2012164297A (ja) 広告配信システム
JP2012073948A (ja) 実演販売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928354B1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98630A (ko)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작성 방법
JP4182622B2 (ja) 双方向型放送配信システム及び双方向型放送配信方法
KR100876001B1 (ko) 정보 제공자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양방향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30031987A (ko)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조사를 제공하는 설문 조사 서버 및 방법
KR20090109196A (ko) Ip-tv에서의 지역 광고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7302820B2 (ja) ポイントシステム
KR20050012360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JP2004070602A (ja) デジタル放送を用いたポイント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90109153A (ko) 아이피 티브이기반 상세 지역별 정보와 광고 제공을 통한주문, 결제 및 배송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US20130030911A1 (en) Public interactive personalized radio network
KR20060131400A (ko)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20080025958A (ko) 영상매체를 이용한 실시간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