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182A -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182A
KR20190130182A KR1020180043728A KR20180043728A KR20190130182A KR 20190130182 A KR20190130182 A KR 20190130182A KR 1020180043728 A KR1020180043728 A KR 1020180043728A KR 20180043728 A KR20180043728 A KR 20180043728A KR 20190130182 A KR20190130182 A KR 2019013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ersonal
producer
vide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고생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고생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고생각
Priority to KR102018004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182A/ko
Publication of KR2019013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은 상품판매자(20)가 자신의 시스템에 제한없이 등록할 수 있고, 개인영상제작자(10)는 등록된 상품을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하여 자발적인 판매를 시청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30)는 보다 유익한 판매 정보에 따라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품판매자(20) 입장에서는 상품구매 이전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판매비용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빅데이터수집부(160)는 수집된 상품정보와, 회원정보, 상품 판매에 대한 거래내역, 개인영상제작자(10)의 시청자(30)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상품과의 매칭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합도분석부(170)는 상품판매자와 영상제작자 간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개인영상제작자(10)를 매칭해 낸다.
개인방송방에 접속한 시청자(30)로부터 현재 판매 내용 또는 판매 대상인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입력되면 이를 누적 산출하고, 산출된 선호도 정보를 해당 상품정보에 피드백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영상제작자(10)의 영향력은 곧 높은 판매효과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도출된 분석결과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적합도가 높은 개인영상제작자(10)를 선별해 상품판매자(20)와 개인영상제작자(10)를 매칭시킴으로 개인영상제작자(10)는 자신의 개인방송을 통해 판매된 상품에 대해서는 소정의 수수료를 수입으로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A video - based advertising relay system for personal video producers.}
본 발명은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판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 및 온라인 개인영상방송 형태로 판매하는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기업의 매출 상승과 직결되기 때문에, 기업의 운영과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광고 중 현대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광고 형태는 텔레비전 방송을 통한 영상광고이다.
다만, 텔레비전 방송 매체는 물리적으로 한정된 자원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광고비용은 매우 고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재력이 약하고 경쟁관계에서 약자일 수 밖에 없는 중소기업 또는 개인 영세 사업자는 이러한 방송매체를 이용한 영상 광고에서 소외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터넷 통신기술의 발달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및 1인 방송의 보편화로 영상광고의 제작과 유통에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의 수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유튜브(Youtube)를 통한 영상광고가 이러한 새로운 영상광고 제작과 유통방식의 대표적인 모습이다.
TV 방송을 통해 유통되는 기존의 영상광고와 달리 유튜브를 통한 영상광고는 채널 제한이나 영상재생시간 제한 등의 물리적인 한계에서 자유로워 광고비용이 저렴하며, 아마추어도 쉽게 광고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누구나 가정에서도 광고를 제작하여 유통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자막을 덧붙임으로써 해외의 수요자들에게도 광고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1인 방송 제작자를 통한 광고의 경우 광고시청자는 광고제작자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품정보를 전달받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가 매우 크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이미 해외에서는 수많은 기업들이 유튜브를 활용한 광고와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으며,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먹방 등의 새로운 글로벌 컨텐츠가 탄생하는 등 인터넷 1인 방송이 발달함에 따라 이와 맞물려 1인 방송 제작자를 통한 광고가 새로운 광고수단으로 조명받고 있다.
그리고 1인 방송 제작자, 개인 동영상 창작자를 가리키는 크리에이터(Creator)와, 이들의 방송 활동을 지원, 관리하고 기획하는 MCN(Multi Channel Networks) 사업이라는 새로운 직업과 사업영역이 탄생했다.
다만,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광고시장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소수의 유명 크리에이터들만이 MCN 기업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광고 인력으로 채용되었을 뿐, 많은 수의 크리에이터들은 안정된 수입을 보장받지 못하고 이로 인해 자신들의 재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크리에이터들을 발굴하고 채용,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중소기업이나 개인 영세 사업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광고수단을 활용하지 못하고 대기업과의 마케팅 경쟁에서 밀려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판매할 상품을 선정한 개인영상제작자가 해당 상품을 주제로 하는 온라인 개인방송방을 개설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중소기업 및 개인 영세 사업자로 하여금 저비용 고효율의 광고 마케팅을 가능케 하고, 개인방송제작자에게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회를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방송을 매개로 하여 상품 판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연계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는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은 상품판매자(20)가 자신의 시스템에 제한없이 등록할 수 있고, 개인영상제작자(10)는 등록된 상품을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하여 자발적인 판매를 시청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30)는 보다 유익한 판매 정보에 따라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품판매자(20) 입장에서는 상품구매 이전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판매비용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빅데이터수집부(160)는 수집된 상품정보와, 회원정보, 상품 판매에 대한 거래내역, 개인영상제작자(10)의 시청자(30)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상품과의 매칭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합도분석부(170)는 상품판매자와 영상제작자 간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개인영상제작자(10)를 매칭해 낸다.
개인방송방에 접속한 시청자(30)로부터 현재 판매 내용 또는 판매 대상인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입력되면 이를 누적 산출하고, 산출된 선호도 정보를 해당 상품정보에 피드백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영상제작자(10)의 영향력은 곧 높은 판매효과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도출된 분석결과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적합도가 높은 개인영상제작자(10)를 선별해 상품판매자(20)와 개인영상제작자(10)를 매칭시킴으로 개인영상제작자(10)는 자신의 개인방송을 통해 판매된 상품에 대해서는 소정의 수수료를 수입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을 광고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상품을 시스템에 등록하고, 개인방송을 운영하는 방송자가 단말을 통해 해당 상품을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 및 운영함으로써 이에 접속한 시청자가 개인방송을 시청하고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주가 개인방송제작자를 선정, 섭외하고 개인방송제작자가 광고를 수주하는 일련의 과정이 인터넷과 빅데이터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수행됨으로써 중소기업 및 개인 영세 사업자는 저비용 고효율의 광고 마케팅이 가능해지고, 개인방송제작자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의 운영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참조하면 판매된 상품을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영상제작자(10)와, 개설된 개인방송방에 접속하여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를 송출받는 다수의 시청자(30)와, 상기 개인방송방을 개설 및 서비스하고,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개인방송방에서 주문 요청된 상품의 주문절차를 수행하고, 비용정산을 하는 운영시스템(100) 및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된 상품의 배송절차를 수행하는 다수의 상품판매자(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영상제작자(10)는 개인방송방을 개설 및 운영하는 개인 영상제작자로서, 운영시스템(100)에 영상제작자 권한으로 회원등록 및 로그인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개인방송방을 개설하여 영상제작자의 현재 모습을 실시간으로 송출하거나, 또는 영상제작자가 설정한 영상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영상제작자(10)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운영시스템(100) 및 다수의 시청자(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개인 영상제작자의 현재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는 웹캠, 카메라 장치와, 개인 영상제작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 또는 탑재한 거치형PC, 노트북,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방송을 송출하고자 하는 개인영상제작자(10)는 다수일 수 있고, 개인영상제작자(10)는 타 개인영상제작자(10)와 동일한 주제 또는 다른 주제를 설정하여 자신의 개인방송방을 개설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방송방 개설과 관련하여, 각 개인영상제작자(10)는 별도로 상품판매자(20)의 판매 요청을 의뢰 받는 것이 아닌, 시스템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자신의 의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상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상품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개인영상제작자(10)간에 중복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판매자(20)가 등록한 다양한 판매 대상의 상품들에 대하여 개인 영상제작자들은 중복에 대한 제약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일 상품에 대한 둘 이상의 판매 방송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개인영상제작자(10)로 하여금 상품판매자(20)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상품판매자(20)로부터 독립적으로 판매 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상품판매자(20)에게 종속되지 않고 보다 주관적인 개인방송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청자(30)는 동일 상품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는 판매를 시청할 수 있음에 따라, 주문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게 된다.
동일 상품에 대하여 개인영상제작자(10)를 통해 개설된 개인방송방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온라인상에 송출되며, 그 개인방송방에 대응하는 URL에 접속한 시청자(30)에게 영상 및 음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방송방은 그 주제로 운영시스템(100)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개인영상제작자(10)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상품에 대한 소개, 사용기 및 관련된 에피소드 등을 방송의 소재로 이용하여 개인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개인방송방에서 상품에 대한 판매 내용은 상품판매자(20)로부터 별도의 지시를 받는 것이 아닌, 개인 영상제작자 자신의 경험 및 지식에 기초하여 구성됨에 따라, 시청자(30)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시청자(30)는 현재 송출중인 개인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로서, 운영시스템(100)에 시청자(30) 권한으로 회원등록 및 로그인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현재 개설된 온라인 개인방송방에 접속하여 개인영상제작자(10)의 현재 모습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거나, 또는 개인방송방에 설정된 영상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시청자(30)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운영시스템(100) 및 개인영상제작자(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개인영상제작자(10)의 현재 모습 및 음성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는 모니터 및 스피커를 구비 또는 탑재한 거치형PC, 노트북,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청자(30)는 다수가 하나의 개인방송방에 접속하여 개인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개인방송방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팅형태의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30)는 해당 방송 또는 상품에 대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선호도를 평가하여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선호도 평가는 운영시스템(100)의 빅데이터수집부(160)를 통해 누적계산되어 해당 개인영상제작자(10)에 피드백 될 수 있다.
또한, 시청자(30)는 시청 도중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을 요청할 수 있고, 운영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주문처리부(130)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품 주문절차로는 상품명, 상품 개수, 회원주소 확인 및 결제수단 문의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시스템(1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개인영상제작자(10) 및 시청자(30)의 요청에 따라, 제작자 및 시청자(30)를 회원등록 및 가입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상품판매자(20)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상품을 판매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운영시스템(100)은 영상제작자 권한의 개인영상제작자(10)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상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품을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하여 온라인에 리스트 형태로 게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시청자(30)에 의해 개인영상제작자(10)의 개인방송방이 선택되면, 그 시청자(30)를 개인방송방에 입장시킴으로써, 개인 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운영시스템(100)은 개인방송을 시청중인 시청자(30)의 상품주문 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의 상품판매자(20)에게 상품판매 알림 및 배송요청 등의 주문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방송시청중인 시청자(30)가 상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하며, 상품판매자(20)에 의해 배송완료가 확인되면, 해당 상품을 판매한 개인영상제작자(10) 및 상품판매자(20)와 발생한 비용에 대한 정산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산절차는, 상품판매가를 기준으로 하여 상품을 주제로 하여 개인방송방을 운영한 개인영상제작자(10)에게 일정비율을 수수료를 지급하고, 상품판매자(20)로부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를 요청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협약된 요율에 의해 지급 및 요청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상품판매자(20)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운영시스템(1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 등록시에는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품판매자(20)는 등록하고자 하는 다수의 상품을 제한없이 운영시스템(100)에 하나 이상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등록은 판매자 명칭, 판매자의 업종, 상품 유형, 판매 시작시기, 판매 종료시기, 상품 이미지, 타겟 고객층에 관한 정보, 영상 자막 제작 여부 등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판매할 상품과 그 상품의 카테고리, 판매하려는 국가 및 희망하는 시청자 연령대, 성별, 사용언어, 단가 등을 입력하면 상품등록저장부(120)에 저장된다.
또한 개인영상제작자의 연령, 성별, 사용언어, 단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시청자(30)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운영시스템(100)은 주문절차를 수행함에 따라 주문 요청된 상품에 대한 배송을 상품판매자(20)에 요청하게 되며, 상품판매자(20)는 주문내역을 전송받아 해당 시청자(30)에게 배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배송이 완료되면, 상품판매자(20)는 그 내용을 운영시스템(100)에 보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의 운영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영시스템(100)은 상품판매자(20)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을 등록 하는 상품등록저장부(120)와, 개인영상제작자(10)의 요청에 따라, 상품의 판매를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 및 송출하는 영상제공부(150)와, 개인방송방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시청자(30)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시 주문절차를 수행하는 주문처리부(130)와, 개인영상제작자(10)의 정보를 저장하는 입력저장부(110) 및 개인영상제작자(10)의 시청자(30)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상품과의 매칭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수집부(160)와, 개인영상제작자(10)와 상품등록저장부(120)에 등록된 상품의 적합도를 분석하는 적합도분석부(170)와 주문절차의 완료시, 해당 상품을 판매한 개인영상제작자(10) 및 상품판매자(20)간 발생한 비용정산 절차를 수행하는 비용정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등록저장부(120)는 상품판매자(2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각 개인방송방의 주제로서 등록할 수 있다. 상품정보로는 업체명, 상품명 및 판매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된 상품들은 그 현황이 개인영상제작자(10)에 제약없이 제공됨에 따라, 개인영상제작자(10)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의도한 상품을 선택하여 개인방송을 개설할 수 있다.
또한, 상품등록저장부(120)는 시청자(30)로 하여금 흥미 또는 판매촉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로는 기간한정 할인, 사은품 증정 및 마일리지 적립 등이 될 수 있고, 시청자(30)는 해당 기간에 상품을 구입하면 이벤트에 따라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제공부(150)는 회원 등록된 개인영상제작자(10)의 요청에 따라 개인방송방을 개설 및 송출할 수 있다. 개인방송을 운영하고자 하는 개인영상제작자(10)가 운영시스템(100)에 접속하고, 등록된 상품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상품을 주제로 선정하면, 영상제공부(150)는 이에 대응하는 개인방송방을 생성하고, 이에 대한 URL를 설정함으로써 온라인상에 송출할 수 있다.
특히, 영상제공부(150)는 상품판매자(20)의 의도나, 중복 판매에 관련없이 각 개인방송방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도록 생성함에 따라, 개인영상제작자(10)는 자신의 주관에 따라 개인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다수의 개인방송방을 소정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리스트 형태로 시청자(30)에 제공함으로써, 시청자(30)가 원하는 방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방송방은 하나의 개인영상제작자(10)에 하나가 개설될 수 있고, 하나의 개인방송방에는 다수의 시청자(30)가 접속될 수 있다.
개인방송방내에서는 개인영상제작자(10)로부터 송출되는 영상 및 음성이 시청자(30)에게 실시간으로 송출될 수 있다. 재생은 HTML 및 PHP 기술 기반의 웹 페이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개인방송방에 접속한 시청자(30)는 해당 상품의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문처리부(130)는 각 개인방송방에서 시청자(30)에 의해 상품에 대한 주문이 확인되면, 상품에 대하여 주문절차를 수행하며, 해당 상품판매자(20)는 상품 배송을 요청하게 된다.
주문절차로는 상품 및 그 개수 확인, 시청자(30)의 회원정보 확인, 결제수단 제공, 결제승인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결제승인까지 완료되면, 해당 상품을 등록한 상품판매자(20)에 주문내역을 알려줄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상품판매자(20)는 상품 판매 처리 및 배송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빅데이터수집부(160)는 등록된 상품정보와, 회원정보, 상품 판매에 대한 거래내역, 개인영상제작자(10)의 시청자(30)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상품과의 매칭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시스템(100)의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환경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들은 서비스 제공에 따라 타 구성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참조 및 갱신될 수 있다.
빅데이터수집부(160)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영상제작자(10)의 영향력 지표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이용해 수집되는 개인영상제작자의 영향력 지표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로 제작 이력, 대중으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다수에게 영상의 업로드, 다운로드, 스트리밍 재생 또는 영상제작자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온라인을 통해 다수에게 영상의 업로드, 다운로드, 스트리밍 재생 또는 영상제작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는 유튜브, 아프리카tv, 네이버tv 등의 영상 스트리밍 사이트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수집하는 정보는 제작자의 제작영상 및 그에 관한 조회수, 즐겨찾기 수, 댓글 수, 재생시간, 시청자(30)의 성별 비율 및 연령별 비율, 사용 단말기 종류가 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수집부(16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제작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SN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등의 SNS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예로들 수 있다.
이 경우 SNS 정보는 상기 제작자의 게시글의 수, 상기 게시글의 조회수, 즐겨찾기 수, 댓글 수가 될 수 있다.
적합도분석부(170)는 송출중인 개인방송방에 접속한 시청자(30)로부터 현재 판매 내용 또는 판매 대상인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입력되면 이를 누적 산출하고, 산출된 선호도 정보를 해당 상품정보에 피드백 할 수 있다.
선호도 정보는 새로 유입된 시청자(30)들의 상품 주문 판단에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적합도분석부(170)는 빅데이터수집부(160)로부터 수집된 정보로부터 상품판매자와 영상제작자 간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개인영상제작자(10)를 매칭해 낸다.
구체적으로, 영상제작자 채널의 조회수, 댓글 수, 즐겨찾기 수, 영상 수, 시청자 평점, 공감수치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영상제작자가 영상을 제작하여 업로드함으로써 대중에 미치는 파급력, 영향력을 측정해낸다.
상기 영형력은 예컨대 빅데이터수집부(160)를 통해 수집되는 유튜브 사이트상에서의 판매제작자의 총 구독자수 및 총 조회수와 이를 합산한 수치 혹은 이 수치를 0에서 100까지의 수로 환산한 수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영상제작자(10)의 영향력은 곧 판매효과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상품판매자(20)가 개인영상제작자(10)를 선정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또한, 상기 적합도분석부(170)는 빅데이터수집부(16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가 특정 영상제작자와의 상품판매계약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을 예측해낸다.
구체적으로, 상품판매자의 평균 매출액, 판매할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 수요자의 범위, 상품 인지도, 특정 영상제작자의 시청자 범위, 영향력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품판매자(20)가 개인영상제작자(10)와의 상품판매계약을 통해 얻을 수익률을 예측해낸다.
또한, 상기 적합도분석부(170)는 빅데이터수집부(16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의해 도출된 분석결과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적합도가 높은 개인영상제작자(10)를 선별해낸다.
구체적으로, 상품판매자가 설정한 조건에 대한 정보로서 상품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카테고리, 판매국가, 희망하는 영상제작자의 연령, 성별, 사용언어, 단가와, 개인 영상제작자에 대한 정보로서 영상제작자의 연령, 성별, 사용언어, 희망단가, 구독자수, 조회수, 즐겨찾기 수, 주시청자의 성별, 연령 등에 의해 분석된 분석결과로서 영상제작자의 영향력, 상품판매자의 투자수익률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품판매자(20)와 영상제작자간의 적합도를 분석하고 높은 적합도의 개인영상제작자(10)를 선별한다.
상기 비용정산부(140)는 주문 완료된 상품건에 대하여 발생한 비용에 대한 정산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판매자(20)가 해당 시청자(30), 즉 주문자에게 배송완료하고 이후 해당 주문자가 최종적으로 주문을 승인하면, 비용정산부(140)는 협약된 요율에 따라 상품 판매액에서 서비스 수수료와 판매 수수료를 산출하고, 두 수수료를 차감한 판매액을 상품판매자(20)에 지급하고, 판매 수수료를 개인영상제작자(10)에게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은 상품판매자(20)가 자신의 시스템에 제한없이 등록할 수 있고, 개인영상제작자(10)는 등록된 상품을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하여 자발적인 판매를 시청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30)는 보다 유익한 판매 정보에 따라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품판매자(20) 입장에서는 상품구매 이전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판매 비용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 영상제작자(10)는 자신의 개인방송을 통해 판매된 상품에 대해서는 소정의 수수료를 수입으로 획득할 수 있다.
10: 개인영상제작자 20: 상품판매자
30: 시청자 100: 운영시스템
110: 입력저장부 120: 상품등록저장부
130: 주문처리부 140: 비용정산부
150: 영상제공부 160: 빅데이터수집부
170: 적합도분석부

Claims (2)

  1. 본 발명의 운영시스템(100)은 상품판매자(20)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을 등록 하는 상품등록저장부(120)와,
    개인영상제작자(10)의 요청에 따라, 상품의 판매를 주제로 하는 개인방송방을 개설 및 송출하는 영상제공부(150)와,
    개인방송방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시청자(30)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시 주문절차를 수행하는 주문처리부(130)와,
    개인영상제작자(10)의 정보를 저장하는 입력저장부(110) 및 개인영상제작자(10)의 시청자(30)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상품과의 매칭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수집부(160)와,
    개인영상제작자(10)와 상품등록저장부(120)에 등록된 상품의 적합도를 분석하는 적합도분석부(170)와 주문절차의 완료시, 해당 상품을 판매한 개인영상제작자(10) 및 상품판매자(20)간 발생한 비용정산 절차를 수행하는 비용정산부(140)를 포함하는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빅데이터수집부(160)는 수집된 상품정보와, 회원정보, 상품 판매에 대한 거래내역, 개인영상제작자(10)의 시청자(30)로부터의 인지도, 인기도, 공감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상품과의 매칭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합도분석부(170)는 상품판매자와 영상제작자 간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상품판매자(20)와 개인영상제작자(10)를 매칭하는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KR1020180043728A 2018-04-16 2018-04-16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KR20190130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28A KR20190130182A (ko) 2018-04-16 2018-04-16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28A KR20190130182A (ko) 2018-04-16 2018-04-16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182A true KR20190130182A (ko) 2019-11-22

Family

ID=6873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28A KR20190130182A (ko) 2018-04-16 2018-04-16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18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28B1 (ko) * 2019-12-17 2020-05-20 이미연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내에서 양방향 정산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셀링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164644B1 (ko) * 2019-12-17 2020-10-12 주식회사 에스티씨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내에서 미리주문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셀링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276814B1 (ko) * 2020-03-10 2021-07-12 탁기영 인터넷 방송 및 온라인 쇼핑의 연계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WO2021141205A1 (ko) * 2020-01-09 2021-07-15 모비두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중 상품 등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방송 단말
KR20220013600A (ko) * 2020-07-27 2022-02-04 권태완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품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2438B1 (ko) * 2021-05-27 2022-04-08 (주)에스에이치글로벌커머스 컨텐츠 기반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28B1 (ko) * 2019-12-17 2020-05-20 이미연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내에서 양방향 정산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셀링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164644B1 (ko) * 2019-12-17 2020-10-12 주식회사 에스티씨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내에서 미리주문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셀링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
WO2021141205A1 (ko) * 2020-01-09 2021-07-15 모비두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중 상품 등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방송 단말
KR102276814B1 (ko) * 2020-03-10 2021-07-12 탁기영 인터넷 방송 및 온라인 쇼핑의 연계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KR20220013600A (ko) * 2020-07-27 2022-02-04 권태완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품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2438B1 (ko) * 2021-05-27 2022-04-08 (주)에스에이치글로벌커머스 컨텐츠 기반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250437A1 (ko) * 2021-05-27 2022-12-01 (주)에스에이치글로벌커머스 컨텐츠 기반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58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9781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gagement and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KR20190130182A (ko)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JP5592546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投稿の換金化
CA2806881C (en) Universally interactive request for information
US20160267530A1 (en) Web-based marketplace for product placement and brand integration
US20090216621A1 (en) Media Based Entertainment Service
US201202394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CN107820105B (zh) 提供数据对象信息的方法及装置
CN101304329A (zh) 用于选择广告的系统和相关方法
JP2009094980A (ja) 投稿動画配信サーバ及び投稿動画配信方法
KR100786951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홈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8630A (ko)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작성 방법
US20080109277A1 (en) Search results positioning based on radio metrics
US20160189712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dio transcriptions for use in content resources
US20100114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oftware and web based applications
US201602471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tricizing assets in a brand affinity content distribution
KR20230000279A (ko) 온라인 영상광고 계약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31733A1 (en) Content generation and tracking application, engine, system and method
KR102469284B1 (ko) 영상 제작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저작권의 공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20072507A (ko) Iptv 오픈 마켓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adhika et al. Shopping Through Live Streaming
KR20060018278A (ko) 인터넷상의 맞춤형광고방법
Yang Research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Live Streaming Business Platform Based on User Perception
Threechownon FACTORS AFFECTING ONLINE MEDIA STREAMING SERVICE SUBSCRIPTIONS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AI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