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580B1 -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580B1
KR101681580B1 KR1020160010880A KR20160010880A KR101681580B1 KR 101681580 B1 KR101681580 B1 KR 101681580B1 KR 1020160010880 A KR1020160010880 A KR 1020160010880A KR 20160010880 A KR20160010880 A KR 20160010880A KR 101681580 B1 KR101681580 B1 KR 10168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metal plate
pulley
projection
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현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패스 filed Critical (주)에이패스
Priority to KR102016001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580B1/ko
Priority to CN201720106087.XU priority patent/CN206753301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2Specially-shaped shafts for retention or rotation by a tool, e.g. of polygonal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금속판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풀리의 회전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체결부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지지부와, 상기 풀리지지부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풀리지지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금속판에 형성된 체결홀로 삽입되는 금속판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삽입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 및 상기 풀리지지부 사이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로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지지부에는 상기 금속판삽입부가 돌출되는 면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압입되는 압입돌기와, 상기 압입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압입돌기의 소성변형시에 상기 압입돌기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메워지는 여유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체결부재{A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에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리(pulley)는 회전체로서 그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벨트, 와이어 및 케이블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거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벨트, 와이어 및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구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도어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상기 도어의 이너 패널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윈도우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풀리가 설치되는 데, 상기 풀리는 상기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홀로 압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압입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압입돌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면으로 압입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압입돌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면으로 압입되면서 소성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풀리의 회전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금속판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풀리의 회전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지지부와, 상기 풀리지지부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풀리지지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금속판에 형성된 체결홀로 삽입되는 금속판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삽입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 및 상기 풀리지지부 사이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로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지지부에는 상기 금속판삽입부가 돌출되는 면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압입되는 압입돌기와, 상기 압입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압입돌기의 소성변형시에 상기 압입돌기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메워지는 여유홈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는, 금속판에 압입시에 압입돌기가 상기 금속판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압입돌기가 상기 금속판에 압입시에 소성변형되더라도, 여유홈의 적어도 일부에 메워지기 때문에, 상기 압입돌기가 소성변형되면서 풀리지지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풀리의 회전작동이 원활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풀리를 금속판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풀리를 금속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풀리를 금속판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10)는, 풀리(20)를 금속판(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금속판(30)에는 체결홀(35)이 형성된다.
체결부재(10)는 머리부(11)와, 풀리지지부(12)와, 금속판삽입부(13)를 포함한다. 머리부(11), 풀리지지부(12) 및 금속판삽입부(13)는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진다. 머리부(11)는 풀리지지부(12) 및 금속판삽입부(13)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풀리지지부(12)는 머리부(1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금속판삽입부(13)는 풀리지지부(1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풀리지지부(12)는 머리부(1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풀리지지부(12)는 머리부(11)의 중심에서 돌출된다. 풀리지지부(12)는 풀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풀리지지부(12)는 풀리(20)의 중심에 형성된 홀(25)로 삽입되어 풀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풀리(20)는 중심에 형성된 홀(25)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풀리지지부(12)의 외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풀리지지부(12)가 풀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풀리지지부(12)의 직경은 풀리(20)의 중심에 형성된 홀(2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풀리(20)가 체결부재(10)를 통해 금속판(30)에 결합된 상태이면, 풀리(20) 및 풀리지지부(12)는 머리부(11) 및 금속판(30) 사이에 배치된다.
금속판삽입부(13)는 풀리지지부(1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금속판삽입부(13)는 풀리지지부(12)의 중심에서 돌출된다. 금속판삽입부(13)는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로 삽입된다. 금속판삽입부(13)가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로 삽입된 상태이면, 머리부(11) 및 풀리지지부(12)는 금속판(30)의 일면 방향에 위치하고, 금속판삽입부(13)는 일부가 금속판(30)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 배치된다.
금속판삽입부(13)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3a)와, 나사산부(13a) 및 풀리지지부(12) 사이를 연결하는 압입부(13b)를 포함한다. 압입부(13b)는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보다 적어도 일부가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체결홀(35)로 압입되어서, 체결부재(10)가 금속판(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압입부(13b)가 체결홀(35)로 압입된 상태이면, 나사산부(13a)는 금속판(30)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 배치된다. 나사산부(13a)는 금속판(30)을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부품에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금속판삽입부(13)는 나사산부(13a)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초기삽입부(13c)를 더 포함한다. 압입부(13b)는 나사산부(13a)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초기삽입부(13c)는 나사산부(13a)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초기삽입부(13c)는 금속판삽입부(13) 중에서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로 가장 먼저 삽입되는 부분이다. 초기삽입부(13c)는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금속판삽입부(13)를 체결홀(35)로 초기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나사산부(13a)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이 초기삽입부(13c) 및 체결홀(3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풀리지지부(12)는 금속판삽입부(13)가 돌출되는 면이 평탄면(12a)으로 형성된다. 평탄면(12a)에는 복수의 압입돌기(12b)가 형성된다. 압입돌기(12b)는 압입부(13b)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로 곧게 형성된다. 압입돌기(12b)는 압입부(13b)가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로 압입될 때, 금속판(30)의 일면에 압입된다. 압입돌기(12b)는 금속판(30)의 일면에 압입되기 때문에, 체결부재(10)가 금속판(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서, 체결부재(10)가 금속판(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평탄면(12a)에는 압입돌기(12b)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여유홈(12c)이 형성된다. 여유홈(12c)은 압입돌기(12b)가 금속판(30)의 일면에 압입시에 소성변형되더라도, 압입돌기(12c)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메워진다. 즉, 여유홈(12c)은 압입돌기(12b)가 소성변형되면서 풀리지지부(12)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풀리(20)가 원활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입돌기(12b)는 평탄면(12a)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8개가 형성되고, 여유홈(12c)은 각각의 압입돌기(12b)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8개가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체결부재(10)를 이용하여 풀리(20)를 금속판(30)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풀리를 금속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체결부재(10)의 풀리지지부(12)를 풀리(20)의 중심에 형성된 홀(25)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는, 풀리지지부(12)의 외주면에 풀리(20)의 내주면이 마주보며 배치되어, 풀리(20)가 풀리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후 금속판(30)의 하측에 하측압입지그(1)를 맞대어 놓고, 금속판(30)의 상측에서 금속판삽입부(13)의 초기삽입부(13c)를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로 삽입한다. 나사산부(13a)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은 금속판(30)에 형성된 체결홀(35)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판삽입부(13)는 초기삽입부(13c)만 체결홀(35)로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후 금속판(30)의 상측에서 상측가압지그(2)가 체결부재(10)의 머리부(11)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리하면, 금속판삽입부(13)의 나사산부(13a) 및 압입부(13b)가 차례로 체결홀(35)로 삽입되어 압입부(13b)가 체결홀(35)에 압입된다. 또한, 압입부(13b)가 체결홀(35)에 압입되면서, 풀리지지부(12)의 평탄면(12a)에 형성된 압입돌기(12b)는 금속판(30)의 상측면에 압입되어, 금속판(30)과 체결부재(10)의 결합력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체결부재(10)가 금속판(3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압입돌기(12b)가 금속판(30)의 상측면에 압입되는 도중에 소성변형되더라도, 압입돌기(12b)는 소성변형되면서 여유홈(12c)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기 때문에, 풀리지지부(12)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풀리(20)가 풀리지지부(12)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풀리(20)가 풀리지지부(12)에서 원활하게 회전작동되는지 확인하고, 풀리(20)를 금속판(30)에 결합하는 공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10)는, 금속판(30)에 압입시에 압입돌기(12b)가 금속판(30)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압입돌기(12b)가 금속판(30)에 압입시에 소성변형되더라도, 여유홈(12c)의 적어도 일부에 메워지기 때문에, 압입돌기(12b)가 소성변형되면서 풀리지지부(12)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풀리(20)의 회전작동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체결부재 11: 머리부
12: 풀리지지부 12a: 평탄면
12b: 압입돌기 12c: 여유홈
13: 금속판삽입부 13a: 나사산부
13b: 압입부 13c: 초기삽입부
20: 풀리 30: 금속판
35: 체결홀

Claims (7)

  1.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지지부; 및
    상기 풀리지지부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풀리지지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금속판에 형성된 체결홀로 삽입되는 금속판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삽입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 및 상기 풀리지지부 사이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로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지지부에는 상기 금속판삽입부가 돌출되는 면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압입되는 압입돌기와, 상기 압입돌기에서 연장되는 여유홈이 형성되고,
    상기 여유홈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압입돌기가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압입되면서 소성변형시에 상기 소성변형된 압입돌기가 메워지는 체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유홈은 상기 압입돌기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금속판삽입부가 돌출되는 면의 외측둘레까지 형성되는 체결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입돌기는 상기 압입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입돌기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여유홈은 각각의 압입돌기에서 연장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체결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리지지부는 상기 금속판삽입부가 돌출되는 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삽입부는 상기 나사산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초기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체결부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리지지부는 상기 머리부 및 상기 금속판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재.
KR1020160010880A 2016-01-28 2016-01-28 체결부재 KR10168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80A KR101681580B1 (ko) 2016-01-28 2016-01-28 체결부재
CN201720106087.XU CN206753301U (zh) 2016-01-28 2017-01-26 锁定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80A KR101681580B1 (ko) 2016-01-28 2016-01-28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580B1 true KR101681580B1 (ko) 2016-12-01

Family

ID=5757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880A KR101681580B1 (ko) 2016-01-28 2016-01-28 체결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1580B1 (ko)
CN (1) CN206753301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329A (ja) * 1996-09-30 1998-04-21 Sannohashi:Kk 嵌合部を有する部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取付方法
JP2001289291A (ja) * 2000-04-04 2001-10-19 Ntn Corp 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2006307965A (ja) * 2005-04-28 2006-11-09 Marunaka:Kk 緩み止め座金とその座金を取付けた座金付き螺子類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329A (ja) * 1996-09-30 1998-04-21 Sannohashi:Kk 嵌合部を有する部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取付方法
JP2001289291A (ja) * 2000-04-04 2001-10-19 Ntn Corp 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2006307965A (ja) * 2005-04-28 2006-11-09 Marunaka:Kk 緩み止め座金とその座金を取付けた座金付き螺子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753301U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4266B2 (en) Cam follower roller device
KR100610547B1 (ko) 탄성 부시 및 탄성 부시의 압입 방법
KR101720068B1 (ko) 유체 어셈블리를 진동 댐핑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해당 유체 어셈블리
CN108779884B (zh) 用于成型夹具的预定位器及具有这种预定位器的连接装置
US8210784B2 (en) Fastener assembly including a screw and a captively arranged bush
KR102163132B1 (ko) 프로파일 클램프
IL256977A (en) Planetary gearbox pressure adjusting device
AU2013343769B2 (en) Device for fix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to a support
KR20070086384A (ko) 애드-온과 지지부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512506B1 (ko) 프로파일링된 클램프
CN108071648A (zh) 用来连接两个零件的装置
US20180355646A1 (en) Vehicle hood hinge
US20180180075A1 (en) Clamp
KR101681580B1 (ko) 체결부재
US6648512B1 (en) Slide bear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2019039310A1 (ja) グロメット
JP7450634B2 (ja) 縦溝を有する変形可能スリーブを使用したボルト継手
WO2015004822A1 (ja) ワイヤ張力増強手段を備えた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CN112145595B (zh) 用于车辆、特别是用于商用车辆的盘式制动器
KR20180046226A (ko) 회전 방지 스터드 밴드케이블
JP2013091452A (ja) ケーブル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10647288B2 (en) Belt tightener
CN112106266B (zh) 线缆装配构件和电器
CN108348983B (zh) 复合部件和复合部件的制造方法
JP2003020856A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ガイド部材かしめ構造及びかし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