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026B1 -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026B1
KR101681026B1 KR1020130141404A KR20130141404A KR101681026B1 KR 101681026 B1 KR101681026 B1 KR 101681026B1 KR 1020130141404 A KR1020130141404 A KR 1020130141404A KR 20130141404 A KR20130141404 A KR 20130141404A KR 101681026 B1 KR101681026 B1 KR 10168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yal jelly
water
soluble
present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276A (ko
Inventor
한상미
이광길
김정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ublication of KR2014014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을 제거하고 수용성화한 로열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로열젤리는 알레르기 유발 특성이 감소되어 다양한 소비군에 적용 가능하고, 흡수 및 제형 개발이 용이하며, 이를 이용하면 피부 세포의 증식이 증가되며 피부 상처의 치유가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Manufacturing method of allergen removed water soluble royal jell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을 제거하고 수용성화한 로열젤리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로열젤리(royal jelly)란 일벌의 외분비선으로부터 분비되어 꿀벌 벌집의 왕 자리(여왕벌 방)에 축적된 유백색 분비물이며, 여왕벌이 될 유충에게 먹이로 제공되는 젤리 상태의 물질이다. 그 화학적 조성은 산지나 계절 등에 의해 다소 차이를 갖지만, 수분 65 내지 75 질량%, 단백질 15 내지 20 질량%, 탄수화물 10 내지 15 질량%, 지방질 1.7 내지 6 질량%, 회분 0.7 내지 2 질량%로 되어 있으며, 유기산류, 각종 비타민류, 각종 미네랄류도 함유한다. 로열젤리는 예로부터 인간의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대한 유용한 생리 활성, 예를 들면 항균 작용, 면역 증강 작용, 항종양 작용, 항염증 작용, 수명 연장 작용 등을 갖는다는 보고가 수많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로열젤리에는 알레르기(allergy)를 유발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차는 있지만 섭취에 의해 알레르기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심각한 아나필락시 쇼크(anaphylaxis shock)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로열젤리의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일본국 특개 2002-112715호 공보에는 로열젤리에 당 분해 효소 처리 및 단백질 분해 효소 처리를 시행해서 저(低) 알레르기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WO2004/21803호 명세서에는, 수용성 단백질 양이 총 단백질 양에 대하여 50% 미만으로 저감된 로열젤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열젤리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수용성 단백질이 잔존하며, 당 분해 효소 처리 및 단백질 분해 효소 처리를 시행한 로열젤리에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분해가 불충분하거나 첨가한 효소 자체가 새로운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로 될 가능성도 있어,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섭취하는 로열젤리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로열젤리의 알레르기성 감소를 위해 연구를 계속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로열젤리는 알레르기에 취약한 유아 및 특이 체질군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로열젤리이므로 흡수 및 제형 개발이 용이하며, 건강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열젤리는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 제거를 통해 로열젤리 소비군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로열젤리의 수용성화로 다양한 제형 개발이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아울러,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 상태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따라 보관방법이 간편하고, 보관기간이 긴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로열젤리의 수용성을 확인한 도이다;
A: 로열젤리를 동결건조한 사진; 및
B: 70% 에탄올로 추출 및 농축한 뒤에 동결건조한 수용성화된 로열제리 분말의 수용성을 확인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로열젤리의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이 제거된 것을 확인한 젤 사진이다;
위: 생 로열젤리;
아래: 본 발명의 로열젤리 (산지; A: 안성, C: 철원, J: 진주.);
도 4는 RBL-2H3 세포주에서의 생로열젤리 또는 본 발명의 로열젤리의 알레르기 유발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로열젤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C: 배지만 처리한 대조군;
1: 1 ug/m 농도의 본 발명의 로열젤리;
0.1: 0.1 ug/m 농도의 본 발명의 로열젤리; 및
0.01: 0.01 ug/m 농도의 본 발명의 로열젤리.
도 6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처리 후 세포 부착률을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피부 상처 모델에서의 세포 이동을 확인한 도이다:
WSRJ 5ug/ml: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5ug/ml 처리한 피부 세포;
WSRJ 1ug/ml: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1ug/ml 처리한 피부 세포;
RJ 5ug/ml: 생 로열젤리를 5ug/ml 처리한 피부 세포; 및
RJ 1ug/ml: 생 로열젤리를 1ug/ml 처리한 피부 세포.
도 8은 피부 상처 모델에서의 상처 치유를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피부 상처 모델에서의 피부 세포 재생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로열젤리 분획물을 조제하기 위한 원료로서 이용하는 생 로열젤리는 분비하는 벌의 종류나 그 산지 및 공급 형태 (생 또는 냉동)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비하는 벌의 종(種)으로는 양봉꿀벌(Apis mellifera), 동양종꿀벌(Apis cerana), 자이언트꿀벌(Apis dorsata), 최소종꿀벌(Apis florea) 등을 들 수 있다. 산지로는 일본, 남미, 북미, 호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 유럽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로열젤리는 모두 본 발명의 로열젤리 분획물의 원료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신선하거나 저온 보존된 생 로열젤리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꿀벌의 여왕 자리에 축적된 것을 채취하고 가공되지 않은 로열젤리를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생 로열젤리"라고 지칭하였다
본 발명은
1) 생 로열젤리를 동결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동결건조되어 생성된 로열젤리 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로열젤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로열젤리 추출물을 중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의 로열젤리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뒤, 증류수에 용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에서 중성화된 로열젤리 용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의 에탄올 추출 및 농축 단계에 의해 로열젤리가 수용성화(water soluble)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의 중성화 단계에 의해 로열젤리의 pH가 7 내지 8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의 중성화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암모니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로열젤리의 성분을 파괴하지 않는 수산화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열젤리의 생리활성 지표 물질인 10-HDA(10-hydroxy-decenoic acid) 및 10-hydroxy-decanoic acid는 로열젤리의 알칼리 가용성 분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이는 hydroxy fatty acid의 활성 증가로 인한 것으로 유추된다.
로열젤리에서 단백질은 27 내지 41%를 이루고 있으며, 이 중 80% 이상이 가용성 단백질 (Major Royal Jelly Protein, MRJPs)이며, MRJP들 가운데 MRJP1~9이 3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로열젤리의 단백질 중 특히 47 및 55 Kd이 주요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Tropical Biomedicine 25(3): 243-251).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수용성 로열젤리에서 47 Kd과 55 Kd 사이즈의 단백질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MRJP1 (55kDa)은 약산성의 pI를 가지며 MRJP2 내지 5는 염기성의 pI를 나타낸다. 이에, 로열젤리 내의 단백질들의 pH 조절을 통해 염기성 상태로 일정하게 만들어 전하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하여 수용성 로열젤리의 특성을 균질하게 하고 10-HDA의 활성을 높이고자 중성화를 통해 로열젤리를 알칼리화하였다 (중성화 전 pH: pH3.8 내지 4.0, 중성화 후 pH: pH 7.4).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상처는 피부 상처를 말하며, 자상, 창상, 절상, 찰과상 및 위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해당되는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의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클렌저, 모발 화장료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생 로열젤리를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뒤, 이를 에탄올로 추출 및 농축하여 수용성화하였으며 (도 2 참조),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로 분말화한 뒤 이를 다시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7.4로 중성화시키고 동결건조로 분말화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로열젤리에서 알레르기 항체인 IgG와 반응하는 25 내지 55 kDa 단백질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3 참조), RBL-2H3 세포에서 알레르기 유발시 분비되는 물질인 β-Hexosamindase 및 TNF-α의 발현이 생로열젤리에서보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알레르기 유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아울러, 10-HDA 함량의 증가 및 피부 세포 생존률 강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로열젤리가 로열젤리 자체의 유효한 효과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표 1 및 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로열젤리는 유용한 활성이 강화되었고, 알레르기 유발 특성이 감소되어 다양한 소비자군에 적용이 가능하며, 수용화되어 흡수 및 제형 개발에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로열젤리의 에탄올 추출
본 발명자들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로열젤리의 비수용성 부분을 제거하여 수용성화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중부, 남부 및 북부를 대표하는 산지인 안성, 진주 및 철원의 농가로부터 직접 구입한 국내산 생 로열젤리 100 g을 동결건조하여 35 g의 동결건조 로열젤리 분말을 수득하였다 (도 2A). 상기 로열젤리 분말을 70% 에탄올로 추출 및 농축을 2회 반복하여 에탄올 로열젤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시켰으며, 얻은 동결건조 분말을 3차 증류수로 용해하여 수용성임을 확인하였다 (도 2B).
< 실시예 2> 로열젤리의 중성화
본 발명자들은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을 불활성화하고 활성 물질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수산화 나트륨을 이용하여 중성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로 추출하고 동결건조한 수용성 로열젤리 분말을 증류수로 용해시킨 후 (pH 3.8 내지 4.0), 2N 수산화나트륨(NaOH)을 로열젤리 100 g 당 0.5 내지 1 ml의 비율로 첨가하여 중성화하였다 (pH7.4). 중성화한 로열젤리 액체를 동결건조하여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분말 19.6 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3>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알레르기성 확인
<3-1>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감소 확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로열젤리에 알레르기 반응을 가지는 54명의 환자의 혈청에서 알레르기 항체로 알려져 있는 IgE와 로열젤리의 단백질들과의 반응을 SDS-PAGE 단백질 분리를 통해 확인한 결과, 로열젤리 단백질 중 25 내지 55 Kd의 단백질들이 IgE와 반응하여 항원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47kd 및 55kd의 단백질이 주요한 항원으로 유추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로열젤리의 주 항원 단백질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 로열젤리 및 본 발명에 따른 로열젤리를 각각 0.1 g을 1 ml의 PBS에 녹인 다음 15 ㎕에 각각 샘플 버퍼 5 ㎕를 넣고 SDS-PAGE 젤에 로딩하여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 후 젤을 Coomassie staining buffer로 1시간 동안 염색한 뒤 2시간 동안 destaining buffer로 탈색하였다. 탈색한 젤을 gel drying buffer로 40분 동안 처리한 후 dry system을 이용하여 젤을 수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중성화한 수용성 로열젤리는 전체 단백질 함량의 변화는 없었으나, 로열젤리의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인 40-60 kDa의 단백질이 대조군인 생 로열젤리에 비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3-2> 알레르기성 감소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한 로열젤리의 알레르기 유발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BL-2H3 (KCLB 22256)세포주를 배양하고, 생 로열젤리 또는 본 발명의 로열젤리를 처리한 뒤 알레르기 반응 유발시 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인 β-Hexosamindase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발현량을 ELISA kit(R&D system,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로열젤리가 생 로열젤리에 비해 월등히 낮은 알레르기 반응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4).
< 실시예 4> 10- HDA 함량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10-HDA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생 로열젤리 및 본 발명의 로열젤리의 10-HDA 함량을 이동상 0.02M (NH4)2HPO4·EtOH(7:3) 혼합액(pH 7.0), 1.4 mL/min유속으로 μ-Bondapak C18 컬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로열젤리는 생로열젤리보다 2배 이상의 10-HDA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표 1).
분석항목 (%) 생로열젤리 본 발명
10-HDA 1.95±0.02 4.1±0.06
* P < 0.05, 생로열제리와 비교
< 실시예 5> 피부 세포 생존율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피부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Human dermal fibroblasts(HDF)를 배양한 뒤, 24시간 후에 배지에 1/100 비율로 희석한 본 발명의 로열젤리 1, 0.1 및 0.01 ug/ml를 처리하였다. 로열젤리 처리 3일 후, 배지를 걷어내고 PBS로 세포를 세척한 뒤 50 ㎕의 MTT(3-(4,5-dimethythiazol-2-yl)-2-5-dipheny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환원시킨 뒤에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 200 ㎕를 분주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인간 피부 세포의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는 배지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였다 (도 5).
<실시예 6> 피부 세포 부착률 확인
HDF 세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WSRJ) 및 생 로열젤리(RJ)의 세포 부착률을 확인하였다. HDF 세포는 48 well plate에 다양한 농도의 WSRJ 및 RJ가 함유된 serum free 배지에 배양하였다. 4시간 후 배지는 제거하였으며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의 부착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용성 로열젤리 및 생 로열젤리는 세포 부착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6).
< 실시예 7> 피부 상처 모델에서의 로열젤리의 migration 효과 확인
HDF 세포의 피부 상처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WSRJ) 및 생 로열젤리(RJ)의 피부 상처에서의 세포 이동(migration)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HDF 세포는 6 well plate 에 80% confluency 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세포는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10ug/ml mitomycin C를 1시간 처리하였으며 PBS 로 세척하였다. 세포는 sterile rubber policeman 으로 상처를 낸 후 수용성 로열젤리 및 생 로열젤리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0, 8, 24 시간에 촬영을 하였다.
그 결과, 8시간 이내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이후 5 ug/ml의 수용성 로열젤리가 생 로열젤리에 비해 피부 세포 이동에 의한 상처 치유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도 7 및 도 8).
<실시예 8> 피부 상처 모델에서의 로열젤리의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확인
HDF 세포의 피부상처 모델을 이용하여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및 생 로열젤리의 세포 재생효과를 MTT assay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HDF 세포는 48 well plate 에 배양 24시간 후 다양한 농도별로 수용성 로열젤리 및 생 로열젤리를 처리하였다. 처리 1, 3, 그리고 6일 후 세포의 수를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6일 이후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세포 재생률이 탁월하였다 (도 9).
< 제조예 1> 식품의 제조
<1-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1-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스프 및 육즙 100 중량부에 대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1-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그라운드 비프 100 중량부에 대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1-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우유 100 중량부에 대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1-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분말을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2> 음료의 제조
<2-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2-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2-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3-1> 지용성(W/O 제형) 연고제제의 제조 (중량%)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0.01-10.0%
스테아릴 알콜 7.0%
스테아린산 2.2%
스쿠알렌 3.4%
옥틸두오데칸올 5.0%
올리브유 6.0%
글리세린모노하우릴 지방산 에스텔 10.0%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2.0%
테고 0.3%
카복실비닐폴리머 3.0%
프로필렌 글리콜 5.0%
코직산 0.05%
알파-케토글루타민산 0.2%
시스테인 0.2%
파라벤류 0.3%
멸균 정제수 또는 0.02M 인산 또는 완충용액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지용성 연고를 제조하였다.
<3-2> 친수성(O/W형) 연고제제의 제조 (중량%)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0.01-10.0%
백색바세린 25.0%
스테아릴알콜 20.0%
프로필렌글리콜 12.0%
프로필렌미스스틴산 0.1%
소디움 글리세린 모노라우렐 0.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4.0%
베타인 함유 양이온성 유화제 0.2%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에스텔 0.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친수성 연고를 제조하였다.
<3-3> 영양화장수의 제조 (중량%)
글리세린 8.0 %
부틸렌글리콜 4.0 %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
베타글루칸 7.0 %
카보머 0.1 %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0.05 %
카프필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
스쿠알란 5.0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
세테아릴 알콜 1.0 %
트리에탄올 아민 0.1 %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3-4> 영양크림의 제조 (중량%)
글리세린 3.0 %
부틸렌글리콜 3.0 %
유동파라핀 7.0 %
베타글루칸 7.0 %
카보머 0.1 %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3.0 %
카프필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
스쿠알란 5.0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
폴리솔베이트 60 1.2 %
트리에탄올 아민 0.1 %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3-5> 마시지 크림의 제조 (중량%)
글리세린 8.0 %
부틸렌글리콜 4.0 %
유동파라핀 45.0 %
베타글루칸 7.0 %
카보머 0.1 %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1.0 %
카프필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
밀납 4.0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
바세린 3.0 %
파라핀 1.5 %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3-6> 팩의 제조 (중량%)
글리세린 4.0 %
폴리비닐알콜 15.0 %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
베타글루칸 7.0 %
알란토인 0.1 %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0.5 %
노닐 페닐에테르 0.4 %
폴리솔베이트 60 1.2 %
에탄올 6.0 %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Claims (10)

1) 생 로열젤리를 동결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동결건조되어 생성된 로열젤리 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로열젤리 추출물을 얻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로열젤리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뒤, 증류수에 용해하여 로열젤리 수용액을 얻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로열젤리 수용액을 중성화하여 로열젤리 중성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단계 4)의 중성화는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단계 4)의 중성화 단계에 의해 로열젤리의 pH가 7 내지 8로 조절되어 알레르기성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
삭제
제 1항의 단계 3)에서 중성화된 로열젤리 중성화 용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에탄올 추출 및 농축 단계에 의해 로열젤리가 수용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조 방법.
삭제
제 1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
제 7항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 7항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7항의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식품.

KR1020130141404A 2013-06-20 2013-11-20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681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06 2013-06-20
KR20130070906 201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76A KR20140148276A (ko) 2014-12-31
KR101681026B1 true KR101681026B1 (ko) 2016-12-02

Family

ID=5267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404A KR101681026B1 (ko) 2013-06-20 2013-11-20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91B1 (ko) * 2018-01-26 2020-11-03 (주) 바이텍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24337B1 (ko) * 2019-01-11 2021-11-11 김태욱 로열젤리 함유 토마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704A (ja) 2000-05-30 2001-12-04 Tokiwa Yakuhin Kogyo Kk ローヤルゼリー調製物およびその製法
JP2007295920A (ja) * 2006-04-06 2007-11-15 Yamada Bee Farm Corp 低アレルゲン化ローヤルゼリーの製造方法
JP4384981B2 (ja) 2002-09-06 2009-12-16 林原 健 精製ローヤルゼリ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5268A (ja) * 1988-02-22 1989-08-29 Morinaga & Co Ltd 透明なローヤルゼリー飲料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704A (ja) 2000-05-30 2001-12-04 Tokiwa Yakuhin Kogyo Kk ローヤルゼリー調製物およびその製法
JP4384981B2 (ja) 2002-09-06 2009-12-16 林原 健 精製ローヤルゼリー
JP2007295920A (ja) * 2006-04-06 2007-11-15 Yamada Bee Farm Corp 低アレルゲン化ローヤルゼリ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76A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1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374267B1 (ko)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4344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409764B1 (ko)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 주정추출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677460B1 (ko)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026B1 (ko)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19680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210003994A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167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0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진균 펩타이드 ba-1 및 이의 용도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9740B1 (ko) 모노트로페인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09590B1 (ko) 진세노사이드 C-Mx1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98900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036753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보습 증진용 효소 추출액의 나노에멀젼
KR102093661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5479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70114738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19548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51710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