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611B1 -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611B1
KR101680611B1 KR1020160007057A KR20160007057A KR101680611B1 KR 101680611 B1 KR101680611 B1 KR 101680611B1 KR 1020160007057 A KR1020160007057 A KR 1020160007057A KR 20160007057 A KR20160007057 A KR 20160007057A KR 101680611 B1 KR101680611 B1 KR 10168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wire
hook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송영준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덴탈
Priority to KR102016000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치열교정용 후크는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되며, 일측에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부위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이 돌출되어 치열교정용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ORTHODONTIC HOOK AND ORTHODONTIC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키고, 치열교정용 후크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교정 치료란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부정교합과 같은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바로잡는 것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정상적인 기능을 되찾는 목적 외에도 아름다운 얼굴 형태를 위한 미용 목적의 시술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치열교정은 구강 내에 치아에 브라켓을 결합하고, 치아에 결합된 브라켓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와이어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치아에 교정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와이어에 탄성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후크를 결합하는데, 기존의 교정용 후크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며 와이어에 고정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용 후크가 탄성부재에 의한 힘을 받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교정용 후크가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힘을 와이어에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대로 치열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다시 교정용 후크를 와이어에 고정하는 시술이 필요하고, 이는 시간 및 비용의 소모일 뿐 아니라 환자에게도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정용 후크가 와이어를 따라 그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 미세한 경우에는 그러한 사실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아, 그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치열교정치료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키고, 치열교정용 후크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는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되며, 일측에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부위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이 돌출되어 치열교정용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상기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기 와이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는 전술한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의 교정을 위하여 치열을 따라 배치되며, 소정의 위치에 마커가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마커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커는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상호 결합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치열교정용 후크가 고정된 위치 및 그 위치의 변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1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1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2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2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면서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변형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치열교정용 후크 >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1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1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1 실시예는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측에 외측면으로부터 와이어와 접촉하는 부위까지 관통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삽입홈(120)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와이어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와이어와 결합되는 고정부(10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결합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걸이부(200)는 전술한 고정부(100)의 일측이 돌출되어 치열교정용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된 끝단이 고리형태로 휘어져 탄성부재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200)의 구성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치열교정용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힘을 고정부(100) 및 고정부(100)와 결합된 치열교정용 와이어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는 전술한 고정부(100)의 삽입홈(120)에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삽입하고, 고정부(100)를 가압하여 치열교정용 후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의 삽입홈(120)을 기준으로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부(100)가 변형되면서 삽입홈(120)의 간격이 줄어들고, 고정부(100)의 삽입홈(120) 내면이 치열교정용 와이어(W)와 접촉하면서 치열교정용 와이어(W)가 고정부(100)의 내부에 물리는 형태로 치열교정용 후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을 통해 고정부(100)의 내부에 고정된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관통홀(110) 내부의 A부분에서 고정부(100)의 내측면과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확인하여, 육안으로 간편하게 고정부(100)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밀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잘 고정되었는지 확인하여, 치열교정용 후크가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치열교정용 후크가 미끄러져 치열교정용 후크를 다시 고정하는 재시술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0)에 형성된 관통홀(110)로 인해 고정부(100)의 변형에 필요한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100)를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힘이 줄어들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부(100)를 변형시키며 치열교정용 후크를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2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2 실시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면서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2 실시예는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100)를 가압할 때, 고정부(100)를 가압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치열교정용 후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00)를 가압하면 고정부(100)가 변형되면서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가압하는데, 이때 관통홀(120)은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가압하는 면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 형성된 삽입홈(120)에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삽입하고, 고정부(100)의 삽입홈(120)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부(10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삽입홈(120)의 내면이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고정되는데,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가압하는 삽입홈(120)의 내면 일부에 형성된 관통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치열교정용 와이어(W)는 가압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와이어도 일부 변형되는데, 이때 고정부(100)의 관통홀(110)과 맞닿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부위는 가압되지 않으므로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일부가 고정부(100) 관통홀(11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보다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100)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치열교정용 와이어(W)가 관통홀(110)의 내부로 일부 돌출됨에 따라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돌출부위가 관통홀(11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상호 결합하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치열교정 시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제2 실시예는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관통홀(110)이 고정부(100)의 끝단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부(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을 통해 고정부(100)의 내측면과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확인하여, 육안으로 간편하게 고정부(100)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밀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잘 고정되었는지 확인하여, 치열교정용 후크가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치열교정용 후크가 미끄러져 치열교정용 후크를 다시 고정하는 재시술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0)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고정부(100)를 변형시키는 과정에서관통홀(110)로 인해 고정부(100)의 변형에 필요한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100)를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힘이 줄어들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부(100)를 변형시키며 치열교정용 후크를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변형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변형예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변형예는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변형예에서 고정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고정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30)는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서 고정부(100)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 간의 마찰을 증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고정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돌기(130)는 고정부(10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서 치열교정용 후크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돌기(130)가 첨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를 변형시키며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돌기(130)의 첨단부가 치열교정용 와이어(W)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변형예에서의 돌기(130)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가 치열교정용 와이어와의 결합 성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이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는 전술한 고정부(100)와 걸이부(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후크의 고정부(100) 및 걸이부(2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의 치열교정용 와이어(300)는 치열의 교정을 위하여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의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치열교정용 와이어(300)는 소정의 위치에 마커(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커(310)가 형성되는 위치는 치열교정용 후크가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특히 치열교정용 후크의 고정부(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부(100)의 관통홀(110)을 통해 마커(31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치열교정용 후크가 올바른 위치에 고정되었는지, 고정된 치열교정용 후크의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치열교정 시술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마커(310)는 치열교정용 와이어(300)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특정한 문양이 표시되는 등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커(310)가 치열교정용 와이어(300)의 표면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310)가 치열교정용 후크의 관통홀(110) 내부에 삽입되어, 마커(310)를 통해 치열교정용 후크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마커(310)가 치열교정용 후크의 관통홀(110)에 걸려 치열교정용 후크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효과를 보다 극대화 하기 위해 마커(310)는 관통홀(11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어셈블리를 통해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상호 결합되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치열교정용 후크가 고정된 위치 및 그 위치의 변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어, 치열교정 시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고정부
110 : 관통홀
120 : 삽입홈
130 : 돌기
200 : 걸이부
300 : 치열교정용 와이어
310 : 마커
W : 치열교정용 와이어

Claims (8)

  1.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되며, 일측에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부위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이 돌출되어 치열교정용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걸이부;
    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상기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기 와이어에 고정시키는 치열교정용 후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후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소재로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후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후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치열교정용 후크; 및
    치열의 교정을 위하여 치열을 따라 배치되며, 소정의 위치에 마커가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마커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되는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KR1020160007057A 2016-01-20 2016-01-20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KR10168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57A KR101680611B1 (ko) 2016-01-20 2016-01-20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57A KR101680611B1 (ko) 2016-01-20 2016-01-20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611B1 true KR101680611B1 (ko) 2016-11-30

Family

ID=5770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57A KR101680611B1 (ko) 2016-01-20 2016-01-20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34A (ko) * 2017-12-01 2019-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열 수축되는 치열교정용 생분해성 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50B1 (ko) 2006-07-04 2007-11-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US20140170586A1 (en) 2012-12-19 2014-06-19 Daniele Cantarella Connector for orthodontic arch-wi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50B1 (ko) 2006-07-04 2007-11-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US20140170586A1 (en) 2012-12-19 2014-06-19 Daniele Cantarella Connector for orthodontic arch-wi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34A (ko) * 2017-12-01 2019-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열 수축되는 치열교정용 생분해성 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2564B1 (ko) * 2017-12-01 2019-09-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열 수축되는 치열교정용 생분해성 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520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vibration generation
KR100931256B1 (ko) 치열교정용 장치
KR101638329B1 (ko) 가철식 곡선 이동형 치열교정기구
US9629695B2 (en) Orthodontic working anatomic arch,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including anatomic wire
KR101489625B1 (ko) 치열 교정기구
WO1998051230A1 (fr) Dispositif orthodontique
US20100081106A1 (en) Orthodontic implement removably attached to lip protector
KR201500832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80611B1 (ko)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US8932053B2 (en) Assembly formed by a bracket, a clip and a bas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512893B1 (ko) 치아 이동 기구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JP2006314456A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US11406477B2 (en) Orthodontic device
KR20100022678A (ko) 자력을 이용한 설측 치아교정장치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WO2015063897A1 (ja) 舌側矯正用ブラケット
KR20200053901A (ko) 투명 치아교정시스템
US20140242536A1 (en) Mandibular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EP3289997A1 (en) Connector-adapter device for round-head attachments of dental prostheses
KR101888990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KR20170081579A (ko)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919204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919411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